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80年 歷史, 臨港線 鐵길 옆 삶 - 오마이뉴스

메뉴 건너뛰기

close

▲ 臨港線 鐵길 周邊에는 歷史의 痕跡 뿐만 아니라 삶의 痕跡이 남아 있다.
ⓒ 이윤기
會員천을 따라 1km 程度의 市場을 지나 北馬山役을 지나면서부터 新馬山의 港口까지 닿아있는 臨港線 區間의 左右에는 歷史的으로 意味 있는 場所와 文化遺跡들이 많이 남아 있다. 鐵길 바로 옆으로 몽고정과 3.15依據塔이 있고 美術館, 博物館이 隣接해있다.

'歷史의 숨결이 살아있는 臨港線 鐵路邊'

會散다리를 지나서 臨港線 鐵道는 옛 北馬山驛 터를 만나게 된다. 그 옛날의 北馬山驛 터는 鐵道敷地가 넓어지기 때문에 쉽게 區別이 된다. 驛 터에는 馬山에서 처음 만들어졌다는 오래된 陸橋가 있다.

▲ 北馬山 驛이 있었던 자리, 鐵길 周邊에 役의 痕跡이 남아있지 않다.
ⓒ 이윤기
北馬山驛 윗便 무학산 자락에 사는 住民들이 鐵길 때문에 먼길을 돌아서 다니다가 마침내 陸橋가 생겨서 鐵길 左右洞네를 이어주었다고 한다. 어린 時節을 近處 洞네에서 살았던 會員 한 분은 35年쯤 前에 이 陸橋가 만들어져 起工式이 있던 날 많은 住民들이 구경을 나오고 國會議員과 市長이 왔었다고 回想하였다.

建築家인 이 會員은 어린 눈에도 쇠기둥이 橋脚아래에서 갈라지는 모습이 참 印象的이었다고 回顧하였는데, 仔細히 보니 이 陸橋를 받치고 있는 기둥은 鐵路를 만드는 레일로 만들어져 있었다. 鐵路를 만드는 레일을 휘어서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사람들이 걸어 다닐 수 있도록 陸橋를 만들었던 것이다.

▲ 馬山에서 처음 만들어졌다는 北馬山 驛 자리에 있는 鐵道 레일로 만든 陸橋
ⓒ 이윤기
會員中 한 사람이 “住民들이 不便을 呼訴하니까 鐵道廳에서 할 수 없이 陸橋를 만들어주면서 費用을 줄이기 위해 鐵路를 만드는 레일을 가져다가 기둥을 세웠을 것”이라는 根據없는(?) 主張을 펴 다 같이 웃고 말았다.

馬山港을 向하여 南쪽으로 내려가면 오른쪽으로 鬱蒼한 숲과 돌階段이 나타나는데, 여기가 바로 推算 淨水場이다. 推算 淨水場은 日帝時代인 1928年에 만들어졌는데, 팔용산 水源池에 있는 물을 끌어와서 이곳 淨水場에서 馬山市內 全域에 水道물을 供給하였다고 한다.

무학산 자락으로 當時 가장 高地帶였던 이곳에 淨水場이 設置되어 펌프 施設 없이도 自然水壓으로 馬山市內 全域에 水道물을 供給하였다고 한다. 이 淨水場 터 바로 앞에는 文身美術館이 있다. 馬山에서 태어난 世界的인 彫刻家인 文身 先生이 세운 美術館이 있고, 옆에는 馬山市立博物館이 있다.

▲ 推算 淨水場 - 只今의 文身美術館과 市立博物館- 으로 오르는 돌 階段
ⓒ 이윤기
추산동을 지나면서 鐵길은 東쪽으로 方向을 틀기 始作하는데 바닷가를 向하여 좀 더 내려가면 몽고정과 3.15義擧 記念塔을 만나게 된다.

몽고정은 ‘물 좋은 馬山’을 代表하는 우물로서 高麗時代 蒙古軍의 日本 征伐이라는 當時 東아시아 歷史에 있어서 매우 큰 意味가 있는 場所이다. 歷史學者인 會員韓 분은 蒙古의 日本 遠征과 關聯된 遺跡은 馬山에만 唯一하게 痕跡이 남아있어서 매우 重要한 遺跡임을 强調하였다.

몽고정과 마주하고 3.15記念塔이 서있는데, 3.15義擧는 近代 馬山에서 가장 重要한 歷史的 事件의 하나이며, 李承晩 獨裁政權의 不正選擧에 抗拒함으로써 4.19義擧로 이어져 獨裁政權을 무너뜨리는 起爆劑가 되었던 近代 韓國史에 있어서 重要한 事件中 하나이다. 大部分의 馬山市民들은 3.15精神을 馬山精神으로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으며 이곳에 세워진 塔은 當時 馬山市民들의 誠金을 모아서 세운 塔이라고 한다.

그後 부마民主抗爭을 비롯한 民主化運動의 重要한 事件이 있을 때마다 이 곳은 決意를 다지고 새로운 出發을 宣布하는 民主化運動의 聖地가 되고 있다. 最近에는 美선, 孝順 두 女中生을 追慕하는 촛불示威 場所로 利用되기도 하였다.

▲ 自動車가 鐵길을 넘는 곳마다 건널목 만들어져 있다.
ⓒ 이윤기
臨港線 鐵道를 따라서 만나게 되는 3.15 記念塔 - 몽고정 - 文身美術館 - 馬山市立博物館 - 推算淨水場 - 會員城터 - 北馬山 驛 그리고 부마抗爭의 激戰地였던 北馬山 派出所 等이 모두 臨港線 鐵길을 따라서 만날 수 있는 所重한 歷史의 痕跡들이다. 臨港線 鐵길을 따라서 官公列車를 타고 鐵길 옆 文化遺跡들을 둘러보는 참 멋지겠다는 즐거운 想像을 해 본다.

늘 아래에서만 위로만 바라보던 3.15塔을 서성동 鐵길 위에서 내려다보면서 문득 참 아름답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늘 水平的으로만 바라보던 視線이 위에서 3.15塔과 記念公園을 내려다보면서 平素에 發見하지 못하였던 아름다움을 찾아내었다. 하늘이 참 맑았고 3.15塔 뒤의 작은 廣場에 噴水가 뿜어져 나왔으면 그지없이 좋았을 법하였다.

鐵길은 河川을 넘고, 自動車는 鐵길을 넘고

▲ 臨港線 鐵道 踏査 後에 그린 藥도
ⓒ 이윤기
신마산으로 접어든 臨港線 鐵道敷地는 훨씬 넓어진다. 예전에 신마산 驛이 있었고 이곳에서는 삼량진 方面에서 馬山都心임 舊馬山役을 거쳐서 신마산逆으로 들어오는 鐵길과 咸安 군북 方面에서 北馬山役을 거쳐서 신마산逆으로 들어오는 두 個의 鐵道가 서로 만났던 곳이다.

삼량진 方面에서 들어오는 鐵道는 없어졌지만 鐵道敷地는 그 대로 남아있어서 臨港線 鐵길에서 가장 景觀이 좋았다. 곳곳에 남아있는 텃밭의 規模도 훨씬 크고 신마산 驛이 있었던 痕跡이 곳곳에 남아있다.

마산역에서 埠頭까지 8.6km의 臨港線 鐵道는 무학산 자락에서 始作되어 馬山앞바다로 흐르는 馬山의 中心河川을 모두 건너서 中央埠頭로 이어져있다. 마산역을 지나자마자 三湖천을 건너는 臨港線은 會散다리가 있는 會員천을 건너고 北馬山 驛을 지나서 곧바로 敎坊천을 만난다. 그리고 新馬山 埠頭를 조금 못 미쳐 覆蓋로 인하여 痕跡을 찾기 어렵지만 馬山市廳 옆으로 흐르는 장군천을 또 한 番 넘는다. 臨港線 鐵길은 사람과 貨物을 싣고 무학산에서 馬山 앞바다로 흐르는 三湖千, 會員千, 敎坊千, 장군천 넘어 다녔다.

▲ 新馬山 驛이 있던 자리에 남아있는 歷史의 一部
ⓒ 이윤기
80餘 年이 지난 只今 한 해에 50餘 次例 밖에 運行되지 않는 臨港線 鐵길은 8.6km 區間에 無慮 9個의 건널목으로 잘려서 하루에도 數千臺의 車輛과 數 萬 名의 사람들이 鐵길을 넘고 있다. 어림잡아 計算해도 1km 間隔마다 한 番씩 車輛通行 或은 步行用 건널목으로 잘려진 鐵길이 제 役割을 다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臨港線 鐵길에 제대로 汽車가 運行되기라도 한다면 馬山都心에 深刻한 交通難이 생길지도 모를 일이다.

80餘 年 前부터 鐵길이 제구실을 하던 20餘 年 前까지 臨港線 鐵길은 三湖千, 會員千, 敎坊千, 장군천을 넘어 다녔다. 이 鐵길 위로는 木材와 無煙炭을 실은 鐵道資糧이 氣勢騰騰 하게 馬山의 河川들을 가로질러서 넘나들었다. 그러나 只今은 馬山都心을 가득 메운 自動車들이 壽命이 다한 臨港線 鐵길을 자르고 넘나들고 있다. 여기에도 適者生存의 論理가 適用되는가? 臨港線 鐵길이 넘나드는 아래에 있던 三湖千, 會員千, 敎坊千, 장군천의 물은 모두 썩어 버렸고, 이제 9個의 건널목으로 토막난 臨港線 鐵道는 한 달에 너 댓番 列車가 다니는 녹슨 길이 되어버렸다.

親環境 綠色벨트로 가꾸어야

▲ 新馬山 驛 터에 남아있는 鐵路를 變更하는 器具
ⓒ 이윤기
臨港線 鐵道 踏査를 마치며 參加者들은 한 결같이 “馬山에 이런 곳이 남아있을 줄 몰랐다” 조금만 손보면 鐵길이 그냥 남아있어도 훌륭한 散策路가 될 수 있겠다고 異口同聲으로 말하였다. 特히 新馬山 海岸道路邊에는 只今도 幅이 넓고 綠地가 많아서 다리를 쉴 수 있는 椅子와 햇빛을 避할 수 있는 그늘만 있어도 썩 괜찮은 休息 空間이 될 수 있는 곳이었다.

踏査 길에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을 鐵길에서 만났는데 自動車가 없는 安全한 步行空間으로 活用되고 있었다. 散策路 自轉車 專用道路를 만들고 中間中間 幅이 넓은 곳에는 洞네 靑少年들을 위해서 籠球 골대로 세우고 어린이 놀이터도 만들면 좋겠다고도 하였다. 電車를 運行해서 文化遺跡 踏査코스를 만들고 臨港線 鐵道가 끝나는 곳에서 列車를 내려 배를 타고 돝섬으로 들어가면 멋진 觀光코스가 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 幅이 넓은 都心의 綠地空間으로 남아있는 신마산驛 近處의 臨港線 마지막 區間
ⓒ 이윤기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것을 생각하면서 떠난 踏査 길에서는 누구도 都心 住居地域을 貫通하는 鐵길을 걷어내고 産業道路를 만들자는 이야기를 하는 사람은 없었다. 왜 市場이나 國會議員들은 開發을 통해서만 사람들의 삶이 나아질 것이라고 믿는지 모르겠다.

오늘 新聞에는 마산시는 臨港線 鐵道가 끝나는 馬山 西港 앞바다를 메워서 또 다시 埋立을 하겠다고 한다.

▲ 臨港線 鐵길에서 내려다본 무학산에서 馬山 앞바다로 흐르는 會員千
ⓒ 이윤기

태그 :
댓글
이 記事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記事 原稿料로 應援 하세요
原稿料로 應援하기

馬山YMCA 事務總長으로 일하며 代案敎育, 住民自治, 市民運動, 消費者運動, 自然醫學, 共同體 運動에 關心 많음. 오마이뉴스 市民記者로 活動하며 2月 22日上(2007), 뉴스게릴라上(2008)受賞, 市民記者 名譽의 숲 으뜸賞(2009. 10), 市民記者 名譽의 숲 오름上(2013..2) 受賞




讀者意見

年度別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