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8年次 公試生이 故鄕 뒷山에서 얻은 깨달음 - 오마이스타
約 10年 前 出刊되어 反響을 일으켰던 社會學 書籍 題目이 떠올랐다. "絶望의 나라의 幸福한 젊은이들"이라는 日本 著者의 冊이다. 該當 圖書는 日本의 靑年世代, 俗稱 '社토리 世代'라 불리는 이들에 對한 深層的인 分析을 펼쳐 보인다. '社토리 世代'는 長期複合不況에 빠진 지 20餘 年이 지나 成長은 없이 停滯된 日本 社會 內에서 現實에 安住하는 靑年世代의 特徵을 診斷하며 붙은 名稱이다. 分明히 現實이 暗澹하고 正規職 就業도 비좁은 文人 데다 社會 全體가 停滯된 지 오래인데 정작 日本의 靑年들은 現在에 滿足하며 삶을 즐기는 것처럼 보였다. 이는 近代國民國家 樹立 以後 經濟社會 成長과 國家 次元의 動力 마련을 위해 形成된 '靑年은 進取的이고 生産的이어야 한다!' 談論에 正面으로 背馳되는 形象이다.
 
하지만 그리 멀지 않은 바다를 사이에 둔 韓國社會 靑年들은 日本 靑年世代와 많은 社會文化的 共通點을 지니는데도 態度와 視角은 正反對에 가까웠다. 勿論 韓國이 '幸福의 나라'는 아니지만 '不幸한 젊은이들'은 넘쳐났다. '헬朝鮮' 談論이 澎湃하고 旣成世代와의 葛藤 골은 深刻해져만 갔다. 類似한 社會 變化狀에도 不拘하고 日本은 漸漸 '脫近代'로 向한다면, 韓國은 如前히 相當한 國家的/社會的 一般基準에 未達한 絶對多數가 스스로 自虐하며 괴로워하는 기운으로 넘쳐나는 것처럼 보였다.

그 結果 아무리 未來志向的 敎科 內容 改正이나 社會의 公式的 캠페인에도 不拘하고 極端的 劃一化는 거듭된다. 個人의 자유로운 自我實現이나 社會 全體에 必要한 力量 育成이 아니라 오직 根據도 薄弱한 '한 사람 몫' 充足要件이 無意識까지 支配한다. 그렇게 靑春을 考試院에서, 公示學院에서 消耗하며 期約 없는 좁은 門을 向해 여름철 電燈갓에 뛰어드는 昆蟲들처럼 突進하는 靑春 殘酷史는 繼續된다.
 
過去回歸와 現實安住의 境界에서 旅行을 떠나다
 
"늦더위" 스틸 영화 스틸 이미지

▲ "늦더위" 스틸 映畫 스틸 이미지 ⓒ 필름다빈

 
'동주'는 8年間 公務員試驗 準備에 邁進하며 플라워 디자인 會社에서 아르바이트를 竝行해 왔다. 會社에서 評判이나 일 處理도 나쁘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긴 時間 邁進해온 公務員試驗은 지지리 풀리지 않는다. 룸메이트 兄 亦是 동주와 別般 다르지 않은 處地, 어느덧 30代에 들어선 동주보다 더 切迫할 텐데도 兄은 比較的 餘裕롭게 지내는 것처럼 보인다. 룸메이트나 職場에서 業務로 자주 보는 職員이나 모두 동주에게 好意로 이것저것 챙겨주려는 것 같은데 정작 東柱는 곧이곧대로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模樣새다. 正式 職員으로 採用 提案이 들어올 程度이지만, 좋은 機會인 것 같은데 그는 社長의 提案을 끝내 拒絶하고 만다.
 
처음엔 좀 조용한 性格이지만 無難해 보이던 동주의 고집스러움과 盲目的 執着이 살짝 거북해질 즈음, 그는 無酌定 近郊 旅行길에 나선다. 처음엔 헤어진 前 女子親舊를 찾는다. 하지만 막상 오랜만에 再會한 相對에게 東柱는 別 意味 없는 安否와 過去 回想만 던질 뿐 딱히 별다른 알맹이도 없는 對話만 이어가고, 답답하고 짜증이 난 前 女子親舊는 自身이 곧 結婚 豫定임을 밝힌다. 그런 渦中에도 雰圍氣 把握을 안 하는지 못 하는지 東柱는 脈絡이라곤 찾아볼 수 없는 對話를 이어가려다 期於코 拒絶을 當하고 만다. 이어서 그는 오랜만에 軍隊 後任을 만난다. 반가운 戰友愛를 나누는 것도 暫時, '어리버리'할 때는 自身이 指導하고 도움을 주곤 했던 後輩가 이제 自己 자리를 제대로 잡은 狀況을 目擊한 東柱는 자꾸 後輩에게 술을 먹이려 하거나 虛勢를 부리지만 곧 空虛한 感情에 빠진다. 그래도 旅行을 떠나 보라는 後任의 勸誘는 一理가 있어 보인다. 길을 떠난다.
 
멀리 갈 것도 없이 水原과 火星 一帶를 彷徨하듯 떠돌던 東柱는 宿所 隣近 놀이터에서 籠球하던 男女 初等學生들과 어울려 보지만 만남은 持續되지 못한다. 代身에 그들이 逍風 場所로 紹介해준 華城 고정리 恐龍알 遺跡地를 찾는다. 서울 한복판에서 生活하던 그에게 中小都市의 市外버스 搭乘은 그 自體로 難題다. 자연스럽게 어울려 구경 다니는 大學生쯤 되어 보이는 旅行者들 틈에 끼어보고 싶은 氣色이 歷歷하지만 한 끝발 差異로 그는 무리에 섞이지 못한 채 默默히 뒤를 따를 뿐이다. 하지만 旅行은 나쁘지 않은 것 같다. 이番엔 혼자 旅行 다니지 말고 사람도 좀 만나라며 軍隊 後任이 推薦한 게스트하우스 宿泊을 敢行한다. 저녁에 바비큐 파티가 있다는 宿所 主人의 말과는 달리 일찍 待機하던 자리엔 홀로 온 男子 宿泊客이 고작이다. 그래도 둘은 함께 고기를 굽고 술盞을 나누며 이것저것 이야기를 나눈다.
 
그는 마침내 나고 자란 故鄕 淸州에 到着한다. 하지만 東柱는 父母가 있는 故鄕 집으로 가는 代身 親戚 집에 머문다(나중에 그가 父母님 집 住所도 모른다는 게 밝혀진다). 그리고 中學校 同窓들에게 沙鉢通文을 돌리듯 連絡을 傳한다. 自己 包含 5名의 同期들이 술집에 모인다. 各自 뭐 하고 社냐는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展開되는데, 나름대로 동주를 除外한 4名은 各各 自己 자리를 잡은 模樣새다. 그中 學窓時節에 마음이 있던 '윤정'李 '돌싱'李 되었다는 情報를 듣고 東柱는 바깥에 나가 돌아오지 않는 윤정을 찾아 對話를 나누지만, 딱히 別 進展은 없다. 同窓들은 다음날 어릴 적 자주 다녔지만 한 番도 頂上에 오른 적 없는 隣近 山行을 決議하지만 막상 當日에 現場에 到着한 건 동주가 唯一하다.
 
김이 샌 東柱는 홀로 登山을 敢行하지만, 하염없이 높고 깎아지를 것 같았던 山 頂上은 頂上答紙 않게 밋밋할 뿐이다. 벤치에 드러누워 멍하니 쉬던 그 앞에 뒷걸음을 치며 옆 벤치에 中年의 女性이 자리를 잡고, 둘은 자연스럽게 對話를 나눈다. 對話 中에 東柱는 그 女性이 自身이 다녔던 初等學校 先生님이었다는 걸 깨닫지만 둘의 記憶은 서로 어긋나기만 한다. 그렇게 짧은 卽興 旅行 뒤 東柱는 서울의 宿所로 돌아온다. 果然 돌아온 主人公의 未來는?
 
前作과 뫼비우스의 띠처럼 循環을 이루는 <늦더위>의 世界
 
"늦더위" 스틸 영화 스틸 이미지

▲ "늦더위" 스틸 映畫 스틸 이미지 ⓒ 필름다빈

 
監督은 前作 <終着驛>에서 女子 中學生 4名의 未知로의 冒險을 다뤘다. 이제 靑少年期에 갓 進入하게 된 主人公들은 寫眞 동아리 課題를 撮影하기 위한 自身들만의 첫 旅行에서 父母의 保護膜 바깥에서 난生처음 當하는 危機를 거치며 어른의 世界로, 自身을 책임지는 成人이 되기 위한 첫 段階에 들어서게 된다. <늦더위>는 바로 그 地點으로 돌아가는 듯 旅程의 로드무비다. 主人公 동주가 故鄕으로 돌아가 相逢하는 건 오랜 時間 往來를 斷絶하고 지낸 父母가 아니라 바로 <終着驛> 時節에 만났을 법한 中學校 同窓들이다. 그가 確認하고 싶었던 過去는 父母님의 사랑과 保護 같은 常套的인 內容이 아니라 한창 單獨者로서 일어서기 위해 苦悶을 始作하던 靑少年期의 出發點인 것이다.
 
勿論 主人公의 狀態와 旅程은 理想化된 모습으로 보이진 않는다. 初盤에는 非好感에 가까운 캐릭터로서 面貌를 드러낸다. 公務員試驗이라는 自身의 設定 目標에 執着하는 東柱는 외骨髓에 一方通行 直進이다. 30代에 들어선 참이라 周邊에서 好意的으로 提案하는 機會가 그리 나쁘지 않아 보이지만 制限된 對人關係 속에서 公示에만 邁進해온 게 問題인지 鄭重하게 拒絶하는 技術도 갖추지 못한 듯 보인다. 映畫를 보던 中에 안쓰럽거나 或은 他人의 眞心을 外面하는 主人公의 行態에 不滿을 가질 觀客도 나올 법하다. 그리고 自激之心도 相當해 보인다. 동주가 아르바이트하는 會社 職員이 周旋한 紹介팅에서 相對에게 自身의 身分을 살짝 올려치기 한다거나, 自身이 이것저것 助言해준 德分에 제대로 자리를 잡은 軍隊 後任에게 모텔 宿所를 호텔이라 둘러댄 뒤 슬쩍 元來 宿所로 돌아가는 風景이 代表的이다.
 
그런 동주의 行步는 劇的으로 壓縮된 캐릭터라기보다는 그저 現實에서 監督 本人을 包含한 靑年世代의 自畫像, 그것도 實際 周邊에서 보이는 群像들이 實際로 겪는 삶의 哀歡이라기보단 마치 머릿속에서 펼쳐지는 再演劇에 가까운 形象으로 다가온다. 무슨 말이냐면, <늦더위> 속동주의 行步와 變化는 實際 現實의 豐富한 斷面을 社會的 主題意識과 連結해 풀어내는 方式이 아니라 藝術治療 過程으로 創作者와 그가 屬한 世代를 慰勞하고 숨 쉴 틈을 提供하려는 目的意識으로 傳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야기에 過沒入하게 만드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確立된 公式이 <늦더위> 感傷에는 全혀 맞지 않게 된다. 代身에 마치 人物 다큐멘터리를 느긋하게 觀照하며 自身이 經驗한 것과 本人의 現在 狀態를 代入해 觀察하게 만든다. 이 映畫의 效用은 明確하게 그 方向으로 座標가 設定되어 있다.
 
그런 機能性에 忠實하도록 映畫의 展開는 構造化되어 있다. 맨 처음 主人公이 自身의 지난 몇 年間을 돌아보기 위해 가장 먼저 찾는 건, 一山 湖水公園의 '舊女親'이다. 여기에서 東柱는 限없이 찌질한 캐릭터의 極을 달린다. 前 女子親舊로서는 몇 年 만에 連絡하고 結婚 앞둔 狀況에서 어떤 狀況을 想定하며 마음 무겁게 나왔을 텐데, 그 場面에서 東柱는 徹底히 自己憐憫에 사로잡혀있을 뿐이다. 相對方으로선 '그래서 어쩌라고?'란 소리 안 튀어나오는 게 異常할 程度다. 軍隊 後任과의 再會에서도 큰 頉은 일어나지 않지만, 自激之心으로 虛勢를 부리거나 後輩를 곤란하게 만들 飮酒運轉 勸誘를 거듭하는 건 利己的인 態度로 보기에 充分한 감이다.
 
美化와 歪曲 없이 出發點에서 다시 始作하기
 
"늦더위" 스틸 영화 스틸 이미지

▲ "늦더위" 스틸 映畫 스틸 이미지 ⓒ 필름다빈

 
이쯤 되면 韓國獨立映畫에서 나르시즘에 빠진 別로 공감되지 않는 主人公 캐릭터의 또 다른 變形인가 싶을 것 같지만, 監督의 비전은 거기에 빠져 헤어나오지 못하는 것과는 距離가 明確하다. 自己憐憫으로 美化하기보다는 있는 그대로 동주의 現在 狀況과 그로 인한 偏狹함을 露出한 이야기는 그가 스스로 解答을 찾는 旅程을 出發하면서 서툴고 不安하지만 主人公이 努力하고 있음을 찬찬히 公開하기 始作한다.
 
(前作의 出演陣이 友情 出演한) 놀이터에서 만난 靑少年들과의 時間은 振作 어른으로 자리를 잡았어야 했지만, 아직 定着하지 못한 동주의 處地를 直擊해 버리는 刹那다. 그는 繼續 그들 무리와 어울리고 싶었지만, 다시 찾아간 놀이터에는 몇 살 더 나이든 이들만 보인다. 自身의 過去를 보는 것 같은 靑少年들에게 나이든 피터팬이 돌아가고자 해도 애初 不可能한 目標였던 셈이다. 그리고 '恐龍알' 遺跡地에서 만난 公務員試驗 準備 直前의 時節을 보내는 것만 같은 젊은이들을 곁눈질하며 巨大한 恐龍으로 깨어나지 못한 알과 自身의 心情을 겹쳐보기도 한다. 靑雲의 꿈과 成功의 野望으로 自身을 채찍질해 왔던, 分明 誠實하게 挑戰했던 그의 꿈은 充分히 實現 可能해 보였지만 왜 失敗한 걸까? 映畫는 딱히 동주의 不運에 對해 콕 집어 說明해주진 않는다. 그저 運이 없었거나, 自身의 適性 代身 안 맞는 옷을 억지로 입은 것처럼 길을 잘못 들어선 것이리라.
 
그런 失敗 속에서 가장 견디기 힘든 건 自身을 뒷바라지하며 期待를 멈추지 않은 父母와의 關係였을 테다. 그리고 故鄕으로 돌아온 東柱는 어렵게 父母와의 再會를 圖謀하지만, 映畫는 '좋은 게 좋은' 式으로 便宜的으로 家族의 再會를 演出하진 않는다. 한番 어그러진 關係, 그것도 오랜 歲月 持續해온 家族 內의 不便함은 他人들과 關係보다 오히려 改善하기가 몇 곱절 더 힘든 法이다. 그 代身 映畫는 마음은 있지만 끝내 새로운 挑戰을 던지진 못하던 짝사랑 中學校 同窓과의 짧은 對話 속에서 主人公에게 餘地를 남기는 것으로 任務를 다한다.
 
主人公 동주의 狀態는 大略 이렇다. 世上은 숨 가쁘게 變化한다. 마치 地球가 公田과 自轉을 無限 反復하는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그 혼자 길을 찾지 못한 채 '끝나지 않는 여름'을, 그것도 自己 홀로 치르는 中이다. 답답하고 기운이 쭉 빠지지만, 自身의 周圍엔 오직 혼자 남은 狀態다. '연옥'이 따로 없다. 結局에는 스스로 어떻게든 벗어나야만 하는 것이다. 그런 가운데 敢行한 旅行의 '終着驛', 기껏 到達한 故鄕의 뒷山 頂上은 期待와는 너무나 달랐다. 失望하며 다시 彷徨해야 할 즈음, 偶然히 相逢한 恩師와의 對談에서 그는 充分하진 않아도 작은 불씨를 얻게 된다. 스승은 그러라고 存在하는 法이니까.
 
그렇게 主人公은 마음먹기에 따라 (恐龍알 遺跡地 가는 버스 안에서 乘客들이 주고받던 MBTI 用度처럼) 適當히 自身을 規定하되, 그에 拘束되지 않는 새로운 出發點에 서게 된다. 過去 自身의 삶이 그저 無益하게 흘려보낸 게 아니라 하나의 '詩'였음을 깨닫게 되었으니 말이다. 그렇게 靑年世代의 自畫像을 그려내는 韓國獨立映畫의 스펙트럼에 色다른 變奏가 追加되었다.
 
<作品情報>
 
늦더위 Late Summer Heat
2024│韓國│드라마
2024.05.22. 開封│126分│12歲 觀覽可
監督 鉏한솔
出演 기진우, 정미형, 이태진, 강윤정, 안민영
製作 모로街道서울
配給 필름다빈
 
2023 48回 서울獨立映畫祭 長篇競爭部門 招請

 
늦더위 鉏한솔監督 기진우 안민영 終着驛
댓글
이 記事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記事 原稿料로 應援 하세요
原稿料로 應援하기

大邱社會福祉映畫祭 프로그래머. 돈은 안되지만 즐거울 것 같거나 어쩌면 해야할 것 같은 일들을 이것저것 窮理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