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黃金의 自由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黃金의 自由 ( 라틴語 : Aurea Libertas ; 폴란드語 : Złota Wolno?? ) 或은 貴族共和國 ( 폴란드語 : Rzeczpospolita Szlachecka, Złota Wolno?? , 라틴語 : aurea libertas ) 或은 貴族民主主義 폴란드 王國 루블린 聯合 (1569年) 後 폴란드-리투아니아 聯邦 에서 作用했던 貴族支配 (aristocratic)에 依한 民主主義 政治 시스템을 말한다. 이 시스템 아래서 領地를 所有한 모든 貴族( 슐라흐타 )이 法的으로 平等하였고, 대단히 많은 여러 特權을 領有했다. 이 特權에 기초해 貴族階級은 立法府 (Władza ustawodawcza)였던 세임 (Sejm; 폴란드 議會)을 支配하고, 國王을 選擧를 통해 選出 卽, 選擧君主制 가 導入되었다.

《힘의 頂點에 선 除置포스폴리打 , 黃金의 自由, 1573年의 國王選擧 》( Pot?ga Rzeczypospolitej u zenitu. Złota wolno??. Elekcja R.P. 1573. ) 1889年 얀 마테이코 作品

發展

編輯

이 政治 體制는 貴族 身分인 슐라흐타가 都市民, 商工業者人 부르주아 및 法曹人 等 其他 여러 身分階層과 國王을 政治의 場所에서 排除시킬 수 있을 程度로 强力한 것이다. 슐라흐타는 미하일 奴婢 法令(Nihil novi, 1505年), 헨리크王의 條項 (1573年), 그리고 그 後에 맺어진 수많은 페크타 콘벤타 (Pacta conventa, 先出市에 이루어진 國王과 貴族間의 契約)을 통해 여러 가지 特權을 繼續 얻어냈고, 君主가 그들의 特權에 손대는 일은 決코 容恕하지 않았다. 이 聯合共和國의 政治原則은 "우리들 國家는 國王의 減毒下에 있는 共和國이다"(our state is a republic under the presidency of the King)라는 것이다. 宰相 얀 字母이스키 (Jan Zamoyski)는 이 原則을 "國王은 君臨하지만, 統治하지 않는다"(Rex regnat et non gubernat" ("The King reigns but does not govern")라고 要約하였다.

國家의 頂點에 있는 것은 選擧를 통해 選擇된 國王, 上院, 그리고 莫强한 權力을 갖추고 있던 歲任意 3字였다. 國王에게는 헨리크 條項과 先出市에 맺어지는 페크타 콘벤타에 依해, 市民(슐라흐타)의 權利를 尊重하는 것이 義務가 되었다. 國王은 巨大 勢力인 貴族層의 意向에 따라 그 權力을 매우 制限 받았다. 歷代 國王은 폴란드 政治시스템의 根幹(그리고 大略 確立된 것이라고는 말하기 어려운 宗敎的 寬容 (religious tolerance)의 根幹)을 若干 보더라도, 헨리크 條項을 承認하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 以後 헨리크 條項은 페크타 콘벤타의 內容과 합쳐져, 國王 選出 時 重要한 盟約 中 하나가 되었다.

"黃金의 自由"(이말은 야기에우워 王朝 斷絶 直後 1573年부터 使用되기 始作했다)의 政治시스템은 以下의 原則을 基礎로 하고 있다.

  • 國王 自由選擧 (free election) ? 國王은 投票를 希望하는 모든 슐라흐타에 依한 自由選擧에 依해 選擇된다.
  • 세임 (Sejm;下院議會) ? 議會인 歲임은 國王에 依해 2年에 한番 召集된다.
  • 페크타 콘벤타 (pacta conventa( 라틴語 ), 議會에 關聯된 契約) ? 卽位時 國王과 貴族(國政參加者)사이에서 맺어진 契約. 여러 權利의 請願도 이루어진다. 國王의 政治行動을 束縛하고, 헨리크 條項 에 起源을 갖고 있다.
  • 로코슈 (rokosz, 抵抗權(insurrection))-슐라흐타는 그들이 保障 받은 여러 特權이 國王에 依해 威脅 받는 狀況에서는 叛亂을 일으키는 것을 法的으로 認定 받는다.
  • 리베룸 베土 (liberum veto(라틴語), 自由拒否權) ? 여러 個의 地方代表가 歲任意 決意에 對해 多數派의 意見에 反對할 수 있는 權利. 歲任意 會期 中 모든 法案을 廢棄할 수 있는 無制限 拒否權이란 뉘앙스로써 이야기 되는 일이 많다. 17世紀 後半 危機의 時代에 들어서 리베룸 베土는 地方議會에 있던 세이미크 (sejmiks)에게도 適用되었다.
  • 콘페데라齒牙(konfederacja, 라틴語 confederatio에서 由來, 政治聯盟) ? 共通의 政治目的을 위해 團體(政黨 및 回派)를 結成할 수 있는 權利.

共和國의 政治시스템에는 單純한 範圍를 適用하는 것은 어렵고, 여러 가지 모델을 當時 狀況에 맞춰 說明했기 때문에 統一的인 見解는 없다.

  • 共和國의 性格에 關聯해 國家聯合 (confederation), 聯邦 (federation), 2國家 各自의 自治 體制(autonomy)(말하자면 兩國의 地位는 對等)中 어떤 것이었던가 問題였다. 共和國을 3個 中에 이것이다라고 判斷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 寡頭制 (oligarchy) [1] . 슐라흐타들이 參政權을 갖고 있더라도 그들의 階層은 人口의 約 10%만을 占有하고 있기 때문에 少數에 依한 支配라는 이미지가 있다.
  • 모든 슐라흐타에게 對等한 權利와 特權이 내려진 民主政治. 그들의 뿌리인 世임이 立法, 外交, 宣戰布告, 課稅(旣存의 稅制 變更, 새로운 稅制의 制定)라는 重要한 事項에 對해 國王에게 反對意思를 내비칠 수 있다. 聯邦은 當時 유럽 여러 나라 中에 가장 높은 約 10% 參政權者를 갖고 있었다. 프랑스에서는 1831年의 時點에서 人口의 約 1%, 1867年의 英國에서는 約 3%에게만 參政權이 주어진 것에 지나지 않았던 것과 比較해 매우 對照的이다.
  • 選擧君主制 (elective monarchy). 슐라흐타에 依해 選出된 國王, 말하자면 世襲君主가 아닌 國王이 國家의 首長이라는 點.
  • 立憲君主制 (constitutional monarchy). 말하자면 君主가 페크타 콘벤타 및 其他 法律에 依해 契約되어, 슐라흐타는 國王이 法的으로 不正한 行爲를 한 境遇 따를 義務가 없다고 한다.

評價

編輯

"黃金의 自由"는 매우 特異해서 이를 評價하는 것에는 많은 論爭거리가 있는 政治시스템이다. 이것은 유럽의 主要國家에서 絶對主義 (absolutism)가 支配했던 時代에 있어 例外的으로 權力이 强力한 貴族의 支配와 弱體化된 王權으로 構成된 點에서 特徵 있는 性格을 나타내었고, 어떤 意味에서 近代的 價値와 비슷한 要素를 갖추기도 했다 [2] . 유럽이 中央集權化 (centralization), 絶對君主制 (absolute monarchy), 宗敎 戰爭 및 王朝에 依한 다툼에 直面했을 時期, 共和國은 地方 分權 (decentralization) [1] , 國家聯合 聯邦 第, 民主 政治, 宗敎的 寬容 거기에 平和主義 (pacifism)까지도 經驗했다. 슐라흐타가 여러 番 國王에 依한 戰爭 計劃을 廢止한 것은 民主的 平和論(democratic peace theory) [3] 에 關聯된 論議에 該當하는 것으로도 보인다. 黃金의 自由 시스템은 民主主義 [4] , 立憲君主制 [5] [6] [7] , 聯邦 [1] 의 先驅的 存在로써 評價 받기도 했다. 共和國의 市民이었던 슐라흐타 는 抵抗權, 社會契約, 個人의 自由, 合意에 기초한 政治運營, 獨立心의 尊重이란 價値를 稱讚 받았으나, 이것은 世界的으로 본다면 近代에 이르러 널리 普及된 自由主義 民主政治 [2] (Just as liberal democrats of the 19th and 20th century, the Polish nobleman were concerned about the power of the state.) [8] 의 槪念이었다. 19-20世紀의 自由 民主主義者였던 슐라흐타는 國家權力에 對해 剛한 不安을 안고 있었다. 폴란드 貴族은 國家의 權威主義 (authoritarian)에 對해서 剛한 反感을 가지고 있었다 [9] .

아마 폴란드의 "貴族民主主義者"에 가장 비슷한 사람들은 유럽에는 없고, 아메리카 合衆國(正確히는 南部)의 奴隸 (slave)를 所有한 "貴族"들 中에는 있었다. 奴隸를 所有한 民主主義者들, 그리고 조지 워싱턴 , 토머스 제퍼슨 等 아메리카 建國의 아버지들은 貴族共和國의 改革派 슐라흐타들과 많은 價値觀을 共有했다 [10] . 近代史에 있어 폴란드-리투아니아 共和國이 1791年 世界에서 2番째의 成文憲法 1791年 5月 3日 憲法 을 制定한 것은 偶然이 符合된 것은 決코 아니었던 것이다 [11] .

한便 黃金의 自由의 受益者는 貴族에 限定되어 있어, 小作農 및 都市民은 여기서 排除 된 것에 對해 批判的인 指摘도 存在한다 [12] . 人口의 大多數를 차지하는 그들은 어떤 法的 自由도 保障 받지 못하고, 貴族의 橫暴로부터 몸을 지킬 수도 없어 都市의 發展은 停滯되고, 地方에서는 農奴制가 一般的인 것이 되었다 [13] . 後代 時代 사람들은 當時 폴란드를 되돌아 보고, 共和國은 "貴族의 天國, 유대人의 樂園, 農民의 地獄" [14] 이었던 것이라는 批判的인 主張도 있었다. 現在도 이 見解에 對해 檢證은 充分히 이루어졌다고는 말할 수 없는 狀況이다. 그리고 貴族階級人 슐라흐타 自身도 그들 中에서도 强大한 權力을 지닌 大貴族(마그나트)에게 從屬되어 自由를 빼앗겼다 [12] [15] .

黃金의 自由는 極端的인 狀況에서 그 徹底하던 自由主義는 사라지고, "內戰과 侵略, 國家의 弱體와 優柔不斷 및 愛國心의 缺如"을 招來했다는 非難을 받았다 [16] . 絶對主義와 國民國家라는 "近代的" 政治 시스템의 建設에 失敗했기 때문에 共和國은 리베룸 베土 [15] 를 되풀이하면서 徐徐히 衰退를 繼續했고, 無政府 狀態 의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들게 되었다. 슐라흐타의 大多數는 自身들이 完璧한 體制의 國家에 살고 있다고 믿고 있었고, 一部의 사람들이 黃金의 自由와 사르만티즘 (Sarmatism) 美學에 疑惑을 느끼고 있음에도 不拘하고, 아직 그것을 느낄 수 있는 時期는 늦어졌다 [17] . 슐라흐타는 近代的인 常備軍과 그 强化를 위한 稅金을 支拂하는 것을 拒絶하고 [18] [19] , 마그나트는 여러 나라와 손을 잡으면서 共和國의 政治시스템을 마비시켰기 때문에 共和國은 着實히 軍事力 및 能率性(말하자면 官僚制 )을 構築하여 周邊 여러 나라에 對抗하려던 것이 水泡로 돌아갔고 [20] , 外國의 貪慾的인 標的이 되었다. 그래서 18世紀 後半, 周邊 絶對主義 여러 나라에 依해 分割되어 倂合되는 일 이 벌어지게 되었다 [7] [21] .

비슷한 시스템

編輯

黃金의 自由는 同時代의 世界에서 由來를 찾을 수 없는 國家體制를 출현시켰으나, 베네치아 共和國 [22] 과 같은 都市國家 의 政治시스템과 몇가지 비슷한 部分이 있었다. 흥미로운 것은 兩쪽이 모두 " 가장 高貴한 共和國 "(Most Serene Republic) [23] )을 自稱했던 것이다. 폴란드의 政治制度에 있어 最大의(그 當時로써는 唯一하다고 말할 수 있는) 弱點이던 리베룸 베土를 採用하지 않았던 이탈리아의 都市國家는 폴란드와 비슷한 運命을 맞이하지는 않았다. 프랑스와 스페인, 그리고 로마 敎皇은 이탈리아를 分割하려는 議論에 들어가는 일을 할 수 없었다. 이들 國家들은 합스부르크 家門의 支配에 對抗하여 사르데냐 王國이 1861年 이탈리아를 統一해 國民國家를 創設할 때까지 危殆로운 存在였다.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Aleksander Gella , Development of Class Structure in Eastern Europe: Poland and Her Southern Neighbors , SUNY Press, 1998, ISBN  0-88706-833-2 , Google Print, p13
  2. Norman Davies,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in Two Volum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ISBN  0199253390 , p.262
  3. Frost, Robert I. 《The Northern Wars: War, State and Society in northeastern Europe, 1558?1721》. Harlow, England; New York: Longman's.   2000. Especially pp9?11, 114, 181, 323.
  4. Maciej Janowski , Polish Liberal Thought ,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1, ISBN  963-9241-18-0 , Google Print: p3 , p12
  5. Paul W. Schroeder , The Transformation of European Politics 1763?1848 ,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ISBN  0-19-820654-2 , Google print p84
  6. Rett R. Ludwikowski , Constitution-Making in the Region of Former Soviet Dominance , Duke University Press, 1997, ISBN  0-8223-1802-4 , Google Print, p34
  7. George Sanford , Democratic Government in Poland: Constitutional Politics Since 1989 , Palgrave, 2002, ISBN  0-333-77475-2 , Google print p. 11 ? constitutional monarchy , p.3 ? anarchy
  8. Norman Davies,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in Two Volum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ISBN  0199253390 , ( http://books.google.com/books?id=b912JnKpYTkC&pg=RA1-PA283&vq=the+coincidence+of+view&dq=noble+paradise+peasant+hell+purgatory&as_brr=3&sig=Majcm4VX29AJBOcijElu99V9iBA Google Print, p.283)
  9. Jerzy Szacki, Liberalism After Communism , Central European University, 1995, ISBN  1858660165 , Press Google Print, p. 46
  10. Norman Davies,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in Two Volum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ISBN  0199253390 , p.282
  11. John Markoff describes the advent of modern codified national constitutions and states that "The first European country to follow the U.S. example was Poland in 1791." John Markoff, Waves of Democracy , 1996, ISBN  0-8039-9019-7 , Google Print, p.121
  12. Helmut Georg Koenigsberger, Monarchies, States Generals and Parliament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ISBN  0521803306 , Google Print, p.336
  13. The Causes of Slavery or Serfdom: A Hypothesis Archived 2007年 12月 15日 - 웨이백 머신 , discussion and full online text of Evsey Domar (1970) "The Causes of Slavery or Serfdom: A Hypothesis," Economic History Review 30 :1 (March), pp18?32
  14. 다만 이런 見解는 現代, 特히 20世紀 中期쯤 共産主義 史上, 文化鬪爭 以後 獨逸 및 獨立 前後의 리투아니아 等에서 높아졌던 國粹主義 에 依한 反폴란드 史上 , 시오니즘 으로 代表하던 유대人 社會의 民族運動의 發展과 同時期에 平行하여 일어난 것이다. 實際로는 「貴族의 天國, 유대人의 樂園, 農民의 地獄」의 말은 當時 폴란드의 狀況이 아니었고, 20世紀 獨逸의 유대人 小說家 알프레드 데블린( Alfred Doblin )이 自身의 著書 『Reise in Polen』의 속에서 나온 것으로, 이런 한 個人의 見解가 올바른것인지 어떤지를 吟味하지도 않고 그 사람 마음대로 「有名한 말」이라고 널리 퍼지게 된 것이다. 實際 그곳에서 他國과 比較해 본다면, 例를 들어 많은 러시아人 農民이 모스크바 大公國 에 있던 領主들의 苛酷한 搾取를 견디지 못하고 도망쳐, 難民이 되어 當時 폴란드에 와서 安住할 땅을 發見한 事實이 있어, 이것을 보더라도 當時 폴란드가 「農民의 地獄」이라는 것은 아무래도 말이 되지 않는다. Nicholas Valentine Riasanovsky (2000). 《A History of Russia》.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121791 .   Google블록
  15. Jerzy Lukowski, Hubert Zawadzki, A Concise History of Poland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ISBN  052185332X , Google Print, p.88
  16. Philip Pajakowski, in Michał Bobrzy?ski (1849-1935) , Peter Brock, John D. Stanley, Piotr Wrobel (ed.), Nation And History: Polish Historians from the Enlightenment to the Second World War ,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6, ISBN  0802090362 , Google Print, p.150
  17. Norman Davies,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in Two Volum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ISBN  0199253390 , p.279]
  18. William Bullitt , The Great Globe Itself: A Preface to World Affairs , Transaction Publishers, 2005, ISBN  1-4128-0490-6 , Google Print, pp42?43
  19. John Adams , The Political Writings of John Adams , Regnery Gateway, 2001, ISBN  0-89526-292-4 , Google Print, p.242
  20. Brian M. Downing, The Military Revolution and Political Change: Origins of Democracy and Autocracy in Early Modern Europe ,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ISBN  0691024758 , Google Print, p.144
  21. Martin Van Gelderen , Quentin Skinner , Republicanism: A Shared European Herita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ISBN  0-521-80756-5 Google Print: p54
  22. Joanna Olkiewicz , Naja?niejsza Republika Wenecka (Most Serene Republic of Venice), Ksi??ka i Wiedza, 1972, Warszawa
  23. Joseph Conrad , Notes on Life and Letters: Notes on Life and Letter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ISBN  0-521-56163-9 , Google Print, p422 (notes)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