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韓國의 新聞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韓國의 新聞 은 1883年(高宗 20年) 10月 31日에 創刊된 純漢文의 《 漢城旬報 (漢城旬報)》로부터 비롯되었다. [1] 韓國의 開化運動은 西歐文物을 直接 받아들여 우리 것으로 消化한 것이 아니라, 中國 , 特히 日本 이 一旦 輸入하여 그들의 것으로 飜譯, 消化한 것을 다시 輸入한 重逆賊(重譯的) 近代化의 類型으로 굳어졌다. 이러한 重逆賊 近代化 過程을 背景으로 하여 나타난 韓國近代新聞의 性格的 原形은 日本으로부터 들여온 '飜譯적 近代新聞'이라고 말할 수 있다. 最初의 近代新聞이라고 말할 수 있는 《漢城旬報(漢城旬報)》와 얼마 後 題號를 바꿔 發行한 《漢城週報(漢城週報)》는 企劃·發行·主宰(主宰)의 推薦으로부터 公園(工員)·記者의 斡旋에 이르기까지 日本人 후쿠자와(福澤論吉)의 影響을 받았다. 이러한 影響下에서 出發한 韓國 近代新聞의 繰綿(構造面), 다시 말해서 性格的 原形은 日本을 모델로 한 飜譯적 近代新聞으로 정착화되었다. [2]

發展 過程

編輯

前近代新聞

編輯

韓國에서는 朝鮮 中葉에 이미 '朝報(朝報)'와 '奇別紙(奇別紙)'를 朝廷에서 筆師, 或은 印刷하여 各 機關에 돌리는 一種의 官報(官報)가 있었고 또 이 朝報를 民間人이 맡아 發行하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當時의 政治的·社會的 事情은 이 朝報가 本格的인 新聞으로 자라날 수 있도록 해주지 못하여 一時的인 것으로 끝나고 19世紀 末 開化期 (開化期)에 이르러서야 近代的 新聞이 登場하였다. [3]

近代新聞

編輯

《漢城旬報》는 韓國 最初의 近代的 新聞이라 할 수 있다. 《漢城旬報》는 國漢文을 混用하면서 週報(週報)로 發展하여 民間人 購讀者까지 갖게 되었지만 官報(官報)의 性格을 벗어나지 못한 채 1888年 博文局(博文局)의 廢止와 더불어 사라졌다. [1]

韓國 近代新聞의 嚆矢는 1896年 4月 7日에 創刊된 우리나라 最初의 民間知人 《 獨立新聞 》으로 보는 것이 妥當하다. 그것은 巡國文과 英文의 隔日間(隔日刊)으로서 韓國에서 最初로 廣告를 다룬 新聞이었고 또 最初로 外國人에게 國內輿論을 알린 新聞이었다. 또, 獨立新聞은 그보다 2年 뒤 創刊된 《每日新聞》 및 《皇城新聞》과 더불어 開化思想을 鼓吹시키고 外勢浸透의 排擊과 民族의 自主獨立을 부르짖으면서 獨立協會運動을 聲援해 주었다. [1]

庚戌國恥 로 總督府機關紙를 除外한 이들 民間新聞은 모두 消滅되고, 이때부터 1920年 《 朝鮮日報 》·《 東亞日報 》·《 시사신문 》의 3個紙가 나타날 때까지는 韓國 言論 暗黑期 中의 暗黑期로도 불린다. 特히 東亞·朝鮮 兩大新聞은 創刊當時부터 1940年 8月 10日 一齊 의 彈壓으로 强制 폐간당할 때까지 잇따른 停刊·押收·言論人 投獄 等 온갖 試鍊을 참아가면서 民族의 代辯機關으로 日帝植民政策에 抗拒하였다. [1]

大韓民國의 新聞

編輯

光復 以後

編輯

光復 後 復刊된 《朝鮮日報》·《東亞日報》의 兩大新聞은 當時 한창 盛行되었던 左翼系 新聞들의 猛烈한 煽動과 對決하면서 信託統治案 을 反對하여 自由民主主義의 守護에 크게 寄與하였다. 뿐만 아니라 自由黨 獨裁下에서는 그들의 不正과 飛行暴露를 서슴지 않고 民權鬪爭의 先鋒에 서서 줄기차게 鬪爭하면서, 草創期부터 1960年代까지의 韓國 新聞은 政治志向的 正論新聞으로 發展해 왔다. [1] 1961年 軍事政權 으로 言論 統制政策 發行의 自由가 制限되었으며, 1970年代 에는 維新憲法 統治, 東亞日報 白紙廣告 事態 , 1980年 言論統廢合 으로 綜合誌는 6個社, 經濟誌는 2個社, 英字紙는 1個社, 地方지는 1度 1死 原則에 따라 統合되었다.

1962年 8月 에 단간制가 實施된 以後, 週 48面(62年 10月), 40面(64年 2月), 36面(64年 6月), 32面(64年 8月), 28面(65年 11月), 48面(70年 3月)으로 維持되어 오다가, 1981年 에 週 72面으로 發行體制를 增面하였다.

6·29 宣言 以後

編輯

1980年末 오랫동안 言論의 活動을 規制해 왔던 言論基本法이 廢止되면서 大韓民國의 新聞은 새롭게 變貌하였다. 言論統廢合 으로 廢刊되었던 新聞들이 一部 復刊되었으며 雨後竹筍처럼 創刊되는 新聞이 늘어났다. [4] 또한, 過去 惰性化되다시피 했던 外的인 壓力에서 벗어나 政治的 民主化 물결과 함께 言論도 그 本然의 環境監視機能과 批判機能을 크게 回復하였고 回復을 위한 意志도 두드러졌다. [1]

1987年에는 문화공보부에 約 80個의 日刊新聞이 登錄되어 있었고, 中央의 經濟·스포츠·英字紙를 包含한 兆·夕刊紙의 發行部數는 約 1,268萬 部로 推算되었다. 1987年의 6·29 宣言 은 言論이 只今까지의 權威主義 統制에서 벗어나 自律競爭時代에 進入하게 되었다는 事實을 含蓄하고 있다. 6·29宣言 以後에 政治 狀況의 變化, 經濟 成長, 그리고 서울올림픽 開催 等을 통해서 言論은 以前의 여러 가지 統制에서 漸進的으로 벗어나 過去에는 禁忌視 되었던 領域을 果敢하게 報道할 수 있게 되었다. 1987年 11月에는 ' 言論基本法 '이 廢止되었고 이에 앞서 8月부터는 言論統廢合 때에 廢棄되었던 新聞社의 駐在記者 制度가 部分的으로 復活되었다. 9月부터는 6年만에 新聞의 增面이 이루어졌고 10月에는 기독교방송이 뉴스放送을 다시 始作했다. [1]

第6共和國 의 出帆을 전후해서 新聞, 雜誌 等 定期刊行物의 數字는 急激히 늘어났다. 自由化, 自律化의 물결을 타고 다양한 種類의 新聞과 雜誌들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6·29宣言 以後 言論政策의 變化가 있자 1980年 言論統廢合 때에 廢刊된 新聞과 雜誌 等의 復刊과 新規 言論機關의 設立을 위한 움직임이 活潑했다. 서울에서는 《 한겨레新聞 》(1988. 5. 15), 《 世界日報 》(1989. 2. 10), 《 國民日報 》(1988. 12. 10) 等의 綜合日刊紙가 새로 創刊되었고, 經濟誌를 비롯한 特殊地, 그리고 地方에서는 言論統廢合 때에 廢刊된 新聞들의 復刊과 新規登錄 新聞의 創刊 等이 活潑했다. 地方紙 外에 서울의 地域과 地方의 郡單位 '地域 新聞'의 創刊도 늘어나서 6共 以後의 特異한 言論現象으로 指摘되었다. [1]

全國的으로는 1987年 6·29宣言 때에 32種이던 日刊紙가 1992年 6月 末에 117個로 日刊新聞이 92個, 기타 日間이 25個로 5年만에 3倍 가까이 늘었다. 主幹은 1987年 6月 29日에 201種이던 것이 1,561個(隔週 包含:有價誌 1,092)로 約 7倍(1,360種)가 增加했다. 月刊은 2,745個(有價誌 1,518), 隔月刊 641個(有價誌 123), 系間 938個(有價誌 252), 半年間 220個(有價誌 52), 年間 158個(有價誌 113)으로 모두 6,380個(有價誌 3,271)이다. 이는 1987年 6·29 以前의 2,236種과 比較하면 無慮 185%인 4,144種이 늘어난 것이다. [1]

言論機關의 增加에 따라 言論 人口도 急激한 增加勢를 보이고 있다. 1980年代의 言論人口는 緩慢한 增加趨勢를 보여오다가, 1988年 4月 1日 부터 하루當 誌面數 12面에서 16面 體制되었다가, 1990年代 以後에 新聞 發行의 自由化와 더불어 急激히 늘어나자, 增面 體制에 따라 休日판 및 週末 타블로이드 附錄 發行에 이르고 있다.

하루當 發行 面數는 16面에서 48面 以上으로 揭載하고 있으나, 廣告 紙面을 늘어나는 趨勢가 종이輛 需要의 重大한 資源 浪費로 憂慮도 많았으며, 讀者層이 新聞을 넣지 말라는 것이다.

코로나19 時代 影響으로 新聞 支局에 들어오는 60% 程度는 配達이 되고, 40% 程度는 廢棄 處分의 不必要하게 되어서 韓國産 新聞의 東南아시아 市場 烈風으로 輸出되었다.

新聞 購讀率을 따르면 종이 新聞量이 1996年 에 69.3%이었으나, 21世紀 들어서 情報通信技術 發達로 인터넷 스마트폰 이 登場하는데, 2014年 2015年 14.3%, 2019年 6.4%으로 크게 떨어졌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新聞

編輯

朝鮮勞動黨 機關紙인 勞動新聞 이 있으며, 나머지 민주조선 , 靑年前衛 , 평양신문 等이 있다. 原則的으로 新聞 紙面數의 겉지 4面과 속지 2面 等의 6面 發行體制를 使用하고 있다. 가로쓰기 한글 專用이며, 토막뉴스나 商業 廣告 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各州

編輯
  1. 新聞, 《글로벌 世界 大百科》
  2. 韓國의 新聞, 《글로벌 世界 大百科》
  3. 韓國 新聞의 藥師, 《글로벌 世界 大百科》
  4. “[仁川미디어變遷史] 言論基本法 廢止와 言論 統制” . 2022年 11月 21日 . 2023年 3月 26日에 確認함 .  

같이 보기

編輯

參考 資料

編輯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