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平安 累層軍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平安 累層軍

古生代 後期 石炭紀에서 中生代 初期 트라이아스기까지 韓半島 內의 平南 盆地와 沃川 褶曲帶에 堆積된 陸成層(陸成層)으로, 主로 셰일과 沙巖 그리고 사이에 있는 無煙炭 等으로 構成된다

平安 累層軍 (平安 累層群, Pyeongan supergroup) 또는 平安系 地層 (平安系 地層)은 古生代 後記 石炭紀 에서 中生代 初期 트라이아스기 까지 韓半島 內의 平南 盆地와 沃川 褶曲帶 에 堆積된 陸成層(陸成層)으로, 主로 셰일과 沙巖 그리고 사이에 있는 無煙炭 等으로 構成된다. 이 지층군에는 石炭 의 一種인 無煙炭 地層이 多數 包含되어 있어 江原特別自治道 江陵市 三陟市 , 寧越郡 , 忠淸北道 丹陽郡 , 報恩郡 , 慶尙北道 聞慶市 , 全羅南道 和順郡 等에서 炭田(炭田)을 形成하고 있고 過去 이곳에서 無煙炭 이 採掘되었다.

平安 累層軍
層서 範圍 : 石炭紀 - 트라이아스기
三陟炭田 地域 平安 累層軍 柱狀斷面圖
類型 堆積巖
下位 單位 灣港層 , 衿川層 , 將星層 , 함백산層 , 道士曲層, 高한層, 東古層
下層 朝鮮 累層軍
上層 帶同 累層軍
地域 平南 盆地, 三陟炭田 , 江陵炭田 , 旌善 - 平昌 炭田, 寧越炭田 , 丹陽炭田 , 聞慶炭田 , 報恩炭田, 和順炭田, 海南炭田
두께 最大 1,400 m
巖質
沙巖 , 셰일
나머지 石灰巖 , 無煙炭
位置
이름 由來 平安道
나라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構成

編輯

大韓民國 에 分布하는 平安 累層軍은 最大 1,400 m의 두께를 가진다. 平安 累層軍은 過去 下部로부터 鴻漸統(→ 灣港層 ), 사동통(→ 衿川層 , 將星層 ), 고방산통(→ 함백산層 , 道士曲層, 高한層), 綠巖桶(→東古層)으로 區分하였다. 코다이라(Kodaira, 1924)는 北韓 地域의 平南 盆地에 分布하는 後記 古生代 퇴적암층을 平安系(system)라고 提案하였고, 카와사키(Kawasaki, 1927)와 他테이와(Tateiwa, 1931)는 平安系를 4個의 桶(series; 現在의 層軍에 該當) 卽 鴻漸統, 사동통, 고방산통 그리고 綠巖通으로 區分하였다. 南韓 地域의 太白山 盆地에 分布하는 平安 累層軍의 層序는 日本 學者들과 태박산地球地下資源調査團(GICTR, 1962)에 依해 처음으로 北韓 地域과 類似한 4個의 桶으로 區分되었다. [1] [2]

그러나 韓國戰爭 으로 인한 韓半島의 分斷 以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地域의 接近이 不可能해졌을 뿐 아니라 平南 盆地와 太白山盆地 間의 巖石 差異 및 對備 問題가 漸次 提起되었다. 이에 1969年 정창희 三陟炭田 을 平安 累層軍의 表式地로 삼고, 三陟炭田의 平安 累層軍을 밑에서부터 灣港層, 衿川層, 將星層, 함백산層, 道士曲層, 高한層, 東古層 으로 새로 設定하였다. 그리고 灣港層 衿川層 을 고목층群, 將星層 함백산層 을 鐵巖層群, 道士曲層, 高한層, 東古層을 黃지층군으로 設定하였다. [3] 이들 地層名은 오늘날 大韓民國에 分布하는 平安 累層軍의 標準 層序로 자리잡아 現在는 大部分의 硏究者가 이 名稱을 使用한다.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의 平南 盆地에 分布하는 平安 累層軍은 下部로부터 鴻漸統, 立席桶, 사동통, 고방산통 等으로 分類된다. 現在까지도 北韓 地域에서는 사동통의 下部를 後記 石炭紀 의 立席通으로 分離한 것을 除外하면 같은 層序를 使用하고 있다. [5]

平安 累層軍의 地質 系統表와 層序는 다음과 같다. 그間 平安 累層軍을 對象으로 이루어진 많은 調査 硏究가 石炭 開發을 目的으로 한 바, 平安 累層軍의 分布地는 一般的으로 地域名 뒤에 炭田(炭田)이라는 名稱을 붙여 使用한다. [6] [5]

地質 時代 地域
三陟炭田 江陵炭田 旌善 - 平昌炭田 寧越炭田 丹陽炭田 報恩炭田 和順炭田 平南盆地 두萬分之
中生代 三疊紀
201.3?252.17 Mya
中世 237?247.2 Mya 아니시안 東古層 박지산層 東古層 - 太子圓筒
傳貰 247.2?252.17 Mya 咽頭안 상원산層 -
古生代
페름기
252.17?298.9 Mya
로핑기아 252.17?259.8 Mya ch - 고방산통 송相通
과달루페
259.8?272.3 Mya
카피탄 高한層 (언별리層) 옥갑산層 高한層
워디안 道士曲層 망덕산層 道士曲層 -
로디안 천운산層
時數랄里아
272.3?298.9 Mya
쿤쿠리안 함백산層 함백산層 함백산層 함백산層 鷄龍山桶
아르틴스키안 將星層 將星層 將星層 美炭層 將星層 將星層 含炭層 사동통
사크마리안 밤치層 밤치層 밤치層 暗記桶
아셀吏案 立席桶
古生代
石炭紀
252.17?298.9 Mya
펜실베이니아
298.9?323.2 Mya
모스크바 衿川層 衿川層 衿川層 板橋層 衿川層 오음리層 鴻漸統
灣港層 灣港層 灣港層 要鳳層 灣港層 灣港層 용마산層
바시키르

過去의 分類

編輯

아래는 太白山地區地下資源調査團(GICTR, 1962)에 依해 分類된 平安 累層軍의 說明이다. [7] 이 層서는 정창희 (1969)가 三陟炭田 의 平安 累層軍을 灣港層~桐高層으로 새로 設定한 以後에도 한동안 繼續 使用되었고 聞慶炭田 에서는 아직도 아래 名稱을 使用하고 있다.

洪漸層

編輯

紅點層群 (Ch; Carboniferous Hongjeom series, 紅店統)은 朝鮮 累層軍 不整合 으로 덮는 平安 累層軍의 最下部 地層이다. 본 地層은 礫巖 , 沙巖 , 社質셰일, 셰일 石灰巖 等으로 構成되어 있다. 沙巖 은 組立 乃至 中立질이며 綠灰色 乃至 百灰色을 띠고 있다. 셰일 乃至 沙質 셰일은 普通 紫色, 綠灰色, 灰色 및 褐色을 띠고 있으나 太白市 황지동과 같이 間或 黑色 셰일이 發達되는 곳도 있다. 旌善-平昌炭田 地域에 發達하는 본 地層 中에는 紫色을 띠는 巖石이 喜笑함이 特徵이며 大體로 綠灰色의 巖石이 優勢하다. 石灰巖 은 大體로 본 層 下部에 많이 發達되며 白色 乃至 淡紅色을 띤다. 礫巖 은 基底 礫巖으로서 나타나며 三陟炭田의 장성鑛業所 앞 동점동, 도계읍, 흥전갱, 황지동, 旌善郡 사북리, 玉洞炭鑛, 寧越 및 江陵炭田 地域 等에서 볼 수 있다. 基底 礫巖層의 두께는 15 cm~4 m이다. 황지동 北方 花田洞과 玉童 等地에서는 본 層 中에 얇은 石炭層이 협재되는 일이 있다. 본 地層의 두께는 地域的으로 큰 差異가 있으나 平均 250 m 程度이다. 그러나 江陵, 寧越炭田 地域에서는 300~400 m로 測定된다. 본 層의 石灰巖 中에서는 海百合의 化石이 곳곳에서 觀察되며 그 地質時代 는 上部 石炭紀 로 推定된다.

使動層

編輯

使動層群 (Ps; Permian Sadong series, 寺洞統)은 平安 累層軍의 主要 含炭(含炭)層이며 下部의 洪漸層, 上部의 고방산層과의 關係는 各各 整合的 關係인 것으로 보이나 江陵炭田의 밤치(율치) 附近에서는 고방산層과 不整合 敵 關係가 疑心된다. 본 層은 主로 黑色 셰일 , 沙質 셰일 및 沙巖으로 構成되며 이에 灰色 乃至 暗灰色의 셰일, 沙質 셰일 및 沙巖이 협재된다. 下部에 3~4枚의 얇은 石灰巖 層이 發達함이 特徵이나 江陵炭田과 旌善-平昌炭田의 平昌郡 진부면 마평리의 人樂園 마을에서는 본 層 中에서 石灰巖層을 發見할 수 없다. 본 地層 中에는 普通 3枚의 石炭 層이 發達하며 傷歎層은 고방산層 직하 15 m 地點, 重彈層은 40~50 m 地點, 下炭層은 70~80 m 地點에 位置한다. 본 地層의 두께는 地域에 따라 다르나 大體로 平均 120~150 m이다. 그러나 江陵炭田의 臨哭 地區에서는 63 m에 不過하며 旌善-平昌炭田의 人樂園 마을에서는 89 m, 寧越炭田에서는 대단히 두꺼우며 最大 450 m에 達한다.

  • 江陵炭田 江陵市 강동면 酸性雨里에서는 본 層이 主로 黑色 셰일과 沙質 셰일로 構成되어 있으며 賞炭層 相反과 下炭層 下半에 10 m 內外의 組立 乃至 中立沙巖이 있고 賞 및 中炭層 中間 및 下炭層 約 10 m 上位에 2~3 m의 細粒 沙巖이 협재되어 있다. 旺山面 地球에서는 赤色 셰일이 優勢하지만 沙巖度 發達해 있으며 두께도 가장 두껍다. 特히 賞 및 下炭層 下半 沙巖은 各 20 m 程度로 測定된다. 강동면 임곡리 地區에서는 地層의 두께가 63 m에 不過하며 賞炭層 相反, 重炭層 下半 沙巖 外에는 거의 셰일로 構成된다. 大體로 江陵炭田의 使動層은 變質을 많이 받았으며 셰일 中에는 特異한 變成 鑛物이 含有되어 있다.
    • 旌善-平昌炭田에 發達하는 旌善 對향사 南東部와 北西部에서 본 層의 發達 狀態가 다르다. 前者는 셰일이 優勢하고 下部에 石灰巖 層이 發達되며 두께는 150 m로 測定된다. 石炭層은 三陟炭田에서와 같이 上, 中, 下炭層이 고방산層 직하 15, 40, 70~80 m 地點에 發達한다. 後者는 沙巖이 優勢하며 下部 石灰巖層의 發達이 微弱하며 (人樂園 마을에서는 全혀 發達하지 않음) 地層의 두께는 北西部 南側은 正常的이지만 北쪽으로 가면서 漸次로 減少해 90~120 m가 된다. 石炭層은 본 炭層이 고방산層 직하 80 m 地點에 位置하며 그 下半에는 特徵的인 黑色 組立沙巖이 4~5 m 두께로 나타남으로 石炭層 採掘의 指針이 된다.
  • 三陟炭田 의 使動層은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오래前부터 調査되어 왔다. 본 地域 使動層의 두께는 120 m 程度이며 이를 上, 中, 下로 區分한다. 下部는 基底에서 40 m 까지로서 下炭層 下部 沙巖의 아래까지다. 下部는 黑色 셰일 , 沙質 셰일, 沙巖으로 構成되며 이에 4~5枚의 石灰巖 이 협재된다. 이 石灰巖은 暗灰色을 띠며 海百合, 珊瑚, 完足類의 化石 이 算出되어 海成層임을 指示한다. 따라서 下部 使動層을 海成層으로 規定하고 있다. 使動層 中部의 上限은 고방산層 基底部에서 約 40 m 아래 地點까지이며 이는 重炭層 바로 위에 該當한다. 構成 巖石은 沙巖, 沙質 셰일, 셰일이며 沙巖이 優勢하다. 重炭層 下半은 黑色 組立沙巖이며 普通은 4~5 m 程度지만 腺癌 및 講院炭鑛 等에서 40 m 程度가 되는 곳도 있다. 上部 使動層은 中部 最上位 部分에서 고방산層 基底 職下部까지이며 大略 40 m의 두께를 가진다. 그 基底部를 構成하는 黑色 셰일 中에 保存이 良好한 植物 化石이 많이 發見된다. 이 化石層을 除外하고는 大部分 黑色 乃至 暗灰色 細粒沙巖 및 社質셰일로 構成된다.
  • 丹陽炭田 의 使動層은 大部分 黑色 셰일 , 沙質 셰일 및 灰色 乃至 黑色인 細粒沙巖의 互層(互層)으로 構成되며 이들 互層 사이에 灰色 組立沙巖이 협재된다. 下部에는 暗灰色의 石灰巖 地層이 1~5枚 협재된다. 石炭層의 位置는 三陟炭田의 그것과 비슷하나 炭層의 發達은 貧弱하다. 정창희 (1967)에 依하면 三陟炭田 使動層의 沙巖은 分給이 좋은 組立~極組立質沙巖이며 鑛物學的 成熟度가 매우 높다. [8]
  • 寧越炭田 의 使動層은 平昌郡 미탄면 율치리에서 마차리 스러스트 單層 의 東側을 따라 남-北 方向으로 길게 分布한다. 이 地域에서는 褶曲 및 單層의 作用으로 反復되고 또 地層의 두께가 두꺼워 地表에 넓게 分布한다. 본 層의 基底에 發達하는 暗灰色 石灰巖이 約 9 m 두께로 紅點層을 整合的으로 덮고 있다. 본 層의 下部를 構成하는 巖石은 灰色 沙巖(70 m), 黑色 셰일(100 m) 및 數 枚의 石灰巖層이다. 中部는 두께 150~200 m의 暗灰色 沙巖으로 構成되며 上部는 두께 100~150 m의 두꺼운 黑色 셰일로 되어 있다. 石炭層은 본 層 下部의 上部(石灰巖層 아래)에 約 1.5 m 두께로 1枚, 上部 셰일層 下部에 約 20~30 m 間隔을 두고 1~2 m 두께로 3枚 發達되어 있다. 使動層은 본 層 內에서 産出되는 植物 化石으로 보아 그 地質時代는 페름기 로 보인다.

고방산層

編輯

고방산層群 (TRg; Triassic Gobangseon series, 高坊山統)은 使動層을 整合的으로 덮고 있으나 使動層의 構成 巖石이 黑色 乃至 暗灰色인데 비하여 고방산層의 巖石은 白色 乃至 灰色인 點이 顯著한 差異다. 이 地層은 乳白色 乃至 灰白色 組立沙巖, 灰色 細粒沙巖, 沙質 셰일 및 셰일 等으로 構成되며 全般的으로 沙質 巖石이 어디서나 優勢하게 發達한다. 基底部에서는 三陟炭田에서와 같이 間或 疫疾 沙巖이 産出되는 곳도 있다. 본 地層 中部 가까이에 玉洞炭鑛, 旌善炭鑛 東南部 等地에서는 黑色 셰일이 50 m 內外로 發達되는 곳이 있어 使動層과 混同되는 境遇가 있다. 江陵炭田과 旌善-平昌炭田의 本 地層 中 灰色人 셰일層 및 沙質 셰일層 中에는 變成 鑛物이 含有되어 있다. 본 地層의 두께는 平均 250 m 程度이다. 본 層의 셰일 中에는 多量의 植物 化石이 産出되며 이들 種類로 보아 본 地層의 地質時代는 中生代 트라이아스기 下部로 認定된다.

綠巖層

編輯

綠巖層群 (TRn; Triassic Nogam series, 綠巖統)은 巖石에 따라 上, 中, 下部로 나누어진다. 綠巖層이 가장 잘 發達한 곳은 旌善-平昌炭田의 旌善 對향사의 가운데 部分과 三陟炭田의 將星炭田 문곡동, 황지동 一部 地域이다. 그 표식 分布地는 將星炭鑛 태백장(莊) 앞을 지나 荒地로 가는 道路 周邊이다.

  • 綠巖層 下部 (TRn1; Triassic lower Nogam series)는 主로 沙巖으로 構成되며 이에 沙質 셰일과 얇은 셰일層이 협재된다. 三陟炭疽에서 巖石은 紫色(?色)을 띠며 組立(곳에 따라서는 疫疾)을 이루지만 旌善-平昌炭田 地域에서는 綠灰色을 띠고 있음이 큰 差異點이다. 旌善-平昌炭田 北部에서는 暗灰色 셰일層이 發達되며 이에는 變質鑛物이 包含된다. 두께는 三陟炭田에서 230 m, 旌善-平昌炭田에서는 300~500 m로 測定된다.
  • 綠巖層 中部 (TRn2; Triassic middle Nogam series)는 三陟炭田과 旌善-平昌炭田 地域에서 差異를 보인다. 前者는 두께 1,700 m 以上에 主로 灰色 乃至 綠灰色 細粒沙巖으로 構成되며 이에 白色 乃至 灰色의 組立 乃至 中立沙巖이 협재되나 後者는 主로 灰色 黃綠灰色 細粒沙巖 및 沙質 셰일로 構成되어 있다.
  • 綠巖層 上部 (TRn3; Triassic upper Nogam series)는 主로 沙巖으로 構成되며 이에 沙質 셰일 및 셰일이 若干 협재된다. 沙巖은 主로 組立沙巖이지만 곳에 따라 疫疾 沙巖度 存在한다. 巖石은 紫色(?色)李 優勢하며 그 外에 (綠)灰色을 띠는 部分도 있다. 三陟炭田에서의 본 層은 綠色의 組立沙巖, 조립질-알코스質沙巖 및 紫色의 沙質 셰일 等으로 構成된다. 본 地層의 두께는 그 최上部가 없어 確實치 않으나 800~1,000 m 程度로 推定된다.

韓國地質資源硏究院 MGEO 脂質情報시스템에서 提供되는 5萬 地質圖 [9] 는 調査 時點의 地質 調査者 意見을 全的으로 反映하였기 때문에 過去의 洪漸層, 使動層, 고방산層, 綠巖層이 標示되어 있다. 卽 ( 朝鮮 累層軍 의 織雲山, 두위봉層이 表記되어 있지 않는 것처럼) 오늘날의 區分인 灣港層, 衿川層, 將星層, 함백산層, 道士曲層, 高한層, 東古層이 表記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主要 炭田의 地質圖幅들은 大部分 1960年代에 製作되어 地質圖幅 說明書에는 過去의 名稱인 洪漸層, 使動層, 고방산層, 綠巖層만을 敍述하고 있다.

三陟炭田 과 白雲山 享祀대

編輯
 
三陟炭田 地質圖
 
三陟炭田 地質斷面圖
 
太白市 地域 炭鑛 分布圖. 炭鑛은 平安 累層軍 中의 無煙炭을 採掘한다.
 
灣港層의 白色 沙巖(오른쪽), 旌善郡 南面 무릉리 묵산1橋 橋脚 下部( 北緯 37° 14′ 11.6″ 東京 128° 46′ 54.5″ ? / ? 北緯 37.236556° 東京 128.781806° ? / 37.236556; 128.781806 )
 
平安 累層軍 灣港層 , 旌善함백農工團地 오미아코리아 뒤便 函白鷺 道路邊( 北緯 37° 12′ 55.0″ 東京 128° 41′ 08.8″ ? / ? 北緯 37.215278° 東京 128.685778° ? / 37.215278; 128.685778 )
 
平安 累層軍 灣港層 , 旌善함백農工團地 오미아코리아 뒤便 函白鷺 道路邊( 北緯 37° 12′ 55.6″ 東京 128° 41′ 08.7″ ? / ? 北緯 37.215444° 東京 128.685750° ? / 37.215444; 128.685750 )
 
平安 累層軍 道士曲層, 旌善 사북읍 사북리 묵산4橋 橋脚 下部
 
平安 累層軍 道士曲層, 旌善 사북읍 사북리( 北緯 37° 13′ 39.7″ 東京 128° 47′ 43.3″ ? / ? 北緯 37.227694° 東京 128.795361° ? / 37.227694; 128.795361 )
 
平安 累層軍 고방산層, 旌善郡 신동읍 방제리, 地方도 제421호선 彌勒고개( 北緯 37° 13′ 30.0″ 東京 128° 43′ 06.4″ ? / ? 北緯 37.225000° 東京 128.718444° ? / 37.225000; 128.718444
 
平安 累層軍 고방산層, 旌善郡 신동읍 방제리, 地方도 제421호선 彌勒고개( 北緯 37° 13′ 29.9″ 東京 128° 43′ 06.7″ ? / ? 北緯 37.224972° 東京 128.718528° ? / 37.224972; 128.718528
 
平安 累層軍 고방산層, 旌善郡 신동읍 방제리, 地方도 제421호선 彌勒고개( 北緯 37° 13′ 28.1″ 東京 128° 43′ 08.4″ ? / ? 北緯 37.224472° 東京 128.719000° ? / 37.224472; 128.719000 )
 
旌善郡 고한읍 고한리 國道 제38호선 道路邊(上갈래交叉路- 杜門洞再 區間)의 綠巖層(TRn1) 露頭

三陟炭田 (三陟炭田)은 江原特別自治道 三陟市 도계읍 , 太白市 , 旌善郡 南部의 白雲山 享祀대 一帶에 넓게 分布하는 無煙炭 炭田이다. 三陟市 의 이름을 따 오긴 했지만 事實 이 炭田의 範圍는 三陟市 太白市 뿐만 아니라 旌善郡 南部와 寧越郡 南東部까지도 包含된다. 三陟炭田 의 平安 累層軍은 下部에서부터 灣港層 , 衿川層 , 將星層 , 함백산層 , 道士曲層, 高한層, 桐高層으로 構成된다.

朝鮮總督府 의 나카무라(中村新太郞)는 1914年 江原道의 地質調査 結果를 報告한다. 江原道에는 當時 三陟炭田 , 旌善炭田 , 寧越炭田 , 江陵炭田 4個 地域의 炭田이 報告되었다. 1925年 9月부터 1928年까지 4年에 걸쳐 三陟 脂質素砂所와 燃料選鑛硏究所 合同調査班에 依해 도계읍 地域과 고사리 地域의 開發에 關한 精密 調査를 推進했다. 燃料選鑛硏究所의 시라키 타쿠地(素木卓二)는 「三陟無煙炭展 地質圖」(1930),「江原道 三陟 無煙炭 炭田 調査報告書」(1940)等을 發刊하였으며 以後 三陟炭田 開發의 重要한 基礎 資料로 活用된다. [10] 三陟炭田의 平安 累層軍에서는 紡錘蟲(Fusulinids; 푸줄리나)의 化石이 發見된다. 1973年의 調査 當時 將星炭鑛 衿川坑과 鐵巖갱, 정암炭鑛, 三陟炭座, 東古炭鑛, 魚龍炭鑛, 荒地大明炭鑛, 道界炭鑛, 망경대山 附近의 玉洞炭鑛 等에서 紡錘蟲의 化石이 採集되었다. [11] 三陟炭田의 將星 炭鑛에서는 두께 4 m의 石炭層이 10 km 길이로 延長되어 있다.

삼척시 도계鑛業所

編輯

三陟市 石炭産業의 始初인 도계鑛業所 는 1936年 三陟炭鑛으로 開光하였다. 1951年에는 大韓石炭公社 도계鑛業所로 開發하였고, 石炭産業 合理化를 거친 後에도 도계鑛業所는 3個의 坑口를 維持하고 있으며, 現在도 石炭 生産을 繼續하고 있다. 도계鑛業所는 1936年 三陟開發株式會社 傘下 三陟炭鑛으로 開光하였으며 1945年의 美 軍政廳 直轄運營을 거쳐 1951年에는 三陟炭鑛이 도계鑛業所와 장성鑛業所로 分離 後 대한석탄공사 도계鑛業所로 오늘까지 이어졌다.

1987年까지 道界갱, 同德갱, 흥전갱, 나限定갱, 점리갱 等 5個 坑에서 이뤄지던 도계鑛業所의 石炭産業火 政策 以後 石炭 生産 規模가 縮小한다. 1990年 점리갱 閉鎖, 1994年 흥전갱과 羅漢羹을 統合하여 中央갱으로 統合하면서 坑口수가 縮小되었다. 도계鑛業所는 2018年 5月 現在도 道界갱, 中央갱, 同德갱 等 3個 坑에서 石炭 生産이 이뤄지고 있다. 도계鑛業所에서 生産된 炭의 品質은 熱量과 點結成이 높아 煉炭製造와 3級의 痼疾彈으로 發電用에 적합하다. 도계鑛業所에서 生産한 石炭의 品質은 1990~2000年代 平均 5,000 kcal를 記錄했다. [12]

2012年 12月의 生産規模는 年間 302,000톤이다. 地表에서 垂直으로 368 m를 내려간 곳에서 石炭을 生産하며 地下 坑道의 總 延長은 93 km에 達한다. 江原道 삼척시 도계읍 度系로 225에 있는 도계 鑛業所는 總 5,281ha의 面積에 16個의 鑛區를 가지고 있으며 16個 鑛區 모두 加行 中이다. 光量(鑛量) 現況은 道界가 49百萬톤으로 20%를 占하고 石炭公社가 247百萬톤으로 100%를 占한다. 可採量은 道界가 31百萬톤, 石炭公社가 79百萬톤이다. 開廣 以來 總 生産略은 40,665,287톤이고 石炭公社 創立以來 生産量은 39,561,245톤에 이른다.

도계 鑛業所의 石炭 加行層은 平安 累層軍 將星層에 該當되는 炭層으로 炭層數는 3~5倍가 發達되어 있고 이中 縣 稼行炭層數는 重層彈 1枚로 노두延長 14km, 平均彈幅 2.0m이다. 地形地質 與件上 鑛區 中央部를 通過하는 五十川 單層 을 境界로 南東部와 北西部로 兩分된다. 南東部는 五峯山 스러스트 單層 으로 炭層 發達이 分離되어있다. 上部炭層을 묵點, 下部炭層을 도계, 興心 地球로 區分하며 이들 炭層은 本役 南東端의 죽암産을 低部로 하는 30度 內外의 傾斜를 가진 向斜構造를 이루고 있다. 北西部는 3個 以上의 單層으로 인하여 各各의 斷層帶를 境界로 羅漢, 흥전, 下章 地區로 區分되며 各 地區의 石炭 地層의 走向은 北東, 警査는 北서 30°이다. 흥전地球의 北東向 延長否認 점리地球는 과습曲에 依하여 分離되며 南東側으로 傾斜를 이룬다. [13]

白雲山 享祀대

編輯
 
상동鑛山 周邊의 地質圖. 白雲山 향사代의 構造가 잘 드러나 있다.

白雲山 享祀대 (Baekunsan Syncline zone)는 太白市 에서 寧越郡 旌善郡 의 境界 地域에 이르기까지, 하이원리조트 南쪽의 白雲山 (1426.6 m)을 中心으로 大略 西北西-東南東 方向으로 發達하는 大規模의 向斜 褶曲이며 三陟 炭田의 西部에 該當한다. 이 褶曲에 依해 平安 累層軍이 안쪽 가운데에, 朝鮮 累層軍 이 바깥쪽에 對稱的으로 分布하고 있다. 中生代 의 松林 變動에 依해 이 褶曲 構造가 形成되기 始作하였으며, 그 後 쥐라紀 에서 白堊紀 初에 걸쳐 일어난 대보 造山運動 에 依해 白雲山 向斜 構造가 形成되었다. 白雲山 향사代에는 캄브리아기 의 萇山 硅巖層을 基底로 하여 트라이아스기 (一部 學者는 페름기 로 본다)의 東古層까지의 古生代 地層들이 分布한다. 向斜 救助의 남익부는 大略 30~50°로 거의 일정하게 北쪽으로 慶事하지만, 北翼部는 그 傾斜가 南쪽으로 70°~逆轉에 이르기까지 傾斜角의 變化가 크다. 이뿐만 아니라 北翼部에서 傾斜가 逆轉된 곳에 따라서는 衝上斷層 이 發達하기도 한다. 北翼部의 西部 卽 紫微垣-사북리 肝에서는 地層의 走向이 桐-西 乃至 北西 60~80°이며 南쪽으로 40~80°警査하고 서단部의 함백 地域과 東部 地域에서는 北쪽으로 慶事하여 地層이 逆轉되었다. 白雲山 향사臺를 거의 남-北 方向으로 切斷하고 있는 走向 移動 單層 들은 거의 다 우수향 走向移動을 하였으며, 이 斷層 運動과 隨伴되어 끌림 褶曲 救助(Drag fold)가 發達하고 있다. 平安 累層軍은 함백驛 附近에서 두위봉 山政府, 하이원리조트 가 位置한 사북-告한 地域, 함백산과 오투리조트 一帶에 分布한다. 白雲山 향사代의 軸은 東쪽으로 沈降(plunge)하였으며 이에 따라 上部의 고한層과 東古層은 東部에만 分布한다. [14] [15]

김정환과 최원학(1990)의 調査 結果 白雲山 向斜 構造와 이에 對應되는 武陵淡 背斜構造 가 確認되었으며, 이들 東-西 方向의 褶曲軸을 가지는 構造들은 後에 일어난 造構造運動에 依해 再褶曲되었다. 平安 累層軍 將星層과 그 下部의 地層들 內에서는 두 方向의 褶曲 構造가 發達하지만, 그 上部의 地層들 內에서는 北東-南西 方向의 褶曲 構造들만이 認知되는 點으로 미루어 白雲山 向斜 救助는 將星層 堆積 以後 일어난 造構造運動에 依해 形成되었다. 그리고 褶曲軸들은 走向 移動 斷層의 運動 時에 回戰되었다. [16]

植物 化石

編輯

三陟炭田 地域의 植物 化石軍은 아래와 같이 下部로부터 4個의 植物群으로 區分된다. [17]

植物 화석군 地層 紡錘蟲(푸줄리나) 化石帶
綠巖桶 東古層
Gigantopteris nicotianaefolia-Chiropteris reniformis-Lobatannularia heianensis 群集 高한層
고방산통
Emplectopteris triangularis-Taeniopterisngia spp. - Tingia spp. 群集 道士曲層
함백산層
Emplectopteris triangularis-Lepidodendron asymmetricum-Sphenophyllum spp. 사동통 將星層
衿川層 Fusulina
鴻漸統
Neuropteris gigantea-Sphenophyllum tenerrimum-Linopteris spp. 群集 灣港層 Eostafella
subsolana zone

山沙汰

編輯

이병주(2012)의 硏究 結果 三陟炭田의 白雲山 享祀대 地域( 두위봉 - 함백산 )의 平安 累層軍 衿川層 將星層 이 分布하는 곳에서 集中的으로 地盤 擧動( 山沙汰 等)이 發生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地層을 調査한 結果 層理 面에 層間 미끌림(bedding slip)이 일어나 層理 面 床에 單層鏡面 이 自主 發達하며 特히 衿川層 將星層 의 境界에서는 沙巖과 炭質셰일이 接하고 있어 層理面을 따라 地下水가 流出되어 巖盤의 擧動이 있기도 하다. 周邊에는 北東. 北西 走向의 單層 도 發達한다. 硏究에서는 山四面에 開設된 道路를 地盤 擧動의 原因 中 하나인 것으로 指摘했다. [18]

 
太白市 同點 地域에 드러난 朝鮮 累層軍 두위봉層 과 平安 累層軍 灣港層 不整合 境界이다.
 
太白市 同點 地域에 드러난 朝鮮 累層軍 두위봉層 과 平安 累層軍 灣港層 不整合 境界이다.

灣港層 (Ma/MH; Manhang formation, ?項層)은 過去 洪漸層(Ch)에 該當하는 地層으로 平安 累層軍의 最下部 地層이며 그 이름은 旌善郡 고한읍 고한리 南東쪽의 萬恒 마을에서 由來되었다. 全體 두께는 180~300 m이다.

衿川層

編輯

衿川層 (Geumcheon formation, 黔川層)은 過去 使動層 下部에 該當하는 地層이다. 地層의 이름은 太白市 금천동 에서 由來되었다. 衿川層에는 地質時代 를 決定할 만한 植物 化石은 發見되지 않았으나 後記 모스코祕案을 指示하는 Quasifusulina , Obsoletes 等의 紡錘蟲이 發見되었다. [17]

將星層

編輯

將星層 (Jangseong formation, 長省層)은 過去 使動層 上部에 該當하는 地層이다. 地層의 이름은 太白市 장성동 에서 由來되었다. 將星層은 普通 JA, JB, JC, JD 4個 層으로 區分된다.

衿川-將星層

編輯

이현석과 조성권(2006)은 衿川層과 將星層이 그 境界部에서 암상이 漸移的으로 變하고 두 地層이 암상에 依해 區分되지 않는다고 하여 두 地層을 하나로 묶어 衿川-將星層 (Geumcheon-Jangseong Formation)을 새로 提案하였다. [19]

함백산層

編輯

함백산層 (Ha/Hb; Hambaeksan formation, 咸白山層)은 過去 고방산層 下部에 該當하는 地層이다.

道士曲層

編輯

道士曲層 (Ds; Dosagok formation, 道士谷層)은 過去 고방산層 上部와 綠巖層 下部에 該當하는 地層이다.

  • 정창희(1969)에 依하면 道士曲層은 白色 乃至 赤色의 沙巖부터 始作하며 地層의 두께는 白雲山 향사臺에서 300 m, 將星鑛山과 황지동 사이에서 600 m이다. [3]
  • 三陟炭田 西部 地域에서의 道士曲層은 淡綠灰色 乃至 乳白色 組立沙巖 綠灰色 셰일 및 疫疾 沙巖으로 構成된다. 淡綠灰色 組立 乃至 極組立沙巖은 分級(分級) 狀態가 極히 不良하다. 본 層 中部에는 紫色(?色) 셰일과 沙巖을 협재한다. [15]
  • 전희영(1985, 1987)은 道士曲層에서 中期 페름기 에 該當하는 Annularia gracilescens Halle, Annularia sphenophylloides (Zenker) Gutbier, Lobatannularia sp. cf. L. lingulata Hall, Lobatannularia sinensis Halle, Calamites cistii Brongniart, Calamites sp. 等을 發見했다. [20] [21]
  • 사북-告한 地域에서의 道士曲層은 主로 組立 乃至 極組立 沙巖, 綠色 乃至 赤色 셰일 및 沙質 셰일로 構成된다. 特히, 이 地層의 下部는 淡褐色 乃至 乳白色 組立 沙巖과 極組立 沙巖으로 構成되며 이에 올리브色-綠灰色의 셰일이 협재된다. 道士曲層의 암상은 變化가 甚하며, 上部에는 赤色 沙巖 乃至 李嵒이 협재된다. 沙巖은 主로 石英으로 構成되며 白雲母 道 觀察된다. 함백산層 沙巖은 매우 단단하며 道士曲層의 沙巖은 함백산層의 沙巖보다 軟하다. 이 地層의 두께는 約 250~350 m이다. [22]
  • 이현석과 조성권(2006)에 依하면 道士曲層은 괴相 沙巖, 斜層理를 가지는 礫巖과 沙巖(cross-stratified conglomerate to sandstone), 보라色 실트스톤과 沙巖으로 構成된다. 紫色 沙巖은 물 위로 드러난(subaerial) 環境에서, 斜層理가 드러난 礫巖과 沙巖은 海岸 平野나 沖積 平野를 흐르는 河川 가운데의 모래섬들이 移動하면서 쌓은 堆積層으로 解釋되었다. [19]

高한層

編輯

高한層 (Go/Gh; Gohan formation, 古汗層)은 綠巖層 中部에 該當하는 地層이다. 고한層에서 産出되는 植物 化石은 後記 페름기 를 指示한다. [17]

  • 정창희(1969)에 依하면 灰色의 細粒~中立沙巖으로 構成되며 두께 40 cm의 炭質 셰일이 협재된다. 高한層의 全體 두께는 200 m이다. [3]
  • 장기홍(1972)은 旌善郡 고한읍 고한리 地域의 고한層에서 Gigantopteris nicotianaefolia , Lobatannularia heianensis 等을 包含하는 典型的인 고방산層의 植物 化石君을 算出하였다. [23]
  • 三陟炭田 西部 地域에서의 고한層은 淡綠色 細粒沙巖을 基底로 하여 淡綠色 細粒 乃至 中立沙巖, 綠灰色 乃至 灰色 실트스톤과 셰일로 構成된다. 최上部는 綠色 細粒沙巖과 실트스톤 및 紫色(?色) 셰일의 互層으로 構成된다. 본 層 沙巖에는 장석립(粒)李 多量 含有되어 있다. 斜層理 가 特히 많이 發達되어 있다. [15]
  • 전희영(1985, 1987)은 고한層에서 페름기 에 該當하는 Lobatannularia heianensis (Kodaira) Kawasaki 等의 植物 化石을 發見하였다. [20] [21]
  • 사북-告한 地域에서의 고한層은 白雲山 向斜의 軸部(軸部)에 分布하며 主로 綠灰色 細粒沙巖, 沙質 셰일 및 셰일로 構成된다. 高漢譯 뒤 道路邊에는 癌綠灰色 셰일과 灰色 셰일이 잘 發達해 있다. 이 地層을 이루는 淡綠色의 細粒 乃至 中立 沙巖은 主로 石英으로 構成되며 少量의 斜長石 이 包含된다. 石英과 斜長石의 원馬島와 分給도는 不良하다. 이 地層에서는 Gigantopteris nicotianaefolia, Lobatannularia heianensis 等의 植物 化石이 豐富하게 産出된다. 이 地層의 地質時代는 이들 植物 化石에 根據하여 上部 페름기 初期로 밝혀졌다. 地層의 두께는 約 200 m이다. [22]
  • 이현석과 조성권(2006)에 依하면 고한層은 괴相 沙巖, 灰色 실트스톤, 黑色 셰일이 交好하며 여기에 박층의 礫巖과 斜層理가 있는 沙巖, 紫色 실트스톤이 협재된다. 이 암상組合은 上向 細粒의 樣相을 보이며 괴相 沙巖으로 始作해 위로 갈수록 灰色 실트스톤 그리고 黑色 셰일로 變한다. 高한層의 암상組合은 오목한 灣에서 鳥類의 影響을 거의 받지 않은 低酸素 乃至 無酸素 領域에서 堆積된 것으로 解釋되었다. [19]

東古層

編輯

東古層 (Donggo formation, 東古層)은 綠巖層 上部에 該當하는 地層이다. 東古層은 高한層을 不整合 으로 덮으면서 旌善郡 고한읍 고한리에서 1 km 東쪽에 東-西 方向으로 分布되어 있다고 報告되어 있다. 表式層은 三陟炭田 고한읍 고한리 東古炭鑛 附近에 分布한다. 構成 巖石은 綠色과 赤色을 띠는 長石質 細粒沙巖과 실트암이며 基底部에는 基底 礫巖이 發達되어 있다. 東古層의 두께는 約 400~600 m에 達할 것으로 推測되나 正確한 두께는 알 수 없다. 東古層에서는 化石이 發見되지 않아 地質時代를 解釋할 수 없으나 [17] 東古層 아래의 고한層에서 페름기 植物 化石이 나오고 東古層이 高한層을 不整合 으로 덮는 것을 根據로 東古層의 地質時代는 古生代 페름기 말에서 中生代 트라이아스기 初로 推定되고 있다. 東古層은 上部의 白堊紀 적각離層에 依해 不整合으로 덮인다.

  • 三陟炭田 西部 地域에서의 東古層은 主로 綠色 細粒 乃至 中立의 長石質沙巖으로 構成된다. 곳에 따라 極히 石灰巖 렌즈를 협재한다. 三陟炭田 東部 地域과는 달리 본 地域에서는 紫色(?色) 沙巖과 셰일을 거의 협재하지 않는다. [15]
  • 사북-告한 地域에서의 東古層은 담灰色의 細粒 乃至 中立질 沙巖과 綠色 乃至 赤色 셰일로 構成된다. 이 地層의 沙巖은 主로 원馬島와 分給度가 不良한 石英 長石 으로 構成된다. 特히 이 地層에는 斜層理 가 豐富하게 發達해 있다. 이 地層의 地質 時代는 이 地層 下部에 發達된 高한層의 地質 時代에 비추어 中生代 初期 트라이아스기 에 屬한다. 地層의 두께는 約 400 m이다. [22]
  • 유강민 外(1997)에 依해 旌善郡 고한읍 에 分布하는 고한層과 東古層 沙巖 內 長石의 많은 部分이 알바이트로 構成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24]
  • 이용일 等(2009)은 平安 累層軍 地質時代의 上限을 알아내기 위해 江原道 太白市 에 分布하는 高한層(N 37°07'1.25", E 129°00'25.43")과 東古層(N37°07'24.14", E129°00' 12.25")에서 各各 3 kg 程度의 沙巖 試料를 採取하고 碎屑性 저어콘의 U-Pb 連帶를 測定하였다. 東古層의 加重値 平均連帶는 252±7.3 Ma (n=4)로 計算되며, 이 連帶 亦是 가장 젊은 저어콘의 個別 連帶(249±5 Ma)와 誤差 範圍 內에서 一致하고, 後記 페름기(Wuchiapingian)에서 中期 三疊紀(Anisian)의 始作까지 該當한다. 따라서 平安 累層軍의 最上部 東古層의 最大 堆積時期는 中生代 初期 트라이아스기 로 推定된다. [25]
  • 이현석과 조성권(2006)에 依하면 東古層은 逆質沙巖, 斜層理가 있는 沙巖, 괴相 紫色 실트암으로 構成되며 이 암상組合은 河川 環境에서 쌓인 것으로 解釋되었다. [19]

地質 構造

編輯

三陟 炭田 內에는 수많은 褶曲 單層 들이 發達해 있어 매우 複雜한 地質 構造를 보이고 있다. 三陟 炭田 內의 스러스트 單層 과 地質 構造는 日帝 强占期 日本人 地質學者들에 依해 報告되었다. 太白山地區地下資源調査團(1962)에서는 含炭層이 切斷 없이 延長되는 것으로 보아 이러한 地質 構造는 스러스트 單層이라기보다는 過褶曲 構造에 依한 것으로 解釋하였다. 그러나 1960年代부터 太白市 황지동 一帶에서 心府(深部) 炭鑛이 開發됨에 따라 많은 單層들의 存在를 認知하게 되었다. 정창희(1976)는 三陟炭田 內에서 여러 스러스트 單層 들의 存在를 確認하고, 스러스트 單層들은 北쪽에서 南쪽을 向하여 移動하였으며 스러스트 運動의 時期는 쥐라紀 後記- 白堊紀 中期로, 東-西 方向의 白雲山 향사代와 스러스트 單層 들을 切斷하고 있는 남-北 方向의 함백산 單層의 生成 時期는 白堊紀 말- 第3期 初인 것으로 解釋하였다. 大韓鑛業振興公社 에 依하여 荒地 一帶의 含炭대 試錐結果 안대영 外(1983)는 이 地域 一帶의 東-西 方向의 走向을 갖는 스러스트 單層 으로서 이의 運動 時期는 白堊紀 말로 報告하였다. 含炭層이 斷絶되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것은 含炭層에 미끄러짐이 集中되어(slippage zone) 含炭層이 斷層面에 따라 相反에서는 더 많이 끌려 올라가고, 下半에서는 더 많이 끌려 내려가는 等 實際로는 變位되어 있지만, 그 狀況을 理解하지 못한 채 連續된 것으로 解釋하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26] [27]

함백산 臺單層

함백산 單層 (Hambaegsan Great Fault, 咸白山 斷層)은 白雲山 향사臺를 둘로 나누며 三陟 炭田의 主要한 單層이다. 이 斷層은 北西 85°의 走向으로 太白市 花田洞 용연洞窟 에서 오투리조트 소도동 中部, 금천동 中西部를 지나 奉化郡 석포면 대현리까지 이어진다. 정창희(1969)에 依하면 함백산 斷層은 東쪽으로 60~85°警査하고 東側이 落下한 正斷層이며 單層의 警査는 荒地에서 60°E, 文曲鑛山에서 85°E이다. 單層 南部에서 地層의 水平 變位量은 約 4 km이다. [3] (解析?: 正斷層 運動으로 東側의 相反이 落下한 後 署側의 下盤이 浸蝕 削剝되어 地表에 水平 變位가 發生한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김정환과 金泰浩(1985)에 依하면 함백산 斷層은 그 東部 地域이 南쪽으로 移動한 走向 移動 單層 이다. [28] 이 斷層은 荒地 單層, 소도리 單層 및 文曲 斷層을 次例로 切斷했다. 이를 보아 함백산 斷層은 正斷層 運動 中 가장 後期의 單層으로 判斷된다. 황지동-금천동 地域에서 走向 移動 斷層의 特性을 보여 地質圖 上으로 灣港層을 約 5 km 變位시켰다. 본 單層 東部 地域 平安 累層軍 內의 單層들은 北西 20°~北東 5° 北東 70°~桐-西의 走向에 40~90°의 急한 傾斜를 보이며 單層 破碎帶 의 幅은 9~60 cm에 이른다. 單層 西部 地域 平安 累層軍 內의 單層은 北西 10°, 北東 30°및 北西 78°의 走向에 40~70°의 傾斜를 가지며 單層 破碎帶의 幅은 60 cm이다. [29]

함백산 單層 東部
  • 頁巖 스러스트 單層 은 함백산 單層 北端部의 太白市 花田洞으로부터 東-西 走向으로 이어져 황지동 北部를 지나 三陟市 도계읍 흥전리에서 北北東 走向으로 바뀌어 고사리까지 달리는 흥전 스러스트 單層로 이어진다. 이 斷層에 依해 스러스트 單層 南側의 灣港層 , 將星層 함백산層 위로 北側의 朝鮮 累層軍 막동 石灰巖層이 衝上되었다. 이 斷層은 추전 附近에서 그리고 指標에서 平均 20~30°로 北쪽으로 慶事하나 坑內 試錐資料에 依하면 北쪽으로 가면서 傾斜가 緩慢해지며 部分的으로는 60°以上의 急傾斜를 이룰 때도 있다. 頁巖 스러스트 單層의 平均 警査는 태영炭鑛 및 漢城炭鑛 坑內와 石灰巖層 上部에서 加行한 試錐 資料로서 確認되었다. 頁巖 스러스트 斷層은 설바위-漢城炭鑛까지는 指標에 잘 나타나 있지만, 東쪽으로 가면서는 指標에 잘 보이지 않으며, 스러스트 斷層에 따라서 幅 1~2 m의 斷層角礫臺 또는 斷層粘土가 發達하고 있다. 單層의 變位量은 花田洞-소도동 斷面에서 4.0 km, 황지동 斷面에서 3.25 km이다. [29] [26] [3]
  • 東古 單層 (Donggo Fault)은 고한읍 고한리의 東古炭鑛에서 태백시 화전동으로 이어지며 南側이 落下한 單層이다. [3] Son and cheong 1965
  • 黃紙 單層 (Hwangji Fault)은 황지동에서 철암동으로 이어지는 垂直 單層이다. 東古 單層의 延長으로 推定된다. [3]
  • 荒田 스러스트 單層 은 황지동 中部 태백역 附近에서 花田洞 南部로 이어지는 스러스트 單層이다. 黃紙 背斜 褶曲 構造와 朝鮮 累層軍 上部, 平安 累層軍 灣港層 等이 平安 累層軍 東古層 慰勞 衝上되어 있다. 頁巖 스러스트 斷層과 같이 北쪽으로 底角 警査한다. 變位量은 2.35~2.5 km 程度이다. [26]
  • 西北 스러스트 單層 오투리조트 골프場 附近에서 황지동 南部 文曲驛 附近까지 이어지는 洞-西 走向의 스러스트 單層으로 곳에 따라서 將星層 함백산層 이나 道士曲層 上位로 衝上되어 있다. 이 單層의 變位量은 500~600 m이다. [26]
  • 스러스트 單層들의 生成 順序는 頁巖 스러스트 斷層이 먼저 生成되고, 西北 스러스트 斷層이 나중에 生成되었으며, 스러스트가 運動하면서 먼저 形成된 스러스트 斷層이나 내프 (Nappe) 構造가 함께 變形되고 移動된 Piggy-back 形態의 特徵을 보이고 있다. 나중에 生成된 單層일수록 變位量이 減少한다. [26]
  • 흥전 스러스트 單層 三陟市 도계읍 점리에서 함백산層과 將星層 위에 灣港層을 올려놓은 내프(nappe) 構造를 이루고 있으며 흥전 內프라 불린다. 도계鑛業所 흥전갱 및 점리갱과 試錐孔에서 確認된 바로는 平均的으로는 北西쪽으로 20~30°警査하나 흥전 내프 附近 一部에서 南東쪽으로 約 20°警査한다. [29]
  • 馬鮫 스러스트 單層 銀 고사리에서 도계리까지 남-北으로 달리다가 東-西로 方向을 바꾸어 상덕리에 이른다. 이 斷層은 마교리, 도계리, 상덕리 一帶에 朝鮮 累層軍 風村 石灰巖層 을 平安 累層軍 함백산層 또는 將星層 慰勞 衝上시켰으며 特히 상덕리 附近 慶東炭鑛 事務室 北側에서는 내프 構造를 보인다. 이 單層의 警査는 平均 20°이나 部分的으로는 수平日 때도 있는 것이 確認되었다. 馬鮫 스러스트 斷層은 마교리에서 흥전 스러스트 斷層을 切斷하고 있어 흥전 스러스트 斷層이 生成된 以後에 일어난 斷層 運動이나 時間的인 隔差는 크지 않을 것이다. 마교리 스러스트 斷層은 旌鼓里골 附近에 石灰巖層이 함백산層을 덮게 한 小部치(召富峙) 스러스트 斷層과 連結된 것으로 보이며 白山 스러스트 單層과도 同時期에 形成된 斷層으로 생각된다. [29]
  • 五峯山 스러스트 單層 三陟市 도계읍 흥전리에서 상덕리에 位置한 五峯山(729 m)까지 이어지는 스러스트 單層으로 將星層 이 道士曲層과 함백산層 慰勞 衝上되었다. [30]
  • 文曲 單層 (Mungog Fault)은 太白市 문곡동 一帶에 北東-南西 方向으로 發達하며 소도리 斷層을 문곡동 에서 切斷하고 있다. [29]
  • 鐵巖 單層 철암동 에서 鐵巖천을 따라 北北東 方向으로 發達하는 垂直 單層이다. 西側을 上昇시키고 東側을 南쪽으로 이동시켰으며 石炭公社 將星地球와 講院炭鑛의 境界이기도 하다. 鐵巖 斷層과 함백산 斷層은 直接 聯關되어 있지 않아 正確한 先後 곤계는 알 수 없으나 大體로 거의 同一한 時期에 形成된 것으로 생각된다. [29]
함백산 單層 西部

白雲山 향사代에는 北北東-南南西 走向의 斷層들이 많이 發達한다. 두위봉 單層, 火절치 單層, 함동 斷層을 비롯하여 北東-南西 方向의 單層 大部分은 北西쪽으로 慶事하고 北西側 地塊가 上昇한 逆斷層이다. [15]

  • 孤寒 單層 (Gohan Fault)은 하이원리조트 南쪽의 白雲山 에서 始作해 고한읍 고한리를 지나 北北東쪽으로 이어지는 單層으로 位置上 백전리 單層 의 一部로 보인다. 이 斷層은 東側 地塊가 落下한 垂直 單層이다. [3]
  • 사북 單層 (Sabug Fault)은 旌善郡 사북읍 사북리에서 始作해 사북읍 직전리를 지나 北北東쪽으로 이어지며 位置上 呼名 單層 의 一部로 보인다. 이 斷層은 西쪽이 落下한 垂直 單層으로 推定된다. [3]
  • 고일 單層 (Goil Fault)은 江陵市 까지 이어지는 短曲 單層 의 一部이며 東側이 上昇했다. [3] 고일동은 短曲 斷層이 지나는 旌善郡 南面 유평리 溪谷에 位置한다.
 
寧越郡 平安 累層軍 分布誌 寧越炭田 은 寧越郡 北部에 小規模 分布한다. [9]

寧越郡 內에서 古生代 後期에 形成된 平安 累層軍 朝鮮 累層軍 에 비해 小規模로 分布한다. 그 中에서 두드러진 것은 所謂 寧越炭田 (寧越炭田)이라 불리는 地域으로, 寧越郡 北面 마차리를 中心으로 南-北 方向으로 길게 發達하는 寧越炭田의 平安 累層軍은 過去에는 紅點層과 使動層으로 區分되었으나 現在는 아래서부터 要鳳層, 板橋層, 밤치層, 石炭이 賦存된 美炭層으로 區分하며 使動層/美炭層 上位의 地層은 없다. 上部 地層이 없는 理由는 마차리 스러스트 斷層에 依해 美炭層 上部의 地層들이 모두 侵蝕되어 날아간 것으로 推定된다. 이들 平安 累層軍의 一般的인 走向은 南-北이며 西쪽으로 50~70° 警査한다. 平安 累層軍 西쪽에서는 使動層의 走向과 거의 平行하며 60° 內外로 剄死하는 마차리 스러스트 斷層이 使動層의 上部를 切斷하는데 이 斷層에 依하여 北部(寧越郡 北面 공기리-平昌郡 미탄면 율치리 境界 地域)에서는 使動層이 삼방산層 및 마차리層과, 南部에서는 使動層과 洪漸層이 마차리層과 單層으로 接하여 있다. [31] [32] [3]

生層序帶

編輯

이창진 外(1988)는 平昌郡 미탄면 附近 寧越炭田의 石炭紀 페름기 地層에서 産出된 紡錘蟲 및 코노돈트 化石을 硏究하여 生層序帶를 設定하였다. 石炭-페름기의 石灰巖에서 9屬 16種의 紡錘蟲 化石과 7屬 15種의 코노돈트 化石을 發見하여 Eostaffella ( 要鳳層 下部), Profusulinella ( 要鳳層 上部), Fusulina , Pseudofusulina 4個 紡錘蟲 生層序帶와 Idiognathoides opimus , 下部 Idiognathodus delicatus , 上部 Idiognathodus delicatus , Idiognathodus tersus , Streptognathodus elongatus 5個 코노돈트 生層序帶를 設定하였다. [33]

要鳳層 (Cy; Carboniferous Yobong formation, 要峯層), 過去의 洪漸層 (Ch; Carboniferous Hongjeom formation)은 寧越炭田 의 平安 累層軍 最下部 地層으로, 寧越郡 영월읍 삼옥리와 영흥리 (蓬萊山 山政府 包含) 一部 地域, 北面 마차리의 寧越炭田 使動層 分布地域 周邊과, 白雲山 향사臺에 該當하는 막동 石灰巖層 分布地域 北西部―寧越郡 중동면 , 상동읍 旌善郡 고한읍 境界 地域에 該當한다―에 存在한다. 要鳳層의 이름은 寧越郡 北面 마차리 中央의 골요봉에 位置한 要鳳 마을에서 由來되었다. 要鳳層은 主로 姿色과 綠灰色의 셰일과 沙巖으로 되어 있어 黑色 셰일을 主로 하는 上位의 使動層과 區別되며, 여러 매의 石灰巖이 렌즈上으로 협재되어 있다. 要鳳 附近에는 洪漸層 下部에 800 m 程度만 延長되는 基底 礫巖이 20 m 두께로 협재되어 있다. 이 礫巖層은 다른 地域에서는 確認되지 않으며 원魔都家 좋은 役은 大部分 硅巖이고 드물게 셰일이 있다. 要鳳層에 협재되는 石灰巖層은 要峯에서 11枚, 마차리 南東部 折骨 溪谷에서 5枚가 確認되었으며 洪漸層은 側方 變化가 甚해 最下部의 것을 除外한 石灰巖層은 延長을 追跡하기 어렵다. 要鳳層의 이러한 特性은 三陟炭田의 灣港層과 對比될 수 있지만 要鳳層의 上限이 灣港層과 完全 一致하지는 않아 정창희(1969)는 영흥리-삼옥리 一帶에서는 寧越層群의 永興層을 不整合 으로 덮으며, 上部 地層인 使動層(板橋層)과는 鄭合意 關係이다. 이 地域에서 要鳳層의 下部는 赤色 乃至 淡褐色의 沙巖과 礫巖 好層臺, 赤色 또는 淡綠色의 셰일과 淡綠色의 中立 沙巖 號層대로, 中部는 約 30 m 두께의 담灰色 石灰巖層人 要鳳석회암층으로, 上部는 赤紫色 乃至 淡綠色의 셰일과 淡綠色의 中立 沙巖 및 담灰色 石灰巖 號層대로 構成된다. 이 層의 上限은 要鳳層 上部의 赤色 셰일 또는 白色 乃至 담灰色의 石灰巖層과 板橋層 下部의 灰色 中立 沙巖이 接하는 層準이다. 要鳳石灰巖層준은 영흥리의 發散(鉢山, 이 山 山政府에도 洪漸層 分布)에서 1 km 程度 北쪽에 있는 물巖骨 마을 맞은便 舊採石場으로부터 남-北으로 連續的으로 發達되어 있으며, 褶曲 單層 作用에 依해 實際 두께보다 두껍게 露出된다. 이 石灰巖層은 連續性이 좋아 鍵層(key bed)으로 利用된다. 또한 堤川市 의 歌唱産科 甲山 地域에 分布하는 甲山層 의 30 m 두께의 石灰巖과 잘 對比되며, 要鳳層의 石灰巖에서는 中期 石炭紀 의 모르완(Morrowan)과 아토칸(Atokan)조를 指示하는 紡錘蟲과 코노돈트 가 豐富하게 産出된다. 要鳳層의 沙巖의 構成 粒子는 大部分 石英 粒子들이며 이들의 원馬島는 良好하다. 要鳳層의 全體 두께는 約 110 m이다. 要鳳層 上部에는 石炭紀 모스코祕案을 指示하는 紡錘蟲(푸줄리나)의 化石이 發見된다. [3] [34] [35] [32] [36]

過去의 分類 (使動層, 고방산層)

使動層

編輯

使動層 (Ps; Permian Sadong formation)은 寧越炭田 北部 미탄면 율치리에서 寧越郡 北面 마차리에 이르기까지 남-北 方向으로 길게 分布하고 地層은 褶曲 및 斷層 作用에 依하여 反復 露出되어 있다. 본 層의 基底部에는 暗灰色 石灰巖 層이 있어 下位의 紅點層을 整合的으로 덮는다. 이 石灰巖層의 平均 두께는 9 m로서 寧越炭田 南部에서 잘 發達되어 紅點層과 使動層의 地層 區分에 좋은 標準層의 役割을 한다. 石灰巖層 위에는 두께 10 m의 黑色 셰일 層이 있고, 그 위에 綠灰色 細粒 乃至 中立 沙巖 이 20~50 m의 두께로 發達한다. 이는 셰일 및 石炭層에 비해 風化 作用에 對한 抵抗力이 크므로 여러 곳에서 山봉우리를 이룬다. 이 沙巖層 위에 두꺼운 셰일層이 發達되어 있다. 이 셰일層은 褶曲과 斷層에 依하여 攪亂되어 正確한 두께를 알 수 없으나 100 m 程度로 推定된다. 본 層의 基底 石灰巖 內에는 유공충류, 完足類, 蹼足類 等 다양한 化石이 算出된다. 본 層의 走向은 南-北~北東 10°이며 警査는 褶曲 作用에 依하여 代替로 마차리 스러스트 單層 附近에서는 北西 60°, 東部의 洪漸層 附近에서는 北東 55°이다. 全體 두께는 400 m 以上이다. [31]

  • 이종덕 等(1994)은 寧越炭田의 밤治裁에 드러난 使動層에서 코노돈트 微化石을 硏究하였다. 밤齒고개 斷面의 使動層에서는 Spathognathodus minutus ( Anchiognathodus typicalis? )와 Streptognathodus elongatus 가 發見되었는데 이들의 算出範圍가 넓어 生層序帶를 定하지 않았다.

고방산層

編輯

고방산層 (TRg; Triassic Gobangsan formation)은 地質圖 上으로 洪漸層 分布地域 바로 北쪽인 寧越郡 중동면 , 상동읍 旌善郡 고한읍 境界 地域과, 중동면 和原理 一部 地域, 영월읍 팔괴리-정양리 境界 地域에 小規模로만 分布한다. 白色 沙巖으로 構成되며, 下部에서 石英 驛(quartzite pebble)과 셰일癌便이 發見되고, 地域的으로 不整合 이 存在한다. 고방산層은 植物 化石에 根據한 가와사키(1927)의 硏究에 依해 中生代 트라이아스기 로 考慮되었으나, 고바야시(1953)는 이들 植物 화석군이 大部分 後記 페름기 에 該當된다고 보고 하였다. [36] [9]

現在의 分類 (板橋層, 밤치層, 美炭層)

板橋層

編輯

板橋層 (Cp; Carboniferous Pangyo formation, 板橋層)은 要鳳層을 整合的으로 덮으며 페름기 밤치層에 依해 不整合 으로 덮인다. 板橋層은 上部로 灰色의 中立 乃至 細粒沙巖, 灰色의 셰일과 石灰巖 等으로 構成된다. 板橋層의 石灰巖 에는 中期 石炭紀 의 더모이네試案(Desmoinesian) 或은 모스코飛雁(Moscovian) 條를 指示하는 紡錘蟲과 코노돈트 化石이 豐富하게 産出된다. 이 地層의 두께는 約 130 m이다. [32] [34]

밤치層

編輯

밤치層 (Pb; Permian Bamchi formation)은 板橋層을 不整合 으로 덮으며 美炭層에 依해 整合 으로 덮인다. 地層의 이름은 現在 地方도 제415호선 이 지나는 밤治裁에서 由來했다. 밤치層은 暗灰色의 셰일, 石灰巖 및 灰色 細粒 乃至 中立沙巖으로 構成된다. 特히 밤치層의 石灰巖 內에는 層狀 乃至 團塊上의 暗灰色 처트 가 많이 發達되어 있다. 밤치層의 石灰巖에는 下部 페름기 를 指示하는 紡錘蟲과 코노돈트 , 유공層의 化石이 算出된다. 밤치層의 두께는 約 85 m이다. [32] [37]

  • 이창진은 1990年 寧越郡 北面 밤치(밤再) 附近에 드러난 밤치層의 石灰巖 에서 14屬 16種의 有孔蟲 化石을 發見하였다. 밤치層 下部 石灰巖은 두께 5~7 m이며 暗灰色을 띤다. 장경 1 cm 內外의 大型 紡錘蟲이 많이 包含되어 있어 다른 石灰巖과 쉽게 區別된다. 이 石灰巖으로부터 사크마리안兆에 該當하는 紡錘蟲 Pseudofusulina , Quasifusulina , Pseudoschwagerina 코노돈트 Streptognathodus , Diplognathodus 가 算出된다. 이창진의 硏究에서는 有孔蟲 Tuberitina sp. A, Planoendothyra evoluta , Globivalvulina sp. A, Paleotextularia sp. A, Tetrataxis vulgaris , Monotaxinoides donbassicus , Climacammina antiqua , C. volgensis 이 發見되었다. 中下部 石灰巖은 두께 3~5 m이며 主로 暗灰色-暗褐色을 띤다. 장경 1 cm 內外의 大型 紡錘蟲이 많이 包含되어 있어 다른 石灰巖과 쉽게 區別된다. 이 石灰巖으로부터 사크마리안條를 指示하는 紡錘蟲 Pseudofusulina , Quasifusulina 코노돈트 Neognathodus 가 報告된 바 있다. 이 石灰巖에서 유공層 Diplosphaerina sp. A, Neotuberitina maljavrni , Cribrogenerina nitina , Quasituberitina sp. A, Nodosinella sp. A, Mediocris breviscula , Paramediocris sp. A, Bradyina rotula , B. cribrostomata , Paleotextularia sp. A와 함께 紡錘蟲 Schubertella kingi 가 發見되었다. 이들 大部分은 美國 네바다州 石炭紀 地層, 오클라호마주 아칸소州 의 모르완 表式層(Morowan stratotype), 日本 의 푸쿠지(Fukuji)에 있는 이치노타니層(Ichinotani formation)에서 發見되어 記載된 바 있다. [38]

美炭層

編輯

美炭層 (Pm; Permian Mitan formation)은 밤치層을 整合으로 덮으며 이 層의 上限은 캄브리아기 朝鮮 累層軍 마차리層과 마차리 스러스트 單層으로 接한다. 尾炭層은 灰色의 中立 沙巖과 暗灰色의 셰일 로 構成되며 上部에 3枚의 石炭 層을 包含한다. 美炭層의 上部가 斷層에 依해 잘리고 甚한 褶曲 構造를 보이고 있어 美炭層의 正確한 두께를 알 수 없지만 約 300 m로 推定된다. [32]

  • 페름기의 尾炭層은 멧鈍才 中心部에 南北으로 發達되어 있다. 이 地域에서 尾炭層은 要鳳層을 不整合 으로 被覆한다. 尾炭層은 大部分 黑色 셰일로 構成되며 얇은 石炭層이 發達되어 있다. 美炭層의 表式地는 江原道 平昌郡 미탄면 마차리이다. 表式地에서 尾炭層은 下部로부터 灰色 中立질 沙巖, 黑灰色 셰일, 3個의 炭層을 가진 黑色 셰일 巡으로 이루어져 있다. 멧鈍才 地域의 尾炭層은 主로 셰일로 이루어져 있다. 尾炭層은 太白地域의 將星層에 對比되는 層이다. 調査 地域에서는 멧鈍才 터널 工事 地域에서 石炭層이 1~2m 협재되어 있다. 멧鈍才 構圖路邊에 分布하는 셰일層에는 單層 代가 發達되어 있다. [39]

甲山層

編輯

甲山層 (Og; gapsan formation)은 丹陽郡 어상천면 - 매포읍 - 堤川市 境界에 位置한 甲山(732.4 m)과 寧越郡 南面 토교리 南쪽에 位置한 歌唱山(818.6 m) 一帶에 分布하는 地層이다. 平昌 스러스트 單層 西便에서 甲山層으로 命名된 이 地層이 紅點層에 對比된다는 報告가 있었다. 甲山層은 太白山地區地下資源調査團(1962)의 迎春圖幅에서 平昌 單層 西便에 길게 伸張된 模樣으로 朝鮮 累層軍 石灰巖과 돌로마이트 위에 놓이는 時代 未詳의 地層으로 처음 認知되었다. 이 地層의 下部는 主로 赤色의 組立 沙巖과 실트암으로, 中部는 담灰色 乃至 白色의 石灰巖 으로, 上部는 赤色 李嵒, 淡褐色 乃至 담灰色 石灰巖의 互層(互層)으로 構成되어 있으며, 李嵒은 石灰巖層 사이에 얇게 협재되고, 저變成 作用을 받아 一部 李嵒은 粘板巖 이나 千枚巖 으로 變하였다. 이 層의 石灰巖은 主로 海百合(가장 優勢), 蹼足類, 開形衝, 有孔蟲, 珊瑚, 紡錘蟲 等의 生物 破片으로 構成되어 있으며 白色 乃至 담황갈색의 처트(chert)가 板狀(板狀) 또는 球形으로 많이 發達되어 있다. 본 地層이 나타나는 構造上의 位置에 依해 下部의 오르도비스기 石灰巖보다는 젊고, 中生代 쥐라紀 대보 造山運動 時期보다는 오래된 地層日 것으로 알려졌다. 以後 植物 化石 [40] [41] 紡錘蟲 化石이 産出되면서 甲山層의 地質時代는 古生代 石炭紀 下部 모스코비안에 該當하는 것으로 提案되었다. [36] [42] [9]

안인리에서 묵호동 에 이르는 東海岸 一帶와, 大關嶺 東方 4 km 地域에서부터 江陵 南方 12 km 地點인 만덕봉 附近에까지 이르는 地域은, 石炭이 算出되어 所謂 江陵炭田 (江陵炭田)으로 불리는 地域이다. 面積 190 km 2 에 이르는 江陵炭田에는 全國 石炭의 約 5%가 埋藏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80年代 末 約 90個의 炭鑛이 運營되었으나 石炭産業 合理化 事業으로 모두 廢鑛되었다. [31] [43]

太白山地區地下資源調査團 (1962)

太白山地區地下資源調査團에 依하면 洪漸層, 使動層, 고방산層 內에 石炭層을 包含하나 洪漸層 上部에 협재되는 石炭層과 고방산層 下部의 石炭層은 加行할 만한 두께를 갖지 못해 說明을 省略하였다.

  • 江陵炭田 의 使動層은 江陵炭田 南部의 紅點層과 北部의 고방산層 사이에 分布하며 酸性外리, 임곡리, 옥계면 금진리, 墨湖港 北쪽 망상동, 대진동 等地에서는 甚한 褶曲 作用을 받아 複雜하게 分布한다. 본 地層은 上, 中, 下部로 나누어지는데 그 全體 두께는 120 m 內外이나 臨哭 地域에서는 60 m로 減少한다. 下部는 紅點層을 整合 으로 덮는 黑色 셰일 로부터 重炭層의 下半 沙巖 職下部까지 30~50 m의 두께를 가지며 主로 黑色 셰일 로 構成되나 얇은 세臘沙巖層을 협재하고 洪漸層 가까이에 얇은 石炭 層을 협재한다. 下部에 협재된 下炭層은 그 發達이 뚜렷하지 못하며 加行할 만한 價値가 別로 없다. 下炭層의 두께는 1 m 以下이며 炭質은 4500~5000 cal이다. 中部는 重炭層의 下半 沙巖으로부터 賞炭層의 下半 셰일 下部까지의 30~40 m 두께의 地層으로서 旺山面 地域과 같이 黑色 沙巖을 主로 하는 곳과 酸性外리 地域과 같이 셰일을 主로 하는 곳이 있다. 中部 內에는 基底部의 두께 5~15 m의 沙巖을 下半 沙巖으로 하여 重炭層이 發達한다. 重炭層의 位置는 곳에 따라 다르며 酸性外里에서는 고방산層 基底部 직하 70 m, 旺山面 地域에서는 직하 55 m 地點에 位置한다. 重炭層의 上盤은 黑色 셰일이며 下半은 中立質疑 黑色 沙巖이다. 이 黑色 沙巖은 重炭層을 찾는 열쇠層(Key bed)李 되며 黑色 沙巖 위에 若干의 黑色 셰일이 發達되는 境遇가 있어 黑色 셰일을 上下半으로 하여 협재되는 境遇도 있다. 上部는 賞炭層의 下半 셰일로부터 고방산層의 基底 職下部까지 細粒沙巖과 沙質셰일을 主로 地層으로서 地層의 두께는 곳에 따라 달라 基馬蜂(騎馬峯) 附近에서는 80~100 m로 두꺼워지고 酸性外里에서는 50 m, 旺山面에서 20 m로 얇아지며 임곡리에서는 上部가 없다. 上部에는 賞炭層이 협재되어 있으며 賞炭層의 發達은 主로 旺山面 地域에서 顯著하다. 酸性外리와 금진리 地域에서는 上炭層의 加行이 거의 不可能한 것으로 여겨진다. 上炭層의 上盤은 灰白色의 組立 沙巖이며 下半은 白色 斑點을 갖는 黑色 셰일이다. 이 黑色 셰일은 部分的으로 탄질물의 含量이 높아 加行 對象이 되는 部分도 있다. [31]

貞洞심곡바다부채길 과 옥계면 금진리 海岸

編輯

貞洞심곡 바다부채길 江陵市 강동면 심곡리와 貞洞眞理 海岸에 設置된 2.6km의 海岸길로, 이 海岸길을 따라 아래 寫眞과 같이 平安 累層軍 露頭 가 大規模로 드러나 있어 平安 累層軍 의 여러 巖石과 層理 , 褶曲 , 巖脈 等 다양한 地質構造를 觀察할 수 있다. 이 길은 강동면 심곡리 심곡港 北쪽의 賣票所에서 정동진 海岸段丘 의 썬쿠르즈리조트 附近의 賣票所까지 이어지며 中間에 負債바위, 투구바위 等의 名所가 있고 入場料는 成人 5,000원이다. 이 길은 바다와 堆積巖 平安 累層軍 으로 構成된 絶壁에 아주 가까워 越波와 落石에 注意하여야 한다.

灣港層

編輯

灣港層 (Manhang formation)은 平安 累層軍 의 最下否認 石炭紀 地層으로 過去의 紅點層에 該當하며, 下部 地層인 석병산層 不整合 으로 덮는다.

  • 上部 古生代의 層序硏究(1990)에 依하면 江陵炭田의 灣港層은 沮塞, 綠色, 灰色 셰일, 綠灰色 細粒/組立沙巖, (綠)灰色의 셰일과 실트스톤으로 構成되며 灰色, 乳白色 乃至 淡紅色 石灰巖 이 협재되고 地層의 두께는 約 300 m이다. [44]
  • 江陵 地質圖幅에 依하면 江陵炭田의 灣港層은 다른 炭田의 灣港層에 비해서 分布 面積이 넓고 두껍다. 江陵 地域의 灣港層은 一般的으로 主로 淡綠色 千枚巖 또는 셰일, 灰色 乃至 暗灰色 셰일이나 細粒質 沙巖으로 構成되며, 特徵的으로 다른 地域에서 잘 나타나는 赤色 乃至 赤灰色의 셰일이나 沙巖이 거의 觀察되지 않는다. 灣港層 內에는 白色의 石灰巖이 렌즈上으로 협재하며, 中部에 2個의 얇은 石炭層이 報告되어 있다. 灣港層은 석병산層과 마찬가지로 강릉시 旺山面 도마리와 江陵市 강동면 임곡리의 두 地域에서 석병산層과 隣接하여 分布한다. [43]
    • 旺山面 도마리에 分布하는 灣港層은 綠灰色 乃至 灰色의 千枚巖이 가장 優勢하며, 粘板巖, 細粒質 沙巖, 石灰巖이 一部 협재한다. [43]
    • 강동면 임곡리 地域에서 灣項層은 臨哭 單層의 西便과 東便에 모두 分布한다. 西便에서는 석병산層의 上部에 不整合的으로 놓이며, 東便에서는 석병산層과 接하는 部分 없이 넓은 地域에 걸쳐서 分布한다. 臨哭單層 東便으로 넓게 分布하는 까닭은 南北 方向의 향사와 배社가 最小限 3條가 發達하면서 地層이 反復되기 때문으로 解釋된다. 臨哭 單層 東便의 灣港層은 臨哭敎會 附近까지 分布하고, 臨哭單層 西便에서는 江陵乘馬場 附近까지 分布하여, 臨哭斷層에 따른 灣港層의 겉보기 水平 變位量은 約 2.9 km에 이른다. [43]

衿川層

編輯

衿川層 (Geumcheon Formation)은 過去의 上部 紅點層에 該當하며 暗灰色 沙巖, 黑色 細粒質沙巖, 沙質셰일과 셰일 로 構成되고 2枚 以上의 렌즈上 石灰巖 을 협재한다. 이 石灰巖層準에서 4種의 紡錘蟲 化石과 기타 有孔蟲의 化石이 報告되어 있다. 地層의 두께는 80~120 m이다. [44]

將星層

編輯

將星層 (Jangseong Formation)은 (癌)灰色의 中-組立沙巖과 暗灰色 및 黑色沙巖으로 構成되며 數 枚의 石炭 層이 협재되어 있다. 셰일層에는 Annularia , Cordaites , Stigmaria , Tingia , Tingiostachya 等의 植物 化石이 報告되어 있다. 地層의 두께는 150 m 程度이다. [44]

함백산層

編輯

함백산層 (Hambaeksan Formation)은 過去의 고방산層 下部에 該當하며 乳白色, (담)灰色, 淡綠色의 (劇)組立沙巖과 淡綠色-(綠)灰色 細粒沙巖으로 構成되며 박층의 黑色/暗灰色 셰일과 沙巖을 협재한다. 地層의 두께는 約 200 m이다. [44] 江陵市 강동면 심곡리~ 옥계면 금진리 海岸道路를 따라 아래 寫眞과 같이 함백산層 이 드러나 있으며 褶曲 單層 , 巖脈 이 觀察된다.

망덕산層

編輯

망덕산層 (Mangdeoksan Formation)은 함백산層을 整合으로 덮으며 暗灰色 沙巖과 셰일로 構成된다. 地層의 두께는 250 m이며 三陟炭田 地域의 道士曲層에 對比되는 것으로 보인다. [44]

언별리層

編輯

언별리層 (Unbyeolri Formation)은 淡綠灰色 및 白色 沙巖과 淡綠色 셰일로 構成되며 地層의 두께는 約 250 m이다. [44]

江陵 地質圖幅의 平安 累層軍

編輯
 
정동진 썬크루즈 호텔과 그 옆의 平安 累層軍
 
정동진 地域의 투구바위와 貞洞심곡 바다부채길.
  • 江陵 地質圖幅(2011)의 中部 平安 累層軍 (CPmp; middle pyeongan supergroup)은 衿川層과 將星層을 包含하는 地層으로 過去의 使動層에 該當한다. 두 地層을 하나로 묶은 理由는 많은 地域에서 衿川層과 將星層의 區分이 힘들고, 衿川層의 分布가 넓지 않기 때문이다. 中部 平安 累層軍의 下部 限界는 灣港層 上位로 暗色이 어두워지기 始作하는 部分이며, 上限은 上部 平安累層群의 乳白色 沙巖이 露出되기 始作하는 地點이다. 下限과 上限은 모두 整合的인 關係이다. 主된 암상은 暗灰色의 셰일, 실트암, 細粒質 沙巖 等으로 大部分 千枚巖 化되어 있으며, 炭質 셰일이 협재한다. 中部 平安累層群의 上位에 該當하는 將星層에는 4枚의 無煙炭 層이 협재하며, 페름기를 指示하는 Annularia, Cordaites, Stigmaria, Tingia 等의 植物 化石이 報告되었다. 旺山面 도마리와 강동면 모전리 等地에 分布한다. 中部 平安累層群 上位에 該當하는 將星層이 分布한 곳을 따라서 過去에 지암炭鑛, 嶺東炭鑛, 동림炭鑛 等이 줄지어 開發되었으며, 그 痕跡이 只今도 많이 남아있다. 강릉시 旺山面 도마리와 구정리에서는 褶曲構造에 依해서 灣港層과 上部 平安累層群 사이에 露出된다. 特히, 강릉시 구정면 언별리와 강동면 安人眞理에서는 中部 平安 累層軍이 逆斷層에 依해서 여러 次例 反復된다. 언별리 單脛骨에서 망덕봉으로 올라가는 稜線에서는 2個의 逆斷層에 依해서 上部 平安 累層軍 內에 中部 平安 累層軍이 두 番 反復된다. 이는 稜線의 南쪽 골짜기에서도 確認된다. 臨哭 單層 東便의 강동면 安人眞理에서도 3個의 逆斷層에 依해서 中部 平安 累層軍이 세 番 反復된다. [43]
  • 江陵 地質圖幅(2011)의 上部 平安 累層軍 (Pup; upper pyeongan supergroup)은 함백산層, 망덕산層, 언별리層을 包含하는 地層이다. 江陵 地域의 平安 累層軍 中에서 가장 넓게 分布하며, 구정면 구정리와 강동면 언별리 一帶에서 中生代 花崗巖과 接한다. 上部 平安累層群이 分布가 넓은 理由는 北서-남동 乃至 南北 方向의 褶曲 構造가 많이 發達하여, 南北의 走向 方向을 가지는 上部 平安 累層軍이 東西 方向으로 反復되기 때문이다. 上部 平安 累層軍은 中部 平安 累層軍을 整合으로 덮으며, 全體的으로 乳白色 乃至 軟灰色의 沙巖 또는 硅巖이 優勢하고, 千枚巖질 沙巖이나 실트암이 협재한다. [43]
    • 강동면 심곡리의 貞洞심곡 바다부채길(寫眞)에는 바닷가를 따라 平安 累層軍 이 發達해 있다. 過去 고방산層群으로 分類된 이 地層은 主로 沙巖 으로 構成되며 셰일 層이 협재되고 海岸을 따라 시스텍이 分布한다. 셰일層에는 植物 化石 等이 確認되었다. [45]

江陵炭田의 地質構造

編輯

江陵 南東部의 江陵 炭田 地域에서는 古生代 後期의 平安 累層軍 內에 葉理, 壓碎, 單層, 褶曲 構造와 같은 形成 時期를 달리하는 수많은 地質 構造가 發達한다. 平安 累層軍의 堆積 以後, 이 地域 內에서 最小限 1回의 壓碎作用, 3回의 褶曲作用, 3回의 單層運動이 確認된다.

김유홍 等(2012)은 江陵炭田 北部의 地質調査를 통해 6回의 變形作用을 設定하였다. 硏究에 依하면, 첫番째는 廣域的인 葉理面과 壓碎面을, 두番째는 北北西 方向의 褶曲 構造와 파랑善構造 및 葉理面을, 세番째는 남-北 方向의 開放褶曲을, 네番째는 北北東 方向의 逆斷層과 이에 隨伴된 褶曲 構造를, 다섯番째는 北北東 走向의 正斷層을, 여섯番째 變形作用은 北北東 方向의 우수향 走向 移動 斷層을 形成하였다. 地質構造와 남亢進 閃綠巖과 江陵 花崗巖 과의 關係를 통해 첫番째부터 네番째 變形作用까지는 232 Ma ( 트라이아스기 ) 以後, 174 Ma ( 쥐라紀 ) 以前에 일어난 것으로 推定되며, 첫番째와 두番째 變形作用은 南中國板과 北中國 剛塊 衝突의 影響일 可能性이 높다. 그리고 臨哭 斷層은 白堊紀 以後에 形成된 것으로 생각된다. [46]

褶曲
  • 도마리 背斜 旺山面 도마리에 西北西-南東 方向으로 發達하며, 褶曲 가운데에 朝鮮 累層軍 석병산層이, 그 兩쪽에 平安 累層軍 灣港層이 分布한다. 도마리 背斜는 謄寫 褶曲의 構造를 보인다. [46]
  • 늘木材 背斜 는 매峰山(820.7 m) 附近, 구정면 구정리와 旺山面 도마리 사이에 位置한 고개 늘木材에서 성산면 산북리의 坐忘두마을로 이어지는 延長 2.5 km, 北北西-南南東 方向의 軸을 가진 背斜 褶曲이다. 이 褶曲 構造에 依해 가운데에 暗灰色의 셰일과 沙巖人 中部 平安 累層軍이, 그 兩쪽에 乳白色 沙巖人 上部 平安 累層軍이 分布한다. 도마리 背斜와 마찬가지로 謄寫 褶曲이다. 성산면 산북리에서 남亢進 閃綠巖에 管入黨해 消滅된다. [46]
  • 칠성산 향사 는 구정면 어단리 南쪽의 칠성산을 지나는 南-北 走向의 向斜 褶曲으로, 七星貯水池에서 석병산 附近까지 約 7 km 이어진다. 칠성산 향사는 江陵炭田의 平安 累層軍의 分布에 影響을 주는 大規模의 褶曲 構造로, 南-北 方向의 軸을 境界로 平安 累層軍 地層이 東側에서는 北北東 走向에 西北西 傾斜를 보이며, 西側에서는 北西 走向에 北東 傾斜를 보인다. 칠성산 향사 東側에는 臨哭 斷層을 따라 석병산層과 灣港層이 길게 드러나 있어 칠성산 향사에 對應되는 背斜 構造의 存在를 暗示하였으나 調査 結果 뚜렷한 背斜 構造가 確認되지는 않았다. 이는 後期의 變形作用이 겹치며 地層이 攪亂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46]
單層
  • 臨哭 單層 은 江陵炭田 地域에서 約 20 km 以上 追跡되는 單層이다. 單層의 走向은 北東 15°이며, 高角의 垂直 單層이다. 江陵炭田 報告書에서 臨哭 斷層은 東側이 떨어진 垂直斷層으로 報告되었다. 臨哭 斷層에 따른 灣港層의 겉보기 水平 變位量은 約 2.9 km에 이른다. 따라서 臨哭斷層은 東쪽 地塊가 떨어진 正斷層 運動과 우수향 走向移動이 複合的으로 일어난 單層일 可能性이 높다. [43]
  • 강릉시 구정면 언별리와 강동면 安人眞理에서는 中部 平安 累層軍이 逆斷層에 依해서 여러 次例 反復된다. 강동면 安人眞理에서 平安 累層軍이 反復되는 現象은 旣存에 謄寫 褶曲 에 依한 것으로 解釋되었으나 황재하 等(2011)은 地質調査를 遂行하고 試錐資料를 分析하여 地層의 反復 分布 現象이 褶曲이 아닌 平行한 逆斷層들의 發達에 起因한 것으로 確認하였으며 이 平行 逆斷層들이 鱗片狀으로 發達하는 스러스트 單層 일 可能性이 높다고 하였다. [47] 언별리 單脛骨에서 망덕봉으로 올라가는 稜線에서는 西쪽부터 언별리 스러스트 單層, 망덕봉 스러스트 單層 2個 斷層에 依해서 上部 平安 累層軍 內에 中部 平安 累層軍이 두 番 反復된다. 臨哭 單層 東便의 강동면 安人眞理에는 西쪽부터 北北東-南南西 走向의 松村 스러스트 單層, 虛梨大 스러스트 單層, 대포동 스러스트 單層 3個 斷層에 依해서 中部 平安 累層軍이 세 番 反復된다. 二重 대포동 스러스트 斷層은 安人眞理 海岸가에서 江陵 花崗巖에 依해 切斷되어 逆斷層 運動은 平安 累層軍이 堆積된 後 1億 7400萬 年 前 以前에 일어난 것으로 推定된다. [43] [46]

旌善-平昌炭田

編輯
 
平昌郡 - 旌善郡 一帶에 分布하는 平安 累層軍 [9] [48] [49]

平昌郡 旌善郡 境界 地域에는 廣域的인 規模의 向斜 褶曲 旌善 對향사 (Jeongseon great syncline, 旌善大向斜)에 依해 平安 累層軍이 매우 넓게 對稱的으로 分布하고 있어 平昌郡과 旌善郡 兩쪽에 걸쳐 있다.

平昌 地域 (倉洞圖幅, 平昌圖幅)

平昌郡 南東部 旌善郡 과의 境界 地域에는 廣域的인 規模의 向斜 褶曲 旌善 對향사 (Jeongseon great syncline, 旌善大向斜)에 依해 古生代 石炭紀 ~ 中生代 트라이아스기 에 形成된 平安 累層軍이 매우 넓게 分布하고 있다. 太白山地區地下資源調査團(GICTR, 1962)에 依해 太白山 盆地의 平安 累層軍이 아래로부터 洪漸層(Ch), 使動層(Ps), 고방산層(TRg) 및 綠巖層(TRn)으로 區分된 以來로 平昌 地域에서도 오랜 期間 이 層서 區分을 使用하고 있으나, 平昌炭田 精密地質報告書에서는 이를 下部로부터 灣港層, 衿川層, 밤치層, 將星層, 옥갑산層, 상원산層 및 박지산層으로 區分하기도 하였다. 大規模 向斜 構造에 依하여 平安 累層軍의 各 地層들은 平昌과 旌善 兩側에 分布하며 이中 平昌郡에는 평창읍 의 장암산(893 m)과 조동리에서 남병산과 청옥산, 加里旺山, 白石山과 잠두산, 頭陀山, 高루포기산에 이르는 山岳 地域에 分布한다. [49]

洪漸層

編輯

洪漸層 (Ch; Carboniferous hongjeom formation) 또는 灣項層은 主로 綠灰色의 셰일 또는 細粒質 沙巖으로 構成되며, 白色의 結晶質 石灰巖層이 협재된다. 三陟炭田 灣港層 에 對比되나, 그들의 特徵的 暗商人 赤色 乃至 紫色의 沙巖層이 平昌 地域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대화리 가지桐 一帶에서 平昌層群 汀線 석회암층 과의 接觸部는 실루리아기 - 데본기 의 결層이 있음에도 不拘하고 큰 變化 없이 平行하게 發達되어 있다. 地質 時代는 石炭紀 初期이다. [49] [50]

使動層

編輯

使動層 (Ps; Permian sadong formation)은 主로 暗灰色 乃至 黑色 沙巖과 셰일의 互層으로 構成되며, 下部에 數 層의 렌즈上 石灰巖이 협재되고, 上部에는 石炭層이 협재된다. 三陟炭田의 衿川層과 灣港層에 對比되며, 寧越炭田의 밤치層에 該當하는 地層도 이에 包含된다. 平昌 地域은 三陟 地域과는 달리 衿川層과 將星層 사이에 卽 石炭紀 말에서 페름기 初期에 이르는 결層을 包含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화리 가지桐 一帶에서 使動層은 下半部는 衿川層에 上半部는 將星層에 該當하는 部位이며, 가지桐 東部에서 將星層에 對比되는 上部와 가지桐 北東部에서 衿川層에 對比되는 下部에 石炭을 含有한 含炭層이 發見된다. 上部의 고방산層과는 거의 平行하고 整合的으로 發達되어 있다. [49] [50]

고방산層

編輯

고방산層 (TRg; gobangsan formation)은 使動層 上位에 整合으로 놓이며 主로 白色의 조립질 沙巖과 黑色 셰일로 構成된다. 이 層은 三陟炭田의 함백산層, 道士曲層 및 高한層에 對比되며, 옥갑산層이 이에 該當한다. 元來 고방산層은 三陟 地域의 함백산層, 道士曲層, 高한層을 包含하는 페름기 中部-上部에 屬하는 地層으로 平昌과 旌善에서는 그와 같은 層準이 連續的으로 維持되지 않는 地域的 特性이 있어 高한層 中部까지 上限을 둔 옥갑산層(玉甲山層)을 設定하게 되었다. [49]

綠巖層

編輯

綠巖層 (TRn; nok-am formation)은 平昌 地域 平安 累層軍의 最上位 地層이며 綠灰色의 細粒質 沙巖, 실트암 및 셰일로 構成되며, 三陟炭田의 東古層 및 平昌炭田 精密地質報告書의 상원산層과 박지산層이 이에 對比된다. [49]

旌善 地域

旌善郡 北西部 平昌郡 과의 境界 地域에는 廣域的인 規模의 향사 褶曲 旌善 對향사 (Jeongseon great syncline, 旌善大向斜)에 依해 古生代 石炭紀~中生代 트라이아스기에 形成된 平安 累層軍이 매우 넓게 分布하고 있다. 平昌과 旌善 兩쪽에 걸쳐 있는 이 地域은 흔히 旌善-平昌炭田 (旌善-平昌炭田)으로 불리며, 太白山地區地下資源調査團(GICTR, 1962)에 依해 太白山 盆地의 平安 累層軍이 아래로부터 洪漸層(Ch), 使動層(Ps), 고방산層(TRg) 및 綠巖層(TRn)으로 區分된 以來로 旌善-平昌 地域에서도 오랜 期間 이 層서 區分을 使用하고 있으나, 旌善-平昌炭田 精密地質報告書에서는 이를 下部로부터 灣港層, 衿川層, 밤치層, 將星層, 옥갑산層, 상원산層 및 박지산層으로 區分하기도 하였다. 또한, 旌善郡 南部 寧越郡 과의 境界 地域에는 같은 向斜 褶曲人 白雲山 享祀대 (Baekunsan syncline zone, 白雲山 向斜帶)에 依해 白雲山 을 中心으로 平安 累層軍이 東-西 方向으로 分布한다. 分布 地域은 위 指導를 參照할 것. [49]

洪漸層 ( 灣港層 )

編輯

洪漸層 (Ch; Carboniferous hongjeom formation) 또는 灣港層 (?項層)은 平安 累層軍의 最下部 地層으로 朝鮮 累層軍 汀線 석회암층(Oj)을 不整合 으로 덮으며 主로 綠色~綠灰色의 中立 沙巖 과 暗灰色 乃至 綠灰色 셰일 및 細粒 沙巖으로 構成되고 數 枚의 乳白色 또는 淡紅色의 렌즈上 結晶質 石灰巖과 셰일을 협재한다. 黑色 셰일 中에는 炭質 셰일이 협재되며 본 地層의 두께는 250 m 內外이다. [51] [52]

使動層

編輯

使動層 (Ps; Permian sadong formation)은 主로 暗灰色 乃至 黑色 沙巖과 셰일의 互層으로 構成되며, 下部에 數 層의 렌즈上 石灰巖이 협재되고, 上部에는 石炭層이 협재된다. 이 地層은 下部 衿川層과 上部 將星層에 該當한다. [49] [51]

衿川層 (黔川層)은 使動層으로 불려지던 含炭層의 下部 石灰巖臺에 該當하는 地層이다. 主로 黑色 乃至 暗灰色 셰일과 灰色 乃至 暗灰色 沙巖 및 2~3枚의 暗灰色 렌즈上 石灰巖 으로 構成되며 局部的으로 石炭層이 협재되기도 한다. 地層의 두께는 60 m 程度이다. [51] [52]

將星層 (長省層)은 主로 黑色 셰일과 暗灰色 沙巖 그리고 3~4枚의 無煙炭 層으로 構成되어 있으며 본 地層의 최上部로부터 50~60 m 下位에 比較的 連續性이 좋은 灰色 組立(粗粒) 沙巖層이 협재되어 鍵層(열쇠層)의 役割을 하고 있다. 그러나 地域的으로는 본 沙巖層이 中立 乃至 細粒 沙巖層으로, 드물게는 실트스톤으로 點이되기도 한다. 將星層에 賦存된 石炭層은 옥갑산層(고방산層) 基底部로부터 20~30 m 아래에 있는 上部 石炭層과 이로부터 20~30 m 아래에 있는 中部 石炭層 그리고 利로부타 約 50 m 아래 卽 將星層의 基底 組立沙巖 위쪽으로 約 15 m 에 下部 石炭層이 存在한다. 將星層은 走向의 아래의 衿川層과 平行하며 巖石의 色 또한 黑色 乃至 暗灰色으로 衿川層과 類似하다. 본 地層의 두께는 120 m이다. [51] [52]

옥갑산層

編輯

옥갑산層 은 三陟炭田의 함백산層 , 道士曲層, 高한層에 該當하며 고방산層에 該當한다. 下部 乳白色 組立沙巖과 中部의 黑色셰일과 沙巖의 交互層, 上部의 乳白色 組立沙巖과 淡綠灰色 中立沙巖 交互層으로 發達하며 地層의 두께는 平均 300 m, 旌善炭田 中部에서 450 m이다. 옥갑산層 中部에 있는 두께 20~30 m 셰일臺 內에는 炭質셰일과 無煙炭 이 협재되며 본 셰一帶에서 페름기 를 指示하는 植物 化石 Pecopteris sp., Cladophlebis sp., Odontopteris sp., Longitolia Kawasaki, Tingia sp.가 發見되었다. 上部에는 赤色 셰일이 협재되며 최上部로 갈수록 癌灰綠色 셰일이 많이 협재된다. 최강원과 박용안(1994)는 旌善郡 정선읍 회동리 地域의 옥갑산層을 調査하고 옥갑산層의 一部分이 過去 牛角湖 에서 堆積된 것으로 解釋하였다. 옥갑산層 下部, 將星層과의 境界에서 120 m 上位에 있는 이 部分은 暗灰色 李嵒과 담灰色 沙巖의 互層單位가 平均 5.1 cm 두께로 約 80回 反復된다. [53]

고방산層

編輯

고방산層 (TRg; Triassic gobangsan formation) 또는 옥갑산層 (玉甲山層)은 主로 暗灰色 乃至 黑色 셰일이 간간히 협재되는 乳白色 乃至 담灰色의 조립질 沙巖과 暗灰色 細粒 沙巖, 綠灰色 셰일 또는 실트스톤 等으로 構成된다. 본 地層의 基底部는 硅質 沙巖 또는 乳白色 組立 沙巖으로 下部의 使動層과는 區分이 容易하며 中部는 暗灰色 乃至 黑色 셰일과 沙巖의 互層臺(互層帶)를 이루고 페름기 를 指示하는 植物 化石 을 갖고 있다. 上部에는 담灰色 中-組立 沙巖이 優勢하고 乳白色 沙巖과 赤色 셰일의 얇은 層이 2~3枚 협재되기도 한다. 이 層은 三陟炭田의 함백산層, 道士曲層 및 高한層에 對比된다. 地層의 두께는 450~500 m 程度이다. 옥갑산(1285 m)은 북평면 북평리 東쪽에 位置한 山이다. [51] [52]

綠巖層

編輯

綠巖層 (TRn; Triassic Nok-am formation)은 綠灰色의 細粒質 沙巖, 실트암 및 셰일로 構成되며, 三陟炭田의 東古層 및 旌善-平昌炭田 精密地質報告書의 상원산層과 박지산層이 이에 對比된다. 平安 累層軍 最上位 地層인 본 地層의 基底는 綠色 組立 沙巖 이고 上部로 가면서 綠灰色 中立 沙巖과 石灰質이 많이 含有된 綠灰色의 실트스톤과 細粒 沙巖의 互層으로 斜層理, 漣痕, 乾熱 等의 堆積 構造가 잘 發達해 있고 最上部는 堅固하고 層理 發達이 微弱한 軟綠色 괴相(塊狀)의 沙巖으로 되어 있다. 地層의 두께는 1,500 m 以上이다. [49] [52]

상원산層

編輯

상원산層 (上元山層)은 淡綠色 組立 沙巖을 基底로 綠灰色 沙巖, 셰일, 石灰質 沙巖과 실트스톤 等으로 構成된다. 본 地層에는 斜層理와 漣痕 等의 堆積 構造가 잘 發達되어 있으며 두께는 1,500 m에 達한다. 상원산(1421.7 m)은 북평면 북평리 北쪽에 位置한다. [52]

박지산層

編輯

박지산層 (薄芝山層)은 平安 累層軍의 最上部 地層으로서 綠巖層 上部에 該當한다. 主로 赤色 疫疾(礫質) 組立 沙巖, 綠灰色 및 赤色 셰일과 細粒 沙巖 等으로 構成된다. 본 地層의 두께는 500 m 內外이나 上部가 削剝(削剝)되어 元來의 두께는 알 수 없다. [52]

丹陽炭田 忠淸北道 丹陽郡 에 北東-南西 方向으로 發達하며 밑에서부터 灣港層 , 衿川層 , 將星層 , 함백산層 , 道士曲層, 고한層과 桐高層으로 構成된다. 灣港層은 赤色 셰일과 灰色 沙巖이 主를 이루고 石灰巖을 협재하며, 衿川層은 灰色 乃至 黑色의 셰일~中立沙巖 및 石灰巖으로 構成된다. 將星層은 黑色의 셰일~沙巖으로 數 枚의 石炭層을 包含하며, 함백산層은 주되게 밝은 組立沙巖으로 構成된다. 道士曲層은 綠色 或은 灰色의 沙巖으로 主로 構成되어 있으며 고한層은 黑色 乃至 暗灰色의 沙巖 및 셰일이 特徵이나 沙巖은 때로 綠色을 띤다. 東古層은 淡綠色의 沙巖과 赤色 셰일을 包含한다. [5] 丹陽 地域에 分布하는 平安 累層軍 地層들은 堆積以後 褶曲 作用과 衝上斷層 의 運動을 겪었으며, 大部分의 層理 가 北東-南西 方向의 走向과 北西 方向의 傾斜를 보인다. 褶曲軸 및 스러스트 單層들은 主로 北東-南西 方向으로 發達되어 있고, 이러한 褶曲 및 衝上運動은 中生代 松林 變動 및 대보 造山運動 과 關聯된 것으로 報告되었다.

김항묵(1971)은 丹陽炭田 地區에 分布된 朝鮮 累層軍 , 平安 累層軍과 帶同 累層軍에 發達된 斜層理 와 固守類에 對해 分析하여 丹陽炭田 地球의 碎屑性 堆積物의 供給地가 본 地域의 東쪽에 位置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平均的인 運搬 方向은 295°인 것으로 報告하였다. 함백산層과 黃지층군(道士曲層, 高한層, 東古層)의 斜層理 는 해성 環境을 指示하며 丹陽炭田의 平安 累層軍 堆積盆地가 海洋과 連結되었던 것으로 解釋된다. 卽 平安 累層軍은 灣入(灣入) 盆地 內 堆積型이다. [54]

過去의 分類

編輯
 
丹陽郡 영춘면 사지원리 軍奸巧三거리 道路邊의 平安 累層軍 綠巖層

아래는 太白山地區地下資源調査報告書 石炭便(1962) 및 丹陽 地質圖幅 說明書(1967)에 報告된 紅點層과 使動層의 說明이다. 丹陽 地質圖幅에서는 竹嶺 單層 以南의 平安 累層軍에 對해서만 說明하고 있다.

洪漸層 (Ch; Hongchoen formation, 紅店層)은 朝鮮 累層軍 不整合 으로 덮는 平安 累層軍 最下位層으로 主로 덕절산(780.6 m)과 두악산(723 m) 東側에 發達하여 대강면 두음리, 단성면 북상리와 대잠리 等地에서 中生代 帶同 累層軍 搬送層 아래에 얇은 對象(帶狀)으로 分布하고 搬送層 向斜 褶曲 構造의 西側人 단성면 外中方里의 烽火臺(443.9 m) 周邊에도 小規模 分布한다. 본 地層의 主要 構成 巖石은 혼펠스 人 臺(帶)洪暗灰色紅褐色緻密癌, 얇은 層의 白色 硅灰石(硅灰石), 石灰巖 이고 暗灰色 또는 담灰色 沙巖과 黑色 셰일이 협재되며 他 地域의 紅點層에 비해 暗灰色이 優勢하다. 본 地層에 협재된 規誨癌은 2~3枚가 認知되며 普通 2~3 m의 두께이나 곳에 따라 多少 두꺼운 部分도 있다. 이 巖石은 덕절산 一帶와 회산리 南側에서 가장 잘 發達되어 그의 一部가 鑛石으로 採掘되었다. 灰白色 組立沙巖은 단성면 북상리 南側 덕절산 附近의 洪漸層 下部에 얇게 2~3枚 협재된다. 暗灰色 셰일은 덕절산 附近과 회산리 南側 山 안쪽에 發達된다. 대강면 괴평리 附近에서 測定한 이 地層의 두께는 250~300 m이다. 地層은 朝鮮 累層軍 과 비슷하게 北東 40~60°의 走向과 北西 30~50°의 傾斜를 가진다. 본 地層은 북상리 사깟봉(464.2 m) 附近에서 上位의 使動層에 依해 덮이며 덕절산 北西側에서 單層에 依해 朝鮮 累層軍 삼태산層과 接한다. [55] [9]

使動層 (Ps; Permian Sadong formation, 寺洞層)은 洪漸層 上位의 地層으로 竹嶺 單層 以北에서는 단양읍 덕상리에서 영춘면 오사리까지, 竹嶺 單層 以南에서는 단성면 북상리 一部 地域에 極히 小規模로 分布된다. 全般的으로 黑色 셰일이 가장 두꺼운 地層을 이루며 이 셰일은 黑色 社質셰일, 灰色 乃至 黑色 細粒沙巖과 互層을 이루며 본 層 大部分을 차지한다. 이들 地層 中에는 灰色 組立沙巖이 협재되어 있다. 본 層 下部에는 暗灰色 石灰巖이 平均 2.5 m 두께로 1 乃至 5枚 협재된다. 가곡면 對代理 北方 용산동 一帶와 대강면 장림리에서는 變成巖 에 가까울 程度로 變成되어 있는데 이는 中生代 花崗巖 貫入의 影響을 받은 結果일 것으로 보인다. 본 層에 협재되어 있는 石炭 層은 3個로서 傷歎層은 고방산層 基底部 직하 30 乃至 50 m에 있으며 賞炭層의 發達이 가장 좋다. 石炭層의 두께는 普通 30~50 m이나 炭層이 全혀 發達되지 않은 곳도 있고 1 m 以上의 포켓을 形成하는 境遇도 있다. 重彈層과 下炭層은 局部的으로 良好한 部分도 있으나 大體로 數十 cm 以下의 얇은 層이며 炭質度 不良하다. 丹陽度幅에 依하면 竹嶺 單層 以南에서 主要 構成 巖石은 漆黑色 셰일, 黑色 沙巖, 灰白色 沙巖, 石灰巖 等이며 북상리 北側에서는 얇은층의 黑鉛 과 炭質(炭質) 셰일 이 협재된다. 約 2~3 m의 두께를 갖는 灰白色 沙巖이 中部에 협재되어 있고 石灰巖은 1.5~2 m의 두께로 2枚 협재된다. 얇은 層의 黑鉛 이 2~3枚 確認되나 모두 두께 30 cm 未滿이다. 본 地層은 竹嶺 斷層에 依해 地層이 多少 攪亂되어 單層 隣接部에서는 北西 20~70°의 走向을 가지며 그 南部에서는 北東 20~40°로 變하고 警査는 南西 40~70°또는 北西이다. 地層 두께는 120~150 m, 竹嶺 單層 以南에서 約 80 m이다. [55] [31] [9]

灣港層

編輯

灣港層 (Manhang formation)은 過去의 紅點層에 該當하는 地層이다. 過去의 鴻漸統(紅點層群)이란 이름은 平壤 附近의 紅點이라는 地名에서 由來한 것으로 平壤 附近의 石炭을 含有한 石炭紀-페름기 下部의 紅色이 優勢한 地層을 指稱한 것이었으나 三陟炭田과 丹陽炭田의 '洪漸層'이라고 되어 있던 部分과 完全 같다고는 할 수 없어 灣港層 으로 부르게 하였다.

衿川層 은 過去 使動層 下部에 該當하는 地層이다. 衿川層은 三陟炭田에서 1969年 정창희에 依해 처음 命名되었으며 過去의 使動層 下部의 海成層 部分을 分離한 것이다.

將星層 은 過去 使動層 上部에 該當하는 地層이다. 衿川層 위에 不整合 으로 놓여 있으며 함백산層에 依해 整合으로 덮인다. 이 地層은 丹陽炭田 의 主要 含炭層이다.

함백산層 將星層 上位에 놓여 있으며 過去의 고방산層 下部에 該當한다.

道士曲層

編輯

道士曲層 함백산層 上位의 地層이다.

  • 정창희(1971)에 依하면 道士曲層은 淡綠色을 띠는 組立沙巖을 主로 하고 灰色의 中立沙巖을 협재한다. 가곡면 사평리 附近에서는 單層으로 좁은 便으로 함백산層과 接한다. 본 地層의 두께는 300 m 內外이다. [56]
  • 道士曲層은 三陟炭田에서 고방산層의 中部 또는 一部 綠巖層으로 불리던 地層이다. 이는 사평리 斷層에 接하여 그 東쪽에 露出되며 함백산層을 整合으로 덮는다. 이 地層은 灰綠色 中立沙巖을 主로 하며 赤紫色의 셰일을 협재한다. 走向과 警査는 함백산層과 같고 地層의 두께는 150 m 以上이다. [57]

高한層

編輯

高한層 은 道士曲層 上位의 地層이다.

  • 고한層은 가곡면 사평리 南쪽 3 km 地點에서 迎春 北西쪽 約 3 km 附近까지 道士曲層의 西쪽에 接하여 分布한다. 또한 사평리 東쪽 1.5 km를 지나는 單層 西側에 分布된 道士曲層에 接하여 約 5 km 分布한다. 본 層은 黑色 셰일, 暗灰色 組立沙巖, 淡綠色 中立沙巖 等으로 構成된다. 사평리 南方 1.5 km에는 가곡면 對代理에서 흘러나오는 比較的 넓은 溪谷이 있는데 이 溪谷을 건너는 車道에서 이 溪谷 上流로 500 m 程度 되는 곳에서 發見되는 高한層의 黑色 셰일 中에서 植物 化石이 發見된다. 본 地層의 두께는 200 m 內外이다. [56]

東古層

編輯

東古層 은 平安 累層軍 最上部 地層이다.

  • 東古層은 丹陽炭田 中部에 分布하며 局部的으로 高한層을 不整合으로 덮는 것으로 보이는 두께 1 m 未滿의 基底 礫巖層을 두는 곳이 있으나 調査가 더 必要하다. 본 層은 主로 淡綠色, 淡靑色, 暗灰色 等의 細粒沙巖으로 構成되고 그 中에 얇은 紫色 실트質沙巖 또는 紫色 셰일層을 협재한다. 곳에 따라 紫色 셰일의 不規則한 便(片)李 含有된 部分이 있다. 紫色暗層은 連續性이 不良하며 곳에 따라 여러 매의 姿色層이 發見되나 1~2매만이 협재되는 境遇도 있다. 基底 礫巖層을 構成하는 驛은 直徑이 15 cm에 達하는 것도 있으나 大部分은 4 cm 以下의 잔자갈로 驛은 규질암이 많으며 驛 사이에는 綠泥石 質 物質이 들어 있다. 본 層에는 斜層理 가 特히 잘 發達되어 있으며 單位層의 두께는 大部分 70 cm 未滿으로서 함백산層의 單位層에 비하면 小規模이며 斜層理의 層理 發達이 뚜렷하게 觀察된다. [56]

丹陽炭田의 地質 構造

編輯

丹陽炭田 地域에는 수많은 褶曲과 單層(主로 스러스트 單層 )들이 發達한다. 褶曲軸의 走向은 大體로 北東 30°이며 北西로 剄死하는 謄寫 褶曲으로 되어 있으며 향사의 徐益部에 스러스트 單層이 發達한다. 스러스트 單層 들은 모두 褶曲과 그 生成 時期가 同一한 것으로 보인다. 理由는 스러스트 斷層의 方向이 褶曲의 方向과 거의 平行하며 큰 褶曲 構造를 따라 스러스트 單層 이 發達하기 때문이다. 스러스트 單層의 生成 時期는 2回가 있었으며 그 하나는 帶同 累層軍 搬送層 堆積 以前으로 실錦山 스러스트 斷層과 아평 스러스트 斷層이 이에 屬한다. 閣童 單層 은 搬送層 堆積 以後에 生成된 것이다.

단양읍 地域에는 東側부터 玉童 單層 , 노동리 스러스트 單層, 기촌 스러스트 單層, 瑟陰散 스러스트, 閣童 單層 이 發達해 있다. 瑟陰散 스러스트와 기촌 스러스트 單層 相反에는 朝鮮 累層軍 막동 石灰巖層 이 놓이지만, 노동리 스러스트 斷層은 平安 累層軍 將星層 分布誌 內에 發達한다. 이는 含炭層이 다른 地層에 비해 미끄러지기 쉽기 때문이다. [27] 旣存의 硏究者들은 閣童 스러스트 斷層을 除外한 나머지 單層들도 閣童 斷層과 같은 時期에 形成된 것으로 생각하였으나, 김정환 等(1984)은 帶同 累層軍 搬送層 分布地域 東쪽에 發達하는 현천리 스러스트 單層, 도전리 스러스트 單層, 瑟陰散 스러스트 斷層이 搬送層에 依해 덮인다는 事實(=이들 斷層은 搬送層 堆積 以前에 生成된 것)에 根據하여 中生代 에 搬送層이 堆積되기 前 造山 運動이 있었다는 證據로서 松林 變動이 韓半島 南部에도 影響을 미쳤다고 推論하였다. [58]

褶曲
  • 德상곡(德尙谷) 褶曲帶?: 丹陽 炭鑛 內에서는 數 個 條의 謄寫 褶曲 構造에 따라 平安 累層軍 將星層 이 넓은 分布를 가지며 이 地域에서 將星層 의 두께는 300 m 以上으로 確認되고 同一 炭層이 數 回 反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9]
  • 봉우等 褶曲帶?: 가곡면 사평리 所在 봉우等(695.7 m) 附近에서는 고방산통이 將星層 內 및 將星層 上位에 向斜軸을 따라 延長 分布되며 將星層 內에도 數 會議 褶曲 構造가 發達된다. [59]
  • 태화산 褶曲帶?: 영춘면 오사리 北西部의 태화산(1027.5 m) 附近에는 數 會議 향사와 背斜 褶曲 構造에 依해 고방산層이 넓은 分布를 보이는데 向斜軸을 따라 帶同 累層軍 搬送層이 分布하는 곳도 있다. [59]
  • 鷹峯(鷹峯) 褶曲帶?: 灣港層 衿川層 이 數 次例에 걸쳐 향사와 背斜에 依해 反復 分布된다. [59]
單層
  • 실錦山(瑟陰散) 스러스트 單層 단양읍 노동리에 所在한 실錦山(瑟陰散, 671.3 m)을 지나는 北東-南西 走向의 單層으로 朝鮮 累層軍 두무동層과 막동 石灰巖層 또는 高聲 石灰巖層이 平安 累層軍 灣港層, 使動層, 고방산層 慰勞 衝上되어 있다. 이 單層의 北部 延長은 帶同 累層軍 搬送層에 依해 덮여 地表에서 消滅된다. 走向은 北東 20°, 警査는 北서 60°이다. [59] [9]
  • 아평 스러스트 單層 은 실錦山 스러스트 斷層에서 分離되어 北北東 方向으로 延長되다가 帶同 累層軍 搬送層에 依해 被覆된다. 單層의 이름은 가곡면 사평리의 아평 마을에서 由來되었다. 이 斷層에 依해 平安 累層軍 灣港層에서 고방산層에 이르는 地層이 平安 累層軍 綠巖層 위로 衝上되었다. 單層의 警査는 北西로 30~60°이다. [59] [9]
  • 현천리 스러스트 單層 은 球團羊 하방리에서 江을 건너 단양읍 현천리에서 심곡리를 지나 고수리 西方 1 km인 고수리로 이어지는 北東 30°走向의 單層이며 閣童 스러스트 斷層에 가장 近接하여 있고 帶同 累層軍 搬送層을 朝鮮 累層軍 과 平安 累層軍 灣港層 慰勞 衝上시킨다. 현천리 스러스트 單層의 相反에는 朝鮮 累層軍 막동 石灰巖層이 發達하며 石灰巖層 內에는 여러 弔意 小規模 스러스트 斷層들이 發達한다. 현천리 스러스트 單層 下半에는 平安 累層軍 灣港層과 衿川層, 將星層이 平行하게 分布한다. [56] [58]
  • 丹陽 고수洞窟 周邊에는 西쪽에서부터 고개 單層, 고수리 單層, 사평리 單層이라고 命名된 3個의 逆斷層이 發達한다. 이 斷層들에 依해 朝鮮 累層軍 上部와 平安 累層軍의 地層들이 衝上(thrust)되어 막동 石灰巖層 과 洪漸層(灣港層), 使動層, 고방산層이 各 2回 反復 露出된다. 이들 3個의 單層들은 閣童 스러스트 單層 과 走向이 거의 一致하며 閣童 單層 南東쪽 가까이서 平行하게 달리다가 丹陽郡 北部에서 閣童 스러스트 斷層에 合流된다. 그러므로 이들 斷層은 閣童 單層의 支流(支流)에 該當하는 것으로 보아도 좋다. [57]
    • 고수리 單層 丹陽 고수洞窟 이 位置한 단양읍 고수리 一帶에서 洞窟 部落이 位置한 안固守 마을을 지나 雪眉氣骨이라고 불리는 溪谷의 西側 50 m以內에서 雪眉氣骨에 거의 平行하게 北北東-南南西 方向으로 發達한 單層 이다. 이 斷層은 雪眉氣骨 上流의 고개를 넘어 南漢江 에 이른다. 고수리 斷層은 안固守 마을에서 南쪽으로는 勾股修交의 東쪽을 지나 石炭 廢石이 쌓인 赦免을 지나 南進하는데 이곳에서 測定된 單層의 警査는 西쪽으로 50°이다. 이로 보아 고수리 斷層은 北東 10°의 走向을 가지고 西쪽으로 50°程度 敬事한 逆斷層이다. 고수洞窟 의 入口는 고수리 斷層에서 約 60 m 西쪽에 있고, 그 出口는 고수洞窟 入口보다 垂直 距離로 約 40 m 높은 곳에 있으며 고수리 斷層과 거의 近接하여 있다. 이렇게 보면 고수洞窟은 고수리 單層 相反人 막동 石灰巖層 속에 있는 것이다. 고수리 單層의 落差는 1,500 m로 計算된다. [57]
    • 고개 單層 은 고수리 北西쪽, 단양읍 도담리 東部에 位置한 고갯길 西쪽을 따라 北東 20°의 走向과 西쪽으로 50°剄死하는 逆斷層이다. 이 斷層은 衿川層(使動層 下部) 위에 놓여 있던 將星層(使動層 上部)과 함백산層(고방산層 下部)을 잘라서 하늘 높이 솟아 오르게 하여 結局 削剝 消失되게 하였는데 그 落差는 約 600 m 로 計算된다. [57]
  • 사평리 單層 은 고수리 單層 東쪽 約 400 m에 位置하며 이는 大體로 함백산層(고방산層 下部) 內에 생긴 逆斷層으로 보아도 좋다. 다만 고수리 南쪽에서 將星層, 衿川層, 灣港層의 一部와 接하여 있다. 이 斷層은 北東 10°의 走向을 가지고 단양읍 노동리 北西部에서 고수리를 지나 가곡면 사평리로 이어지며 西쪽으로 約 50°剄死하는 逆斷層이다. 單層의 落差는 約 700 m일 것으로 計算된다. [57]

聞慶炭田

編輯
문경시의 地質을 簡略하게 나타낸 地圖 [9] [60]
聞慶市 地質斷面圖 [61]
朝鮮 累層軍 부곡리層(Op)은 聞慶 逆斷層에 依해 크게 變位되어, 마성면 호계면 에 서로 떨어져 分布한다.

聞慶市 에서, 無煙炭 石炭層을 包含하는 古生代 後記 平安 累層軍은 中生代 의 帶同 累層軍과 함께 韓國의 主要 炭田 中 하나인 聞慶炭田 을 構成하며, 마성면 東南部에서 가은읍 東部까지 北東 方向으로 비스듬히 發達한다. [9] 아래의 朝鮮 累層軍 不整合 으로 덮고 中生代의 帶同 累層軍 斷産層(Jd)에 依해 傾斜 不整合으로 덮여 있다. 聞慶市 內에 分布하는 平安 累層軍은 洪漸層, 使動層, 고방산層, 綠巖層 4個 地層으로 構成되며, 紅點層에서 Brachiopoda , 使動層에서 Cordaites , Calamites , Pacopteros , Annularia , 고방산層에서 Cordaites 等의 化石 이 發見되었다. [62] [63] 三陟炭田이나 寧越炭田과 달리 聞慶炭田 地域에서는 아직까지도 過去 名稱인 洪漸層, 使動層, 고방산層, 綠巖層을 使用한다.

聞慶炭田 地域은 1929年 日本人 古生物學者 노부오 코바타케(小?信夫; Nobuo Kobatake)에 依하여 처음으로 地質 調査가 實施되었다. 노부오 코바打네는 이 地域의 地質 時代를 朝鮮系, 平安系 및 下部 大洞契로 3區分하고, 平安系와 大洞契의 境界線은 不운령 礫巖層을 基準으로 區分하였다. 그 後 시라키 타쿠地(素木卓二)와 노부오 코바타케는 이 槪念을 살려서 不운령 礫巖層과 산수동 礫巖層을 連結하는 層準을 大洞契의 基底 礫巖層으로 하여 이 層準의 이서부는 大洞契로 解釋하고 大同契 地層을 斷産層으로 명명하였다. 特히 平安系 地層들 中 週 加行 含炭層이 협재되는 것은 고방산層이며, 使棟層 內의 炭層 發達은 매우 微弱한 것으로 보았다. 그 後 聞慶炭田 地域에 對해서는 局部的인 地質 調査가 實施되어 왔으며 特히 1960年代 末 聞慶炭田 北部 地域의 大同契 斷産層 內에서 加行할 만한 石炭層들이 發見되어 採炭하기 始作하였다. [64]

김형수 等(2014)에 依하면 聞慶炭田 內 變性沙質巖과 變性니질암으로 構成된 洪漸層 變成鑛物의 溫度와 壓力 條件은 接觸變成作用의 結果로 判斷되며, SHRIMP U-Pb 連帶測定 結果 紅點層에서 가장 젊은 저어콘은 火星起源이며 連帶는 327~310 Ma이다. 旣存 太白山 盆地의 灣港層과 김형수 等의 硏究 結果를 綜合해 보면 平安 累層軍은 石炭紀 - 페름기 동안 大陸 延邊富의 火山湖 周邊 環境 下에서 堆積 作用이 일어났고, 또한 起源地에서는 火成活動이 比較的 짧은 時間 間隔으로 反復的으로 일어난 것으로 判斷된다. [65]

洪漸層

編輯

平安系 鴻漸層 (Ch)은 이 地域에서 平安系 地層의 基底를 形成하고 있다. 불정동 에서 호계면 견탄리 , 오정산, 선암산 附近에 이르기까지 北東-南西 方向으로 對象(帶狀) 分布한다. 오정산과 街攝理 中間 地點에서 不운령(富雲嶺)을 거쳐 商船리 西北 約 1 km 地點에서 商船斷層에 依해 切斷되었다가 다시 山峯을 끼고 發達하나 斷産 東便 山中턱에서 帶同 累層軍 不운령礫巖(Jp)에 依해 傾斜 不整合으로 덮이면서 尖滅(尖滅; 地層의 두께나 幅이 漸漸 줄어서 딴 地層 사이에 消失되는 것)된다. 不운령 南部에서는 北東 走向에 西쪽으로 急激히 경사져 있으나 不운령 附近에서 北部로는 反對便으로 완경사를 이루며 商船 單層 移動部에서도 西쪽으로 警査하거나 逆轉된 構造로 分布한다. 大部分 銀灰色 셰일 (문경도幅) 또는 中立 乃至 組立質沙巖, 社質셰일, 셰일 및 淡紅白色 石灰巖(檻倉圖幅)으로 構成되어 있는데 이는 綠灰色 셰일의 변질물인듯 하다. 檻倉圖幅 地域인 불정동-호계면 地域에서는 下部의 綠灰色 沙質 셰일層이 大석회암층과의 境界를 이루며 불정동 中央에서 褶曲 에 依한 넓은 分布를 보인다. 해성퇴적암층으로서 두께는 平均 200 m 로 곳에 따라 相當한 變化를 보인다. [62] [63] [9]

使動層

編輯

平安系 使動層 (Ps)은 下位의 平安系 鴻漸層과 上位의 平安系 고방산層 사이에 整合的으로 놓인다. 下位의 紅點層과 비슷하게 불정동 에서 호계면 견탄리 , 오정산 東部를 거쳐 선암산 近處까지 北東-南西 方向으로 對象 分布한다.

  • 문경도幅(1967)에 依하면 본 驛에서 大部分 黑色 셰일 또는 黑色 社質셰일 等으로 構成되어 있고 沙巖은 稀少한 便이다. 不운령 附近에서 暫時 尖滅되었다가 다시 不운령 東北方 700 m 地點에서 東北 走向의 山봉우리를 끼고 發達하는데 여기서는 商船(腺癌) 斷層에 依해 切斷되어 斷層 兩쪽에 地層이 反復 分布한다. 街攝理 北部로 發達하는 본 層은 直接 不운령 礫巖層에 依해, 街攝理 南部로는 고방산層에 依해 各各 덮이는데 이는 警査 不整合 에 기인(起因)한다. 代替로 街攝理 南部에서는 北東 走向에 西側으로 急傾斜하나 北部에서는 東便으로 急傾斜하고 있다. 본 層 中에서는 2~3枚의 顯著한 炭層이 發達하는데 特히 街攝理 골짜기의 短期 炭鑛에서 最大 두께 15 m에 延長 150 m에 達하는 좋은 發達을 나타낸다. [62] 檻倉圖幅(1968)에 依하면 두께 1.5 m 內外의 灰色 石灰巖 박층(薄層; 얇은층)을 2枚 협재하는 暗灰色 乃至 黑色 셰일 , 沙質 셰일, 細粒 乃至 中立질 沙巖의 互層(互層)으로 대표되는 下部 好層臺 및 黑色 셰일層을 협재하는 中立 乃至 組立 暗灰色 沙巖으로 構成되는 沙巖代와 2 乃至 3枚의 無煙炭 層을 협재하는 黑色細粒 沙巖, 沙質 셰일 및 셰일의 好層代를 上部로 하는 3個의 臺(帶)로 區分된다. 下位의 平安系 鴻漸層과의 境界는 最下部에 發達되는 灰色 石灰巖 朴層이, 上位의 平安系 고방산層과의 境界는 고방산層 最下部의 淡灰白色 組立 沙巖層이 指示層(指示)李 된다. 두께는 160 m 內外이다. [63]
  • 聞慶炭田 北部와 中部에 分布하는 사동層 下部 셰일臺에 협재된 렌즈上 石灰巖에서 이 地域에서 처음 發見된 新種 Diplognathodus n. sp. A을 包含해 Idiognathodus delicatus , Hindeodus minutus , Diplognathodus coloradoensis , Neognathodus bothrops , Neognathodus medexultimus , Streptognathodus elegantulus 等 5屬 7種의 코노돈트 化石이 發見되었다. 불精巧 附近의 社동충 下部 石灰巖에서는 Neostafella hanensis 等의 紡錘蟲이 産出되며 迦葉 一帶의 대정炭鑛 坑內 石灰巖에서는 Beedeina sp. 紡錘蟲 化石이 發見되었다. 이들 2屬 2種의 紡錘蟲(푸줄리나) 化石은 三陟炭田의 衿川層과 寧越炭田의 板橋層에서 發見된 바 있다. 二重 코노돈트 化石 Streptognathodus elegantulus 는 上部 石炭紀와 下部 페름기에서 널리 産出되며 그밖의 코노돈트와 紡錘蟲 化石들은 石炭紀 펜실베이니아歲 모스크바節( Moscovian /Desmoinesian 모스코飛雁)을 指示하는 標準 化石이다. 이 化石들에 根據하여 聞慶炭田 使動層 下部 셰一帶의 地質時代는 中企 石炭紀로 三陟炭田의 衿川層과 寧越炭田의 板橋層에 對比될 수 있다. 다만 코노돈트 化石 Streptognathodus elegantulus 을 包含한 一部 石灰巖의 地質時代는 暫定的으로 上部 石炭紀의 미조리안( Missourian 또는 Kasimovian)에 該當한다. [66]

고방산層

編輯

平安系 고방산層 (TRg)은 가은읍 불정동 의 境界 地域에서 오정산까지 北東-南西 方向으로 發達하며, 街攝理 북릉에서 尖滅한다. 上下位의 平安系 使動層 및 綠巖層과 整合的인 關係에 있으며, 大部分 大同契 斷産層(Jd)에 依해 直接 덮이나 오정산 南西部에서 平安系 綠巖層(TRh)에 依해 덮이고 北端 尖滅部에서는 大同契 不운령(산수동) 礫巖層(Jp)에 依해 不整合으로 덮인다. [9]

  • 문경도幅(1967)에 依하면 본 層은 乳白組立(粗粒) 硅質沙巖으로 된 基底癌으로 下位의 使動層과 區別되며 大部分 (담)灰色의 組立 乃至 細粒沙巖으로 構成된다. 이밖에 黑色 乃至 暗灰色 沙質 셰일 또는 셰일이 협재된다. 더 仔細하게는 (特히 오정산 一帶 地域에서) 含炭대(含炭帶)를 中心으로 下部 硅質 沙巖層, 中部 含炭 셰일層 및 上部 沙巖層으로 區分이 可能하다. 고방산層 全體 두께의 折半에 該當하는 200 m의 두께를 가진 下部層은 大部分 硅化(珪化)되어 險峻한 絶壁이나 山봉우리를 이룬다. 中部層은 間或 暗黑色 沙巖을 협재하나 거의 黑色 셰일, 沙質 셰일로 構成되며 2~3枚의 炭層을 협재한다. 上部 沙巖層은 大部分 灰色 組立 沙巖으로 構成되나 中立 乃至 細粒沙巖을 협재한다.문경 炭田은 고방산層내의 夾炭層(挾炭層)이 잘 發達하고 있어 使動層의 石炭 含油層에 앞서 活潑한 開發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平安系로 構成된 炭田과 比較할 때 特異한 點이다. [62]
  • 檻倉圖幅(1968)에 依하면 下位의 使動層, 上位의 綠巖層과 整合 關係이며 곳에 따라서는 산수동 礫巖層에 依해 不整合 으로 덮이기도 한다. 문경도幅 地域과 마찬가지로 主로 沙巖으로 構成되는 下部 및 上部層과 셰일이 優勢한 中部層 3個로 區分된다. 下部 沙巖臺는 두께 100 m 內外로 主로 淡灰白色 組立 沙巖으로 構成되며 層 가운데에 黑色 乃至 暗灰色 셰일 및 沙質 셰일의 얇은층을 협재한다. 中部 셰일層은 두께 約 90 m로서 主로 黑色 셰일 및 沙質 셰일로 構成되며 暗灰色 乃至 黑色 組立/中立 沙巖層과 3~4枚의 無煙炭 層을 협재한다. 上部 沙巖臺는 두께 200 m 內外로 主로 淡灰白色 乃至 담황갈색 組立 沙巖으로 構成되는데 灰色 細粒/中立 沙巖層 및 (綠)灰色 셰일層을 협재한다. 總 두께는 400 m 程度이다. [63]
  • 오정산 地下의 고방산層 炭層을 開發하고 있는 오적炭鑛에서는 Annularia sp. , Cordaites sp. 와 같은 植物 化石이 發見되었다. [62]
  • '聞慶 토끼非理'는 嶺南大路 의 一部分으로 영강 벼랑의 平安 累層軍 巖石을 人工的으로 切斷하여 만든 길이다. 이 길을 따라 아래 寫眞과 같이 平安 累層軍 고방산層의 露頭 를 觀察할 수 있다. 이 길은 國道 제3호선 振男休憩所 쪽에서 接近할 수 있다.

綠巖層

編輯

平安系 綠巖層 (TRn)은 마성면 南部 신현리 一帶에 小規模로 分布하며 下位의 고방산層을 덮고 上位의 大洞契 산수동 礫巖層(Js)과 斷産層(Jd)에 依해 (傾斜) 不整合 으로 덮여 있다. (담)綠色 組立沙巖, 細粒沙巖, 그 위로 淡綠色 乃至 褐色 社質셰일 및 셰일로 構成되어 있다. 大略 北東 走向에 西便으로 急傾斜한다. [62] 불정동 - 가은읍 - 마성면 境界에 位置한 어룡산 西側 山四面에서 가장 두껍게 露出되어 두께는 400 m 內外에 達한다. [63]

  • 오정산은 마성면 五千里와 외어리, 호계면 호계리의 境界에 位置한 山이다. 不운령(富雲嶺)은 오정산에서 3.6 km 北東쪽에 있는, 마성면 외어리와 호계면 부곡리 사이의 고개이다. 街攝理는 오정산 東北東 0.5 km 地域( 호계면 호계리 溪谷)에 있었던 마을의 이름이다. 商船(癌)은 선암리 溪谷 上流 地域으로 선암산 附近 地域이다.
  • 國道 제3호선 신현삼거리 附近에서 아래 寫眞과 같이 綠巖層의 노두를 觀察할 수 있다.

운암사層

編輯

운암사層 (w; wunamsa formation, 雲巖寺層)은 농암면 갈동리 北部, 화산리와 율수리 一部 地域 그리고 불정동과 유곡동, 尙州市 이안면 안용리와의 境界 地域에 發達하는 時代 未詳의 地層이다. 불정동과 유곡동, 尙州市 이안면 안용리의 境界 地域에 所在한 水晶峯 附近에 位置한 운암사에서 본 地層의 이름이 由來되었다. 운암사層은 1935年에 作成된 聞慶 無煙炭 炭田 地質圖에서 使動層으로 記載되었으나, 檻倉 및 용유리 地質圖幅에서는 使動層에 對比되는 部分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理由로 平安 累層軍과 다른 別個의 地層으로 보았다. 운암사層 中에는 2~3枚의 無煙炭 層이 협재된다. [63]

  • 농암면 율수리 東部와 갈동리 地域의 본 地層은 硅長巖(Kgp) 및 角閃石 花崗巖(Khgrj) 內에 捕獲巖으로서 分布하며 雲母片巖, 黑色 粘板巖 및 若干의 石英片巖層으로 構成되고 石炭層을 含有하고 있다. 이 地域에서는 硅長巖 및 花崗巖의 貫入으로 인하여 直接 接하고 있지는 않으나 層序上으로 보아 大洞契 基底 礫巖層人 산수동 礫巖層의 下部에 位置하고 있다. [63]
  • 농암면 율수리 西部와 화산리 地域의 본 地層은 主로 黑色 셰일과 若干의 石灰巖과 石灰硅酸鹽癌 等으로 構成되며 黑色 셰일 中에는 가끔 炭質 셰일과 無煙炭 이 少量으로 협재되기도 한다. 율수리 西部 一帶에서 이 層은 北東 15~40°, 北西 60~90°또는 南洞 25° 및 北西 20°, 南西 50°等의 攪亂된 層理面을 가지고 있다. 이곳에서는 複雜한 褶曲 構造를 보이기도 한다. [67]
  • 水晶峯 一帶 地域에서의 본 地層은 알칼리 花崗巖(Kagr) 內에 捕獲巖으로 殘留한다. 水晶峯 南東部에서 2枚, 불정동 南쪽에 所在한 운암사 南側에서 1枚의 石灰巖 및 石灰硅酸鹽暗層이 협재되는데 이들 石灰巖層은 본 暗層 內에 협재되는 것인지 或은 본 地層 職下部에 놓이는 朝鮮 累層軍 大석회암층君의 石灰巖層이 反復되는 謄寫(等)斜 構造에 依하여 본 地層 속에 협재된 것인지는 確認되지 않았으나 水晶峯 東側 1.5 km 地點에 나타나는 石灰巖層은 後者에 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 石灰巖層은 朝鮮 累層軍 大석회암층軍에 屬하는 石灰巖層이거나 平安 累層軍 洪漸層 或은 使動層 下部에 發達되는 石灰巖 協層일 可能性이 크다. [63]
  • 위와 같은 事實들로 미루어 운암사層은 古生代에 形成된 地層이며 平安 累層軍의 어느 含炭層과 對比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기는 하였으나, 檻倉, 용유리 地質圖幅이 發柬되었을 當時에는 운암사層의 地質 時代를 明確히 定義할 수 있는 古生物의 化石 等이 發見되지 않아 正確한 時代를 알지 못하였다.
  • 1989年 박수인은 聞慶 炭田 南端에 位置하는 농암면 地域의 운암사層의 石灰巖層을 對象으로 微化石 硏究를 遂行하였다. 硏究 結果 코노돈트 化石 Diplognathodus edentulus , D. oertlii, Idiognathodus ellisoni , Streptognathodus elegantulus , Streptognathodus elongatus Sweetognathus whitei 이 發見되었다. 그리고 紡錘蟲(푸줄리나) 化石 Pseudoschwagerina paraborealis , Pseudoschwagerina pavlovi Pseudofusulina complicata 이 發見되었다. 이 코노돈트 化石에 根據하여 Streptognathodus elongatus 그리고 Sweetognathus whitei 化石帶를 設定하였다. 이 코노돈트는 日本, 北美 및 中南美 地域의 下部 페름기의 Sakmarian組에서 널리 報告된 標準 化石이므로, 운암사層의 地質時代는 下部 페름기 時數랄里阿世 사크마라節( Sakmarian , 사크마리안)로 決定되었다. [68]

報恩炭田

編輯

報恩炭田 (報恩炭田)은 忠淸北道 報恩郡 마로면 , 沃川郡 청성면 청산면 , 永同郡 용산면 , 慶尙北道 尙州市 모서면 화현리와 화서면 , 화동면 一帶에 分布한다. 報恩炭田의 平安 累層軍에서는 Calamites sp., Stigmaria sp., Tingia sp., Taeniopteris sp. 等의 植物 化石이 産出되었으며 保存 狀態가 매우 不良하여 種의 識別은 不可能하나 他 地域의 植物 화석군과 類似하다. 紡錘蟲(푸줄리나) 化石 Pseudoschwagerina 石炭紀 페름기 의 境界를 指示하는 標準 化石으로 野外의 노두에서는 發見되지 않았고 韓國動力資源硏究所의 試錐孔에서 發見되었다. [69]

淸算 地質圖幅 (1985)

淸算 地質圖幅에서는 平安 累層軍을 下部 沙巖代와 上部 셰일臺로 區分하며 平安 累層軍은 沃川郡 청성면 화성리, 장연리에서 報恩郡 마로면 을 지나 尙州市 화남면 평온리에 이르는 地域, 沃川郡 청산면 명티리, 尙州市 모서면 화현리, 화동면 평산리의 팔음산(771.3 m) 一帶 地域, 화동면 이소리에서 판곡리에 이르는 地域 3個 地域에 分布한다.

  • 平安系 下部 沙巖臺 (Pds; Pyeongan series lower sandstone zone)은 詳述한 地域에 모두 分布하며 가장 넓게 分布하는 곳은 마노鑛山 附近이다. 下部 沙巖臺는 上部 셰일代와는 거의 不整合 的인 關係를 보이고 花崗巖類에 依해 管入黨했다. 이 地層은 變成作用을 받았으며 灰色 乃至 暗灰色 沙巖이 優勢하나 灰色의 셰일이나 黑色 셰일 및 石炭層度 협재한다. 特히 炭層은 마노鑛山 附近에서 잘 發達하며 熱量이 매우 높은 痼疾의 黑鉛質 無煙炭을 開發하고 있다.
  • 平安系 上部 셰일臺 (Pcus; Pyeongan series upper shale zone)은 청성면 화성리~화남면 평온리 地域에만 스러스트 單層 을 따라 分布하며 黑色 셰일과 黑鉛質 無煙炭으로 構成되어 西部 報恩炭田의 主要 加行 炭層이다. 마로면 소여리에 所在한 大聲報恩炭鑛을 비롯해 만월리 附近과 임곡리 南部 等地에서 過去 이 地層의 石炭을 開發하였다. 報恩炭田精密地質調査報告書(1978)에 依하면 本層의 3個所에서 植物化石人 Calamite sp.가 算出된다고 하였으며 大聲報恩炭鑛 坑內에서 Stigmaria 로 보이는 化石이 發見되었다. 이들 化石에 依하면 본 層은 古生代의 地層이다.
嶺東 地質圖幅 (1986)

嶺東 地質圖幅에서 平安 累層軍은 沃川郡 청성면 소서리와 궁촌리, 청성면 조천리와 永同郡 용산면 부상리 西部, 용산면 한석리와 시금리, 용산면 신항리와 율리에 孤立的으로 分布한다. 이 地域에서 平安 累層軍은 黑色 셰일과 沙巖, 炭質셰일 및 白色沙巖 乃至 硅巖 等으로 構成되며 地層은 甚한 攪亂으로 많은 褶曲 構造를 나타낸다. [70]

現在의 分類 ( 灣港層 , 衿川層, 밤치層, 將星層, 함백산層)
  • 灣港層 은 平安 累層軍의 最下部 地層으로 報恩炭田에서는 主로 灰色 乃至 綠灰色 沙巖이 優勢하며 紫色 沙巖과 灰色 石灰巖 이 협재된다. 본 層은 朝鮮 累層軍 大석회암층君을 不整合 으로 덮으나 一部 地域에서 스러스트 單層 으로 接하고 있다. [69]
  • 衿川層 은 主로 黑色 셰일 로 構成되며 石灰巖과 細粒沙巖 및 박층의 石炭層이 包含되어 있다. 암상은 밤치層과 매우 類似하나 紡錘蟲(푸줄리나) 化石 Pseudoschwagerina 의 유무로 區分된다. [69]
  • 밤치層 은 主로 黑色 셰일 로 構成되며 石灰巖과 細粒沙巖 및 박층의 石炭層이 협재되어 있다. 본 層은 地域的으로 單層 에 依해 反復 露出되며 地層의 두께는 上部와 下部가 斷層에 接하고 있어 地域的으로 差異가 있으나 80 m 程度이다. [69]
  • 將星層 은 延長性이 不良하여 小規模로 分布하고 (담)灰色 組立質沙巖, 黑色 셰일, 실트스톤, 石炭層으로 構成되어 있다.

和順炭田

編輯

和順炭田 (和順炭田)은 全羅南道 和順郡 南東部의 天台山(482.5 m), 천운산(604.7 m), 옹성산(574 m) 一帶에 北東-南西 方向으로 發達하는 炭田으로, 밑에서부터 용암산層, 오음리層, 含炭層과 천운산層으로 構成된다. 過去에는 湖南炭田 이라 불렸으나 湖南 地域에는 和順 地域 外에도 寶城, 海南, 康津 等地에도 石炭層이 分布하기에 現在는 和順 地域에 局限하여 和順炭田이라 부른다. [5] 和順炭田 地域에서는 大韓石炭公社 의 마지막으로 남은 3個 炭鑛 中 하나인 和順鑛業所 가 現在까지도 運營되고 있다.

現在 銅坑地球와 複癌地球에서 石炭이 街行되고 있으며 石炭層의 走向은 大體로 東北東~西南西 뱡향으로 鑛區를 가로지른다. 和順鑛業所의 石炭 生産量은 2012年 23萬 2千톤에서 2022年 6萬 3千톤으로 減少했다. [71] 2023年 6月 30日 公式的으로 石炭 生産이 終了되었다. [72]

용두리層

編輯

용두리層 (yd; Yongduri formation, 龍頭里層)은 和順郡 춘양면 용두리 南部에 小規模 分布하는 地層으로, 湖南炭田 地質調査報告書(1965)에 依하면 炭田 내 平安系 地層 中 最下位의 것으로 용암산層에 依해 不整合 으로 덮인다. 地層은 (담)灰色 硅巖, 石英片巖, 雲母片巖, 結晶質 石灰巖 및 黑色의 粘板巖 等으로 構成되며 두께는 150~170 m 以上으로 下限을 알 수 없다. 본 層의 上下部에는 層理 의 發達이 良好한 結晶質 石灰巖 이 發達한다. 본 層은 大體로 東-西 方向의 軸을 가지고 東쪽으로 沈降한 背斜 構造를 이루며 分布한다. [73]

용암산層

編輯

용암산層 (y; Yong-am Mt. formation, 聳巖山層)은 和順郡 한천면 오음리와 춘양면 우봉리의 境界에 位置한 용암산(547 m, 聳巖山)을 表式地로 하여 和順炭田 內에 北東-南西 方向으로 分布하는 地層이다. 이 地層에서는 化石 이 産出되지 않아 地質時代 는 不明이나 선캄브리아기 , 캄브리아기 - 오르도비스기 或은 石炭紀 에 對比된다는 等 다양한 見解들이 存在한다. 담灰色 乃至 乳白色의 硅巖과 片巖이 主를 이루며, 間或 役을 包含하는 硅巖이 나타난다. 용암산層은 백아산 一帶와 용암산에서 長興郡 유치면 에 이르는 地域 그리고 도암면 벽지리 地域에 分布하는데 沈降褶曲과 타 地層의 被服으로 斷續的으로 分布한다. 또한 용암산-천운산 地域에서 背斜 構造의 軸部에 對象 分布한다.

  • 능주圖幅(1966)과 湖南炭田 地質調査報告書(1965)에 依하면 용암산層은 大部分 乳白色 硅巖으로 構成되어 있으며 大體로 괴相(塊狀)이고 風化에 强하여 山稜線이나 봉우리를 形成하고 있다. 본 層의 走向과 警査는 용암산 北東部에서 北東 60°에 거의 垂直으로 서 있으나 그 南西部에서는 背斜 褶曲의 影響으로 背斜軸 徐益부는 北東 60°走向에 西쪽으로 50~60°剄死하며 동익부는 北東 15~南北 走向에 南洞 30°로 警査한다. 용두리 附近에서 地層의 두께는 350 m 程度이다. [73]
  • 和順郡 伯牙面 의 백아산(817.6 m)에 分布하는 용암산層은 乳白色의 硅巖 으로만 構成되며 上位의 설옥리層과는 整合 敵으로 接하고 오음리層과는 스러스트 單層 으로 接한다. 伯牙面 修理 東쪽 골짜기에서 觀察된 바에 依하면 설옥리層과의 접촉부에서 斜層理 에 依해 본 層이 설옥리層 下部에 位置한다는 것이 確認되었다. 修理 南쪽으로는 硅巖層에 發達하는 背斜 褶曲이 南南西 方向으로 30°警査하기 때문이다. [74]

오음리層

編輯

오음리層 (Po; Pyeongan group Oeumri formation, 午陰里層) 또는 오산리層 (Po; Pyeongsan group Osanri formation, 午山里層)은 粘板巖~片巖類의 細粒 變成巖 및 셰일로 構成되며, 石灰巖과 炭層을 一部 협재한다. 地層의 두께는 150~300 m이다. 한천면 오음리에서 地層의 이름이 由來되었으며 한천면 ~ 동복면 ~ 伯牙面 一帶에 北東-南西~南-北 方向으로 對象 分布한다.

  • 능주圖幅에 依하면 오산리層은 石英片巖과 白雲母 또는 絹雲母 片巖을 主로 하며 便利의 走向과 警査는 北東 30~40°에 北西 30~40°이다. 오산리層은 雲母片巖臺(Posm), 石英片巖臺(Psq), 幅 50 m 의 含炭슬레이트臺(Posc)로 區分된다. [73]
  • 和順炭田 北部에서 오음리層은 伯牙面 修理 西部에서 동복면 龜岩里 西部에 이르는 地域에 거의 남-北 方向으로 對象 分布한다. 이 地域의 오음리層은 담灰色의 石英 片巖 , 淡褐灰色의 雲母片巖, 乳白色 乃至 담灰色의 硅巖 , (癌)灰色 沙巖 , 綠(會)色 細粒沙巖과 千枚巖 으로 構成되며 部分的으로 (癌)灰色 石灰巖 , 炭質셰일, 黑色 細粒沙巖 等이 협재된다. 伯牙面에서는 용암산層 및 설옥리層과 스러스트 單層 으로 接한다. [74]

含炭層

編輯

含炭層 (Hamtan/Coal-containing formation, 含炭層)은 黑色의 組立~細粒 沙巖과 셰일이 主를 이루는 가운데 炭質 셰일 및 石炭層이 협재한다. 地層의 두께는 60~90 m이다. 文字 그대로 '石炭을 含有하는 地層'이라는 誠意 없는 뜻이다.

  • 오음리層 위에 놓이고 천운산層 아래에 位置한 含炭層은 첨整理와 동복면 읍애리에 거의 남-北 方向으로 分布하며 담灰色의 石英片巖, 硅質沙巖, (癌)灰色의 沙巖 , 黑色 셰일 및 無煙炭 으로 構成된다. 和順炭田의 含炭層은 三陟炭田의 將星層과 같이 몇 弔意 輪廻 堆積層을 이룬다. [74]

천운산層

編輯

천운산層 (Pcu/Pch; Pyeongan group Cheonun Mt. formation, 天雲山層)은 平安 累層軍 最上部 地層이며 담灰色의 沙巖 및 硅巖에 暗灰色 乃至 黑色의 沙巖 및 셰일이 협재된다. 地層의 이름은 和順郡 동면 운농리와 한천면 반곡리, 오음리의 境界에 位置한 천운산(604.7 m)에서 由來되었으며 地層의 두께는 600~700 m이다.

  • 능주圖幅에 依하면 천운산層은 도암면-춘양면의 天台山(482.5 m), 개川産(497.2 m) 一帶 그리고 청풍면 신석리와 차리 一帶에 分布하며 灰色 乃至 灰白色 疫疾組立沙巖 및 組立沙巖과 黑色 셰일/粘板巖이 互層을 이루고 있다. 地層의 走向과 警査는 天台山 附近에서 北西 80°및 北 40°문암 北方 496高地에서는 北東 40°및 北西 30°, 天台山 北方에서 北東 50°및 北西 45°이다.
  • 和順炭田 北部에서 천운산層은 동복면 신율리 東側과 읍애리에 거의 남-北 方向으로 小規模 分布한다. 천운산層은 主로 (담)灰色 組立沙巖과 函力質沙巖, 담灰色의 石英片巖 및 硅巖으로 構成되고 셰일 乃至 粘板巖 이 드물게 협재된다. [74]

海南-康津 地域

編輯

全羅南道 海南郡 송지면 에서 康津郡 옴천면 에 이르는 地域에 平安 累層軍이 數 km 幅으로 北東-南西 方向으로 分布한다. 石炭層이 一部 협재되어 있으나 그 産出이 不良하여 開發되지 않았다.

오산리層

編輯

男唱 地質圖幅(1967)에서 報告된 오산리層 (Po; Pyeongsan group Osanri formation, 午山里層)은 海南郡 송지면 송호리에서 海南郡 현산면 조산리까지 附近 山地와 平行하게 北東-南西 方向으로 分布한다. 본 層의 下部는 幅 10~15 m의 礫巖 으로 되어 있고 그 위에 雲母片巖이 있으며 粘板巖, 黑鉛 片巖, 硅巖 等이 협재된다. 본 地層의 走向과 警査는 北東 15~50°및 北西/南洞 60~80°로 等斜褶曲을 이루고 있다. [75]

各州

編輯
  1. 韓國地區科學會 (2001). 《地球科學槪論》. 서울: 교학연구사.  
  2. 김형수 (2019年). “平安累層群의 再照明: 松林 造山運動의 變成作用과 變形作用” . 大寒資源環境地質學會 .  
  3. 정창희 (1969年 3月). “Stratigraphy and Paleontology of the Samcheog Coalfield, Gangweondo, Korea (I) (江原道 炭三田陟의 層序 및 古生物)” . 《 大寒地質學會 5 (1): 13-55.  
  4. “땅_地盤을 알게 하는 地質學(Geology) -南韓은 어떤 巖石으로 構成되어 있나 Ⅰ(서울, 京畿도, 江原道, 忠淸道 地域) -” . 《한국지반공학회》 36 (2): 17-25. 2020年 3月.  
  5. 金文起; 이용일 (2017年 4月). “韓半島 南部의 上部 古生代 平安累層群의 層序와 對備 (The stratigraphy and correlation of the upper Paleozoic Pyeongan Supergroup of southern Korean Peninsula - A review)” . 《 大寒地質學會 53 (2): 321-338. doi : 10.14770/jgsk.2017.53.2.321 .  
  6. 韓國地區科學會 (2001). 《地球科學槪論》. 서울: 교학연구사.  
  7. 최유구 (1962年). “太白山地區 地下資源 調査報告書”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8. 정창희 (1967年 3月). “寺洞統 砂岩의 堆積岩石學的 ?究 (Petrographic Study of the Sadong Sandstones)” . 《 大寒地質學會 3 (1): 21-35.  
  9. “5萬 地質圖”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0. “南韓 最大 規模의 三陟炭鑛 開廣” . 地域N文化.  
  11. 정창희 (1973年 6月). “A Paleontological Study of the Fusulinids from the Samcheog Coalfield, Korea (三陟炭田 紡錘蟲의 古生物學的 硏究)” . 《 大寒地質學會 9 (2): 47-88.  
  12. “三陟市의 産業 胎動 도계鑛業所” . 地域N文化.  
  13. “鑛山歷史 - 江原道 삼척시 도계鑛業所 91年의 歷史” . 韓國鑛害管理公團 .  
  14. 도성재 (1993年). “白雲山 향사臺에 分布하는 東古層에 對한 古地磁氣 硏究” . 《 大寒資源環境地質學會 26 (3): 383-393.  
  15. 서해길 (1981年 6月). “Geology of the Western Part of the Samcheog Coalfield (三陟炭田 西部地域의 地質)” . 《 大寒地質學會 17 (2): 117-121.  
  16. “Geological Structures of Jeungsan-Sabuk Area, Samcheog Coalfield, Korea (三陟炭田 甑山一舍北地域의 地質構造)” . 《 大寒地質學會 26 (2): 154-164. 1990年 4月.  
  17. 전희영 (2004年 6月). “古生代 植物化石 - 三陟炭田 地域을 中心으로 (Plant fossils from the Upper Paleozoic Samcheog Coalfield, Korea)” . 《韓國高生物學會 單行本》: 337-364.  
  18. Lee, Byung Joo (2012年 3月). “三陟炭田 內○○地域에서 發生한 地盤 擧動의 方向 分析 Direction Analysis of Surface Sliding at ○○ District in the Samcheok Coalfield, Korea)” . 《大寒地質工學回》 22 (1): 59-65.  
  19. 이현석; 조성권 (2006年). “Litho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Pyeongan Supergroup (Carboniferous?Permian) in the Taebaek area, mid-east Korea” .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26 (3-4): 339-352. doi : 10.1016/j.jseaes.2005.05.003 .  
  20. 전희영 (1985年 6月). “Permo-Carboniferous Plant Fossils from the Samcheog coalfield, Gangwondo, Korea. Part 1 (江原道 三陟炭田地域에서 發見된 植物化石에 對한 硏究) <第1篇>” . 《韓國高生物學會》 1 (1): 95-122.  
  21. 전희영 (1987年 6月). “Permo-Carboniferous Plant Fossils from the Samcheog coalfield, Gangwondo, Korea. Part 2 (江原道 三陟炭田地域에서 發見된 植物化石에 對한 硏究 <第2篇>” . 《韓國高生物學會》 3 (페이지=1-27).  
  22. 박수인 (1989年 6月). “Conodont Biostratigraphy of the Pyeongan Supergroup in Sabuk-Gohan Area (사북-告한 地域의 平安累層群에서 産出되는 코노돈트 生層序에 關한 硏究)” . 《 大寒地質學會 25 (2): 192-201.  
  23. 장기홍 (1972年 9月). “Occurrence of Gobangsan Flora in the Gohan Formation and its Stratigraphic Significance 古汗層의 高坊山植物群 ?出과 그 層序的 意義)” . 《 大寒地質學會 8 (3): 175-176.  
  24. Yu, Kang-Min; Boggs, Sam; Seyedolali, Abbas; Ko, Jaehong (1997年 3月). “Albitization of feldspars in sandstones from the Gohan (Permian) and Donggo (Permo-Triassic) formations, Gohan area, Kangwondo, Korea” . 《Geosciences Journal》 1 (1): 26-31. doi : 10.1007/BF02910447 .  
  25. 이용일; 최태진; 維持 오리하시 (2012年 2月). “三陟炭田에 分布하는 平安累層群 地質時代의 上限에 對한 考察” . 《 大寒地質學會 48 (1): 93-99.  
  26. 金正煥, 원종호 (1987年 6月). “Structural Analysis of Hwangji-area, Samcheog Coalfield, Korea (三陟炭田 黃池一帶의 地質構造硏究)” . 大寒地質學會 .  
  27. 金正煥 (2017年 2月). “古刹?: 우리나라 構造地質學 發展의 발자취 (Footprints of structural geology in Korea?: Review)” . 《 大寒地質學會 53 (1): 5-33. doi : 10.14770/jgsk.2017.53.1.5 .  
  28. 金正煥; 金泰浩 (1985年 9月). “Structural Analysis of Hambaeg-san Area, Samcheog Coalfield, S. Korea (三陟炭田 咸白山一帶의 地質構造 硏究)” . 《 大寒地質學會 21 (3): 157-171.  
  29. 이돈영, 유양수 (1978年). “三陟炭田 東部의 地質構造와 石炭埋藏量에 關하여” .  
  30. “Crustal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stern part of Mt. Taebaeg Area Part I: Stratigraphy, Paleontology and the Geologic Structure in the Eastern Part of the Samcheog Coalfield 韓半島 知覺의 進化에 關한 硏究?: 太白山 東部地域을 中心으로 - I便: 三陟炭田 東部의 層서, 古生物 및 地質構造” . 大寒地質學會 . 1986年 3月.  
  31. “太白山地區 地下資源 調査報告書?: 石炭便” . 大寒地質學會 . 1962年.  
  32. “講院 地域에 分布하는 石灰石 資源의 特性과 賦存環境: 영월읍 北部 地域의 中期 石炭紀 要鳳層을 中心으로” . 韓國地球科學會誌. 2000年.  
  33. 이창진; 박수인; 백인성 (1988年 4月). “江原道 尾炭附近 石炭-폐름계에 關한 生層序學的 硏究 (A biostratigraphic study of the Permo-Carboniferous Strata in Mitan area, Kangweon-do, Korea)” . 충북대학교 .  
  34. 이창진 (1985年 6月). “Moscovian Fusulinids from The Upper Yobong and Pangyo Formations in the Yeongwol Coalfield, Korea (寧越炭田 要鳳層 上部와 板橋層에서 産出된 모스코비아기 紡錘?)” . 《韓國高生物學會》 1 (1): 71-94.  
  35. 이종덕 (1985年 12月). “南韓 江原道 寧越地域에 分布된 紅店層 (石炭紀後期)의 코노돈트 化石群과 그의 生層序 (Conodont fauna and its Biostratigraphy of the Hongjeom formation (Upper Carboniferous) in Yeongwol area, Gangwon-do, South Korea” . 《韓國高生物學會》 1 (2): 167-181.  
  36. 장이랑 (2012年). “寧越트러스트시스템의 構造幾何學的 形態 解釋 硏究” .  
  37. 정창희 ; 김봉균; 이창진 (1983年 12月). “Permian Fusulinids from the Limestones of the Bamchi Formation, Yeongweol Coalfield, Korea (寧越炭田 밤치層의 石灰岩에서 ?出되는 페름紀 紡錘蟲)” . 《 大寒地質學會 19 (4): 203-226.  
  38. 이창진 (1990年 12月). “江原道 寧越郡 北面 밤치附近 밤치層에서 産出된 페름기 有孔蟲” . 韓國高生物學會.  
  39. 최원규 (2015年). “江原道 平昌郡 멧鈍才 一帶에 分布하는 古生代層에 關한 古生物學的 硏究” . 강원대학교 大學院.  
  40. Reedman, A. J. (1975年 6月). “The Age of the Gabsan Formation 甲山層의 地質時代)” . 《大寒地質學會》 11 (2): 139-143.  
  41. 전희영 (1979年 9月). “Some Plant Fossils, Linopteris neuropteroides and Linopteris sp. cf. L. neuropteroides, from the Gabsan Formation, Korea (甲山層에서 發見된 植物化石 Linopteris neuropteroides와 Linopteris sp. cf. L. neuropteroides)” . 《 大寒地質學會 15 (3): 192-200.  
  42. 박수인; 이희권; 李相憲 (2000年). “講院 地域에 分布하는 石灰石 資源의 特性과 賦存環境: 忠北 歌唱山 地域의 甲山層을 中心으로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Pattern of Carbonate Rock Resources in Kangwon Area: The Gabsan Formation around the Mt. Gachang Area, Chungbuk, Korea)” . 《韓國地區科學會》. 437-448쪽.  
  43. 김유홍 (2011年). “江陵·注文鎭圖幅 地質調査報告書”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44. “韓半島 上部 古生代의 層서 確立을 위한 硏究(Ⅱ) The Stratigraphy of the Upper Paleozoic Formations in Korea”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90年.  
  45. 박영록; 조경남 ( 강원대학교 ); 백인성; 김현주 ( 부경대學校 ); 임현수; 강희철; 신숭원; 김현정; 하수진; 하상민 ( 부산대학교 ); 김종선 ( 전남대학교 ); 造形性 ( 경상대학교 ) (2019年 12月). 《江原圈 脂質遺産 發掘 및 價値評價 (Assessment of the value and distribution of Geological Heritages in Gangwon Province)》. 國立公園公團 , 大寒地質學會 .  
  46. 김유홍; 황재하; 金成願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2012年 4月).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northern Gangneung coalfield” . 大寒地質學會 .  
  47. 황재하; 김유홍; 金成願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2011年 8月). “Geological structure and Fault chronology of the Aninjin-ri area, north-east end of the Gangneung Coal-field” . 大寒地質學會 .  
  48. 이흥기 (2016年). “沃川代 酒泉-平昌 地域 地質構造의 幾何學的 形態 및 키네마틱스 硏究” .  
  49. 장이랑; 정희준 (2019年). “沃川代 北西部 太白山地域 平昌-旌善一帶 地質構造의 幾何學的 形態 解釋 (Sturctural Geometry of the Pyeongchang-Jeongseon Area of the Northwestern Taebaeksan Zone, Okcheon Belt)” . 《 大寒資源環境地質學會 》. 541-554쪽. doi : 10.9719/EEG.2019.52.6.541 .  
  50. “倉洞圖幅 地質調査報告書”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95年.  
  51. “旌善圖幅 廣域地化學圖 調査硏究 (旌善圖幅 廣域紙貨學도 調査硏究)”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93年.  
  52. “旌善炭田 開發方案 硏究 (旌善炭田 開發方案 硏究)”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81年.  
  53. “古生代 牛角湖의 堆積層 江原道 旌善郡 회동리 (Ancient Ox-bow Lake Deposits Hoedong-ri Jeongseon-gun Gangweondo)”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8 (1): 23-32. 1994年.  
  54. 김항묵 (1971年 12月). “Paleozoic and Mesozoic Paleocurrents of the Danyang Coalfield District, Korea (丹陽炭田 地區의 古生代 및 中生代의 古水流)” . 《 大寒地質學會 7 (4): 257-276.  
  55. “丹陽 地質圖幅說明書 (丹陽 地質圖幅說明서)”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67年.  
  56. 정창희 (1971年 6月). “Stratigraphy and Paleontology of the Danyang Coalfield, N. Chungcheong-do, Korea (丹陽炭田의 層序 및 古生物學的 硏究)” . 《 大寒地質學會 7 (2): 63-85.  
  57. 정창희 (1993年 1月). “고수洞窟의 地質에 關한 硏究” . 《韓國洞窟學會》 32 (33): 63-76.  
  58. 金正煥; 이제용; 남길현 (1994年 2月). “Pre-Jurassic Thrust Movement in Danyang Area, Danyang Coalfield, Korea (丹陽炭田 地域에서의 先쥬라기 드러스트 運動)” . 《 大寒地質學會 30 (1): 35-40.  
  59. 김정소 (1981年 6月). “Geology of the Danyang Coalfield (丹陽炭田의 地質)” . 《 大寒地質學會 17 (2): 131-133.  
  60. 문경도幅 脂質院도
  61. 문경도幅 脂質院도
  62. “聞慶 地質圖幅說明書 (聞慶 地質圖幅說明서)”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67年.  
  63. “咸昌 地質圖幅說明書 (檻倉 地質圖幅說明서)”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68年.  
  64. 金正煥 (1988年 1月). “聞慶炭田 北部地域의 地質構造 硏究” . 서울大學校 .  
  65. 김형수; 서봉균 ( 경북대학교 ); 이기욱 ( 韓國基礎科學支援硏究院 ) (2014年 12月). “문경地域에 分布하는 平安累層群의 中溫-低壓 變成作用과 地球照 環境 解釋 (Medium Temperature and Lower Pressure Metamorphism and Tectonic Setting of the Pyeongan Supergroup in the Munkyeong Area)” . 韓國巖石學會.  
  66. 박수인; 정창희 (1989年 6月). “Stratigraphy and Peleontology of the Permo-Carboniferous Strata of the Mungyeong Coalfield (聞慶炭田 地域의 石炭-페름계의 層序 古生物學的 硏究)” .  
  67. “龍遊里 地質圖幅說明書 (용유리 地質圖幅說明서)” . 1973年.  
  68. 박수인 (1989年). “聞慶 炭田 南端의 農巖 地域에 分布하는 石炭 - 페름계의 微化石에 關한 硏究 (Microfossils of the Permo - Carboniferous Strata of Nongam Area in Mungyeong Coalfield)” . 韓國地區科學會.  
  69. 전희영 (1991年). “地史硏究?: 報恩炭田地域의 層序 古生物 및 韓半島 下部中生代 堆積層序硏究 (知事硏究?: 報恩炭田地域의 層序 古生物 및 韓半島 下部古生代 堆積層徐硏究)”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70. 김규봉 (1986年). “永同圖幅 地質報告書 (嶺東道幅 脂質報告書)”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71. “和順鑛業所” . 大韓石炭公社 .  
  72. 송광섭 記者 (2023年 6月 30日). “‘韓國 經濟’ 일으킨 主役, 單 1곳 남는다…친환경 바람 타고 退場” . 《每日經濟》.  
  73. 정창희 (1966年). “綾州 地質圖幅說明書 (능주 地質圖幅說明서)”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74. 이병주 (1992年 2月). “和順炭田 北部地域에서 우수향 軟性走向移動運動에 關聯된 變形作用 (Deformation related to Dextral Ductile Strike-Slip Movement at the Northern Part of Hwasun Coal Field)” . 大寒地質學會 .  
  75. 김서운 (1967年). “南倉 地質圖幅說明書 (男唱 地質圖幅說明서)”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