한국   대만   중국   일본 
美國 獨立戰爭과 프랭클린 가(家)
by 發兌謀議 抛臘도 Jan 15. 2022

美國 獨立戰爭과 프랭클린 가(家)

[美國引渡 모르는 美國 이야기] 1770年代

1770年代를 특징짓는 代 事件 中 하나는 斷然 美國의 獨立戰爭이다. 英國 런던에 아메리카 植民地 開發을 위한 버지니아 會社(The Virginia Company)가 設立된 것이 1606年이다. 當時 버지니아는 北 아메리카 大陸 東쪽 海岸 全部를 일컫던 말이었다. 이듬해인 1607年, 現在 버지니아 州 윌리엄스버그에 가까운 제임스타운에 버지니아 會社가 定着地를 세웠다. 그 以前에도 여러 試圖들이 있었지만, 成功的인 첫 永久 植民地는 제임스타운이었다. 이름이 제임스타운이 된 것은 當時 英國 王이었던 제임스 1世의 이름을 땄기 때문이다. 聖經의 새로운 英文 飜譯을 命하여 1611年에 <킹 제임스 聖經>을 出版하도록 한, 스튜어트 王家의 첫 王이었던 그 제임스 1歲다. 그로부터 8年 뒤, 네덜란드로 移住했던 英國의 淸敎徒人들이 버지니아 會社의 一部이자 獨立된 組織이었던 플리머스 會社(The Plymouth Company)로부터 아메리카 植民地 땅의 讓渡 證書를 獲得했다. 이들이 메이플라워 號에 올라 大西洋을 건너서 只今의 메사츄세츠 週에 새로운 定着地를 세운 것이 1620年이었다.


이를 始作으로 17世紀와 18世紀에 아메리카 大陸 東쪽에는 英國의 植民地들이 建設되었다. 勿論 아메리카 大陸에는 네덜란드, 프랑스, 스페인 等 英國이 아닌 다른 나라들도 進出해 있었지만, 오늘날 우리가 아는 美國의 母胎가 되는 植民地들은 英國의 支配 下에 있었던 東쪽의 13個의 植民地다.


18世紀 北 아메리카 大陸. 노란色이 英國 植民地 地域이다.


美國 獨立戰爭은 勿論 英國의 아메리카 植民地에 살던 臣民들이 母國인 英國에 對抗하여 벌인 戰爭이었다. 그렇지만 獨立戰爭이 同時에 植民地에 살던 아메리카인들끼리 便을 나누어 熾烈하게 對立했던 內戰이었다는 事實 亦是 記憶해야 한다. 獨立을 願해 싸웠던 集團은 스스로를 愛國者들(Patriots)이라 불렀고, 英國의 植民地로 남길 바랐던 이들은 自身들을 또 다른 意味에서 愛國者들(Loyalists)이라 稱했다. 美國 獨立戰爭 中에 가장 殘忍한 戰鬪들은 普通 이 서로 다른 愛國者들끼리의 싸움이었다. 戰爭은 때로 家族들조차도 서로 反目하게 만들었다.


代表的인 事例가 벤자민 프랭클린(1706-1790) 家族이다. 自手成家의 典型이었던 벤자민 프랭클린은 英國 帝國의 受惠를 톡톡히 받은 사람이었다. 그는 아마 가장 有名한 아메리카 出身 英國人이었을 것이다. 어느 時代나 大部分의 사람들은 革命家가 아니다. 그中에서도 한 社會에서 成功한 사람들, 支配 階級에 屬한 사람들은 普通 革命을 願하지 않는다. 프랭클린은 누구보다도 成功한 사람이었다.


프랭클린 곁에는 그와 여러 事業을 함께 圖謀했던 長男 윌리엄이 있었다. 윌리엄은 옛날 式 表現으로 私生兒였다. 英國에서 工夫를 마친 윌리엄은 아버지의 後光으로 出世街道를 달린다. 벤자민 프랭클린은 아들을 위해 런던 政界에 로비를 했다. 그 德에 윌리엄은 30代 初盤에 當時 뉴저지 植民地의 總督으로 任命되었다.


實驗 中인 프랭클린 富者


언제나 스스로를 자랑스러운 英國人이라 생각하고 英國에 對한 큰 愛情이 있었던 벤자민 프랭클린이 正確하게 언제 아메리카 植民地의 獨立을 支持하기로 마음먹었는지에 對해서는 몇 가지 다른 解釋이 可能하지만, 學者들은 1774年 1月 英國에서 열렸던 樞密院 會議 하나를 主要한 契機로 꼽는다. 當時 爭點들을 다 列擧할 순 없지만, 重要한 것은 그 會議에서 英國의 指導者들이 프랭클린을 公開的으로 侮辱했고, 그 結果 프랭클린이 自身과 같은 아메리카 植民地 出身 英國人들은 英國 本土人들과 絶對 同等한 待遇를 받을 수 없다는 事實을 切感했다는 事實이다. 애初에 獨立을 支持할 理由가 없고 革命을 일으킬 動機가 적었던 프랭클린 같은 사람들조차 더 以上 英國의 暴政을 참지 못하고 獨立을 支持하게 되자, 革命勢力은 큰 힘을 받았다.


그러나 정작 그의 아들 윌리엄은 생각을 달리 했다. 그는 끝까지 英國 王의 충성스러운 臣下로 남았다. 뉴저지 議會가 獨立을 宣言하고, 州 憲法을 쓰고, 아메리카 植民地들이 獨立하여 새로 만들어 나가는 聯合 國家에 忠誠을 다하지 않는 사람들 모두에게 反逆의 罪를 묻게 되자, 뉴저지 植民地의 指導者였던 윌리엄은 갑자기 反逆者로 낙인찍혀서 監獄에 收監되었다. 捕虜 交換을 等의 口實로 나중에 出獄한 윌리엄은 當時 로열리스트의 메카였던 뉴욕으로 移住하여 英國軍의 便에 서서 植民地 獨立軍들을 攻擊하는 게릴라 部隊를 이끌게 된다.


마침내 美國의 勝利로 戰爭이 끝나자 로열리스트들은 大擧 英國으로 亡命을 떠나야 했다. 윌리엄 프랭클린도 마찬가지 身世였다. 英國 本土人들이 이들을 딱히 반긴 것도 아니었다. 윌리엄은 悲慘한 生活을 보내야 했다. 그의 아버지 벤자민 프랭클린은 戰爭에서 勝利한 新生 國家 美國의 代表的인 指導者가 되었다. 戰爭 中에도 벤자민 프랭클린의 가장 重要한 役割은 外交였다. 그는 主 프랑스 美國 大使였다. 프랑스의 支持를 이끌어 내는 것이 美國 獨立戰爭에서 가장 重要한 일이었다고 해도 過言이 아니다. 戰後 外交 亦是 相當 部分 프랭클린의 몫이었다. 그는 1785年까지 프랑스에 머물며 英國과의 平和條約을 비롯한 굵직한 外交 事案들을 處理한다. 이미 老齡이었던 그는 아예 餘生을 프랑스에서 보낼 생각까지 했다.


프랭클린   富者   모두   유럽에   있으면서도   서로   和解하지   못했다 . 마지막으로   벤자민   프랭클린이   美國   歸還을   決定하여   英國을   經由하여 大西洋을   건널   , 그의   孫子이자   윌리엄의   아들 ( 그도   私生兒였다 )   윌리엄   템플   프랭클린이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關係 回復을   爲해   만남을   推進 한 바 있었다. 그러나   사람 끝내   和解에 失敗했다.




作品 選擇

키워드 選擇 0 / 3 0

댓글與否

afliean
브런치는 最新 브라우저에 最適化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