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난 怯쟁이에 쫄甫"라는 김선호, 그가 自信感 얻은 理由 - 오마이스타
最近 終映한 tvN <百日의 郎君님> 속 정제윤(김선호 分)은 悲運의 캐릭터다. 百科事典級 知識과 三政丞 못잖은 識見을 가졌지만 庶子 出身이라는 限界 때문에 出世길이 막혔고, 마음에 둔 女人은 갑자기 願치 않는 相對와 婚姻을 해버렸다. 거기다 그 相對가 記憶을 잃은 王世子라니. 삐뚤어지기 딱 좋은 條件이지만, 정제윤은 特有의 밝음과 愉快함을 잃지 않았다. 

紅心(남지현 分)을 向한 戀心과 世子 理由(도경수 分)에 對한 衷心으로 둘의 助力者가 되는 길을 擇했고, 結局 紅心의 마음 代身 視聽者의 마음을 사로잡은 <百日의 郎君님> 속 정제윤, 김선호를 7日 서울 도렴동 <오마이뉴스>에서 만났다. 三角關係가 더 팽팽하길 바라진 않았는지, 너무 脈없이 助力者가 돼 아쉽지는 않았는지 묻자, 김선호는 "차라리 多幸"이라며 웃었다. 

"紅心이와 원득이는 婚姻한 사이인데, 三角關係가 팽팽하게 이어지면 막장이지 않았을까요? (웃음) 전 多幸이라고 생각해요. 作家님이 結末에 제 마음을 表現할 수 있는 臺詞를 주신 德分에 정제윤의 마음은 充分히 傳達됐을 거라고 생각해요. 저는 滿足하고 있습니다."  

첫 史劇으로 받은 큰 사랑, 幸福하다
 
 tvN <백일의 낭군님>에서 정제윤 역을 맡은 배우 김선호.

tvN <백일의 낭군님="">에서 정제윤 役을 맡은 俳優 김선호. ⓒ 솔트엔터테인먼트

 
- 첫 史劇인 <百日의 郎君님>으로 正말 큰 사랑을 받았다. 올여름 正말 더웠는데 힘들게 撮影한 드라마가 成果도 좋아 氣分 좋을 것 같다. 
"放送 보고 正말 놀랐다. 撮影할 때는 毛廛橋 有等身이나 벚꽃神이 그렇게 예쁘게 그려질지 豫想하지 못했다. 남지현氏가 史劇이 너무 힘든데 放送을 보면 너무 예뻐서 또 하고 싶다고 이야기해주긴 했는데, 그 程度로 예쁘게 담길 줄은 몰랐다. 

<百日의 郎君님> 撮影할 때, 體力的으로 많이 지쳐있던 狀態였다. 거기다 너무 더웠고, 처음 挑戰하는 史劇이 어렵기도 했다. 正말 힘들게 撮影해서 '史劇은 힘들다'는 先入見만 가질 뻔했는데, 큰 사랑을 받은 德分에 좋은 記憶으로 作品을 마무리할 수 있게 됐다. 모든 苦生을 補償받은 氣分이다. 幸福하고 感謝하다."   

- 製作發表會 때까지만 해도 이 드라마가 이렇게 잘 될 줄 豫想 못 했다. 現場에서는 어땠나. 
"나도, 周圍에서도, 現場에서도 事實 다들 이 程度까지는 豫想 못 했다. 臺本은 正말 재미있었지만, 臺本이 좋다고 視聽率이 다 잘 나오는 건 아니니까. 그런데 잘 되니 얼마나 더 幸福했겠나. 視聽率은 하늘의 뜻이라고들 하셔서 神經 안 쓰고 싶었지만, 그래도 자꾸 幸福해지더라. 氣分 좋은 날들의 連續이었다."   

- 첫 事前 製作 드라마였다. 視聽者의 마음으로 出演 드라마를 보는 氣分이 어떻던가.  
"完全히 本放 死守했다. 3~4番 程度는 俳優들끼리 모여서 보기도 했는데, 撮影場에서 틈틈이 모니터하는 거랑 視聽者 立場에서 함께 보는 거랑 다르더라. 宏壯히 재미있는 經驗이었다. 하지만 不足한 點이 자꾸 보이는데 돌이킬 수 없으니 너무 부끄럽고 간지럽더라. 初盤에 너무 眞摯하게 무게를 잡은 것도 그렇고, 컷마다 갓이 삐뚤어져 있는 것도 神經 쓰이고... 너무 寒心하고 後悔됐다. 더 재미있게 表現할 수 있었을 텐데 싶기도 하고... 다음엔 더 잘해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허전해진 정제윤의 敍事, 서운하진 않지만... 
 
 tvN <백일의 낭군님>에서 정제윤 역을 맡은 배우 김선호.

tvN <백일의 낭군님="">에서 정제윤 役을 맡은 俳優 김선호. ⓒ 솔트엔터테인먼트

 
- <百日의 郎君님>은 송주현과 宮闕, 두 場所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나 劇의 톤이 完全히 다른 드라마다. 世子를 除外하면 정제윤은 송주현과 宮闕을 오가는 唯一한 캐릭터인데, 밸런스 維持가 힘들었을 것 같다. 
"作家님이 너무 靜劇톤은 아니었으면 좋겠다고 하셔서 正統 史劇과 퓨전 史劇의 사이를 찾으려고 苦悶을 많이 했다. 하지만 兩쪽 이야기들이 모두 탄탄하게 造成되어 있었기 때문에, 톤이나 雰圍氣를 맞추기 위해 따로 努力을 많이 하진 않았던 것 같다. 송주현은 演技하기 前부터 너무 즐겁고 幸福했고, 宮闕은 先輩님들이 워낙 무게感을 잘 잡아주신 德分이었다. 

現場마다 이야기의 무게는 달랐지만, 두 곳 모두 宏壯히 밝고 재미있었다. 特히 조성하 先輩님이 너무 재미있으셨다. 아이스크림을 正말 하루도 안 빼놓고 사주셨다. 待機 時間에는 너무 愉快하고 즐거웠는데, 撮影 始作되면 瞬息間에 雰圍氣가 달라지시는데 너무 놀랐다. 貫祿이 이런 거구나 싶고... 송주현에서도 정해균 先輩님이나 이준혁 先輩님 演技하시는 거 보면서 많이 배웠다. 즐겁게 놀 수 있는 또래도 많고, 보고 배울 수 있는 훌륭한 先輩님들도 많이 계셔서 여러모로 正말 좋았다." 

- 登場人物 紹介에 言及된 庶子 設定이나 顔面 燒失에 對한 設定이, 정작 이야기 속에는 그다지 主要하게 다뤄지지 않은 것 같다. 初期 設定보다 敍事가 많이 縮約된 느낌인데, 俳優로서 서운하지는 않았나. 
"紅心이와 원득이의 로맨스에 힘을 실어야 하니까 어쩔 수 없는 選擇이었을 거라 생각한다. 서운하다거나 하는 마음은 없었지만, 演技함에 있어서는 조금 힘들었던 것도 事實이다. 정제윤은 어떤 事件의 中心에 놓여있거나, 어떤 캐릭터와 感情的으로 부딪치지 않는다. 캐릭터에 敍事가 不足하다 보니, 視聽者분들이 정제윤의 行動과 選擇을 얼마나 理解해주실지 내내 苦悶했던 것 같다." 

- 苦悶의 答은 뭐였나. 
"感情을 最大限 미니멀하게 表現하는 거? 정제윤은 普通 어떤 일이 생기면 누군가에게 이 事實을 알리고 說明하는, 一種의 傳達者다. 그래서 두 사람이 있어도 정제윤 혼자 말하는 臺詞가 세 줄이 넘고 그랬다. 이 狀況에서 어떤 感情이 세게 들어가면 '쟤는 왜 저렇게 火를 내?', '쟤는 왜 오버野?' 라고 생각하실 것 같더라.

그래서 정제윤의 여러 特徵 中 '縣監'이라는 部分에 焦點을 맞춰서, 最大限 感情은 미니멀하게, 事件을 推理하고 說明하는 役割에 忠實하려 했다. 作品 안에는 트러블 메이커만 있는 게 아니지 않나. 中道를 지킨다는 게 얼마나 힘든 일인지, <百日의 郎君님>을 통해 알게 됐다. 앞으로 演技 生活을 이어가는 데 꼭 必要한, 宏壯히 좋은 經驗이었다고 생각한다." 

- 臺本과 시놉시스에는 없지만, 정제윤을 더 立體的으로 表現하기 위해 附與한 自身만의 敍事 같은 게 있었나.
"제윤이가 初盤에는 싸움을 避하고 逃亡 다니는데, 마지막 戰爭神에서는 갑자기 劍을 들고 싸움을 잘한다. 그럼 앞에 싸움 못 하는 場面은 어떻게 된 거지 싶더라. 多幸히 初盤에 無賴輩들에게 쫓기는 場面을 再撮影하게 됐는데, 監督님께 臺詞 하나만 더 해도 되느냐고 여쭤봤다. 그 臺詞가 '난 사람은 안 때리오'였는데, 내 나름대로 어떤 設定을 넣은 거다.

생각해보니 제윤이는 無關인데 싸움을 못 할 理도 없고. 武藝는 出衆하지만, 百姓과는 싸우지 않는, 戰爭에서는 적이니까 칼을 쓰는 거... 라는 設定이었다. 또, 顔面認識障礙지만 紅心이만 또렷하게 알아본다는 設定에도, 紅心이가 어머니를 닮았을 거라 생각했다. 아무리 얼굴 못 알아보는 病을 앓고 있더라도, 엄마의 얼굴은 흐릿하게라도 記憶할 수 있을 것 같아서... 作家님 意中은 모른다. 그냥 내가 그런 設定을 더했다. (웃음)"     

TV 속 내 얼굴, 如前히 語塞하다
 
 
 tvN <백일의 낭군님>에서 정제윤 역을 맡은 배우 김선호.

tvN <백일의 낭군님="">에서 정제윤 役을 맡은 俳優 김선호. ⓒ 솔트엔터테인먼트

 
- 演劇 舞臺에서 오래 活動했지만, TV로 온 지는 이제 2年째다. 첫 作品인 <金課長>부터 最近作 <百日의 郎君님>까지 成長 速度가 눈부시다.  
"運이 좋았다. <金課長> 作家님이 只今 <죽어도 좋아> 演出하고 계신 이은진 PD님께 演劇俳優 推薦을 要請하셨고, 그 推薦 名單에 내가 있었다. PD님이 내가 出演했던 演劇 <클로져>를 報셨다더라. 

演劇 舞臺에서 活動하며 宏壯히 幸福하던 時期였다. 좋은 作品에 出演할 수 있었고, 俳優로서 잘 成長하고 있다는 나름의 確信도 있었다. 언젠가 드라마나 映畫로 活動 領域을 넓혀보고 싶다는 생각은 했지만, 當場의 目標는 아니었다. 그래서 <金課長> 오디션을 보러 가면서도 緊張도 別로 안 했다. 떨어질 거라고 생각했고, 드라마 오디션場에 가본 것만으로 幸福했으니까. 便安하게 오디션을 봤는데 그게 좋은 印象을 남겼던 것 같다."
 
- 그 後로는 乘勝長驅했다. TV 데뷔 1年 만에 조정석과 투톱 主演을 하기도 했잖나. 
"事實 <金課長> 끝나고 드라마와 맞지 않는다고 생각했고, 바로 舞臺로 돌아가려 했다. 畵面으로 보는 내 얼굴도, 내 演技도 너무 不便하고 語塞한 거다. 거기다 公演과 다르게 TV 드라마는 時間 制約이 많지 않나. 모든 게 急하고, 빠르고... 그런 雰圍氣에 스스로 많이 겁먹었다. 索莫하다고 생각했고, 現場에서 늘 혼자인 氣分이었다. (나를 推薦해 준) 이은진 PD님께 이番 作品만 하고 公演으로 돌아가겠다고 말씀드렸는데 한 番 더 해봐라, 이렇게 가는 거는 도망가는 거다, 라고 하시더라. 後輩들이 뭐라고 하겠느냐고." 

- 그 말에 생각이 바뀐 건가. 
"그것도 있고... 決定的인 건, 褒賞 休暇로 細部를 갔는데 너무 좋았다. 태어나서 처음 海外에 가본 거였는데, 물에 떠 있기만 해도 좋고, 모든 게 설레고 좋더라. (웃음) 完璧하게 릴렉스를 한 거지. 그러고 돌아와서 <最强 配達꾼> 오디션을 봤다. 元來 配達夫원 中 한 名으로 合格했는데, 오디션을 좋게 봐주신 德分에 오진규 役割이 됐다. <투깝스>에서도 독고성원 役割로 오디션을 봤는데 空輸창이 됐다. 運이 너무 좋았다." 

"怯쟁이에 쫄甫"라는 김선호, 그가 自信感을 얻은 理由 
 
 tvN <백일의 낭군님>에서 정제윤 역을 맡은 배우 김선호.

tvN <백일의 낭군님="">에서 정제윤 役을 맡은 俳優 김선호. ⓒ 솔트엔터테인먼트

 
- 只今은 TV 畵面 속 本人의 얼굴에 좀 익숙해졌나. 
"如前히 不便하다. 내가 元來 이렇게 생겼나, 눈에 點이 이렇게 컸나 싶고... 얼굴은 처음보다 익숙해지긴 했지만, 이젠 演技가 너무 못나 보인다." 

- 드라마에서는 主로 능글맞고 自信感 넘치는 캐릭터를 많이 맡았는데 實際 性格은 너무 다른 것 같다. 
"結局 내 안의 어떤 모습을 꺼내 表現한 거니까 비슷한 面이 아주 없는 건 아닐 거다. 하지만 (내가 맡았던 캐릭터처럼) 능글맞거나 自信感이 剛하진 않다. 현실의 나는 쫄甫高 怯쟁이다. 演劇할 때도 '이거 하고 싶다'고 말하기까지 1年이 걸렸을 程度다. 怯이 많고, 怯이 많으니 모든 게 조심스럽다."  

- 助演 오디션을 봤는데 主演이 됐다는 건 오디션에서 魅力을 잘 어필했다는 뜻이고, 出演 作品마다 評價도 成果도 좋았다. 自己 評價가 너무 薄한 것 아닌가. 
"作品마다 不足함을 느꼈고, 自責의 時間을 많이 가졌다. 나를 疑心하는 時間이 많았던 것 같다. 어떤 한 部分을 自責하기 始作하면 끝까지 매달리면서 생각하는 스타일이라 더 그랬다. 하지만 드라마를 始作하고 나서 좋게 봐주시고, 應援해주시는 분들이 생겼다. 그래서 요즘엔 이런 나를 좋아해 주는 분들도 계신데 내가 너무 스스로를 卑下하는 일이 그분들께 罪悚한 일이라는 생각이 들더라.

요즘은 일부러 自信感을 더 가져야 할 必要를 느끼고 있다. 그래야 새로운 試圖도 할 수 있을 것 같고, 더 많은 것들을 보여드릴 수 있을 테니까. <百日의 郎君님>이 放送되는 동안에도 일부러 撮影地로 旅行도 다녀오고 맛있는 것도 많이 먹으면서 좋은 記憶들을 만들었다." 

- <百日의 郎君님>으로 생각이 많이 바뀐 것 같다. 
"여러 가지로 내가 우물 안 개구리였다는 걸 알게 됐다. 얼마 前까지만 해도, <百日의 郎君님>이라는 드라마에서 굳이 나라는 사람, 정제윤이라는 캐릭터를 記憶해주실지 確信하지 못했다. 그저 주어진 役割을 잘 遂行해야겠다고 생각했고, 좋은 분들과 作品 할 수 있었다는 것만으로도 幸福했다. 하지만 너무 큰 사랑을 받았다. 내가 드라마와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해 自責했던 목소리도 좋아해 주시고, 平凡한 外貌도 팬분들은 멋있어 보인다고 해주시더라.

얼마 前에는 '내가 미쳤나. 別로인데 잘생겨 보이네'라는 댓글을 읽었는데 氣分이 너무 좋더라. 이런 나를 좋게 봐주시고 應援해주시는 분들을 위해서라도 더 熱心히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 이제 달라진 마음가짐으로, 어떤 演技를 하는, 어떤 俳優가 되고 싶은지. 
"흔한 答이겠지만, 사람 냄새 나는 俳優, 믿고 맡길 수 있는 俳優가 되고 싶다. '이런 役割 얘한테 맡겨보면 할 수 있겠다', '저런 사람이 正말 있을 것 같다' 라는 소리를 듣고 싶다. 이런 이야기들이 하나하나 쌓여, 時間이 지날수록 好感 가는 俳優가 되고 싶다." 
百日의 郎君님 김선호 정제윤
댓글
이 記事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記事 原稿料로 應援 하세요
原稿料로 應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