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國立國語院
本文으로 바로가기

點字 紹介

點字의 意味

  點字는 紙面이 볼록 튀어나오게 點을 찍어 손가락끝의 觸覺으로 읽도록 만들어진 特殊 文字이다. 點字는 視覺障礙人이 知識과 情報를 習得할 수 있는 가장 重要한 道具이며 世上과 疏通하는 通路이자 世上을 보는 눈이다. 點字는 프랑스의 視覺障礙人 루이 브라유(Louis Braille, 1809~1852)가 創案한 6點式 點字 體系에 根據한다. 6點式 點字는 現在 自國語 點字를 만들어 使用하는 모든 國家에서 共通으로 採擇하고 있는 點字 體系이다. 이 6點式 點字 體系는 國際英語點字委員會(International Council on English Braille: ICEB)가 1993年 統一 英語 點字(Unified English Braille: UEB)를 規定할 때 提示한 大原則이기도 하다. 6點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點兄의 數는 總 64個(2?)이다. 그中에서 點이 하나도 찍히지 않은 境遇를 除外하고 點의 個數와 位置를 組合한 點型 63個를 利用해 國語, 數學, 音樂, 科學 等 多樣한 分野의 文字와 記號를 表記한다.
  點型은 點의 個數와 位置로 區別되는 點의 模樣이다. 點의 位置는 點型을 區別하는 매우 重要한 要素이므로 한 칸을 構成하는 各各의 點에는 番號가 매겨져 있다. 왼쪽 위에서 아래로 1點, 2點, 3點, 오른쪽 위에서 아래로 4點, 5點, 6點으로 區分한다. 또 1點과 4點을 上段, 2點과 5點을 中斷, 3點과 6點을 下段으로 區分한다.

왼쪽 위에서 아래로 1점, 2점, 3점, 오른쪽 위에서 아래로 4점, 5점, 6점으로 구분하고 1점과 4점을 상단, 2점과 5점을 중단, 3점과 6점을 하단이라고 구분한다.

點字의 發明

  世界 最初의 點字는 프랑스 通信 部隊 將校였던 샤를 바르비에(Charles Barbier)가 軍事用으로 開發한 12點型 點字이다. 바르비에는 戰爭터에서 어두운 밤에 軍事用 作戰 命令文을 읽을 수 있는 方法을 苦悶하다가 12點으로 된 夜間 文字(ecriture nocturne)를 만들었다. 夜間에 燈불을 켜면 敵에게 位置가 露出될 수 있으므로 불빛 없이 손으로 만져서 暗號를 解讀할 수 있는 方法을 考案한 것이다.
  바르비에의 12點型 點字를 더 簡略하고 實用的인 體系로 改編한 사람은 프랑스의 視覺障礙人 루이 브라유(Louis Braille)이다. 바르비에는 12點型 點字(세로로 6點, 가로로 2點)가 읽기 어려워 軍事用으로는 失敗했지만 視覺障礙人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하고 파리盲學校에 夜間 文字를 紹介하였다. 이때 파리盲學校에 在學 中이던 視覺障礙人 學生 루이 브라유(Louis Braille)는 夜間 文字가 훌륭하나 세로 6點 配列이 손가락끝으로 읽기에는 너무 어렵다는 것을 發見하고 세로로 3點, 가로로 2點인 6點 點字를 創案하였다.
  바르비에의 文字가 12點으로 發音과 對應하는 데 비해 브라유의 點字는 6點으로 글字와 對應하는 點이 다르다. 여섯 點으로 된 點型은 손가락을 움직이지 않고 한 番에 모든 點의 位置를 읽어 낼 수 있는 長點이 있다. 브라유는 1829年 自身의 點字 體系에 對한 論文을 發表하였고, 1937年에는 歷史 敎科書를 點資本으로 出版하였다.

루이 브라유의 사진 루이 브라유(Louis Braille)(1809년 ~1852년) a(1점), b(1-2점), c(1-4점), d(1-4-5점), e(1-5점), f(1-2-4점), g(1-2-4-5점), h(1-2-5점), i(2-4점), j(2-4-5점), k(1-3점), l(1-2-3점), m(1-3-4점), n(1-3-4-5점), o(1-3-5점), p(1-2-3-4점), q(1-2-3-4-5점), r(1-2-3-5점), s(2-3-4점), t(2-3-4-5점), u(1-3-6점), v(1-2-3-6점), w(2-4-5-6점), x(1-3-4-6점), y(1-3-4-5-6점), z(1-3-5-6점), 물음표(2-3-6점), 느낌표(2-3-5점), 따옴표(3점), 콤마(2점), 언더바(3-6점), 점(2-5-6점), capital(6점), 샾(3-4-5-6점), 0(2-4-5점), 1(1점), 2(1-2점), 3(1-4점), 4(1-4-5점), 5(1-5점), 6(1-2-4점), 7(1-2-4-5점), 8(1-2-5점), 9(2-4점). 루이 브라유가 창안한 6점형.

한글 點字의 窓안

  우리나라는 1894年부터 盲人 敎育에서 點字를 使用하였다. 美國 宣敎師 로제타 셔우드 홀(Rosetta Sherwood Hall)李 뉴욕 포인트 點字(4點)를 變形하여 聖經을 點字로 飜譯한 것이 韓國 點字의 始初가 되었다. 1898年 平壤에 盲人 少女를 위한 特別 學級을 開設하여 盲敎育을 始作하였으며 뉴욕 點字를 基礎로 한글 點字(平壤 點字)를 創案하고 盲學校에서 學生들을 가르쳤다. 平壤 點字는 子音의 初聲과 終聲이 區別되지 않는 等 4點 點字의 限界가 있어 널리 使用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平壤 點字는 우리나라 最初의 한글 點字였고 ‘勳盟정음’이 創製되기 以前까지 藥 28年 동안 視覺障礙人의 文字로 使用되며 重要한 役割을 했다.

로제타 셔우드 홀(Rosetta Sherwood Hall)(1865년~1951년) 평양맹아학교를 설립하여 근대 맹교육을 시작하였음 초학언문 점자 교과서 홀 여사가 만든 최초의 점자 교과서 오봉래(~1918년) 최초로 점자를 배운 맹인 학생

  朝鮮總督府는 1913年에 濟生院을 設立하고 日本 點字를 가르쳤다. 當時 濟生院 盲啞部 敎師였던 박두성은 學生들을 가르치면서 日本 點字로만 敎育을 해야 하는 現實에 不滿을 가지고 1920年부터 한글 點字 硏究를 始作하였다. 1923年에는 弟子들과 祕密裏에 ‘朝鮮語點字硏究委員會’를 組織하고 한글 點字 硏究에 邁進하여 1926年 11月 4日 最初의 한글 點字 ‘勳盟정음(訓盲正音)’을 發表하였다. 박두성은 總督府에 “모든 障礙에서 이들을 회복시키는 길은 오직 글을 가르쳐 情緖를 純化시키는 길밖에 없다.”라는 內容의 便紙를 보내 새로운 文字 勳盟정음의 敎育을 承認받았다.

송암 박두성 (1888년~1963년) 자음(초성)에서 ㄱ은 4점, ㄴ은 1-4점, ㄷ은 2-4점, ㄹ은 5점, ㅁ은 1-5점, ㅂ은 4-5점, ㅅ은 6점, ㅈ은 4-6점, ㅊ은 5-6점, ㅋ은 1-2-4점, ㅌ은 1-2-5점, ㅍ은 1-4-5점, ㅎ은 2-4-5점이고 자음(종성)에서 ㄱ은 1점, ㄴ은 2-5점, ㄷ은 3-5점, ㄹ은 2점, ㅁ은 2-6점, ㅂ은 1-2점, ㅅ은 3점, ㅇ은 2-3-5-6점, ㅈ은 1-3점, ㅊ은 2-3점, ㅋ은 2-3-5점, ㅌ은 2-3-6점, ㅍ은 2-5-6점, ㅎ은 3-5-6점이다. 모음에서 ㅏ는 1-2-6점, ㅑ는 3-4-5점 ㅓ는 2-3-4점, ㅕ는 1-5-6점, ㅗ는 1-3-6점, ㅛ는 3-4-6점, ㅜ는 1-3-4점, ㅠ는 1-4-6점, ㅡ는 2-4-6점, ㅣ는 1-3-5점, ㅐ는 1-2-3-5점, ㅒ는 3-4-5점,1-2-3-5점, ㅔ는 1-3-4-5점, ㅖ는 3-4점, ㅘ는 1-2-3-6점, ㅙ는 1-2-3-6점, 1-2-3-5점, ㅚ는 1-3-4-5-6점, ㅝ는 1-2-3-4점, ㅞ는 1-2-3-4점, 1-2-3-5점, ㅟ는 1-3-4점, 1-2-3-5점, ㅢ는 2-4-5-6점이다. 훈맹정음 문자 체계.

點字의 整備

  光復 以後 日本의 朝鮮語 抹殺 政策에서 벗어나 한글을 公式 文字로 使用하면서 우리말과 글의 地位가 높아졌고 이러한 趨勢에 따라 한글 點字를 整備할 必要性이 擡頭되었다. 1947年 서울맹학교 敎師 이종덕·전태환이 한글맞춤法에 맞게 한글 點字를 整備하고 二重母音과 弱者, 略語를 制定했으며, 1963年 4月 8日에 서울맹학교 敎師 이성대가 拷問 點字를 追加하여 發表하였다. 한글 點字 外에도 濟生院 盲啞部에서 使用하던 數學 點字, 科學 點字를 整理해 數學, 科學, 音樂 分野의 特殊 記號와 用語를 表記했다. 또한 點字 樂譜를 外國에서 들여와 使用하였다.
  盲學校 敎育이 中等과, 高等科로 擴大되고 師範科가 新設되고 敎科書의 水準이 높아짐에 따라 統一된 點字 表記에 對한 要求도 높아졌다. 이에 따라 문교부는 點字를 整備하고 統一하고자 1982年 專門 硏究陣을 構成하고 1983年 韓國點字統一案을 完成하였다. 韓國點字統一案에서는 한글 點字의 一部를 改正하였고,  數學 點字,  科學 點字,  點字 樂譜의 數를 高等學校 水準까지 擴大하였다.
  1994年에는 韓國點字硏究委員會의 硏究 結果 改正 韓國點字統一案이 나왔다. 改正 韓國點字統一案에서는 文章符號 表記와 이中 表記 等의 問題를 改正하였다. 또 컴퓨터 點字 記號와 點字 國樂步를 制定했으며, 그동안 使用하던 數學 點字, 科學 點字 및 點字 樂譜를 補完하였다.
  韓國點字硏究委員會는 改正 韓國點字統一案을 基礎로 다시 硏究를 하였고 文化體育部에서 1996年 1月 15日 ‘韓國標準點自制正諮問委員會’를 發足하여 審議한 結果 1997年 12月 17日 韓國 點字 規定을 告示하였다. 그리고 2006年 6月 9日에는 改正 韓國點字規定을 告示하였다. 2014年 한글맞춤法 改正 事項을 反映하여 한글 點字, 數學 點字, 科學 點字, 컴퓨터 點字, 國樂 點字, 西洋 音樂 點字 部分에 걸쳐 點字 規定을 修正하였다. 그리고 2015年 8月 國立國語院 所屬으로 點字規範整備委員會가 新設되었고 全體 會議와 公聽會 等을 거쳐 2017年 改正 韓國點字規定이 告示되었다.
  以後, 2019年 點字 規範 整備 및 硏究 委員會로 새롭게 꾸려진 委員會는 國立國語院의 點字 硏究 結果를 反映하여 2020年 點字의 物理的 規格을 發表하였다. 그 後 2022年부터 各 領域別로 表記가 다른 部分을 統一하고 종이에서 디지털 機器로 急激하게 變化한 文字 使用 環境을 反映하고자 改正 論議를 始作하였다. 그 結果로 點譯과 力點役을 考慮하여 여러 規定을 整備하고 國際 表記 및 點字 使用者들의 意見을 受容, 2024年 1月 29日 點字 政策 諮問委員會의 審議를 받아 改正 韓國 點字 規定이 告示되었다.

點字 表記의 基本 原則

  韓國 點字 規定에서 提示하고 있는 韓國 點字 表記의 基本 原則을 몇 가지 提示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韓國 點字는 한 칸을 構成하는 點 여섯 個(세로 3個, 가로 2個)를 組合하여 만드는 예순세 가지의 點型으로 적는다. 點字는 루이 브라유가 創案한 6點式 點字 體系에 根據한다. 6點式 點字는 現在 自國語 點字를 만들어 使用하는 모든 國家에서 共通으로 採擇한 點字 體系이다. 이 6點式 點字 體系는 國際英語點字委員會가 1993年 統一 英語 點字를 規定할 때 提示한 大原則이기도 하다. 6點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點兄의 數는 總 64個(2?)이다. 그中에서 點이 하나도 찍히지 않는 境遇를 除外하고 點의 模樣을 가진 63個의 點型을 利用하여 點字를 表記한다.
  둘째, 한 칸을 構成하는 點의 番號는 왼쪽 위에서 아래로 1點, 2點, 3點, 오른쪽 위에서 아래로 4點, 5點, 6點으로 한다. 點型은 點의 個數와 位置에 따라 區別되므로 點의 位置는 點型을 區別하는 매우 重要한 要素이다. 그래서 한 칸을 構成하는 各各의 點에는 番號가 매겨져 있다. 왼쪽 위에서 아래로 1點, 2點, 3點과 오른쪽 위에서 아래로 4點, 5點, 6點이 그것이다. 또 1點과 4點을 上段, 2點과 5點을 中斷, 3點과 6點을 下段으로 區分한다.
  셋째, 글字나 符號를 二重으로 적지 않도록 韓國 點字를 標準 點字로 定한다. 수많은 글字나 符號를 63個 點型으로 적어 나타내는 것은 매우 어려우므로 墨子(墨字, 먹으로 쓴 글)를 點字로 表記할 때에는 여러 칸의 點兄이 必要하다. 그렇다고 해서 繼續 칸을 늘려 쓰면 可讀性에 問題가 된다. 그래서 나온 한글 點字 表記 方式이 弱者와 略語이다. 또 各種 符號와 外國語를 한글 點字와 함께 表記할 境遇 點型 間 衝突이 不可避할 때가 많다. 이러한 點者 表記 環境에서 擡頭되는 問題가 二重 表記이다. 二重 表記는 ‘껐’을 된소리: 6점 것: 4 5 6점, 2 3 4점 ㅅ: 3점 과   된소리: 6점 ㄱ: 4점 ㅓ: 2 3 4점 ㅆ받침: 3 4점 으로 表記할 수 있는 것과 같이 같은 글字나 記號를 點字로 옮겨 적을 때 두 가지 方法으로 적을 수 있는 狀況을 말한다. 이러한 二重 表記 問題가 解消되지 않을 境遇 點字 體系의 混亂, 可讀性의 制限, 誤讀 等의 副作用이 發生할 수 있다. 그러므로 點字 規定은 하나의 墨子는 하나의 點字로 表記하는 것을 原則으로 내세우고 있다. 그리고 이 原則에 따라 表記된 韓國 點字를 標準으로 삼고 있다.
  넷째, 한글 以外의 點字는 世界 共通으로 使用하는 點字와 一致하게 表記함을 原則으로 한다. 여기서 ‘한글 以外의 點字’는 外國語 點字, 컴퓨터 點字, 西洋 音樂 點字 等을 말한다. 外國에서 이미 널리 使用되고 있는 點字는 韓國 點字에서 別途로 規定하지 않고 그것을 그대로 받아들여 使用하자는 것이다. 그래야 該當 點者들의 規定이 變更되었을 때 韓國 點字 規定을 改正하지 않고도 變更 內容을 바로 反映할 수 있다. 다만, 그 點字와 한글 點字를 함께 적을 때 發生하는 問題點은 韓國 點字에서 別途로 規定하여 解決한다.
  다섯째, 韓國 點字는 풀어쓰기 方式으로 적는다. 한글은 基本的으로 모아쓰기 方式을 採擇하고 있다. 첫소리 글字, 모음, 받침 글字가 서로 結合하여 하나의 글字(音節)를 形成한다. 이에 反해 한글 點字는 풀어쓰기 方式을 採擇하고 있다. 한글 點字의 풀어쓰기 方式에 따라 한 音素는 點字 한 칸을 차지하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써 나간다. 그런데 풀어쓰기 方式은 모아쓰기 方式에 비해 音節 單位의 區別이 쉽지 않다는 短點이 있다. 그래서 한글 點字는 풀어쓰기 方式에서 모아쓰기 方式을 具現하고자 音節의 中心인 모음 表記에 上段의 點과 下段의 點, 왼쪽 熱(123點)과 오른쪽 熱(456點)의 點 中에서 한 個 以上은 반드시 包含하고 있다. 그리고 첫소리 글字는 오른쪽 熱意 點, 받침 글字는 왼쪽 熱意 點 中에서 한 個 以上을 반드시 包含하고 있다. 따라서 한 音節은 가운데 칸인 母音을 中心으로 첫소리 글字와 받침 글字가 서로 結合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한글 點字는 풀어쓰기 方式에서 모아쓰기 方式을 具現하고 있으며, 이것은 한글 點字 表記의 基本 原理를 이루는 매우 特徵的인 表記法이라 할 수 있다.

직이라는 단어에서 점자로 자음과 모음을 나누어서 표기하면 ㅈ은 4-6점, ㅣ은 1-3-5점, ㄱ은 1점이다.

한글 子音과 母音의 點字 表記

子音(初聲)

자음(초성)에서 ㄱ은 4점, ㄴ은 1-4점, ㄷ은 2-4점, ㄹ은 5점, ㅁ은 1-5점, ㅂ은 4-5점, ㅅ은 6점, ㅈ은 4-6점, ㅊ은 5-6점, ㅋ은 1-2-4점, ㅌ은 1-2-5점, ㅍ은 1-4-5점, ㅎ은 2-4-5점이다.

子音(鐘城)

자음(종성)에서 ㄱ은 1점, ㄴ은 2-5점, ㄷ은 3-5점, ㄹ은 2점, ㅁ은 2-6점, ㅂ은 1-2점, ㅅ은 3점, ㅇ은 2-3-5-6점, ㅈ은 1-3점, ㅊ은 2-3점, ㅋ은 2-3-5점, ㅌ은 2-3-6점, ㅍ은 2-5-6점, ㅎ은 3-5-6점이다.

母音

모음에서 ㅏ는 1-2-6점, ㅑ는 3-4-5점 ㅓ는 2-3-4점, ㅕ는 1-5-6점, ㅗ는 1-3-6점, ㅛ는 3-4-6점, ㅜ는 1-3-4점, ㅠ는 1-4-6점, ㅡ는 2-4-6점, ㅣ는 1-3-5점, ㅐ는 1-2-3-5점, ㅒ는 3-4-5점,1-2-3-5점, ㅔ는 1-3-4-5점, ㅖ는 3-4점, ㅘ는 1-2-3-6점, ㅙ는 1-2-3-6점, 1-2-3-5점, ㅚ는 1-3-4-5-6점, ㅝ는 1-2-3-4점, ㅞ는 1-2-3-4점, 1-2-3-5점, ㅟ는 1-3-4점, 1-2-3-5점, ㅢ는 2-4-5-6점이다.

表記 例示

점자로 세상을 열다!라는 문구를 예시로 표기하면 점(4-6점, 2-3-4점, 2-6점) 자(4-6점) 로(5점, 1-3-6점) 세(6점, 1-3-4-5점) 상(1-2-3점, 2-3-5-6점) 을(2-3-4-6점) 열(1-2-5-6점) 다(2-4점) !(2-3-5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