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힌두敎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힌두敎 ( Hinduism , 산스크리트語 : ?????? ???? ) 또는 社나타나 다르마 ( 산스크리트語 : ????? ???? )는 印度 神話 브라만교 를 基盤으로 形成된 印度 系統 多神敎 로, 印度 를 비롯한 南아시아 에서 널리 믿는 宗敎이자 印度 民族宗敎 및 最大宗敎이다. 힌두敎를 범引導校라 함은 힌두(Hind?)는 인더스강의 산스크리트 名稱은 넓은 江을 의미하는 ‘신두(Sindhu)’에서 由來했으며, 이는 印度와 같은 語源이기 때문이다. 힌두敎라고 할 때 民間 힌두敎 傳統과 베다 힌두敎 傳統에서 비슈누파 와 같은 박티 傳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複雜한 傳統 全體를 뜻한다. 또한 요가 傳統과 카르마 槪念에 기초한 每日의 道德的 삶과 힌두 結婚 風習과 같은 社會的 一般 規範도 包含한다.

힌두敎는 基督敎 이슬람敎 다음 가는 世界에서 3番째로 信徒 數가 많은 宗敎다. 그 數는 2005年 基準으로 9億 4,000萬名에 達한다. 힌두敎의 發生은 古代 印度 의 宗敎 思想인 베다 印度 神話 에서 비롯하며, 베다 思想은 紀元前 1500年 以前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베다 는 初期 힌두敎 宗敎이며, 그 經典은 現存하는 文學 文獻 中 가장 오래 되었다고 여긴다. 힌두敎 信者는 出身 地域이나 家門과 連繫한 神 하나를 섬기지만, 여러 神들의 存在를 否定하지 않는 多神敎的 一神敎 ( 擇日新敎 또는 一身崇拜 )다. 다양한 地域的 神들이 하나의 宗敎思想으로 聯合한 形態의 宗敎이므로 敎主(敎主) 卽 특정한 宗敎的 創始者가 없는 特徵이 있다.

名稱 編輯

힌두敎 로 飜譯되는 英語 힌두이즘 (Hinduism)이라는 名稱은 英國이 印度를 植民地로 삼으면서 印度의 宗敎에 恣意的으로 붙인 이름이다. 元來 힌두敎 信者들은 自身들의 宗敎를 힌두敎라고 부르지는 않았으며, 永遠한 다르마 (法則)라는 意味의 ' 社나타나 다르마 ( 산스크리트語 : San?tana Dharma )라'고 불렀다. 산스크리트語 社나타나 다르마는 힌두敎의 基本 敎義를 指稱하는 말이다. 社나타나( San?tana )는 永遠하다는 뜻이며 다르마 ( Dharma )는 法(法) 또는 法則으로 飜譯된다.

힌두이즘이란 말은 西洋 에서 宗敎 를 包含한 印度의 文化 의 特質을 總稱한 表現이다. [1] 따라서 가장 넓은 意味에서 힌두敎란 모든 印度 宗敎 를 包含한다. [1] 그러나 一般的인 意味에서 힌두敎란 外來 宗敎 이슬람敎  · 조로아스터교 (特히, 派詩敎 )? · 基督敎 를 除外하며, 印度 固有 宗敎 가운데서도 佛敎  · 자이나교 를 除外한다. [1] 가장 좁은 意味에서 힌두敎란 佛敎 자이나교 進出로 한때 後退하였던 베다 힌두敎 傳統, 卽 브라만교 8世紀 頃에 새로운 宗敎的 形態로 擡頭한 것을 意味한다. [1]

一般的으로 힌두敎라고 할 때는, 民間 힌두敎 傳統과 베다 힌두敎 傳統으로부터 비슈누파 와 같은 박티 傳統에 이르기까지, 위의 타 宗敎 들을 除外한 여러 다양하고 複雜한 傳統들 全體를 뜻한다. 이 一般的인 意味의 힌두敎에는 또한 요가 傳統이 包含되며, 카르마 槪念에 기초한 每日의 道德 的 삶과 힌두 結婚 風習과 같은 社會 적 一般 規範 도 包含된다.

歷史 編輯

發生 編輯

힌두敎는 古代 印度 에서 發生하였다. 힌두敎의 主要 經典 베다 는 紀元前 1500年 頃에 成立되어 베다 산스크리트語 로 記錄되었다.

傳播 編輯

近代 以前에 印度 附近의 네팔 , 인도네시아 地域에 傳播되었으며 近代에 이르러 印度人들의 移住에 따라 世界 各地로 傳播되었다. 힌두敎의 많은 神들과 主要 思想은 佛敎 에 큰 影響을 주었으며 佛敎의 傳播와 함께 힌두敎의 神話와 傳說이 傳播되었다.

네팔 은 2008年 힌두敎를 國敎로 指定했었지만 2015年부터 民主化로 因해 國敎가 아니게 되었다. 印度는 宗敎의 自由 를 認定하나 많은 사람들이 힌두敎를 믿는다. 또한 힌두敎는 굽타王朝의 支援 아래 擴散되었다.

아프리카 國家 中에서는 마다가스카르 東쪽의 모리셔스 가 힌두敎가 宗敎 中 最多 比重을 차지하고 있다.

經典 編輯

힌두敎의 停電은 베다  · 우파니샤드 이며 그 外에도 브라마나  · 수트라 等의 文獻이 있는데, 이 모든 것들은 印度의 宗敎的? · 社會的 理念의 源泉이 되고 있다. 또한 經典에 準하는 것으로 《 마하바라타 》와 《 라마야나 》(라마의 奇行)의 2大 敍事詩가 有名한데, 特히 前者의 一部인 《 바가바드 其他 》는 널리 愛唱되고 있다. 이 外에 푸라나  · 탄트라  · 아가마  · 上히타 等이 힌두敎 各 派에서 尊重되고 있다.

宗派 編輯

 
힌두敎 人口 分布

조금 富裕한 北쪽地方과 브라만 階級과 크샤트리아 階級中에서는 비슈누파 가 많고 南쪽의 가난한 地方과 수드라 階級과 不可觸賤民人 찬달라 에게는 시바파 가 많다.

敎理 編輯

基本 敎理 編輯

힌두敎의 基本 敎義는 宇宙의 法則과 人間의 輪廻를 根幹으로 한다. 힌두敎의 敎義를 이루는 基本 槪念들은 大部分 以後 佛敎 , 자이나교 , 시크교 等 印度에서 發源한 다른 宗敎에 導入되었다.

宇宙論 編輯

힌두敎에 따르면 宇宙는 生成, 發展, 消滅을 反復한다. 브라흐마 神이 宇宙를 生成하고 비슈누 神이 宇宙를 維持, 발전시키며 시바 神이 宇宙를 소멸시킨다. 마치 季節이 바뀌듯 宇宙의 時間도 바뀌어 結局에는 낡은 宇宙가 消滅되고 새로운 宇宙가 만들어진다.

輪廻 編輯

輪廻( 산스크리트語 : ?????,Samsara )는 돌아간다는 뜻이다. 흔히 수레바퀴로 象徵된다. 수레바퀴가 한바퀴 돌아 제자리로 돌아가듯 人間 亦是 이 番 生涯에서 다음 生涯로 돌아간다는 뜻이다.

힌두敎의 敎義에 依하면 人間 亦是 宇宙 안에서 끊임없이 낳고 죽기를 反復하며 輪廻한다. 人間이라 하더라도 다음 生涯에는 짐승으로 태어나기도 하며 薦新으로 태어나기도 한다. 이러한 數없이 많은 輪廻의 過程에서 사람은 한 人生을 살면서 쌓은 業( 산스크리트語 : Karma )에 依해 다음 生涯가 決定된다. 다르마에 따른 삶을 살다 죽으면 다음 生涯에는 보다 高貴한 存在로 태어난다. 다르마에 어긋나는 삶을 살면 高貴한 存在라 할지라도 다음 生涯에는 卑賤한 存在로 태어난다.

브라흐만 編輯

브라흐만 ( 산스크리트語 : Brahman )은 宇宙의 眞理 또는 宇宙 自體를 가리키는 말이다. 힌두敎의 最上位 目標는 '참된 나'인 아트만이 '宇宙의 眞理'인 브라흐만과 하나가 되는 것이다. 카스트 制度의 가장 上位階層을 브라만이라고 稱한 것은 이들이 스스로 브라흐만을 求하는 것이 自身들의 業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編輯

힌두敎의 신은 브라흐마 ( Brahma ), 비슈누 ( Vishnu ), 시바 ( Shiva )의 삼주新 ( Trimurti,三主神 )과 여러 男神, 女神들로 이루어져 있다.

아트만 編輯

힌두敎에서 生命 과 같은 意味로 쓰였으며 아트만 의 元來 뜻은 숨쉰다는 뜻이다. 韓國에서 生命을 목숨으로 表現하는 것과 類似하다. 숨쉬는 生命 아트만( 산스크리트語 : ??????,Atman )은 '나'를 말한다. 그러나, 끊임없이 輪廻하는 삶에서 只今의 나는 '참된 나'가 아니다. 只今의 나는 過去의 輪廻를 거치는 동안 내가 쌓은 業( 산스크리트語 : Karma , 業)에 依한 것이다. '참된 나'는 輪廻의 過程에서 繼續하여 存在하여 없어지지도 않고 變하지도 않는 '나라는 生命의 本質'을 뜻한다.

카르마 編輯

카르마( 산스크리트語 : Karma )는 (業)으로 漢譯(漢譯)된다. 살아가면서 하는 모든 行爲를 말한다. 업에는 다르마( 산스크리트語 : Dharma )에 마땅한 業果 다르마를 거스르는 業이 있다. 先業 (善業)으로 漢譯(漢譯)되는 '善한' 카르마는 다르마에 마땅한 業을 쌓는 것을 의미하며 善業을 쌓으면 다음 輪廻에 보다 尊貴한 存在가 된다. 다르마를 거스르는 惡業 (惡業)을 쌓으면 다음 輪廻에 보다 微賤한 存在가 된다.

다르마 編輯

다르마 [2] ( 산스크리트語 : Dharma )는 法(法)으로 飜譯된다. 이때 '法'李 의미하는 바는 宇宙에 存在하는 永遠한 法則이기도 하며 모든 生命이 마땅히 따라야할 本質을 말하기도 한다. 古代 印度에서 由來한 身分制度人 카스트 制度 에 依한 各 身分의 다르마는 브라만 의 智慧, 크샤트리아 의 勇猛, 바이샤 의 勤勉이다. 플라톤 이 《 國家 》에서 提示한 三階級說과 類似하다.

모크샤 編輯

모크샤 브라만 과 合一되는 것 또는 깨달음 을 얻는 것을 말한다.

倫理 編輯

槪要 編輯

힌두敎의 敎義에 依해 힌두敎徒들은 現世의 富貴를 前生에 依한 補償으로 생각하며 現世의 苦難을 來世의 補償을 받기 爲한 機會로 여기게 된다. 이러한 性格으로 인해 힌두敎는 現世的이며 世俗的인 性格이 剛한 祈福 信仰의 性格과 冥想 요가 苦行 과 같은 神祕主義 的 性格을 同時에 지닌다.

소고기 編輯

힌두敎人들은 소고기를 먹지 않는다. 그 理由는 絶對人格神 바加飯 크리슈나는 소를 돌보는 木洞이었고 소를 아주 사랑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먹기도 한다.) 크리슈나는 乳製品을 사랑했으며 "나에게 꽃과 잎 한 송이 물 或은 牛乳를 바치면 난 그것을 기쁘게 받아들이겠다."라고 바가바드 其他 9張 28節에서 記錄되어있다.

그리고 베다 에 따르면, 善한 生을 산 사람은 다음 生에 보다 윗 段階의 存在로 태어나고, 惡한 生을 산 사람들은 다음 生에 그보다 아랫段階의 存在로 떨어지는데, 가장 낮은 段階의 生物은 惡魔와 같은 邪惡한 일을 하는 存在이며 가장 높은 段階의 生物은 人間이다. 惡魔에서 人間이 되기까지는 86番의 還生을 거쳐야만 하며, 이 過程에서 人間의 바로 前 段階의 生物을 소로 보고 있다. 거기에 한 마리의 소 안에 3億名 以上의 神이 存在한다고 믿고 있는데, 소를 죽이거나 먹은 사람은 神聖冒瀆 取扱을 받아 다음 生에 無條件 罰을 받게 된다. [3]

그러니 소는 神聖한 家畜으로 여겨지고있으며, 아힘사 卽 非暴力은 社나타나 다르마의 基本 倫理이기에 絶對 動物을 殺生하지 않는다.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힌두敎〔序說〕"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2. 義務, 한 個人이 家族, 親族, 카스트 構成員으로서 가지는 義務와 責務
  3. 해리스, 마빈. 《飮食文化의 수수께끼 (The Sacred Cow and The Abominable Pig: Riddles of Food and Culture)》. 서울: 한길사. ISBN  9788935600229 .  

參考 文獻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