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오빠보다 더 華麗한 元嬪 洪氏의 죽음 - 오마이뉴스

메뉴 건너뛰기

close

죽음이 임박한 원빈 홍씨. 드라마 <이산>.
 죽음이 臨迫한 元嬪 洪氏. 드라마 <離散>.
ⓒ MBC

關聯寫眞보기


政丞 집 개가 죽으면 門前成市를 이룬다더니…

政丞보다 먼저 죽은 것이 사람이건 아니건 間에 世上 사람들은 問喪을 간다. 하지만 정작 政丞이 죽으면 問喪을 가지 않는다는 말이 있다. 이런 말은 홍국영 男妹의 境遇에 잘 符合할 것이다. 

4月 8日 <離散> 第59回에서 보여준 처럼 洪國榮의 女同生인 元嬪 洪氏가 死亡하자, 相當히 華麗한 葬禮式이 치러졌다고 正祖 3年(1779) 5月 7日子 <正祖實錄>은 記錄하고 있다.

元嬪의 죽음을 哀悼하기 위해 正祖 임금은 昌德宮 희정당에서 슬픔을 表示하고, 百官들은 선화門(宣化門)에서 슬픔을 表示했다. 調整과 市場의 業務는 5日間 停止되었다.

죽은 지 4日째 되는 날부터 百官들은 淺淡服(엷은 玉色의 옷)을 입고 罷散官(一種의 退職 官僚)과 成均館 儒生 等은 하얀 素服을 입고 哭을 했다.

또 唐나라 妃嬪(妃嬪)의 禮에 따라 姻叔이라는 시호, 孝휘라는 窮戶(宮號, 예컨대 혜경궁 等), 人命이라는 원호(園號, 예컨대 思悼世子의 墓에 내려진 영우·현륭 等의 名稱) 等이 元嬪에게 追贈되었다.

한便, 元嬪의 죽음과 關聯된 文章을 짓는 데에 參與한 人士들도 相當히 華麗한 便이었다.

元嬪의 죽음과 關聯하여 淸나라에 보낼 表文을 지은 사람은 이휘지(1715~1785年)였다. 英祖 治下에서 淸나라에 使臣으로 다녀온 뒤에 弘文館 大提學을 지냈고 元嬪이 死亡하던 해에는 奎章閣 提學을 祭需 받은 人物이다.

支障(誌狀, 죽은 사람의 이력 等을 적는 文章)을 지은 사람은 有名한 禮學者인 황경원이었다. 英祖 治下에서 弘文館 大提學과 刑曹·禮曹·工曹判書 等을 歷任한 人物이다. 또 洪氏의 죽음을 哀悼하는 애冊을 지은 사람은 채제공이고, 洪氏의 諡號를 임금에게 建議하는 施策을 지은 사람은 '한 房의 사나이' 서명선이었다(아래 關聯記事 '正祖의 男子들, 뜨는 별들의 뒷이야기' 參照).

이처럼 '豪華 軍團'李 動員될 수 있었던 것은 元嬪의 死亡 時點이 바로 洪國榮의 全盛期였기 때문이다. 그로부터 2年 뒤인 1781年에 洪國榮이 홀로 쓸쓸한 最後를 맞이한 것과는 對照的인 風景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政丞 아닌 것이 죽으면 政丞 집에 찾아가도 막상 政丞이 죽으면 모두 外面하는 世上 人心을 보여주는 대목이 아닐까. 

오빠 품에 안긴 원빈. 드라마 <이산>.
 오빠 품에 안긴 元嬪. 드라마 <離散>.
ⓒ MBC

關聯寫眞보기


오빠의 勢道가 絶頂에 達했을 때 죽은 女同生

그런데 當初 홍국영 側에서는 이보다 더 華麗한 葬禮式을 推進한 模樣이다. <正祖實錄>에서는 "그때 洪國榮의 橫暴와 放恣함이 날로 甚하여 온 調整이 敢히 그의 뜻을 거스르지 못했다"라고 하면서 "洪氏의 嬪嬙(殯葬)에 關한 節次와 關聯하여 예관이 모두 僭濫한 例를 援用하였다. 송덕상은 甚至於 控除(公除)를 해야 한다고까지 했으나, 施行하지는 않았다"라고 적고 있다.

여기서 송덕상이 建議한 控除란 것은 임금이나 王妃가 죽었을 때에 26日間 一般 公務를 中止하는 것을 가리킨다. 正祖 卽位年에 英祖가 死亡했을 때에도 그런 控除가 行해졌다. 이런 控除를 後宮인 元嬪 洪氏에 對해서까지 適用하려고 했으니, 洪國榮의 權勢가 어떠했는지 斟酌하고도 남음이 있을 것이다.

參考로, 송덕상은 '國營 맨'으로 分類될 만한 人物이었다. 著名한 儒學者 宋時烈의 玄孫인 송덕상은 正祖 卽位 直後부터 洪國榮의 뒷받침으로 同副承旨·吏曹參議 等을 거쳐 1779年에는 吏曹判書에까지 오른 人物이다. 大學者의 後裔치고는 그 處身이 좀 가벼웠다는 評價를 받은 사람이다.

위와 같이 元嬪의 葬禮式에는 華麗한 節次가 適用되고 華麗한 人物들이 動員되었다. 洪國榮의 勢道가 絶頂에 達했을 때에 그의 女同生이 죽었기 때문에 可能했던 일이다. 어찌 보면 元嬪의 죽음을 슬퍼하는 行事라기보다는 洪國榮의 勢道를 誇示하는 行事였다고 보는 便이 더 正確할 것이다.

오빠는 밉지만 本人은 미워할 수 없는 그런 사람

그런데 元嬪의 葬禮式이 이처럼 華麗했던 것은 洪國榮의 權力이 莫强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어찌 보면 女同生에 對한 洪國榮의 愛情이 지나쳤기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自身과 달리 相對的으로 조용하고 모나지 않은 '착한 女同生'에 對한 洪國榮의 盲目的 愛情이 낳은 結果라고 할 수 있다.

元嬪이라는 人物 自體와 그의 죽음을 다루는 <正祖實錄>의 記錄 속에서, 우리는 元嬪 洪氏가 드라마 <離散>에서처럼 그렇게 惡毒한 사람은 아니었을 것이라는 結論을 導出할 수 있다.

3月 31日子 記事인 '元嬪 洪氏, 果然 惡毒했을까?(아래 關聯記事 參照)에서 說明한 바와 같이, 元嬪의 죽음을 다루는 <正祖實錄> 記錄에서마저 史官들은 元嬪에 對해서는 한마디 否定的 評價도 남기지 않았다. 洪國榮에 對한 非難만 남겼을 뿐이다. 

그리고 <純祖實錄> 等의 元嬪 關聯 記錄에서도 史官들은 그에 對해 이렇다 저렇다 하는 評價를 남기지 않았다. 元嬪 洪氏가 行爲의 主體로 紹介되어야 할 部分에서도 언제나 洪國榮을 辱하는 式이었다. 

이것은 元嬪이 오빠의 權勢 德分에 後宮 자리에 오르긴 했지만, 정작 그 本人은 크게 모난 行動을 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資料가 될 수 있을 것이다. 周邊 사람들이 보기에 元嬪이란 存在는 '그 오빠를 생각하면 밉지만, 정작 그 本人을 보면 쉽게 미워할 수 없는 사람'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여동생을 잃고 오열하는 홍국영. 드라마 <이산>.
 女同生을 잃고 嗚咽하는 홍국영. 드라마 <離散>.
ⓒ MBC

關聯寫眞보기


自身과 달리 欲心도 別로 없고 行動도 操心스러운 女同生이었기에, 洪國榮은 그런 女同生이 더욱 더 所重했을지도 모른다. 홍국영 側이 元嬪의 葬禮와 關聯하여 '오버'를 한 것은 洪國榮의 權勢가 莫强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女同生에 對한 洪國榮의 愛情이 지나쳤기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다.

女同生에 對한 洪國榮의 愛情이 지나쳤다는 點은, 洪國榮이 元嬪 死亡 以後로 握手(孝義皇后 殺害未遂)를 놓고 그 때문에 結局 失脚한 데에서도 斟酌할 수 있다. 이것은 女同生의 죽음으로 理性을 喪失한 洪國榮이 平素처럼 事物을 怜悧하게 把握하지 못한 데에서 나온 結果라고 볼 수 있다.

女同生에 對한 愛情이 그처럼 대단했던 當代의 勢道家 홍국영. 그래서 그는 女同生을 華麗하게 떠나보냈지만, 정작 그 自身은 不過 2年 뒤에 쓸쓸한 죽음을 맞이하고 말았다. 女同生은 世界제국 唐나라의 妃嬪처럼 華麗하게 죽고, 오빠는 軍紀 빠진 唐나라 軍隊의 兵卒처럼 쓸쓸하게 죽고 만 것이다.


태그 : #離散 , #元嬪 洪氏 , #홍국영 , #正祖
댓글
이 記事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記事 原稿料로 應援 하세요
原稿料로 應援하기

kimjongsung.com.日帝淸算硏究所 硏究委員,第15回 임종국上.유튜브 時사와歷史 채널.著書:大論爭 韓國史,反日種族主義 무엇이 問題인가,조선상고사,나는 世宗이다,역사추리 造船社,黨爭의 韓國史,왜 美國은 北韓을 이기지못하나,발해고(4권본),패권쟁탈의 韓國史,韓國 中國 日本 그들의 敎科書가 가르치지 않는 歷史,朝鮮奴婢들,王意女子 等.


讀者意見

移轉댓글보기
年度別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