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저를 보내주십시오] 예수회 박문수 神父(下)
企劃特輯

[저를 보내주십시오] 예수회 박문수 神父(下)

박주헌
入力일 2024-05-10 受精일 2024-05-14 發行日 2024-05-19 第 3393號 13面
스크랩아이콘
인쇄아이콘
“몸은 輸入이어도 마음은 韓國産…이 땅의 貧民 곁을 지킬 겁니다”

生物學 敎授를 꿈꾸던 예수회 박문수 神父(Francis Xavier Buchmeier·프란치스코·83)는 1974年 美國으로 돌아가 社會學 博士學位를 取得했다. 勞動組合 運動을 펼치는 가톨릭信者들이 投獄·고문당하는 現實을 目擊하고, 歪曲된 都市計劃을 위한 再開發과 撤去 强行 으로 苦痛받는 農民, 勞動者, 都市貧民을 위한 解放 運動이 必要하다는 생각에서였다. 그렇게 朴 神父는 1985年 歸化하자마자 ‘天主敎都市貧民會’(以下 천도빈)에 加入하고 撤去民들의 現場에 參與하는 等 가난한 이들의 터전으로 뛰어들었다. 메말랐던 世上, 朴 神父는 가난한 이들의 同伴者로서 어떻게 기꺼이 獻身해 왔을까.

Second alt text
박문수 神父는 “殉敎 歷史를 지닌 韓國敎會가 韓國社會를 흐름을 그대로 따라 世俗化되지 말고 가난한 이들과 함께하고 正義를 외치는 使命을 굳건히 遂行하길 바란다”고 말한다. 寫眞 박문수 神父 提供

■ 가난한 이들의 現場으로

1980年代 우리나라의 都市計劃 目標는 가난을 사람들 눈에 보이지 않게 감추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서울 사당동, 木洞, 상계동 等 再開發 地域에 사는 住民들은 집을 빼앗기고 쫓겨나기 始作했다. 하루아침에 들이닥친 撤去班員들의 暴力으로 많은 住民이 다쳤다.

美國에서 社會學 博士學位 取得 後 歸國한 朴 神父는 西江大學校 敎授로서 都市貧民運動과 住民運動 團體의 活動에 도움이 되는 硏究 및 分析을 繼續했다. 가난한 이들의 人權 回復을 위해 여러 活動을 펼치던 천도빈의 一員이었지만 그가 主로 하는 일은 貧民 問題를 社會學的으로 分析하는 助力者 役割이었다. 그런 그가 現場에 同參하게 된 것은 1986年 上溪洞 强制 撤去 事件 以後였다.

1988年 서울올림픽을 앞두고 都市 美觀을 理由로 상계동 等 200餘 곳에서 撤去가 强行됐다. 朴 神父가 記憶하는 撤去는 매우 殘忍했다. 大規模로 侵入한 깡牌들이 女性들의 머리채를 잡아 내던지고 傷處를 입혔다. 警察들은 介入하지 않았고, 오히려 暴力에 쓰러진 住民들을 連行했다.

“消息을 들은 그날 저녁 저는 달라졌습니다. 學者로서의 硏究에는 限界가 있었어요. 現場과 乖離되지 않은 硏究를 위해 住民들과 直接 함께할 必要性을 切感했죠.”

그렇게 朴 神父는 “멀리서 客觀的인 硏究를 하는 것보다 參與하는 사람과 같은 立場에서 體驗하면서 硏究해야 한다는 것”에 눈떴다. 再開發 地域을 찾아 撤去民들을 直接 만나 慰勞하는 等 本格的 貧民 司牧에 나섰다. 强制 撤去 다음 날에는 아침 일찍 上溪洞 現場에 뛰어가 住民들과 함께했다. 쫓겨나는 住民들의 아픔을 學生들이 直接 目擊하게 하는 現場 講義들도 펼쳤다. 學生들과 함께 깡牌들과 맞서 撤去 試圖를 막아내기도 했다.

司牧의 核心은 가난한 住民들이 뭉치게 하는 것이었다. 當時 住民들에게는 共同體라는 槪念이 없었다. ‘흙이 없는 땅에 떨어진 씨’라는 朴 神父의 表現처럼 各自 階層 向上에 힘쓰느라 四分五裂된 그들은 尊嚴을 되찾는 일에 團合된 힘을 모을 수 없었다. 朴 神父는 “住民들을 組織化하는 것이 最優先 課題였다”고 回想했다.

Second alt text
獨立門 平和의 집 所長 박문수 新婦가 2003年 3月 獨立門 地域社會發展센터(以下 센터) 懸板式에 앞서 祝福하고 있다. 센터는 獨立門 平和의 집이 社會福祉 共同募金會 企劃事業 遂行機關으로 選定되면서 開所했다. 가톨릭新聞 資料寫眞
Second alt text
2016年 9月 濟州 강정마을 一帶에서 열린 강정 平和 콘퍼런스에 參席한 박문수 神父(왼쪽에서 두 番째)

■ 함께함으로써 解放을

“貧民 司牧은 第一 돈이 없는 사람을 찾아 돌보는 司牧이 아니에요. 社會 構造로 인해 抑壓받는 가난한 이들이 스스로 解放될 수 있도록, 그들이 團合된 힘으로 社會 構造를 바꿀 수 있도록 함께하는 司牧이죠.”

住民 組織化를 위해서는 가장 먼저 그들과 關係를 맺고 이웃이 되는 것이 重要했다. 朴 神父는 천도빈 活動家로서 貰入者들을 對象으로 住居權이 무엇인지, 어떻게 對應할 것인지 敎育하는 同時에 親交와 나눔의 자리를 繼續 만들어 갔다. 敎育과 組織化를 위해서는 住民들과 親해지는 것이 가장 重要했다. 화곡동 예수회 神學院에서 自轉車를 타고 신정동 撤去村 住民들을 繼續 接觸했다. “몸은 輸入이어도, 마음은 韓國産”이라는 말은 입버릇이었다.

强制 撤去를 앞둔 地域에 미리 들어가 스스로 住民이자 이웃이 되기도 했다. 1989年에는 무악동에 보금자리를 틀었다. 1990年 獨立門 地域 撤去를 앞두고 그곳에서 共同體 運動을 始作하기 위해서였다. 예수회 神父들과 傳貰房에서 生活하며 貰入者對策委員會를 만들었다. 그 努力으로 200世代에 達하던 貰入者들이 가(假)이주 團地를 얻어 살다가 無事히 賃貸아파트에 入住할 수 있었다.

1999年에는 敎授職을 그만두고 서울 무악동宣敎本堂 主任으로 司牧하는 等 穩全히 貧民 司牧에 投身했다. 宣敎本堂은 當時 서울大敎區 貧民司牧委員會가 무악동, 삼양동 等 再開發 地域 住民들 삶에 더 깊이 들어갈 수 있도록 세운 都市 公訴를 발전시킨 槪念의 共同體다. 朴 神父는 初代 本堂 主任으로서 住民들이 스스로 權益을 찾을 수 있도록 自治會 및 婦女會를 構成하고 靑少年 스카우트 運動을 組織하기도 했다.

朴 神父는 本黨과 住民들 사이 接觸點을 늘리기 위해 本堂 附設 協同組合型 自活共同體人 ‘獨立門 平和의 집’도 세웠다. ‘獨立門 平和의 집’은 宗敎色 없이 住民들이 함께 住民運動을 펼치고 問題를 解決할 수 있는 求心點이 됐다. “特히 公共賃貸住宅 住民들이 自己들만의 組織을 만들 수 있도록 도움이 됐다”고 朴 神父는 傳했다.

Second alt text
박문수 神父가 朝鮮學校에 對한 差別을 멈출 것을 呼訴하는 메시지를 들고 있다. 寫眞 박문수 神父 提供

■ 새롭게 이어지는 ‘連帶’

朴 神父는 다른 次元의 가난을 살아가는 이들을 위한 새로운 ‘同行’의 길, 平和를 위한 ‘連帶’의 씨앗을 심는 일에 나섰다.

2009年 宣敎本堂 主任 司牧을 마친 朴 神父는 바로 예수회 人權連帶硏究센터(以下 硏究센터) 設立에 着手, 이듬해 初代 所長으로 就任했다. 硏究센터의 目的은 移住勞動者와 難民, 疏外層을 爲해 獻身하는 社會使徒職 團體들의 活動을 硏究로 支援하고 連帶를 圖謀하는 것이었다. 예수회원들은 “오랜 時間 가난한 사람들과 함께했던 朴 神父가 센터長을 맡아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招待 센터長으로서 朴 神父는 核發電所 反對運動에 나섰다. 예수회 日本觀區와 連帶해 活潑한 活動을 펼쳤다. 平和와 軍縮 세미나를 열고 韓國과 日本을 오가며 세미나 및 討論會를 열었다. “環境 保護 側面도 있지만 根本的으로는 平和 運動”이라고 朴 神父는 强調했다.

“日本에서도 核發電所 反對運動은 世界 平和를 要請하는 日本의 平和憲法을 守護하는 運動이었죠. 日本은 히로시마 原爆의 傷處를 가진 나라예요.”

강정 海軍基地 反對運動처럼 軍事主義的 暴力에 맞서는 데도 함께했다. 濟州道가 ‘非武裝 平和의 섬’이 되길 바라며 2014年부터 강정 平和 콘퍼런스와 平和大會 마련에 同參했다. 시모노세키 勞動敎育센터와 連帶하면서 核發電所 反對運動에 나설 뿐 아니라 朝鮮學校와 關係를 맺고, 差別받는 在日朝鮮人들을 慰勞했다.

이렇듯 開發 狂風에 떠밀려 外面받는 貧民들을 ‘同伴’하고, 미움과 差別로 멍든 땅에 ‘連帶’의 價値를 傳해온 朴 神父의 宣敎 旅程은 어느덧 55年째에 접어들었다. 半百 年 以上 韓國敎會와 함께한 그는 끝으로 ‘不平等’이라는 새로운 社會的 가난을 言及하며 “敎會가 世俗化되지 말고 가난한 이들과 끝까지 함께하길 바란다”고 當付했다.

“住居 空間이 아닌 投機 對象이 돼버린 집, 無制限 競爭에 내몰린 靑年들…. 오늘날 우리가 마주한 不平等입니다. 殉敎者의 敎會인 韓國敎會가, 하느님의 正義를 외치는 豫言者的 社名을 잊지 않길 늘 祈禱합니다.”

박주헌 記者 ogoya@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