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더벨 - 國內 最高 資本市場(Capital Markets) 미디어

thebell

全體記事

[Company Watch] LG유플러스, 賣出 對比 R&D 比率 첫 1%↑ 'AI 攻掠 强化' 올 1分期 費用 391億 支出, 分期 史上 歷代 最高…황현식 代表 '特命' 影響 解釋

최현서 記者 公開 2024-05-20 13:06:51

이 記事는 2024年 05月 17日 17:45 THE CFO 에 表出된 記事입니다.

LG유플러스의 賣出 對比 硏究開發(R&D) 比重이 올 1分期에 처음으로 1%를 넘었다. R&D 費用도 分期 基準 最高値를 突破했다.

R&D 比重이 오른 背景에는 황현식 LG유플러스 代表가 있다. 黃 代表는 赴任 以後 直接 AI 開發 組織을 만들고 人材를 迎入하는 等 該當 分野에 힘을 쏟고 있다. 이에 따라 AI 開發者가 늘어난 게 R&D 費用 增加란 影響으로 이어졌다.

16日 LG유플러스의 分期報告書에 따르면 올 1分期 支出한 R&D 費用은 391億원으로 前年 同期 對比 21.4% 늘었다. 歷代 分期 中 가장 많은 規模의 R&D 費用 支出이다.

이番 分期 賣出 對備 R&D 比率 1%를 처음으로 넘겼다. LG유플러스의 1分期 連結基準 賣出은 3兆5770億원으로 이 期間 賣出 對備 R&D 比率은 1.09%다.

通信 業界에서 R&D 比率 1%를 넘기는 건 흔치 않은 일이다. 그 比率이 1%를 넘기는 곳은 그동안 '1等' 事業者 SK텔레콤 뿐이었다. SKT의 올 1分期 賣出額 對比 R&D 比率은 2.01%다. 같은 期間 KT는 0.86%를 記錄했다.

다른 情報通信技術(ICT) 業界와 달리 通信 業界의 R&D 比率이 낮은 건 技術開發 外에도 基地局 維持, 商品 販賣 等을 위한 人件費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細部的으로 보면 올 1分期 LG유플러스의 R&D 費用을 올린 主 要因은 其他 費用이었다. R&D 費用은 △委託用役費 △기타로 이뤄져 있다. 委託用役費는 外部의 硏究機關이나 專門 業體에 硏究 開發을 맡겨 支拂하는 金額이다. 기타는 그 外의 費用인데 主로 人件費와 材料費 等이다. 올 1分期 R&D 其他 費用은 374億원으로 前年 同期 對比 31.8% 늘었다. 委託用役費는 17億원으로 같은 期間 對比(38億원) 折半 以下로 줄었다.

LG유플러스의 R&D費用 增加는 AI 力量을 强化하려는 黃 代表의 意志가 反映된 結果라는 後聞이다. 黃 代表는 LG유플러스의 首長으로 赴任한 2021年부터 AI 開發에 힘을 쏟고 있었다.

LG유플러스는 2017年까지 R&D 開發 科目에 AI를 包含하지 않고 있었다. 2018年 처음으로 AI를 R&D 項目으로 追加했다. 다만 黃 代表 赴任하기 前까지 AI 事業이 每年 다른 部門으로 옮겨다녔다. LG유플러스_ R&D 組織 傘下에 最高데이터組織(CDO)을 꾸리고 傘下에 AI 關聯 技術 開發을 정착시킨 건 黃 代表가 赴任한 해부터다.

AI 組織을 갖춘 黃 代表는 人材 營業을 위해 直接 뛰고 있다. 그는 지난달 美國을 訪問해 올해 中 LG유플러스의 AI 投資金을 지난해보다 30~40% 擴大하고 AI 人材 確保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또 스탠퍼드大, 일리노이대 等 실리콘밸리 大學 所屬 AI 席·博士 10餘名을 만나기도 했다.


人材 迎入 努力은 數字로도 드러난다. 올 1分期 LG유플러스의 人件費는 4483億원으로 前年 同期 對比 8.1% 늘었다. 分期 基準 歷代 最大値다.

具體的으로 AI 人力 比重을 公開하지 않고 있지만 通信 特化 言語모델 '益視젠'을 한창 開發 中인 만큼 社內에 AI 開發陣이 크게 늘었을 것으로 보인다. 益視젠은 올 上半期 中 發表 豫定이다.

AI 人力 採用 增加 基調는 當分間 이어질 展望이다. 業界 關係者는 "通信社들이 앞서 情報技術(IT) 企業들이 해왔던 敎育 프로그램들을 活性化하는 等 實務에 적합한 人材들을 積極的으로 찾고 있다"며 "AI 言語 모델을 開發하고 이를 活用하는 게 急先務이기 때문에 開發者 人件費를 비롯한 R&D 費用은 꾸준히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 著作權者 ⓒ 資本市場 미디어 'thebell', 無斷 轉載, 再配布 및 AI學習 利用 禁止 >

더벨 서비스 問議

02-724-4102

有料 서비스 案內
週)더벨 住所 서울市 종로구 淸溪川路 41 영풍빌딩 5層, 6層 代表/發行人 성화용 編輯人 이진우 登錄番號 서울아00483
登錄年月日 2007.12.27 / 題號 : 더벨(thebell) 發行年月日 2007.12.30 靑少年保護管理責任者 김용관
問議 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 서비스 問議 및 PC 初期化 TEL : 02-724-4102 技術 및 障礙問議 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記事(콘텐트)는 著作權法의 保護를 받으며, 無斷 轉載 및 複寫와 配布 等을 禁止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