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2010年 韓國프로野球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2010年 韓國프로野球

KBO 리그 의 2010年 시즌 大韓民國 의 8個 프로 野球 球團들이 參加하여 2010年 3月 27日 부터 始作되었다. 아시안 게임 월드컵 의 影響으로 例年보다 日程을 1週日 程度 앞당겨서 開幕하게 된다. [1] 이 날은 1982年 3月 27日 서울運動場( 東大門野球場 )에서 열린 三星 MBC 의 프로野球元年의 開幕戰과 同一한 날짜이다.

2010年 韓國프로野球
主管 KBO
날짜 3月 27日 ~ 9月 26日
參加팀 수 8
正規 시즌
優勝팀 SK 와이번스
最優秀 選手 이대호 ( 롯데 )
最優秀 新人 양의지 ( 두산 )
포스트 시즌
準플레이오프 두산 3 - 2 롯데
플레이오프 三星 3 - 2 두산
韓國 시리즈
京畿 SK 4 - 0 三星
優勝팀 SK 와이번스 (通算 3回)
最優秀 選手 박정권
시즌
2009年 2011年

달라진 規定 編輯

  1. 올해부터 開幕展은 以前年度 順位가 아닌 2시즌 前 順位 基準으로 施行된다.
  2. 팀 黨 133競技 中 2008年 1~4位 팀인 SK, 두산, 롯데, 三星은 홈 66競技?遠征 67競技를, 5~8位인 한화, KIA, 넥센, LG는 홈 67競技?遠征 66競技를 치르게 된다. (2009年은 反對로 1~4位팀이 홈 67競技?遠征 66競技)
  3. 어린이날 競技 ?: 격년제 編成에 따라 KIA?SK?三星?LG의 홈구장에서 開催
  4. 올스타戰 ?: 7月 24日 , 1997年 以後 13年 만에 大邱에서 開催
  5. 野球規則 6.09(b) 原州?: 낫아웃視 打者走者의 進壘意圖 抛棄
    1. 第 3스트라이크를 捕手가 잡지 못하여 打者가 走者가 된 뒤 打者가 走者의 義務를 抛棄하고 홈플레이트 周圍의 흙으로 뒤덮인 원(Dirt Circle)을 벗어나 벤치 또는 自身의 守備位置로 가려는 行爲를 했다고 審判員이 判斷하면 審判員은 아웃을 宣言할 수 있다.
    2. 낫아웃視 타자 走者의 進壘意圖 抛棄를 終戰 덕아웃 進入에서 홈플레이트 周圍의 흙으로 뒤덮인 圓을 벗어나는 것으로 變更했다.
  6. 野球規則 7.04(c) 原州?: 덕아웃 近處에서의 플라이볼 浦口
    1. 덕아웃 近處에서 파울볼을 捕球하려고 할 境遇 덕아웃 안의 바닥으로 浦口하려는 守備手의 어느 발도 들어 가서는 안된다.
    2. 終戰 덕아웃 안에서 浦口를 認定하였던 것을 德아웃 안의 바닥에 守備手의 발 하나라도 있으면 浦口로 認定하지 않기로 函.
  7. 京畿스피드업 關聯 變更 및 追加 內容
    1. 樓上에 走者가 있을 때 投手가 打者 타이밍을 뺏는 遲延 行爲 時 主審이 判斷하여 타임宣言 後 첫 番째는 注意, 두 番째 警告, 세 番째는 보크로 判定함.
    2. 走者가 없을 때 投手가 12秒 以內에 投球하지 않을 境遇 主審은 첫 番째는 警告 두 番째부터 볼로 判定한다. 時間 計測을 위하여 2壘審에게 秒時計를 携帶시키며 2壘審의 計測은 打者가 打席에서 準備되었을 때 始作되며 計測이 끝나는 時點은 投手가 者遺族을 드는 瞬間으로 함.(이른바 12秒룰)
    3. 投手가 로진을 過多하게 묻히는 行爲에 對하여 첫 番째 警告, 두 番째부터는 볼로 判定함.
    4. 大氣 他者席에 나올 수 있는 選手는 他者席에 서있는 選手의 다음打者 만으로 制限함.
    5. 競技 中 불펜에 나와있는 人員은 最大 6名, 待機打席에 나와있는 人員은 打擊코치를 包含하여 最大 3名으로 函 → 削除
    6. 스트라이크존 擴大 → 打者의 몸쪽과 바깥쪽에 공 半個 程度 擴大
    7. 選手 交替時 監督이 主審에게 通報
    8. 打者席에서 너무 늦은 타임은 받지 말 것(投手가 者遺族을 들었을 때, 主審은 打者席을 벗어나지 못하게 한다.)
    9. 비디오 判讀 後 最終判定에 異議를 提起할 時 監督에게 退場을 命할 수 있음.
    10. 競技 中 1,3壘 走壘코치 스톱워치 使用禁止
    11. 主審의 判斷에 따라 투톤칼라 또는 色이 있는 글러브도 着用할 수 있음.
    12. 클리닝타임을 廢止하고 3,5,7回 簡單한 그라운드 整理를 實施함.
    13. 監督, 코치, 選手들이 審判을 非難하는 行爲에 强力 制裁措置

新人 選手 指名 編輯

選手 移動 編輯

시즌 前 編輯

  • 新人 選手
  • 트레이드 迎入 選手
    • 이대수 ?: 두산 베어스 → 한화 이글스
    • 조규수 ?: 한화 이글스 → 두산 베어스
    • 김창훈?: 한화 이글스 → 두산 베어스
  • 넥센 히어로즈의 트레이드 波動
    • 이현승 ?: 넥센 히어로즈 → 두산 베어스
    • 금민철 ?: 두산 베어스 → 넥센 히어로즈
    • 장원삼 ?: 넥센 히어로즈 → 三星 라이온즈
    • 박성훈 ?: 三星 라이온즈 → 넥센 히어로즈
    • 김상수 ?: 三星 라이온즈 → 넥센 히어로즈
    • 이택근 ?: 넥센 히어로즈 → LG 트윈스
    • 박영복 ?: LG 트윈스 → 넥센 히어로즈
    • 강병우 ?: LG 트윈스 → 넥센 히어로즈
    • 마일영 ?: 넥센 히어로즈 → 한화 이글스
    • 마정길 ?: 한화 이글스 → 넥센 히어로즈
  • 新規 迎入 外國人 選手
  • 放出 選手
    • KIA 타이거즈?: 金映洙, 조동현
    • 두산 베어스?: 윤요한, 이승학, 이석만
    • 롯데 자이언츠?: 金이슬
    • 三星 라이온즈?: 강희성, 金文洙, 김동현, 이성훈, 조진호
    • 넥센 히어로즈?: 곽동성, 金鍾民, 이성재, 偉大한, 전인환, 조성원
    • LG 트윈스?: 강창주, 박지철
    • 한화 이글스?: 강병수, 문용민, 양승학
  • 放出 後 再迎入 選手
    • KIA 타이거즈?: 유승룡, 장태성
    • SK 와이번스?: 김동건, 허일상
    • 한화 이글스?: 신민기
  • 放出 後 移籍 選手
    • 박진원?: 두산 베어스 → SK 와이번스
    • 전준호 : 넥센 히어로즈 → SK 와이번스(코치)
    • 추경식?: 롯데 자이언츠 → SK 와이번스
    • 오현근?: SK 와이번스 → 두산 베어스 (申告選手)
    • 이병규 ?: 주니치 드래곤즈 → LG 트윈스
    • 이상열 ?: 넥센 히어로즈 → LG 트윈스
    • 정성훈 ?: 두산 베어스 → LG 트윈스
    • 전근표 ?: 넥센 히어로즈 → 한화 이글스
    • 정원석 ?: 두산 베어스 → 한화 이글스
    • 김경태?: LG 트윈스 → 카가와 올리브 街이너즈
    • 손지환 ?: SK 와이번스 → 코리아 해치
  • 放出 外國人 選手
  • 隱退 選手
  • 再契約 抛棄 外國人 選手
  • 海外 進出 外國人 選手
  • FA 移籍選手
    • 김태균 ?: 한화 이글스 → 지바 롯데 마린스 (海外進出)
    • 이범호 ?: 한화 이글스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海外進出)
  • 國軍體育部隊 入團 選手
    • KIA 타이거즈?: 朴軫永, 이호신, 임준혁, 진민호
    • SK 와이번스?: 윤길현
    • 두산 베어스?: 박민석, 최주환
    • 롯데 자이언츠?: 이동훈
    • 三星 라이온즈?: 이지영
    • 넥센 히어로즈?: 박헌도 , 장시환 , 조용훈
    • LG 트윈스?: 윤찬수
    • 檀國大?: 이창호
    • 成均館大?: 金映洙
  • 警察廳 野球團 入團 選手
    • KIA 타이거즈?: 박정규, 오준형, 有用木, 임世業, 현승민
    • SK 와이번스?: 權泳臻
    • 두산 베어스?: 권영준, 최재훈 , 허경민
    • 롯데 자이언츠?: 이웅한, 최혁卷
    • 三星 라이온즈?: 우동균, 조현근 , 최원제
    • 넥센 히어로즈?: 전승윤, 유재신, 임창민, 전동수
    • LG 트윈스?: 우규민 , 李承雨
    • 한화 이글스?: 연경흠, 정대훈, 최연오
    • 탐라대?: 김민겸
    • 東國大?: 오현민
    • 閑民代?: 최석
    • 延世大?: 김종찬
    • 慶熙大?: 신창명
    • 像原稿?: 異性葉
  • 그 外 軍入隊 選手
    • KIA 타이거즈?: 이범석
    • SK 와이번스?: 김준, 채병용, 金起炫, 김재현
    • 두산 베어스?: 이정민
    • 롯데 자이언츠?: 강승현, 김유신, 李相花, 最大性, 황진수
    • 三星 라이온즈?: 김건필, 김동명
    • 넥센 히어로즈?: 노환수, 민성기, 임태준, 김남형
    • LG 트윈스?: 김용의
    • 한화 이글스?: 없음
  • 申告 選手
    • KIA 타이거즈?: 김웅비(旣存, 前 東國大 投手), 한승엽(前 警察廳 投手), 박종모(前 高麗大 投手),변선웅(前 大成高 捕手),권희석(前 KIA 內野手), 유승룡(前 KIA 內野手), 장태성(前 KIA 內野手), 송승민(前 警察廳 內野手), 최병윤(前 成均館大 內野手), 主導性(前 哮喘고 內野手), 이명환(旣存, 前 漢陽大 外野手), 서동수(前 대불대 外野手), 이준호(前 高麗大 外野手)
    • SK 와이번스?: 지훈(前 SK 投手), 이장환(前 SK 投手), 황건주(旣存, 前 SK 投手), 김상록(前 SK 投手), 윤석주(前 SK 投手), 이재인(2010 SK 2次 4番, 前 濟州産業大 投手), 최경철(前 SK 捕手), 김정남(前 SK 捕手), 박상현(前 SK 內野手), 김문홍(2010 SK 2次 7番, 前 漢城디지털對 投手), 박정환(旣存, 前 成均館大 外野手), 윤중환(前 SK 外野手),방정우(前 仁荷大 外野手)
    • 두산 베어스?: 남궁훈 (旣存, 前 建國大 投手), 盧境遇(前 建國大 投手), 윤명운(前 濟州고 投手), 김응민(前 중앙고 捕手(投手)), 안동현(旣存, 前 高麗大 內野手), 신효철(旣存, 前 서울高 內野手), 김동길(前 中央大 內野手), 오정환(前 高麗大 內野手),이창석(前 警察廳(롯데) 外野手), 오현근(前 SK 外野手), 김영재(旣存, 前 建國大 外野手), 이현민(旣存, 前 덕수高 外野手), 김현수(前 三星 投手(外野手)), 전준홍(前 중앙고 外野手)
    • 롯데 자이언츠?: 김수완(旣存, 前 祭主觀光産業고 投手), 최헌주(前 신일고 投手), 現天雄(前 建國大 捕手), 유동근(前 圓光大 捕手), 김주현(前 KIA 內野手), 이상호(前 永同大 內野手), 이도윤(前 警察廳 外野手)
    • 三星 라이온즈?: 김형준(前 嶺南大 投手), 전준호(前 警察廳(SK) 投手), 洪孝의(前 永同大 投手), 김지훈(前 중앙고 投手), 박화랑(前 像原稿 投手), 김종화(前 경북고 投手), 김지호(旣存, 前 호원대 捕手), 李萬基(前 동衣襨 內野手), 김선민(前 대구고 內野手), 이강혁(前 대구고 內野手)
    • 넥센 히어로즈?: 崔敬煥(前 송원臺 投手), 김종문(旣存, 前 京畿高 內野手), 김한상(前 警察廳 外野手)
    • LG 트윈스?: 송현우(前 LG 投手), 강창주(前 LG 投手), 원종현 (前 警察廳(LG) 投手), 김태식(前 LG 投手), 김수형(前 LG 投手), 박정훈(旣存, 前 탐라대 投手), 이재우(旣存, 前 대구고 投手), 최성민(前 LG 投手), 강지광(前 LG 投手), 차기훈(前 警察廳 投手), 김지용(2010 LG 2次 9番, 前 永同大 投手), 전인환(前 히어로즈 投手), 配民館(2010 LG 2次 8番, 前 야탑高 投手), 이성진(2010 LG 2次 4番, 前 경남고 投手), 이경환(前 LG 捕手), 채은성(旣存, 前 哮喘고 內野手), 김창혁(2010 LG 2次 6番, 前 부산고 捕手), 이학준(前 警察廳(LG) 內野手), 임도희(旣存, 前 연세대 內野手),문선재(前 LG 內野手), 최우정(2010 LG 2次 10番, 前 천안북일고 內野手), 양영동(前 警察廳(三星) 外野手), 유재호(2010 LG 2次 7番, 前 대구고 外野手)
    • 한화 이글스?: 김재현(前 LG 投手), 김동호(旣存, 前 嶺南大 投手), 김지호(前 천안북일고 投手), 이성호(旣存, 前 高麗大 捕手), 新石器(旣存, 前 중앙고 內野手), 이동형(前 대전고 內野手), 김다원(旣存, 前 成均館大 外野手)
  • 任意脫退 選手 現況
    • 김진우?: KIA 타이거즈 → 코리아 해치
    • 김태훈?: SK 와이번스
    • 백인식?: SK 와이번스
    • 최만호 ?: 롯데 자이언츠
    • 변시영?: LG 트윈스
    • 최종인?: LG 트윈스
    • 김백만?: 한화 이글스

시즌 中 編輯

  • 迎入
    • 매트 라이트?: 오마하 로열스 → KIA 타이거즈
    • 로만 콜론?: 캔자스시티 로열스 → KIA 타이거즈
    • 筆 더마트레?: 톨레도 머드 헨스 → LG 트윈스
    • 크리스 니코스키?: 넥센 히어로즈
    • 팀 레딩?: 스크랜턴/윌크스-배러 양키스 → 三星 라이온즈
    • 프랜시瑟리 不에노?: 한화 이글스
  • 트레이드 迎入選手
    • 장성호?: KIA 타이거즈 → 한화 이글스
    • 이동현?: KIA 타이거즈 → 한화 이글스
    • 김경언?: KIA 타이거즈 → 한화 이글스
    • 안영명?: 한화 이글스 → KIA 타이거즈
    • 박성호?: 한화 이글스 → KIA 타이거즈
    • 김다원?: 한화 이글스 → KIA 타이거즈
    • 黃載均?: 넥센 히어로즈 → 롯데 자이언츠
    • 김민성?: 롯데 자이언츠 → 넥센 히어로즈
    • 김수화?: 롯데 자이언츠 → 넥센 히어로즈
    • 권용관?: LG 트윈스 → SK 와이번스
    • 최동수?: LG 트윈스 → SK 와이번스
    • 이재영?: LG 트윈스 → SK 와이번스
    • 안치용?: LG 트윈스 → SK 와이번스
    • 박현준?: SK 와이번스 → LG 트윈스
    • 윤상균?: SK 와이번스 → LG 트윈스
    • 김선규?: SK 와이번스 → LG 트윈스
  • 放出
    • 매트 라이트?: KIA 타이거즈
    • 에드가르 곤살레스?: LG 트윈스
    • 德 클락?: 넥센 히어로즈
    • 金敏基?: LG 트윈스
    • 정성훈?: LG 트윈스
    • 브랜든 나이트?: 三星 라이온즈
    • 호세 카페얀?: 한화 이글스
  • 隱退 選手
    • 박종호?: LG 트윈스
    • 구대성?: 韓華이글스
    • 김종국?: KIA 타이거즈
    • 梁埈赫?: 三星 라이온즈
    • 안경현?: SK 와이번스

시즌 後 編輯

  • 隱退
    • 김재현?: SK 와이번스
    • 稼得念?: SK 와이번스
    • 洪細완?: KIA 타이거즈
  • 放出
    • 신철인, 조용준?: 넥센 히어로즈
  • 트레이드 迎入 選手
    • 고원준 ?: 넥센 히어로즈 → 롯데 자이언츠
    • 박정준 ?: 롯데 자이언츠 → 넥센 히어로즈
    • 이정훈 ?: 롯데 자이언츠 → 넥센 히어로즈

示範 競技 編輯

示範 競技 日程 亦是 아시안 게임 월드컵 의 影響을 받아 例年보다 1週日 程度 앞당겨졌다.

順位 球團 京畿 勝率 連續 게임차
1位 롯데 12 10 0 2 0.833 1勝 0.0
2位 三星 13 8 0 5 0.615 2勝 2.5
3位 KIA 12 6 0 6 0.500 1勝 4.0
4位 두산 13 6 0 7 0.462 1敗 4.5
5位 SK 11 5 0 6 0.455 2敗 4.5
6位 넥센 12 5 0 7 0.417 4敗 5.0
7位 LG 11 4 0 7 0.364 1敗 5.5
8位 韓華 10 3 0 7 0.300 1勝 6.0

지난 시즌에 이어 롯데 자이언츠 가 示範競技 1位를 차지하였다. 롯데는 팀 打率, 平均自責點, 得點, 홈런 1位, 最小 失點 記錄하였다. 김태균 , 이범호 等의 主軸 選手가 빠진 한화 이글스 는 8位를 記錄하였다.

總 47競技에 17萬 702名의 觀衆이 雲集하여 지난 시즌의 50競技 6萬 7500名에 비하여 觀衆 數가 3倍假量 增加하였다. [2]

正規 리그 編輯

開幕展은 2008年度 上位 4個球團의 홈구장인 文學(SK-한화) / 蠶室(두산-KIA) / 大邱(三星-LG) / 辭職(롯데-넥센).

어린이날 競技는 격년제 編成에 따라, 2010年엔 光州, 文學, 大邱, 蠶室(LG홈)으로 열렸다. 올스타戰은 7月 24日로 1997年 以後 13年만에 대구시민운동장 野球場 에서 열렸다.

順位 編輯

順位 競技數 打率 平均自責點 勝率 乘車
SK 와이번스 1 133 84 2 47 0.274 3.71 0.632 0.0
三星 라이온즈 2 133 79 2 52 0.272 3.94 0.594 5.0
두산 베어스 3 133 73 3 57 0.281 4.62 0.549 10.5
롯데 자이언츠 4 133 69 3 61 0.288 4.82 0.519 14.5
KIA 타이거즈 5 133 59 0 74 0.260 4.39 0.444 26.0
LG 트윈스 6 133 57 5 71 0.276 5.23 0.429 25.5
넥센 히어로즈 7 133 52 3 78 0.262 4.55 0.391 32.0
한화 이글스 8 133 49 2 82 0.244 5.43 0.368 35.0

타자 TOP 編輯

部門 選手 記錄
打率 (AVG) 이대호 0.364
홈런 (HR) 이대호 44
打點 (RBI) 이대호 133
得點 (R) 이대호 99
안타 (H) 이대호 174
出壘率 이대호 0.444
長打率 이대호 0.667
盜壘 (SB) 이대형 66

타자 타이틀 部分에서는 롯데 자이언츠 이대호 가 盜壘를 除外한 打擊 7個 部分을 獨食하는 前無後無한 記錄을 세웠으며 盜壘王은 이대형 이 차지했다.

投手 TOP 編輯

部門 選手 記錄
勝利 (W) 김광현 17(1救援勝 包含이라 양현종 류현진 과 先發勝 共同 1位(16先發勝))
平均自責 (ERA) 류현진 1.82
脫三振 (SO) 류현진 187
세이브 (SV) 손승락 26
홀드 (HLD) 정재훈 23
勝率 차우찬 0.833

平均 自責點 部分에서는 류현진 이 1.82의 平均 自責點으로 1998年 以後 12年만에 1點帶 平均自責點으로 1位를 차지했으며 손승락 차우찬 은 데뷔 처음으로 타이틀 홀더를 차지했다.

시즌 記錄 編輯

達成 記錄 編輯

포스트시즌 編輯

準플레이오프에서 激突한 롯데 자이언츠 두산 베어스 는 5次戰까지 가는 끝에 두산이 2連勝을 먼저 達成한 롯데에게 내리 3連勝을 거두며 리버스 스윕으로 플레이오프에 進出했다. 플레이오프에서는 2位 三星 라이온즈 와 두산 베이스가 激突했다. 플레이오프에서 두산과 三星은 5次戰 連續 한 點 差로 熾烈하게 勝負했다. 三星이 1勝 2敗의 狀況에서 4, 5次戰을 勝利하며 韓國시리즈에 進出했다.

韓國시리즈 編輯

韓國시리즈에서 시즌 1位 SK 와이번스 는 血鬪를 치르고 올라온 三星 라이온즈를 相對로 내리 4連勝을 거둬 歷代 6番째 韓國시리즈 4勝 全勝으로 統合 優勝하였다. 韓國시리즈 MVP로는 SK의 박정권 이 選定되었다.

올스타戰 編輯

各州 編輯

  1. 프로野球 示範競技 3月6日 플레이볼 Archived 2013年 10月 23日 - 웨이백 머신 《韓國日報》
  2. 示範競技 決算 ③ 昨年 3倍 17萬, 구름觀衆의 意味는? 《마이데일리》
  3. “프로 野球 史上 最初로 正規競技 講說 取消” . OSEN. 2010年 4月 14日 . 2010年 4月 14日에 確認함 .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4. “롯데 장원준, 2年 連續 시즌 첫 완봉승 主人公” . 노컷뉴스. 2010年 4月 15日 . 2010年 4月 15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編輯

韓國野球委員會
球團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