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하이버네이션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하이버네이션

시스템 終了 前에 시스템 메모리 內容을 非揮發性 메모리에 貯藏하는 機能

最大 節電 모드 (最大節電 - ) 또는 하이버네이션 (hibernation) 或은 재우기 는 시스템 電源을 끄기 前에 시스템 메모리 에 있는 모든 內容을 하드 디스크 와 같은 非揮發性 메모리 에 記錄하는 機能이다. 많은 運營 體制 가 이 機能을 支援한다. 컴퓨터가 다시 켜지면 하드 디스크에 貯藏된 內容이 메모리에 다시 積載되면서 元來 使用하던 狀態로 되돌아가며 그 當時 使用하던 프로그램들도 아무 일이 일어나지 않은 것처럼 動作하게 된다. 最大 節電 모드로 들어갔다가 다시 되돌아오는 時間은 시스템을 다시 始作하는 時間보다 더 빠르다. 設定에 따라 最大 節電 모드 機能을 直接 實行하지 않아도 遂行되게끔 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에 內容을 貯藏하려면, 시스템에 設置된 메모리의 容量만큼 하드 디스크에도 그만큼의 空間이 남아 있어야 한다.

이 機能은 노트북 컴퓨터 에 흔히 쓰이며 배터리가 얼마 없을 境遇 自動으로 이 機能이 遂行된다. 初期의 最大 節電 모드 機能은 바이오스 를 使用하곤 했지만 현대의 시스템에서는 運營 體制가 直接 管掌한다. 이 機能은 ACPI 規格에서 슬리핑 모드 S4 로 定義되어 있다. [1]

이 機能은 英語로 하이버네이션 (hibernation)이라고 하며, 이를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運營 體制에서는 "最大 節電 모드"로, 맥 OS 에서는 "재우기"로 뜻을 옮기고 있다.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ACPI Specification Rev 3.0b” (PDF) . 2008年 12月 30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12月 27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