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黃沙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黃沙

主로 中國과 몽골 地方에 位置한 沙漠의 모래가 바람에 섞여 氣流를 타고 다른 地域으로 날아오는 氣象 現象

黃沙 (黃沙/黃砂, 英語 : yellow dust, yellow sand, yellow wind, China dust storms, Asian dust )는 主로 봄철 中國 이나 몽골 의 沙漠에 있는 모래 와 먼지가 上昇하여 偏西風 을 타고 멀리 날아가 徐徐히 가라앉는 現象을 말한다. 土宇 (土雨), 흙비 라고도 한다. 아시아 大陸에서는 中國 大韓民國 , 日本 順으로 봄철에 黃沙의 被害를 가장 많이 입고 있는데, 그 發生 期間이 길어지고 汚染物質이 包含되는 等, 每年 심해지는 趨勢이다. 黃沙는 아프리카 大陸 北部의 사하라 沙漠 에서도 發生한다.

黃海와 東海를 뒤덮은 黃沙. ( 2001年 3月 21日 )

黃沙는 그 속에 섞여 있는 石灰 等의 알칼리 性 成分이 酸性비 를 中和함으로써 土壤과 湖水의 酸性化를 防止하고, [1] 植物과 바다의 플랑크톤 에 有機鹽類를 提供하는 等의 長點이 있지만, 人體의 健康이나 農業을 비롯한 여러 産業 分野에서 被害를 끼쳐 黃沙 防止를 위한 汎國家的 對策이 要求되고 있다.

原因

編輯
 
서울 上空을 뒤덮은 黃沙. ( 2008年 4月 25日 )

바람에 依해 地表의 土壤 一部가 大氣 中으로 올라가서 먼 곳까지 移動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條件이 必要하다. 于先 이들 土壤 一部를 大氣 中으로 옮길 수 있는 剛한 바람이 있어야 하고, 地表面의 土壤은 흙가루가 매우 작고 乾燥하여야 하며, 地表面에 植物 群落 等이 形成되어 土壤 一部가 空中으로 떠오르는 것을 妨害해서는 안 된다.

黃沙의 發源地인 中國과 몽골의 沙漠 地域과 그 一帶는 黃沙가 만들어지기에 적합한 條件을 가지고 있다.

黃沙가 發生하는 地域의 大部分은 海拔 約 1000m 以上에 있어서 强한 바람을 타고 韓半島 等 東北亞 地域으로 移動하기가 더욱 수월하다. 特히, 눈이나 비가 적게 내리는 境遇 黃沙는 더욱 심해진다.

地球溫暖化 의 影響으로 沙漠化 가 가속되고 있는 中國의 半乾燥地域은 氣候의 影響을 敏感하게 받아서, 겨울철 가뭄이 甚한 境遇 指標가 매우 乾燥해져서 봄철에 强한 바람에 依해서 大氣 中에 黃沙가 發生한다.

黃沙 發源地는 偏西風 臺에 位置함에 따라 西쪽에서 東쪽으로 바람이 분다. 特히, 봄철에는 剛한 低氣壓 이 主로 滿洲 쪽에 자리잡게 됨으로써 强한 바람의 風向이 韓半島와 日本으로 向하게 되고, 이러한 條件이 만족되면 黃沙가 發生하게 된다.

歷史上의 記錄

編輯

古代 (紀元前 57年 ~ 紀元後 938年)

編輯
古代의 黃沙 發生 記錄
鳶島 王朝 기타
174 新羅 우토(雨土)의 最初 記錄
379 百濟 하루終日 우토(雨土)發生
389 新羅 -
606 百濟 백제 都邑에서 우토(雨土)發生
627 新羅 -
644 高句麗 겨울철에 붉은 눈이 내림
770 新羅 -
780 新羅 -
850 新羅 -

韓國에서 나타나는 黃沙에 關한 最初의 記錄은 三國時代 에서 찾을 수 있다. 當時 新羅 時代의 阿達羅王 21年(174年) 에 우토(雨土)라는 記錄 [2] 이 나온다. 여기서 禹(雨)란 빗방울을 의미한다기보다는 떨어진다는 움직임으로 解釋 되며 土(土)는 土壤을 의미하므로, 이는 只今의 黃沙를 뜻한다고 할 수 있다. 三國史記 에는 이 해에 우물이 마르는 等 가물었다고 記錄되어있다. 이 後에도 379年과 606年에 百濟 에 하루 終日 우토 現象이 있었다고 記錄되어 있으며 389年과 627年에는 新羅에서 우토 現象을 發見할 수 있다. 新羅 에서는 770年, 780年, 850年에 各各 우토에 關한 記錄이 남아있다. 우토라는 用語가 쓰인 記錄 外에도 高句麗 에서 644年에 붉은色 눈이 내렸다는 記錄 [3] 이 있는데 이는 黃沙에 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高麗時代( 918年 ~ 1392年 )

編輯

總 59件 64日間의 黃沙記錄이 남아있으며 봄철의 記錄이 가장 많으며 여름에는 記錄이 없다.

朝鮮時代( 1392年 ~ 1910年 )

編輯

朝鮮時代에는 世宗 23年에 測雨器 가 考案되는 等 다양한 科學技術이 發達하여 氣象現象의 觀測과 記錄이 더욱 活潑해졌다. 朝鮮王朝實錄 明宗 組를 보면, 1550年에는 漢陽 에서 흙이 비처럼 떨어졌으며 全羅道 地方에는 지붕과 밭, 잎사귀에 누렇고 허연 먼지가 덮였다고 表現되어있다. 또한 降水 , , 안개 , 雨雹 等 다른 氣象現象 에 同伴된 黃沙現象 記錄도 찾을 수 있다. 黃沙記錄은 16世紀에 가장 많으며, 壬辰倭亂 前後 43年間은 全無하다. 朝鮮時代에는 總105件 114日間의 黃沙記錄이 남아있다.

近代( 20世紀 ) 以後

編輯

近代 觀測된 서울에서의 黃沙日數를 보면 1930年代 末부터 1940年代 初까지의 황사일수가 가장 많았으며 最近에 1980年代에는 黃沙發生일이 3.9日에서 1990年代에는 7.7日, 2000年 以後에는 12.8日, 2008年은 15.29로 增加하고 있다. 지난 100年 동안 大部分의 黃沙現象(藥85%)은 봄철 4月에 觀測되었으며 겨울에도 이따금 나타났다. 西洋宣敎師의 記錄에 黃沙를 '黑非'(흙비)라고 불렀다는 記錄이 있다.

國家別 黃沙의 分類

編輯

黃沙의 發源地 바로 東쪽에 近接한 中國, 韓國, 日本이 黃沙의 被害를 가장 甚하게 입으며, 黃沙를 分類하는 方法에는 各 나라 別로 差異가 있다. 特히 黃沙의 被害에 가장 敏感한 中國이 그 分類가 細分되어있다.

國名 ‘黃沙’가 보이는 날씨의 名稱 判定에 使用하는 氣象 要素 各國의 基準
中國
  • 모래먼지 날씨
  • 모래暴風 날씨
    • 强한 날씨에 對해서
      黑風(黑風)이라는
      用語 使用
市政 과 風俗
  • 不振(浮塵)
    • 市政 10km以下
  • 兩社(揚砂)
    • 市政 1~10?km
  • 寫眞幅(砂塵暴)
    • 市政 1km以下
  • 講師振幅(?砂塵暴)
    • 市政 500m以下
    • 瞬間風速 17.2m/s以上
  • 極講師振幅(極?砂塵暴)
    • 市政 50m以下
    • 瞬間風速 24.5m/s以上
大韓民國
  • 黃沙

市政
待機 에어로졸 (aerosol) [4]
濃度

  • 是正을 目測하여 레벨0, 레벨1, 레벨2로 나눈다.
    • 弱한 黃沙
      • 1時間平均 微細먼지(PM10 [5] ) 濃度가 400㎍/m 3 未滿일 때
    • 强한 黃沙
      • 1時間平均 微細먼지(PM10) 濃度가 400~800㎍/m 3 程度일 때
    • 매우 剛한 黃沙
      • 1時間平均 微細먼지(PM10) 濃度가 800㎍/m 3 以上일 때
日本
  • 黃沙
市政
  • 市政 10km以下
    • 觀測 擔當者의 判斷으로 決定

被害

編輯
 
自動車에 쌓인 黃沙 粒子들. ( 2006年 베이징 )

黃沙는 太陽의 日射量을 감소시키며, 肺呼吸機 患者와 早期 死亡者를 늘리고, 航空, 運輸, 精密産業 等에 많은 被害를 준다. [6]

黃沙가 부는 地域은 時計가 줄어들며, 黃沙 먼지는 氣管支의 刺戟이나 喘息 外에도 여러 方面에서 一般人의 健康에 威脅을 준다. 黃沙가 불 때에는 그 甚한 程度에 따라 집 밖에서 活動을 避하도록 勸告하고 있다. 喘息이나 다른 呼吸器 疾患 患者에게 黃沙는 致命的일 수 있다. 黃沙 먼지의 被害 地域에서는 死亡率이 1.7% 增加했다는 調査 結果가 發表되기도 하였다. [7]

모래 自體는 土壤에 해롭지 않지만, 을 排出하여 酸性비 의 原因이 된다. 모래 暴風은 또한 土壤의 質을 저하시켜 農地를 破壞하며, 재와 그을음, 重金屬 이 蓄積되기도 한다.

黃沙와 함께 내리는 汚染된 비는 松蟲이를 죽이는 效果가 있으며, 사람의 皮膚에 매우 해롭다. [6]

黃沙가 한番 發生하면 東아시아 上空에 떠도는 微細먼지의 規模는 約 100萬t에 이른다. 이 가운데 韓半島에 쌓이는 먼지는 15t 짜리 덤프트럭 4,000代에서 5,000代 分量인 46,000t에서 86,000t에 達하는 것으로 推定된다.

汚染物質

編輯

黃( 酸性비 의 原因 中 하나), 그을음, 再, 一酸化炭素, 其他 重金屬( 輸銀 , 카드뮴 , 크롬 , 砒素 , , 亞鉛 , 九里 等)과 發癌物質 을 包含한 毒性 汚染物質들은 種種 모래 暴風을 同伴하며, 바이러스 , 細菌 , 곰팡이 , 寄生蟲 , 抗生物質 , 石綿 , 除草劑 , 플라스틱 조각, 燃燒 生成物, 프탈레이트 等을 包含하기도 한다. [8]

나라別 被害

編輯
中國

베이징이 黃沙의 根源地에 가까이 位置하여 每年 初 被害를 입는다. 1988年 4月末에는 모래暴風으로 베이징 空港이 閉鎖되어 큰 被害를 입었다. [9]

大韓民國

2002年의 黃沙 被害額은 年間 5萬 5千원에 達했다. 卽, 國民 1人當 2千원씩의 被害를 보았다. [ 出處 必要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서는 2005年 發表를 통해, 大韓民國에서는 黃沙로 인해 한해 最大 181萬 7千餘 名이 病院治療를 받고 165名이 死亡하기도 하며 有·無形의 被害를 貨幣 單位로 換算할 境遇 한해 最大 7兆 3千億餘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또 全國 1千名을 對象으로 2000年∼2004年 黃沙被害 經驗 類型을 設問調査한 結果 35.4%가 年平均 2次例꼴로 黃沙로 인한 疾患을 앓은 적이 있는 것으로 調査되었다. 最近의 黃沙는 硅素, 鐵, 알루미늄, 납, 카드뮴 成分이 들어 있어 大氣中 重金屬 濃度를 높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 出處 必要 ]

防止 對策

編輯

環境長官會議(TEMM)은 中國, 大韓民國, 日本의 環境長官들이 모여서 環境에 對해 論議하는 자리이다. 最近 黃沙에 依한 被害가 增加하면서 TEMM에서 黃沙와 關聯된 論議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中國

編輯

黃沙의 發源地인 中國과 몽골의 境遇 黃沙問題를 汚染이라기보다는 沙漠化 로 인한 天然災害라는 觀點에서 接近한다. 따라서 中國의 黃沙 被害 防止 努力은 어떻게 하면 沙漠化 를 막을 것인가로 나타난다. 따라서 中國은 生物學的 對策· 프로젝트의 展開· 産業 構造調整 措置 等을 實行하고 있다.

大韓民國

編輯

大韓民國의 境遇 發生原因이 中國과 몽골이고 大韓民國은 團地 黃沙의 被害地域이라는 點에서, 被害의 早期豫報에 大韓民國 國內의 努力이 集中되어 왔다. 卽 黃沙가 偏西風 을 타고 必然的으로 大韓民國의 國境 內로 들어오게 되어 있는 만큼, 黃沙의 發生부터 移動까지의 經路 및 그 影響을 미리 豫報함으로써 被害를 最少化하자는 것이다. 黃沙豫報 段階는 아래와 같다.

黃沙警報
黃沙로 인해 1時間 平均 微細먼지(PM10) 濃度 800㎍/m 3 以上이 2時間 以上 持續될 것으로 豫想될 때
黃沙注意報
黃沙로 인해 1時間 平均 微細먼지(PM10) 濃度 400㎍/m 3 以上이 2時間 以上 持續될 것으로 豫想될 때

하지만 黃沙豫報만으로는 本質的인 被害 豫防이 될 수 없다. 따라서 最近 東北아시아 黃沙對應 地球環境基金(GEF)事業 參與하여 黃沙問題에 對한 根本的인 解決方案을 마련하려고 努力 中이다. GEF事業은 한·중·일·몽골 및 유엔環境計劃(UNEP), 아시아開發銀行(ADB), 아시아太平洋經濟社會委員會(ESCAP) 等 關聯 國際機構가 共同으로 黃沙問題에 對應하기 위한 것인데, 地域協力體制 構築, 黃沙 모니터링, 早期警報 네트워크 構築 프로그램 準備 및 8個 黃沙防止 示範事業地域을 選定하여 示範事業 實施 等을 計劃하고 있다.

나무심기

編輯

2009年 4月 韓國鑛害管理公團 몽골 투브 週 政府와 "光害(鑛害) 復舊를 위한 造林事業 및 活用"에 關한 諒解覺書 (MOU)를 締結했다. 이에 따라 韓國鑛害管理公團은 몽골 政府로부터 汝矣島 面積의 約 33倍에 該當하는 1萬ha(3千萬坪)의 造林地를 無償으로 제공받아 50年間 쓸 수 있게 되었다. 向後 事業 結果에 따라 無償 造林地 規模를 50萬ha까지 擴大하기로 하였다.

日本

編輯

日本의 境遇 中國과 大韓民國에 비해 比較的 黃沙의 被害가 적은 地域으로 資本과 技術力으로 黃필터를 設置하여 黃沙의 被害를 막고자한다.

美國

編輯

美國은 ACE-Asia(Aerosol Characterization Experiment - Asia)을 통하여 아시아地域의 에어로솔 特性 觀察 및 硏究에 努力하고 있다.

參考 資料

編輯
  • 情緖用, 東北아시아 環境協力?: 黃海와 黃沙, 집문당, 2005
  • 이訛寫카 野스노部 저, 金泰浩 驛, 黃沙 그 수수께끼를 풀다, 푸른길, 2008
  • 21世紀平和硏究所 篇, 黃沙黃砂, 東亞日報社, 2004
  • 강광규, "大氣汚染으로 인한 社會的 被害 費用," KEI 報道資料,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2)
  • C.DONALD AHRENS 저, 민경덕 驛, 大氣環境科學, 시그마프레스, 2006
  • 農村振興廳, 黃沙 2004年 3月號
  • 氣象廳 , 黃沙豫報法 2002
  • 環境部 , 黃沙의 影響과 對策 2002
  • 環境部, 東北亞 黃沙對應 GEF 事業 關係부터·전문가 會議 資料집
  • Y. Chun, Long Transport of YellowSand with Special Emphasis onthe Dust Rise Conditions in the Course Region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6)
  • Y.S.Chung and M.B.Yoon, "On the occurrence of yellow sand and atmospheric loadings." Stmos. Environ., Vol.30(1996)

各州

編輯
  1. '不請客'黃砂 酸性化 豫防엔'효자', 《東亞日報》, 1999.3.29
  2. 《三國史記》 卷2, 〈新羅本紀〉2, 阿達羅王 21年(174) 1月
  3. 《三國史記》 卷21, 〈高句麗本紀〉9, 保障王 2年(644) 10月
  4. 人間에 依한 發生 또는 自然 發願에 依해 大氣 속으로 進入하는 液體 및 固體 微粒子
  5. 크기가 10㎛ 以下인 微細 먼지
  6. 黃砂 타클라마칸砂漠서도 날아와, 《東亞日報》,1990.4.10
  7. “致命的인 極微細먼지” Archived 2015年 11月 5日 - 웨이백 머신 , 《신동아》, 2002.5.1
  8. “Ill Winds” . Science News Online . 2010年 2月 18日에 確認함 .  
  9. 黃砂, 《경향신문》, 1990.4.10

같이 보기

編輯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