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이상헌의 廣告 風俗圖] ⑥ 國語醇化運動 - 釜山日報

[이상헌의 廣告 風俗圖] ⑥ 國語醇化運動

李相憲 記者 ttong@busan.com
釜山닷컴 記事퍼가기

광복동 酒店 ‘딸라’가 ‘葉錢’으로 이름을 바꾼 事緣

국어순화운동에 적극 동참하는 차원에서 ‘퍼모스트’를 ‘빙그레’로 바꿨다고 선전한 1976년 6월 22일 자 부산일보 8면 광고. 國語醇化運動에 積極 同參하는 次元에서 ‘퍼모스트’를 ‘빙그레’로 바꿨다고 宣傳한 1976年 6月 22日 字 釜山日報 8面 廣告.

韓國 最初의 正統 아이스크림 ‘빙그레 투게더’는 처음 出市된 1974年엔 빙그레가 아닌 ‘퍼모스트’ 투게더였다. 1976年 6月 22日 字 釜山日報 8面에는 “빙그레로 퍼모스트 商標를 바꾸었습니다”라는 廣告가 실렸다. 빙그레 웃는 얼굴로 바뀌었지만, ‘f’字의 퍼모스트 商標 骨格은 그대로였다. 美國 퍼모스트社와 技術提携가 滿了된 게 契機였지만, 裏面엔 國語醇化運動과 外國의 奢侈性 消費財 商標 使用을 禁止한 政府 方針이 作動했다. 그 渦中에 ‘다이알 비누’를 만들던 동산유지처럼 “特許局에 登錄돼 法의 保護를 받을 資格이 있다”며 改命에 露骨的으로 反撥한 企業도 있었다.

같은 날 釜山日報 4面과 5面에 걸쳐 釜山市料食業協同組合이 ‘國語醇化 汎國民 運動에 呼應하여 우리말 屋號 바꾸기에 앞장선 業體들’이라는 廣告를 냈다. “우리 周邊에 汎濫했던 外來語, 俗語, 卑語 때문에 固有의 좋은 말이 때 묻고 빛을 잃어가고 있다”는 問題意識으로 酒店 38곳의 ‘屋號’를 앞장서 바꿨음을 强調한 廣告였다. 行間엔 政府 施策에 따를 수밖에 없는 ‘을’의 現實이 숨어 있었다.

酒店 ‘프린스’가 ‘王子’로 바꾼 것을 筆頭로, ‘파라마운트’가 ‘泰山’으로, ‘그린하우스’가 ‘綠地帶’로 看板을 바꿔 단 건 그나마 자연스럽다. 남포동 酒店 ‘나포리’가 ‘남포리’로, ‘아마존’이 ‘洛東江’으로 바꾼 건 地域性을 强調한 絶妙한 改名이었다. 壓卷은 痕跡을 살려 ‘리모델링’韓 作名이다. ‘실버타운’에서 ‘실버들’로, ‘아베크’에서 ‘둘이서’로, ‘딸라’에서 ‘葉錢’으로, ‘바니’에서 ‘깡충’으로 看板이 바뀐 것이 그랬다.

‘바니’는 當時 强壓的인 演藝人 改名 論難을 부른 雙둥이 歌手 ‘바니걸스’를 떠올리게 한다. 放送局마다 ‘토끼少女’ ‘토끼少女들’ ‘토끼아가씨들’로 달리 直譯해 부를 만큼 混線도 컸다. 改名을 拒否했던 歌手 ‘패티 金’도 結局 ‘김혜자’로 바꿨고, 가톨릭 洗禮名이 세레나였던 歌手 ‘金 세레나’는 ‘김희숙’이란 本名을 쓰라는 壓力에 ‘김세나’라는 줄임으로 妥協했다. 男性 듀오 ‘어니언스’가 ‘洋파들’로 바뀐 것도 그즈음이었다.

釜山市料食業協同組合의 廣告가 실린 바로 그날, 放送倫理委員會가 스포츠 外來語 557個를 國語化했다는 記事가 실렸다. 野球의 ‘스틸’은 ‘자리 뺐기’, 拳鬪의 ‘잽’은 ‘톡톡稚氣’ 式으로 우리말 使用을 勸奬했다. 그 뒤 蹴球 中繼에선 ‘구석차기(코너킥)’ ‘進入反則(오프사이드)’ 따위의 ‘낯선 우리말’이 툭툭 튀어나왔다.

國語醇化가 ‘運動’의 次元으로 展開된 건 이를 督勵한 朴正熙 前 大統領의 影響이 컸다. “모든 分野에서 쓰는 外國語를 우리말로 다듬는 試案을 마련하라”는 指示가 부른 罷場이었다. 趣旨야 百番 共感하지만, 一方通行式 啓蒙의 限界 亦是 뚜렷했다. 論說委員 ttong@


李相憲 記者 ttong@busan.com

當身을 위한 AI 推薦 記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