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韓國民族文化大百科

顯忠日

[ 顯忠日 ]

類型 制度
時代 現代

正義

國土防衛에 목숨을 바친 이의 忠誠을 記念하는 날.

開設

6月 6日이며, 公休日로 指定되어 있다. 護國英靈의 冥福을 빌고 殉國先烈 및 戰歿將兵의 崇高한 護國精神과 偉勳을 追慕하는 行事를 하며 早期 揭揚을 한다.

淵源 및 變遷

國家가 存在하는 데에는 相當한 戰亂을 거치게 되어 있고, 모든 國家는 그 戰亂에서 犧牲된 者를 追慕하는 行事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48年 8月 政府樹立 後 2年도 채 못 되어 韓國戰爭을 맞았고 이에 40萬 名 以上의 國軍이 死亡하였으며 百萬 名에 達하는 一般 市民이 死亡하거나 被害를 입었다.

1953年 休戰이 成立된 뒤 3年이 지나 어느 程度 자리가 安定을 찾아가자 政府는 1956年 4月 大統領令 第1145號로 「官公署 公休日에 關한 건」을 改正하여 每年 6月 6日을 顯忠記念日로 指定하여 公休日로 하고 記念行事를 가지도록 하였는바, 顯忠記念日은 通常的으로 顯忠日로 불리다가 1975年 12月 「官公署 公休日에 關한 規定」李 改正되어 顯忠日로 公式的으로 改稱되었다. 1982年 5月 「各種 記念日 等에 關한 規定」에 依해 法定記念日이 되었다.

行使는 國家報勳部가 主管이 되어 行하는바 서울에서는 國立墓地에서 施行되고 있다. 追慕對象範圍는 韓國戰爭에 戰死한 國軍만 對象으로 하는 것은 아니고,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하여 목숨을 바친 모든 先烈의 넋을 기리고 있다.

參考文獻

  • 『北韓蠻行四十年社』(韓國反共敎育硏究院, 1984)

關聯이미지

出處: Wikimedia 원本보기

본 콘텐츠의 著作權은 著者 또는 提供處에 있으며, 이를 無斷 利用하는 境遇 著作權法 等에 따라 法的責任을 질 수 있습니다.
外部 著作權者가 提供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立場과 다를 수 있습니다.

位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