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신스틸러] '봉오동 戰鬪'의 최유화·苦悶視·이재인 - 스타뉴스

[★신스틸러] '봉오동 戰鬪'의 최유화·苦悶視·이재인

典型化 記者 / 入力 : 2019.08.10 11:05
  • 글字크기調節
image
'봉오동 戰鬪'에서 임자현 役을 맡은 최유화 스틸.


눈을 뗄 수 없는 映畫 속 ‘신스틸러’를 紹介합니다

‘봉오동 戰鬪’가 지난 7日 開封해 많은 觀客들과 만나고 있다. ‘봉오동 戰鬪’(監督 원신연)는 1920年 滿洲 봉오동에서 日本軍을 相對로 獨立軍의 첫 勝利를 다룬 映畫다. 유해진이 獨立軍 황해철, 류준열이 이장하, 조우진이 마병구 役을 맡아 映畫를 이끈다.


女子의 얼굴을 한 戰爭은 없기 때문일지, 만드는 사람들의 게으름 때문일지 모르지만, 여느 戰爭物처럼 ‘봉오동 戰鬪’도 敍事 大部分을 男性 캐릭터가 이끈다. 다만 ‘봉오동 戰鬪’에는 比重은 적지만 印象 깊은 세 名의 女性 캐릭터가 登場한다.

최유화가 맡은 임자현, 苦悶市가 맡은 이화자, 이재인이 맡은 椿姬. 獨立 資金을 運搬하다가 銃을 들고 日本軍과 싸운 임자현, 劇 中 이장하(류준열)의 누나로 3.1運動에 參與한 이화자, 日本軍의 蠻行으로 家族을 잃고 獨立軍에 加擔한 椿姬는 象徵하는 바가 뚜렷하다.

원신연 監督은 이화자는 柳寬順 烈士를, 임자현은 柳寬順 烈士의 親舊인 남동순 烈士와 남자현 烈士를 參考해서 캐릭터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特히 임자현 役의 모델인 남동순 烈士는 柳寬順 烈士의 親舊로 3.1 運動에 參與했다가 監獄에 갇혀 苦楚를 받다가 풀려난 뒤 申翼熙 先生이 結成한 獨立運動團體 7人 決死隊에 參與, 直接 獨立資金을 傳達하고 武裝鬪爭에도 參與한 人物이다. 남자현 烈士는 映畫 ‘暗殺’에서 전지현이 延期한 안옥윤 役의 모델로 잘 알려져 있다. ‘봉오동 戰鬪’에서 임자현이 活躍하는 모습은 實際 事實을 바탕으로 映畫的인 虛構를 더해 再創造한 셈이다.


원신연 監督은 椿姬에 對해서는 日帝 蠻行의 被害者이지만 남을 變化시키는 굳은 信念을 갖고 있는 人物로 그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映畫 속에 이들이 많이 담기지 못한 건 結局 編輯 때문이고 監督의 力量 不足 때문이라고 說明했다.

원신연 監督은 겸손히 밝혔지만 ‘봉오동 戰鬪’에서 세 名의 女性 캐릭터는 映畫에 깊이를 더했다. 象徵的인 意味 以上의 모습으로 남은 건 최유화와 苦悶視, 이재인 等 俳優들의 功이 크다.

‘봉오동 戰鬪’는 이름이 남겨지지 않은 獨立軍들을 記憶하고자 만든 映畫다. 봉오동 戰鬪를 勝利로 이끈 洪範圖 將軍이 아닌 이름이 남겨지지 않은 獨立軍들을 主人公으로 한 까닭이다. 이 映畫에 깊이를 더한 최유화와 苦悶視, 이재인의 이름도 記憶되길 바란다.

最新뉴스

더보기

베스트클릭

더보기
starpoll 배너 google play app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