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두산 큐레이터 워크숍 | 創作者 支援 | 斗山아트센터

두산 큐레이터 워크숍

創作者 支援 두산 큐레이터 워크숍
DOOSAN CURATOR WORKSHOP DOOSAN CURATOR WORKSHOP 韓國 同時代 美術界에 새로운 視角을 提示할 젊은 큐레이터를 支援합니다. 1年 동안 워크숍을 進行하고 두산갤러리 展示를 共同企劃하는 큐레이팅 機會를 提供합니다.
支援
  • 年間 敎育 프로그램(10回), 共同企劃 展示(斗山갤러리)
共謀 支援하기
김여명
김여명 글보기 버튼

김여명은 서울에서 큐레이팅과 글쓰기로 일한다. 여명의 작업은 다른 리얼리티를 소환하는 일에 주목한다. 전시 《크림》(2020)과 《무저갱》(2022)을 만들었다. 캐주얼 미술 비평 서비스 앱스(abs)의 공동 운영자. 幽靈會社의 설립자. 시험에 드는 것을 좋아한다.

김진주
김진주 글보기 버튼

김진주는 同時代 視覺 藝術 展示를 企劃하고 美術史를 基盤으로 글을 쓰며, 編輯을 한다. 主로 그림을 規定하는 要素에 關心을 두고 古典과 同時代를 가로지르는 硏究를 試圖한다. 서울市立 北서울美術館에서 코디네이터로 일했고 2022年부터 일민미술관에 在職 中이다. 《Issy Wood: I Like To Watch》(一民美術館, 2023), 《鷄卵에서 沙果까지》(신한갤러리, 2023, 企劃 協力), 《릴리》(WESS, 2022), 《팁과 要領: 오늘 當身의 눈은 어떤 世界를 보게 될까요?》(김세중미술관, 2020), 《단단한 바탕 2018 - 미리보기》(복도갤러리, 2018) 等을 企劃했다.

신재민
申載旻 글보기 버튼

한 人物 또는 現象을 形成한 物質的·歷史的 環境을 理解하는 데에 關心을 두며, 하나의 固有한 複雜性을 解體하고 多面性을 形象化한 레이어로 읽는 作業에 關心을 두고 있다. 서울을 基盤으로 活動하는 獨立企劃者로, 현재 크리에이티브 스페이스 더 윌로(The WilloW)의 運營을 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