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글로벌칼럼] 젊은이들이 敎會에 바라는 것은?
世界敎會

[글로벌칼럼] 젊은이들이 敎會에 바라는 것은?

최용택
入力일 2024-05-20 受精일 2024-05-22 發行日 2024-05-26 第 3394號 8面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Second alt text
親 팔레스타인 示威隊가 5月 9日 美國 조지 워싱턴 大學校 外郭에서 示威를 벌이고 있다. 寫眞 UCAN 

全 世界에서, 特히 西歐에서 젊은이들은 오늘날 主要 이슈에 對해 自身들의 意見을 披瀝하고 있다. 例를 들면, 美國과 유럽의 大學生들이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侵攻과 이에 公募하는 自國 政府에 反對하는 示威에 나서 學校들이 混亂에 빠졌다. 1960年代 베트남戰爭 以後 이렇게 大規模 反戰示威가 열리는 것은 처음이다.

또 다른 領域에서는 그레타 툰베리와 말랄라 類似프자이는 生態와 女性 敎育에 對한 社會的 通念에 挑戰하며 이 問題들의 時急性을 알리고 있다. 疑心의 餘地 없이, 젊은이들은 목소리를 내고 있다.

英國의 劇作家 버나드 쇼는 젊은이들이 悲慘한 理由는 ‘그들이 젊음을 浪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不平하기도 했지만, 이제 아무도 이 말을 믿지 않는다.

오히려 지난해 열린 世界主敎시노드 第16次 定期總會 第1會期에 參與한 젊은이 代議員들은 “젊은이들은 그저 우리의 未來가 아니라 바로 우리의 現在”라면서 “敎會는 우리 젊은 世代를 위해 最高의 資源을 投資해야 한다”고 力說했다. 그렇다면 이들 젊은 代議員들이 바라는 것은 무엇인가? 그들은 “오늘날 脈絡에 따른 敎會의 가르침을 分明히 하고, 共同體에 對한 所屬感과 意思決定 過程 參與를 바란다”고 傳했다.

그렇다면 어떻게 젊은이들을 同伴할 수 있을까? 父母나 敎師, 司祭 等 어른들은 自身들의 世代와는 다른 醫師疏通 技術을 발전시켜야 한다. 먼저 젊은이들에게 말하기 前에 이들의 말을 傾聽해야 하고 이들을 判斷하기 前에 이들을 理解해야 한다. 어른들은 種種 “우리가 젊을 땐 이렇게 한 적이 없다”고 말할 수도 있다. 아마도 그때는 機會가 적었기 때문일 것이다.

世上은 變했다. 特히 다음 두 領域에서의 變化는 크다.

먼저 移住로 共同體들이 混合됐다. 젊은이들은 父母 世代에겐 없었던 親舊들이 있다. 그리고 이들은 다른 나라와 다른 氣候에서 일하고 사는 것을 選擇하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印度의 移住 共同體가 急成長하고 있다. 引渡의 젊은이들은 마을을 떠나 都市에 나가 工夫를 하고 나중엔 大都市에서 일을 한다. 그리고 걸프만 地域에서 먼저 일을 하다 西歐로 나갈 機會를 엿본다.

그리고 發展된 技術로 더 작고, 더 빠르며, 더 스마트하고, 더 싼 物件을 만들어 낸다. 노트북이나 스마트폰, 스쿠터 等을 보면 體感할 수 있다. 이러한 技術의 發展은 우리 大部分의 삶을 더욱 쉽게 만들지만, 젊은이들의 境遇는 더 그렇다. 그리고 무엇보다 發展된 技術은 젊은이들에게 野望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世上 反對便에 있는 親舊와 이야기를 하고, 寫眞을 보내는 것은 이들에게 戰慄을 일으킨다. 바로 한 番의 터치로 말이다.

하지만 不幸하게도, 敎會 안에서는 일이 이렇게 돌아가지 않는다.

몇 年 前, 英國의 心理學者이자 平信徒 神學者인 잭 도미니언은 成人 世界로 들어가는 젊은이들이 맞닥뜨리는 挑戰에는 세 가지가 있다고 밝혔다. 바로 家族을 떠나 自身의 家庭을 꾸리는 일과 性行爲, 그리고 일의 世界다. 도미니언은 젊은이들이 맞닥뜨리는 이 세 가지 挑戰에 敎會가 젊은이들을 제대로 이끌고 있지 못하다고 指摘했다.

大部分 敎會의 權威主義的 構造와 순명에 對한 强調 때문이다. 權威와 自主性에 對한 敎會의 가르침은 種種 信者들에게 混亂을 준다. 大部分의 成人 가톨릭信者들이 敎會의 權威를 마주했을 때 稚拙해지는 理由이기도 하다.

그리고 成果 性行爲에 對한 敎會의 가르침은 拒否와 禁止로 가득하고, 젊은이들은 이에 두려움과 抑壓을 느낀다. 또한 일의 世界에서도 敎會는 正義와 工程을 强調하기만 하고, 일 自體가 젊은이들의 理解와 成長에 어떤 影響을 주는가에 對해서는 關心이 적다.

그러니 젊은이들이 自身들의 未來를 위해 敎會가 아닌 다른 곳을 보는 것은 놀랍지도 않다. 젊은이들은 音樂과 춤, 옷과 패션, 그리고 同僚들과의 모임을 통해 日課, 性行爲, 權威에 對해 習得하고 있다.

우리는 種種 女性이 敎會를 다시 세울 것이라고 말한다. 마찬가지로 젊은이들이 敎會를 변화시킬 것이다. 하지만 이를 위해선 ‘열린 敎會’가 되어야 한다. 바로 다양한 構成員들을 통해 말하는 聖靈에게 열린 敎會 말이다.

Second alt text

글 _ 美論 페레이라 新婦(예수회)
예수회 司祭로 平生을 記者 養成 等 言論活動에 힘써 왔다. 印度 하비에르 커뮤니케이션 硏究所 所長을 지냈으며, 아시아가톨릭뉴스(UCAN), 라 크루아(La Croix) 等 다양한 媒體에 칼럼을 寄稿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