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나그네설움' 作曲者 이재호의 屈曲人生 - 오마이뉴스

메뉴 건너뛰기

close

앞서 진방남(秦芳男)李 노래한, 또는 반야월(半夜月)李 作詞한 軍國歌謠들을 살펴보면서 자주 擧論된 이름이 하나 있었다. <소년초(少年草)> <결전 태평양=""> <일억 총진군=""> <국경선 보초병="">의 作曲者, 바로 이재호(李在鎬)(1919-1960)라는 이름이다.

1939年 朝鮮의 音盤業界에는 地殼變動이라고까지 할 수 있을 만한 一大 變化가 일어났다. 그때까지 存續하고 있던 다섯 군데 音盤會社 가운데 가장 規模가 작았던 太平레코드가 大大的인 革新을 통해 飛躍的인 發展을 이루기 始作했던 것이다.

新人歌手로 登場해서 單숨에 當時 最高의 人氣를 누리던 남인수(南仁樹)와 雌雄을 겨루는 巨物로 成長한 백년설(白年雪)李 떠오르는 太平레코드의 看板格이었다면, 그 뒤를 든든하게 받친 作曲家 이재호는 太平레코드에서 둘도 없는 버팀木이었다.

<나그네 설움="">(1940年 2月), <번지 없는="" 주막="">(1940年 10月), <대지의 항구="">(1941年 4月) 等 1940年을 전후한 時期에 이재호·백년설이 함께 만들어 發表한 曲들은 두 사람의 代表作을 넘어 우리나라 歌謠史의 代表作으로 記錄되고 있다.

天才的인 音樂性의 所有者였음에도 不拘하고 너무나 일찍 世上을 떠나고 萬 이재호의 作品世界는 반드시 새롭게 照明받아야 할 所重한 遺産이다. 하지만 빼어난 그의 功績과 아울러 그의 過誤, 卽 軍國家요 作曲이라는 部分도 다시금 살펴볼 必要가 있을 것이다.

이미 言及한 네 曲 外에도 太平레코드를 통해 이재호 作曲으로 發表된 軍國歌謠는 세 曲 程度가 더 確認되고 있다. 1943年 1月에는 <천리 전장(戰場)="">(處女林(處女林) 作詞, 이인권(李寅權) 노래, 音盤番號 5054), 2月에는 <전선의 달="">(박향민(朴鄕民) 作詞, 이인권 노래, 音盤番號 5061, <전장의 달="">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3月에는 <달 있는="" 모항(母港)="">(處女林 作詞, 이인권 노래, 音盤番號 5069)李 次例로 發表되었다.

위의 세 曲도 아직 音源이나 歌詞地가 公開되어 있지 않아 具體的인 內容을 알 수는 없으나, 郡君歌謠라는 것은 이미 題目에서도 確認할 수 있다. 特히 <달 있는="" 모항="">은 太平레코드 信保 紹介冊子에 ‘달 밝은 曺國(祖國)의 棧橋(棧橋)에는 오늘밤도 希望(希望)을 속삭이는 갈매기가 운다. 波濤 높은 太平洋(太平洋)을 무찌르고 日章旗(日章旗) 높이 單 潛水艦(潛水艦)의 용자(勇姿)를 보라. 이인권軍(李寅權君)의 새로운 國民歌謠(國民歌謠)’라는 宣傳文句가 실려 있기도 하다.

<천리 전장=""> <달 있는="" 모항="">의 作詞者 處女林은 이미 본 바와 같이 活潑한 作詞 活動을 하며 太平레코드 文藝部長까지 지내다가 光復 以後 越北한 박영호(朴英鎬)의 筆名이다. <전선의 달="">을 作詞한 박향민은 主로 演劇界에서 活動하면서 小說, 隨筆 等을 쓰기도 했던 人物로, 1943年에 太平레코드에서 流行歌 歌詞 몇 篇을 發表한 痕跡이 보인다.

공교롭게도 세 曲 모두를 부른 이인권(1919-1973)은 마치 軍國家요를 많이 부른 歌手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實은 그가 부른 軍國歌謠로 現在 確認되는 것은 위 세 曲이 全部이다.

1938年에 빅터레코드에서 첫 音盤을 發表한 이인권은 以後 오케레코드로 옮겨 活動하면서 <꿈꾸는 백마강=""> 等을 發表해 人氣를 모았고, 1942年에는 오케레코드를 떠나 太平레코드로 자리를 옮겼다.

오케레코드에서 活動할 當時에 發表한 作品 가운데에는 軍國歌謠로 볼 만한 것이 눈에 띄지 않지만, 1943年이라는 時點에서는 이인권 亦是 軍國家요를 避하긴 어려웠던 것이다.

肺 한 쪽을 잘라내면서까지 熾烈하게 病魔와 싸우면서 <고향에 찾아와도=""> <산유화> <아네모네 탄식=""> 같은 名作을 남긴 이재호가 정작 日帝 末期에 强壓的인 戰時體制의 壓力에는 屈服하고 만 것이 果然 무엇 때문이었는지는 確實치 않다.

다만 그 어떤 避치 못할 理由가 있었다 하더라도 그릇된 現實을 拒否하지 못하고 그 흐름에 몸을 맡긴 것은 이재호의 履歷에서 지울 수 없는 汚點임이 분명하다.

태그 :
댓글
이 記事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記事 原稿料로 應援 하세요
原稿料로 應援하기

노래를 찾는 사람, 노래로 歷史를 쓰는 사람, 노래로 世上을 보는 사람.




讀者意見

年度別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