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Abbey Road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Abbey Road

비틀즈의 音盤

Abbey Road 》(애비 로드)는 英國의 록 밴드 비틀즈 가 發賣한 11番째 스튜디오 音盤이다. 이 앨범이 《 Let It Be 》보다 먼저 發賣되긴 했지만, 實際 錄音은 나중에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비틀즈의 마지막 앨범으로 여겨진다. 《Abbey Road》는 英國 에서 1969年 9月 26日 , 美國 에선 같은 해 10月 1日 發賣되었다. 프로듀싱은 조지 마틴 이 맡았으며, 조프 이머릭이 엔지니어로, 토니 뱅크스가 테이프 오퍼레이터로 參與했다.

《Abbey Road》
비틀즈 正規 音盤
發賣日 1969年 9月 26日
錄音 1969年 2月 22日 ~ 8月 20日 , 런던 EMI , 올림픽 , 트라이던튼 스튜디오
장르
길이 47 : 23
言語 英語
레이블 애플
프로듀서 조지 마틴
비틀즈 年表
Yellow Submarine
(1969)
Abbey Road
(1969)
Let It Be
(1970)
專門家 評價
總 點數
出處 點數
메타크리틱 99/100 [1]
評價 點數
出處 點數
AllMusic 5/별[2]
The A.V. Club A [3]
Consequence of Sound A+ [4]
The Daily Telegraph 5/별[5]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5/별[6]
MusicHound Rock 5/별[7]
Paste 100/100 [8]
Pitchfork 10/10 [9]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5/별[10]
英國 런던 웨스트민스터의 세인트 존스 우드에 있는 "애비 로드". 이 橫斷步道에서 歷史的인, 비틀즈의 앨범 커버가 찍혔다.

《Abbey Road》는 비틀즈의 앨범 中 가장 잘 짜여진 앨범이라고 評價받는다. 하지만 존 레논은 폴 매카트니의 主導下에 만들어진 긴 멜로디 部分(B사이드)을 핑계로 이 앨범을 貶下하기도 했다.

앨범의 全體的 雰圍氣는 밝고 樂天的이다. 이는 이 앨범을 錄音할 時期가 비틀즈 멤버들 間에 不和가 絶頂에 치달았을 때임을 考慮해 본다면 相當히 아이러니한 事實이다. 이러한 點을 볼 때 《Abbey Road》는 비틀즈의 어떤 앨범들 中에서도 (멤버들 間의 不和를 안정시킨) 조지 마틴의 影響力이 가장 剛했음을 斟酌할 수 있다.

앨범의 誕生 編輯

後에 Let It Be라는 이름으로 나올 Get Back 의 失望的인 錄音을 마치고, 폴 매카트니 는 조지 마틴에게 "예전에 우리가 했었던 것처럼" 錄音하자고 提案했다. 이는 《 The Beatles 》( White Album , 화이트 앨범으로도 불린다.) 以後 始作된 멤버들間의 不和와 論爭에서 벗어나 보고자 하는 마음도 들어있었다. 마틴은 이에 同意했고, 그 結果物로 나온 것이 이 앨범이다.

이 앨범의 두 사이드는 그 性格이 確然하게 다른데, 이는 매카트니와 존 레논 의 서로 다른 希望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한 結果였다. 레논 中心의 A 사이드는 個別 曲들의 母音인 反面, 매카트니 中心의 B 사이드는 相對的으로 짧은 노래들이 이어지면서 한 篇의 긴 曲이 收錄되었다.

메들리 編輯

大部分의 사람들은 이 앨범의 進數로 16分間 이어지는 짧은 曲들의 메들리를 꼽는다. 이러한 메들리를 構成하는 노래는 完全히 끝나는 것도 있고 끝나지 않은 狀態에서 이어지는 것도 있다. 매카트니에 依해 이어진 이러한 B 사이드 收錄曲들은, 初期 프로그레시브 록 앨범의 모습을 나타내며 歷代 앨범의 한 사이드 構成 中 最高라는 評을 듣기도 한다. 메들리에 登場하는 노래 大部分은 《 The Beatles 》와 《 Let It Be 》 作業 中 지어진 것이다.

메들리는 매카트니의 〈 You Never Give Me Your Money 〉로 始作한다. 이에 이어서 레논이 作曲한 세 曲, 〈 Sun King 〉(〈 Because 〉와 함께 初期 앨범에서 가져온 것이다.), 〈 Mean Mr. Mustard 〉(비틀즈의 印度 旅行 中 作曲), 〈 Polythene Pam 〉, 〈 She Came In Through the Bathroom Window 〉(비틀즈의 팬이 매카트니의 집 化粧室 門을 通해 들어온 以後 作曲)이 나온다. 여기에 이어서 또 다른 메들리, 폴 매카트니의 노래 3曲이 이어지는데,〈 Golden Slumbers 〉( 토머스 데커 의 17世紀 詩에서 따옴), 〈 Carry That Weight 〉(李 앨범에서 멤버 4名의 보컬이 同時에 나오는 唯一한 曲이다), 그리고 絶頂에 이르는 〈 The End 〉로 이어지면서 幕이 내린다.

〈The End〉는 비틀즈가 연주했던 노래들 中에서 唯一하게 링고 스타의 드럼 솔로가 登場하는 曲이다. 또한 폴 매카트니, 조지 해리슨, 존 레논이 돌아가면서 演奏한 其他 솔로(順序는 正確히 알려지지 않았다.) 가 登場하는 唯一한 曲이기도 하다.

앨범 《 Anthology 3 》에는 링고 스타의 드럼 솔로와 함께 해리슨의 리드 其他 솔로가 登場하는 버전이 나와 있기도 하다. 그리고 이 노래의 마지막 行人 "And in the end, the love you take is equal to the love you make"(그리고 마지막엔, 當身이 받는 사랑은 當身이 베푼 사랑과 같아요.)는 많은 팬들에게는, 비틀즈가 남기는 메시지의 精髓(essence)로 받아들이기도 한다.

Her Majesty 編輯

Her Majesty 〉는 맨 마지막에 收錄된 23秒짜리 노래이다. 元來는 〈 Mean Mr. Mustard 〉와 〈 Polythene Pam 〉사이에 收錄하려고 했던 노래였는데, 폴 매카트니는 作業 後 이 노래를 이어서 들어보면서 매끄럽지 못하다고 생각, 엔지니어 존 커랜더에게 이 노래를 빼달라고 付託했다. 그러나 존 커랜더는 어떤 노래도 빼지 말라는 指示를 받았었고, 그래서 이 노래를 마지막 曲인 〈 The End 〉끝에 20秒 程度의 空白을 둔 後 揷入했다. 비틀즈 멤버들은 이 編輯을 마음에 들어 했고, 앨범에 남게 되었다. LP中에는 이 노래가 나오지 않는 것이 있다. 하지만 그러한 LP의 커버에는 〈Her Majesty〉라는 曲名이 남아있다. 이 노래를 仔細히 들어보면 처음 導入部에서 〈 Mean Mr. Mustard 〉의 마지막 코드가 들릴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이 노래를 最初의 히든 트랙으로 여기기도 한다.

有名한 앨범 커버 編輯

 
앨범이 錄音된 場所 - EMI의 애비 로드 스튜디오

조프 어믹은, "앨범 題目은 Everest (에베레스트)로 지으려고도 했었어요. 제가 즐겨피던 담배 商標를 따서요"라고 回想했다. 이에는 히말라야 에서 찍은 비틀즈 멤버들의 寫眞을 커버로 실을 것도 考慮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때 비틀즈는 그 먼곳까지 寫眞을 찍으러 가야 했다. 그래서 멤버들은 이 앨범을 그들의 音樂을 錄音한 EMI 社의 애비 로드 스튜디오(Abbey Road Studios)의 이름을 따, Abbey Road 로 짓기로 했다. 커버 디자인은 1969年 8月 8日 EMI의 코시라는 藝術監督이, 寫眞 撮影은 이안 맥밀런이 맡았다. 맥밀런은 그날 낮 10時, 10分 程度의 時間 동안 寫眞을 찍었고, 이 앨범 커버 寫眞은 音樂 歷史上 最高로 有名하고 最高로 많이 패러디 된 作品이 되었다.

멤버들은 앨범 커버 寫眞에서 모두 오른쪽으로 橫斷步道를 건너가고 있다. 하지만 事實 애비 로드 스튜디오는 그 反對便에 位置하고 있었다. 이 理由에 對해선 알려진 바 없다. 또한 레논의 머리 왼쪽 上段, 報道에 서 있는 男子는 폴 코어라는 美國人 觀光客이다. 그는 몇 달 뒤 앨범을 보기 前까진 自身이 寫眞에 찍힌 줄도 몰랐다고 한다.

폴 매카트니 死亡說의 端緖들 編輯

 
애비 로드 스튜디오가 보이는 角度로 찍은 애비 로드

이 앨범 커버 寫眞은 폴 매카트니 死亡說을 敷衍하는 證據가 되기도 했다. 폴 매카트니 死亡說에서 提示하는 證據는 다음과 같다. 폴은 혼자 맨발이고, 다른 멤버들과 발이 맞지 않으며, 혼자 눈을 감고 있고, 홀로 오른손에 담배를 들고 있다. 그는 왼손잡이인데도 말이다. 또한 뒤에 보이는 폴크스바겐 비틀 의 番號版은 "LMW 281F"이다. LMW는 "Linda McCartney Weeps"(린다 매카트니가 운다), 281F는, 28if(萬若 살아있었다는 폴의 나이는 28歲다)를 가리킨다고 한다. 그러나 當時 폴 매카트니는 27살이었고, 린다 매카트니와 폴 매카트니는 1969年 3月 結婚했다. 재밌는 事實은, 폴 매카트니 死亡說에 따르면 폴은 린다와 만나기 몇 年 前에 이미 死亡했다.

模倣과 패러디 編輯

 
애비 로드의 名判. 《Abbey Road》의 앨범 커버 뒷面에는 ABBEY ROAD NW8이란 글이 적혀있다.
  • 부커 T. & 더 M.G.'s Abbey Road 커버 앨범인 《McLemore Avenue (1969年)에서, 그들은 自身들이 作業했던 스택스 레코즈 스튜디오가 位置한 거리 이름을 땄다.
  • 레드 핫 칠리 페퍼스 는 《The Abbey Road E.P.》라는 앨범에서 앨범을 따라했다.
  • 폴 매카트니는 《 Paul Is Live 》라는 앨범에서 스스로 이 앨범 寫眞을 따라했다. 이는 폴 매카트니 死亡說과도 關聯되어 있다. 이 앨범 커버 寫眞에서 비틀의 番號版은 51IS(當時 그의 나이)로 바뀌었고 《The Beatles》앨범의 〈 Martha My Dear 〉란 曲에 登場하는 自身의 愛玩犬 Martha의 새끼 中 한 마리와 함께 登場한다.
  • 美國의 TV漫畫 심슨 家族 에서 호머 심슨의 男性 4中窓 그룹 The Be Sharps 의 두 番째 앨범 "Bigger Than Jesus"의 앨범 커버는 4名의 멤버들이 《Abbey Road》의 커버 寫眞 모습으로 물 위를 걷는 모습이다.

비틀 編輯

커버 寫眞 왼便에 있는 폴크스바겐 비틀 은 스튜디오 건너便 아파트에 살던 사람이 세워놓은 것이었다. 이 車는 1986年 競賣에 올려져 2萬 3千달러에 팔렸으며 現在는 폴크스바겐 博物館에 展示中이다.

曲 目錄 編輯

사이드 1
# 題目 보컬 再生 時間
1. Come Together 레논 4:20
2. Something ( 조지 해리슨 ) 해리슨 3:03
3. Maxwell's Silver Hammer 매카트니 3:27
4. Oh! Darling 매카트니 3:26
5. Octopus's Garden ( 링고 스타 ) 스타 2:51
6. I Want You (She's So Heavy) 레논 7:47
사이드 2
# 題目 보컬 再生 時間
1. Here Comes the Sun (해리슨) 해리슨 3:05
2. Because 레논, 매카트니, 해리슨 2:45
3. You Never Give Me Your Money 매카트니 4:02
4. Sun King 레논, 매카트니, 해리슨 2:26
5. Mean Mr. Mustard 레논 1:06
6. Polythene Pam 레논 1:12
7. She Came In Through the Bathroom Window 매카트니 1:57
8. Golden Slumbers 매카트니 1:31
9. Carry That Weight 매카트니, 레논, 해리슨, 스타 1:36
10. The End 매카트니 2:05
11. Her Majesty 매카트니 0:23

參考 編輯

  • 〈Her Majesty〉는 最初의 히든 트랙으로 여겨진다.
  • 美國의 어떤 카세트 테이프는 〈Come Together〉와 〈Here Comes The Sun〉의 順序가 바뀐 것도 있다. 하지만 此後 모든 LP, 테이프, CD는 원 順序로 되어있다.
  • 〈You Never Give Me Your Money〉부터 〈The End〉는 "The Abbey Road Medley"라고 불린다. 또한 이는 "록 심포니"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引證 編輯

國家 引證 販賣量/出荷量
아르헨티나 ( CAPIF ) [11] 다이아몬드 500,000 ^
오스트레일리아 ( ARIA ) [12] 3× 플래티넘 210,000 ^
캐나다 ( 뮤직 캐나다 ) [13] 다이아몬드 1,000,000 ^
덴마크 ( IFPI Danmark ) [14] 3× 플래티넘 60,000  
프랑스 ( SNEP ) [16] 골드 732,000 [15]
獨逸 ( BVMI ) [17] 플래티넘 500,000 ^
이탈리아 ( FIMI ) [18]
sales since 2009
플래티넘 50,000  
日本 ? 655,000 [19]
뉴질랜드 ( RMNZ ) [20] 5× 플래티넘 75,000 ^
英國 ( BPI ) [21]
sales since 2009
3× 플래티넘 900,000  
美國 ( RIAA ) [22] 12× 플래티넘 12,000,000 ^
要約
全世界
Worldwide sales in 2019
? 800,000 [23] [24]
全世界
Worldwide sales up to 2014
? 31,000,000 [25]
^ 出荷量을 基盤으로 한 引證
  販賣量+스트리밍을 基盤으로 한 引證

  BPI certification awarded only for sales since 1994. [26]

發賣 記錄 編輯

國家 發賣日 音盤社 形式 音盤 番號
英國 1969年 9月 26日 애플 레코드 LP PCS 7088
美國 1969年 10月 1日 애플, 캐피톨 레코드 LP SO 383
日本 1983年 5月 21日 도시바 EMI CD CP35-3016
全 世界 發賣 1987年 10月 10日 애플, EMI (팔로폰) CD CDP 7 46446 2
日本 (再發賣) 1998年 3月 11日 도시바 EMI CD TOCP 51122
日本 2004年 1月 21日 도시바 EMI 리마스터 LP TOJP 60142

各州 編輯

  1. “Abbey Road [50th Anniversary Deluxe Edition] by The Beatles Reviews and Tracks ? Metacritic” . 《 Metacritic . 2019年 9月 29日에 確認함 .  
  2. Erlweine, Stephen Thomas ; Unterberger, Richie . “Abbey Road?? The Beatles” . AllMusic . Rovi Corporation . 2011年 10月 1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1年 11月 18日에 確認함 .  
  3. Klosterman, Chuck (2009年 9月 8日). “Chuck Klosterman Repeats The Beatles” . 《 The A.V. Club 》 (Chicago). 2013年 5月 2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5月 26日에 確認함 .  
  4. Album Review: The Beatles ? Abbey Road [Remastered] ≪?Consequence of Sound 保管됨 21 4月 2014 - 웨이백 머신
  5. McCormick, Neil (2009年 9月 8日). “The Beatles ? Abbey Road, review” . 《The Daily Telegraph》 (London). 2012年 11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6. Larkin 2006 , 489쪽.
  7. Graff, Gary; Durchholz, Daniel (eds) (1999).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 Farmington Hills, MI: Visible Ink Press. 87?88 쪽. ISBN  1-57859-061-2 .  
  8. Kemp, Mark (2009年 9月 8日). “The Beatles: The Long and Winding Repertoire” . 2013年 10月 2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1月 6日에 確認함 .  
  9. Richardson, Mark (2009年 9月 10日). “The Beatles: Abbey Road” . Pitchfork Media . 2014年 5月 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2月 25日에 確認함 .  
  10. The Beatles | Album Guide | Rolling Stone Music 保管됨 4 4月 2014 - 웨이백 머신
  11. “Premio Diamante: Los premiados” (스페인語). 아르헨티나 音盤 映像 製作 協會 . 2005年 3月 1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9月 16日에 確認함 .  
  12. “ARIA Charts ? Accreditations ? 2009 Albums” (PDF) (英語). 오스트레일리아 音盤 産業 協會 .  
  13. “Canadian album certifications ? The Beatles ? Abbey Road” (英語). 뮤직 캐나다 .  
  14. “Danish album certifications ? The Beatles ? Abbey Road” (英語). IFPI Danmark .  
  15. “Les Meilleures Ventes de CD / Albums "Tout Temps " (프랑스語). Infodisc.fr . 2017年 2月 19日에 確認함 .  
  16. “French album certifications ? The Beatles ? Abbey Road” (프랑스語). 프랑스 音盤 協會 .  
  17. “Gold-/Platin-Datenbank (The Beatles;?'Abbey Road')” (獨逸語). 獨逸 音盤 産業 協會 .  
  18. “Italian album certifications ? The Beatles ? Abbey Road” (이탈리아語). 이탈리아 音樂 産業 協會 .   "Anno" 目錄 箱子 메뉴에서 "2019"를 選擇하세요. "Filtra" 필드에서 "Abbey Road"(을)를 選擇하세요. "Sezione" 아래 "Album e Compilation"를 選擇하세요.
  19. 《Oricon Album Chart 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Roppongi, Tokyo: Oricon Entertainment. 2006. ISBN  978-4-87131-077-2 .  
  20. “New Zealand album certifications ? The Beatles ? Abbey Road” (英語). Recorded Music NZ .  
  21. “British album certifications ? The Beatles ? Abbey Road” (英語). 英國 蓄音機 協會 .  
  22. “American album certifications ? The Beatles ? Abbey Road” (英語). 美國 音盤 産業 協會 .  
  23. “Arashi Best-Of Tops Taylor Swift for IFPI's Best-Selling Album of 2019” . 《 Billboard 》. 2020年 3月 19日.  
  24. “Best Sellers and Global Artist of the Year ? IFPI ? Representing the recording industry worldwide” . 《IFPI.org》. 2020年 3月 10日. 2020年 3月 19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25. “Back in the Day: Abbey Road hits the shelves” . 《 Euronews 》. 2011年 9月 26日. 2012年 11月 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6年 5月 14日에 確認함 .  
  26. “Beatles albums finally go platinum” . 《 British Phonographic Industry 》 ( BBC News ). 2013年 9月 2日. 2014年 4月 1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9月 4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