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八正道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八正道

佛敎 用語의 하나

8程度 (八正道, 산스크리트語 : ?ry?????gam?rga , 팔리어 : pa ariyo a??ha?giko maggo , 英語 : Noble Eightfold Path ), 8聖徒 (八聖道) 또는 8知性도 (八支聖道)는 四聖諦 가운데 마지막의 徒弟 에서 가르치는, 깨달음 ( 滅諦 )을 成就하는 原因이 되는 "여덟 個의 部分으로 이루어진 성스러운 길, 手段 또는 實踐 德目"이다. [1] 7과 37盜品 의 마지막 그룹인 第7과의 修行法이다. 8程度의 反對를 8社 (八邪) 또는 8蛇行 (八邪行)이라 한다. 8程度를 淸淨한 隨行 또는 實踐 이라는 뜻에서 犯行 (梵行)이라고도 한다. 8程度를 求하는 것을 犯行區 (梵行求)라고 한다. [2] [3]

팔리어 에서 (道)은 막고(maggo)라는 單數型으로 標示되어 있는데, 이것은 여덟 個의 이 全體로서 하나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各各의 은 나머지 일곱을 包含한다는 것을 意味한다. 卽, 여덟 個의 가운데 어느 하나가 實踐되면 다른 일곱 個의 이 그 하나에 包含되어 同時에 行하여지는, 서로 包攝하는 關係에 있다. 이러한 趣旨에 따라, 八正道의 英語 飜譯語度 ' Noble Eightfold Path (高貴한 팔中의 길)'라고 하여 길(Path)을 復讐가 아닌 斷水로 表現하고 있으며, 여덟도 單純한 여덟(eight)李 아닌 팔中(eightfold, 八重)으로 表現하고 있다. [1]

八正道의 여덟 構成要素 또는 여덟 個의 길은 다음과 같다. [1]

  1. 政見 (正見): 바르게 보기
  2. 正思惟 (正思惟)? · 正史 (正思): 바르게 생각하기
  3. 正語 (正語): 바르게 말하기
  4. 正業 (正業): 바르게 行動하기
  5. 正名 (正命): 바르게 生活하기
  6. 正精進 (正精進)? · 精勤 (正勤): 바르게 精進하기
  7. 情念 (正念): 바르게 깨어 있기
  8. 訂正 (正定): 바르게 三昧(集中)하기

八正道 編輯

8程度는 苦集滅道 (苦集滅道)의 4성제 中 마지막 徒弟 (道諦)의 具體的 內容으로서 說明된 것이다. 苦集滅道 의 4성제는 라는 演技하는 項目과 이라는 延期 (緣起)하는 項目을 合하여 構成되어 있다. [4] 여기에서 의 原因 또는 因緣이 되며, 의 原因 또는 因緣이 된다. 苦集滅道 苦痛 의 原因이 執着 또는 渴愛 이며 苦痛 消滅 시키는 原因 또는 手段이 라는 演技關係 를 밝힌 것이다. [1]

上座部 佛敎 에서는 8程度 가 順次的인 段階가 아니라 完全한 깨달음 涅槃 에 到達하는데 必要한 構成要素들을 羅列한 것으로 서로가 서로를 돕는 關係에 있다고 본다. 하지만, 實踐 遂行이라는 側面에서는 8程度 를 크게 (戒)? · (定)? · (慧)의 3學 (三學)으로 分類하여 보는데, 政見  · 正思惟 에 屬하며, 正語  · 正業  · 正名 에 屬하며, 正精進  · 情念  · 訂正 에 屬한 것으로 分類한다. 그리고,  ·  · 는 서로를 도와 깨달음 證得 하게 하는 것이지만, 크게 보아 에 依支하여 하고, 에 依支하여 한다고 본다. [5] [6] [7] [8]

8程度의 具體的인 內容은 다음과 같다.

政見 編輯

政見 (正見, 산스크리트語 : samyag-drsti , 팔리어 : samm?-ditthi )은 바른 見解 라는 뜻이며, 嚴密한 뜻으로는, 因果 道理 , 卽 原因과 結果의 法則 , 卽 演技法 바르게 아는 智慧 를 뜻한다. 이러한 뜻의 政見은 8蛇行 가운데 私見 (邪見)의 反對이며, 또한 有身見  · 變집犬  · 私見  · 견취  · 계금취 5犬 (五見) 가운데 私見 의 反對이며, 10악 (十惡) 가운데 私見 의 反對이다. 이 境遇, 政見은 遂行이라는 側面에서는 12延期  · 4성제  · 3學  · 6波羅蜜 로 대표되는 因果의 法則 演技法 이라는 理致 또는 眞理 를 體得하는 것을 意味한다. [1] [9] [10] [11] 한便, 모든 旋法 (善法)을 世間法 出世間法 으로 나눌 때, 12延期  · 4성제  · 3學  · 6波羅蜜 出世間法 에 屬한다. [12] [13] [14] 無漏 旋法 , 달리 말하면, 成人 旋法 成人 이 遂行하는 旋法 또는 完全한 成人 部處 가 되게 하는 旋法 에 屬한다.

政見은, 보다 넓은 뜻으로는, 5犬 (五見)을 멀리 떠난 狀態를 말한다. [9] 달리 말하면, 佛敎 에서 認定하는 바른 世界觀 또는 人生觀 모두를 가리킨다. 卽 政見은 4성제 演技法 을 비롯한 모든 佛敎 眞理 들에 對한 유루  · 無漏 智慧 들을 統稱한다. 이 境遇의 政見은 否定犬 (不正見) 또는 惡見 (惡見)의 反對이다. 이 境遇, 政見은 遂行이라는 側面에서는 갖가지 否定犬 을 약화시키거나 멀리 떠난 狀態를 하는 것을 意味한다. [1] [9]

大毘婆娑論 · 俱舍論 》 等에 따르면 이 後者의 보다 넓은 뜻으로서의 政見은 크게 유루政見 (有漏正見)과 무루政見 (無漏正見)으로 나뉜다. 유루政見 世間政見 (世間正見) 또는 世俗政見 (世俗正見)이라고도 하는데, 유루 의 政見으로 有漏慧 에 屬하며 다시 聞慧  · 思慧  · 受惠 3慧 또는 3慧 생득혜 를 더한 4慧 로 나뉜다. 이들 有漏慧 凡夫 智慧 이며, 否定犬 等의 煩惱 를 약화시킬 수는 있어도 煩惱 를 끊지는 못하는 智慧 이다. 무루政見 出世間政見 (出世間正見)이라고도 하며 遊學政見  · 舞鶴政見 으로 나뉘는데, 無漏 의 政見으로 無漏慧 에 屬한다. 無漏慧 成人 智慧 이며, 否定犬 等의 煩惱 를 끊을 수 있는 智慧 이다. [9] [15] [16] 戒律 을 바탕으로 하여 有漏慧 聞慧  · 思慧  · 受惠 3慧 를 닦는 것은 無漏慧 證得 하는 길이 되며, 따라서 凡夫 가 닦아야 할 바이다. [17] [18] [19] [20] [21]

正思惟 編輯

正思惟 (正思惟) 또는 正史 (正思)는 올바른 思考方式 또는 올바른 마음가짐을 가리킨다. 卽, 恒常 올바른 智慧 에 依해서 바르게 事由 (思惟)하고 나 自身의 本分은 무엇인가, 나 自身은 무엇을 하여야 할 것인가를 생각하는 것이다. [1]

正語 編輯

正語 (正語)는 올바른 言語的 行爲를 가리킨다. 올바른 見解나 올바른 思考方式에 立脚한 말은 올바른 말이 되며, 具體的으로는 行하지 않아야 할 것으로 거짓말 (妄言? · 妄言), 辱說 (惡口? · 惡口), 中傷 (兩舌? · 兩舌), 쓸데없는 말(綺語? · 기어)의 4가지를 行하지 않는 것을 들 수 있으며, 行해야 할 것으로는 誠實하고 정다운 말로 사람을 對하는 것을 들 수 있다. [1]

正業 編輯

正業 (正業)은 올바른 行爲를 가리킨다. (身: )? · (口: )? · (意: 마음 )의 3業을 바르게 하여, 四聖諦  · 演技의 法則  · 因果의 法則 等의 理致 眞理 에 合當한 生活을 하는 것이다.

正名 編輯

正名 (正命)은 올바른 生計手段 을 가리킨다. 裁可者는 殺生, 人身 賣買, 痲藥去來, 술, 等으로 生計를 維持하지 않고,

出家者는 點을 치거나 冠狀, 天文, 風水에 依存하여 生活하지 않는 것이 바른 生計手段이다.

正精進 編輯

正精進 (正精進) 또는 精勤 (正勤)은 올바른 努力 또는 올바른 用器를 가리킨다. 勇氣와 努力을 가지고 길을 나아감으로써 涅槃 을 成就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1]

情念 編輯

情念 (正念, 산스크리트語 : samyak-sm?ti , 팔리어 : samm?sati ) 卽 바른 記憶 은 細心한 (念, 산스크리트語 : sm?ti , 팔리어 : sati , 英語 : mindfulness , awareness , 깨어 있음 ) 卽 注意力 을 가지고 遂行에 臨하며, 또한 生活에서는 自身과 周邊의 立場에 對해 細心하게 注意를 기울이는 思慮 깊은 態度로 일에 臨한다는 것을 뜻한다. [1]

大乘佛敎 有識유가행派 法相宗 의 主要 논서人, 無着 의 《 大勝阿毘達磨집론 》, 世親 의 《 大勝五蘊론 》, 호법 等의 《 成唯識論 》 等에 따르면 情念 (正念)의 反對는 妄念 (妄念: 迷妄한 執着하는 생각)李 아닌, 實稔 ( 失念 , 산스크리트語 : mu?itasm?tit? , 英語 : forgetfulness ) 또는 妄念 ( 忘念 )이며, 이 두 낱말의 漢字語 文字 그대로의 뜻은 모두 '잊어버린 記憶, 잊어버린 께어있음, 또는 잊어버린 마음챙김'인데 모두 '情念(正念)을 잃음'을 뜻한다. [22] [23] [24] [25] [26] [27] [28] [29]

情念은 西洋에서 마음챙김 (MBSR)이란 冥想法으로 有名하다.

訂正 編輯

訂正 (正定)은 올바른 選定 (禪定)을 가리킨다. 選定 을 통해 마음이 安定되고 고요해짐에 따라 이에 依해 事物을 正確하게 보는 政見 (正見), 卽 올바른 見解 또는 智慧 가 發現되며 이에 따라 正業 (正業)? · 正名 (正命) 等의 올바른 行動과 生活을 할 수가 있다는 것을 뜻한다. [1] 大乘佛敎 의 敎義에 따르면 選定 波羅蜜 智慧 波羅蜜 이 發現되게 하는 直接的인 手段 또는 原因이다. [30] [31] [32]

같이 보기 編輯

參考 文獻 編輯

各州 編輯

  1.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思想 > 根本佛敎의 思想 > 8程度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8程度: 八正道 八正道는 8知性도(八支聖道)라고도 하며 '8個의 部分으로 이루어지는 성스러운 道(道)'라는 意味이다. 이 都家 파리語로 막고(maggo)라는 單數型으로 標示되어 있는 것은 8個가 하나의 성스러운 度의 各 部分을 構成하고 있다는 것, 따라서 8個 가운데 하나가 實踐되면 다른 7個가 그 하나에 包含되어 同時에 行하여지고 있다는 것, 卽 상섭(相攝)의 關係에 있다는 것이다. 8程度는 4性체인 導體(道諦)의 具體的 內容으로서 說明된 것이며 具體的으로는 다음의 8種이다. (1) 政見(正見) ―― 올바른 見解라는 뜻으로서 佛敎의 올바른 世界觀·人生觀을 가리킨다. 卽 演技(緣起)의 道理라든가 4聖體라든가 하는 佛敎의 根本的인 眞理에 關한 智慧라는 뜻으로 그 體得·確立을 强調한 것이다. (2) 正思惟(正思惟) ―― 올바른 思考方式, 올바른 마음 가짐을 말한다. 우리들은 恒常 올바른 智慧에 依해서 바르게 事由(思惟)하고 自己의 本分은 무엇인가, 自己는 무엇을 하여야 할 것인가를 생각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3) 정어(正語) ―― 바른 言語的 行爲(言語的行爲)이다. 올바른 見解나 올바른 思考方式에 依한 말이라면 當然히 바른 말이 될 터이다. 具體的으로는 거짓말(妄言), 辱說(惡口), 重傷(兩舌), 쓸데없는 말(綺語)의 4가지를 行하지 않을 것을 들 수 있으며, 積極的으로는 誠實하고 정다운 말로 사람을 對하는 것을 말한다. (4) 正業(正業) ―― 올바른 身體的 行爲이다. 殺生(殺生), 도둑질(偸盜), 不倫(不倫) 等 잘못된 行爲를 떠나 善行(善行)을 쌓는 것이다. (5) 正名(正命) ―― 올바른 生活이라는 것으로서 神(身)·區(口)· 의(意)의 3業을 바르게 하여 規則바른 生活을 하는 것이다. (6) 正精進(正精進) ―― 올바른 努力, 올바른 勇氣라는 것으로서 무엇을 하든지 勇氣와 努力을 가지고 臨하지 않으면 成功을 얻을 수 없고 社會的 進步도 없다는 것이다. (7) 情念(正念) ―― 올바른 想念(想念), 올바른 意識이라는 것으로서 自己의 立場, 周圍의 立場은 언제나 念頭에 두고 細心한 注意를 가지고 일에 臨한다는 것이다. (8) 訂正(正定) ―― 올바른 選定(禪定)이며 精神의 安定으로서 이에 依해 事物을 正確하게 보고 올바른 行動을 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2. 사리자 설, 現場 漢譯 & T.1536 , 第4卷 〈4. 三法品 ②〉. p. T26n1536_p0383a16 - T26n1536_p0383a20 . 犯行區(梵行求)
    "梵行求云何。答離二交會說名梵行。八支聖道亦名梵行。於此義中意說八支聖道梵行。諸有於此八支聖道未得?得。諸求乃至勤求。是謂梵行求。"
  3. 사리자 설, 現場 漢譯, 송성수 飜譯 & K.946, T.1536 , 第4卷 〈4. 三法品 ②〉. p. 89 / 463 . 犯行區(梵行求)
    "(門) 犯行區(梵行求)란 어떤 것인가?
    (答) 두 사람의 敎會(交會)를 여읜 것을 犯行(梵行)이라 하며, 8知性도(支聖道)도 또한 犯行이라 한다. 이 理致 가운데서 말하고 있는 뜻은 8지성도를 犯行이라 한다. 이 모든 8지성도에 있어서 아직 얻지 못한 것을 얻기 위하여 모든 求하는 것과 나아가 부지런히 救하는 것까지를 犯行球라 한다."
  4.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思想 > 根本佛敎의 思想 > 12因緣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5. “Culavedalla Sutta: The Shorter Set of Questions-and-Answers (MN 44)” .  
  6. Bhikkhu Bodhi. “The Noble Eightfold Path: The Way to the End of Suffering” . Access to Insight . 2013年 2月 4日에 確認함 .  
    "The eight factors of the Noble Eightfold Path are not steps to be followed in sequence, one after another. They can be more aptly described as components rather than as steps, comparable to the intertwining strands of a single cable that requires the contributions of all the strands for maximum strength. With a certain degree of progress all eight factors can be present simultaneously, each supporting the others. However, until that point is reached, some sequence in the unfolding of the path is inevitable. Considered from the standpoint of practical training, the eight path factors divide into three groups: (i) the moral discipline group (silakkhandha), made up of right speech, right action, and right livelihood; (ii) the concentration group (samadhikkhandha), made up of right effort, right mindfulness, and right concentration; and (iii) the wisdom group (pannakkhandha), made up of right view and right intention. These three groups represent three stages of training: the training in the higher moral discipline, the training in the higher consciousness, and the training in the higher wisdom."
  7. 耘虛 , " 三學(삼학) ". 2013年 2月 19日에 確認
    "三學(삼학): 佛敎를 배워 道를 깨달으려는 이가 반드시 닦아야 할 세 가지. (1) 戒學(戒學). 行爲와 言語에서 나쁜 짓을 하지 않고, 몸을 保護하는 戒律. (2) 停學(定學). 심의식(心意識)의 흔들림을 그치고, 고요하고 便安한 境地를 나타내는 法. (3) 慧學(慧學). 煩惱를 없애고, 眞理를 鐵絹(徹見)하려는 法. ⇒戒定慧(戒定慧)"
  8. 耘虛 , " 戒定慧(戒定慧) ". 2013年 2月 19日에 確認
    "戒定慧(戒定慧): 戒律ㆍ選定ㆍ智慧의 준말. 이를 總稱하여 3學(學). 契는 몸ㆍ입ㆍ뜻으로 犯할 나쁜 짓을 防止하는 것. 鄭은 散亂한 마음을 한 警戒에 머물게 하는 것. 慧는 眞理를 깨닫는 智慧. 이 셋은 서로 도와 證果(證果)를 얻는 것이므로, 契에 依하여 情을 얻고, 情에 依하여 智慧를 얻는다. 이를 警ㆍ율ㆍ논 3張에 배對하면, 卿은 정학(定學), 律은 戒學(戒學), 논은 慧學(慧學). ⇒삼학(三學)"
  9. 星雲 , " 正見 ". 2013年 2月 19日에 確認
    "正見:  梵語 samyag-drsti,巴利語 samm?-ditthi。如實了知世間與出世間之因果,審慮諸法性相等之有漏、無漏慧,稱?正見。係八正道之一,十善之一。?「邪見」之對稱。?遠離或有或無之邪見,而採取持平正中之見解,如遠離身見、邊見、邪見、見取見、戒禁取見等「五不正見」之見解皆屬正見。故廣泛言之,凡?佛?所認可之道理,皆屬正見。據大毘婆沙論卷九十七載,正見可分?二類,?:(一)有漏正見,又作世俗正見。?與意識相應之有漏善慧,係有漏有取者,故轉向善趣,招未來可喜所欲之果。(二)無漏正見,又作出世間正見。?盡無生智所不攝之意識相應善慧,如八種無漏忍、有學八智、無學正見等。〔雜阿含經卷二十八、順正理論卷六、大智度論卷二十二、俱舍論卷二、成實論卷十六見智品、大乘義章卷八本〕 p1988 "
  10. 星雲 , " 邪見 ". 2013年 2月 19日에 確認
    "邪見:  梵語 mithy?-drsti,巴利語 micch?-ditthi。指不正之執見,主要指撥無四諦因果之道理者。係八邪行之一,十惡之一,十隨眠之一,五見之一。以?世間無可招結果之原因,亦無由原因而生之結果,而謂惡不足畏,善亦不足喜等之謬見,?是邪見。蓋俱舍家謂撥無因果?邪見;唯識家則主張撥無因果及四見以外之所有邪執,均稱?邪見。
     ?據大毘婆沙論卷四十九載,五見雖同?邪推度,但因邪見之「無行相」過患特重,故特稱之?邪見。又謂邪見壞事,謗因果及三寶,壞法恩、生恩,起法怨、生怨,?破壞現量,?暴惡之見,故別立此名。〔俱舍論卷十九、成唯識論卷六、法蘊足論卷一、卷十、成實論卷十、阿毘達磨順正理論卷四十六、瑜伽師地論卷八〕(參閱「八邪行」283、「十善十惡」468、「五見」1099) p3033"
  11. 星雲 , " 八邪行 ". 2013年 2月 19日에 確認
    "八邪行:  「八正道」之對稱。?身、語、意等所犯之八種誤謬。又作八邪支、八邪法。略稱八邪。?:(一)邪見,指不信因果、功德、父母、聖人等之見解。(二)邪志,又作邪思惟,指欲、?、害等之思惟。(三)邪語,指妄語、兩舌、惡口、綺語等。(四)邪業,指殺生、不與取、邪淫等。(五)邪命,指不如法之生活。(六) 邪方便,又作邪精進,指?惡事所作之方便精勤。(七)邪念,指不如法之觀念。(八)邪定,指非正定之定。以上八者,乃凡夫外道所常行,求涅槃者悉皆捨離。〔雜阿含經卷二十八、中阿含經卷四十九、八正道經、維摩經弟子品〕(參閱「八正道」280) p283 "
  12. 耘虛 , " 善法(旋法) ". 2012年 11月 12日에 確認
    "善法(旋法): ↔惡法. 善한 敎法. 5係ㆍ10線ㆍ3學ㆍ6度 等 理致에 맞고, 自己를 利益케 하는 法."
  13. 星雲 , " 善法 ". 2012年 11月 12日에 確認
    "善法:  梵語 ku?al? dharm?h。指合乎於「善」之一切道理,?指五戒、十善、三學、六度。?「惡法」之對稱。五戒、十善?世間之善法,三學、六度?出世間之善法,二者雖有深淺之差異,而皆?順理益世之法,故稱?善法。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雜事卷三十五(大二四?三八二下):「國界人民,日見增長,善法無損。」〔往生要集卷中〕"
  14. 耘虛 , " 出世間法(出世間法) ". 2012年 11月 12日에 確認
    "出世間法(出世間法): 3僧들이 遂行하는 4題ㆍ12延期ㆍ6度(度) 等의 行法(行法)."
  15. 世親 兆, 現場 漢譯 & T.1558 , 第2卷. p. T29n1558_p0010c03 - T29n1558_p0010c16 . 8犬(八見)
    "頌曰。
      眼法界一分  八種說名見
      五識俱生慧  非見不度故
      眼見色同分  非彼能依識
      傳說不能觀  彼障諸色故
    論曰。眼全是見。法界一分八種是見。餘皆非見。何等?八。謂身見等五染?見。世間正見。有學正見。無學正見。於法界中此八是見。所餘非見。身見等五隨眠品中時至當說。世間正見。謂意識相應善有漏慧。有學正見。謂有學身中諸無漏見。無學正見。謂無學身中諸無漏見。譬如夜分晝分有雲無雲睹?色像明昧有異。如是世間諸見有染無染。學無學見。觀察法相明昧不同。"
  16.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K.955, T.1558 , 第2卷. p. 84-86 / 1397 . 8犬(八見)
    "偈頌으로 말하겠다.
      안系와, 法界의 一部인
      여덟 가지를 說하여 '犬(見)'이라 이름하며
      5式과 함께 生起하는 慧(慧)는
      比肩(非見)이니, 判斷[度]하지 않기 때문이다.
      眼法界一分 八種說名見
      五識俱生慧 非見不度故

      色을 보는 것은 東分의 眼根으로
      그것을 依支處로 삼는 式(識)李 아니니
      傳說에 依하면, 隱蔽된 온갖 色을
      능히 볼 수 없기 때문이다.
      眼見色同分 非彼能依識
      傳說不能觀 被障諸色故
    論하여 말하겠다. 眼根은 모두 바로 '犬(見)'이며, 法界의 一部分인 여덟 가지 種類도 '犬'이다. 그리고 그 밖의 것은 모두 比肩(非見)이다. 어떠한 것이 여덟 가지인가? 이를테면 有身見(有身見) 等의 다섯 가지 廉五見(染汚見)과 世間의 政見(正見)과 遊學(有學?: 無漏智를 成就한 聖者)의 政見과 舞鶴(無學?: 성도를 모두 成就한 聖者, 卽 阿羅漢)의 政見이니, 法階 가운데 바로 이러한 여덟 가지가 '犬'이며, 그 밖의 法界와 나머지 16契는 모두 比肩이다. 여기서 다섯 가지 廉五見의 像에 對해서는 마땅히 「睡眠品(隨眠品)」 中에서 說하게 될 것이다. 76) 그리고 世間의 政見이란, 이를테면 意識上凝意 線인 유루의 뛰어난 慧(慧)를 말한다. 儒學의 政見이란, 이를테면 儒學의 小의신 中의 온갖 무루의 犬을 말한다. 舞鶴의 政見이란, 이를테면 舞鶴의 小의신 中의 온갖 무루의 犬을 말한다. 이를 比喩하자면 한밤中과 한 낮과 구름이 끼었을 때와 구름이 없을 때에 온갖 色相(色像)을 觀察하면 밝고 어둠의 差異가 있듯이, 이와 마찬가지로 世間의 온갖 '犬'으로서 染汚함이 있거나 染汚함이 없는 것과, 儒學의 堅果 舞鶴의 犬, 그 같은 온갖 絹衣 法上(法相)을 觀察하면 그 밝고 어둠이 同一하지 않은 것이다. 77)
    76) 有身見 等의 5犬이란 有身見(또는 薩迦耶見, 小依申을 實有라고 執着하는 見解), 變집犬(邊執見, 斷·常 두 極端에 執着하는 見解), 私見(邪見, 因果의 道理를 否定하는 見解), 견취(見取, 그릇된 見解를 올바른 것이라고 執着하는 것), 계금취(戒禁取, 그릇된 戒行을 올바른 것이라고 執着하는 것)를 말하는 것으로, 本論 勸第19(p.867)以下에서 詳論한다.
    77) 卽 다섯 가지 厭惡犬은 유루이면서 煩惱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구름(煩惱)李 낀 한밤(유루) 中에 色相을 觀察하는 것과 같고, 世間의 政見은 유루이지만 煩惱가 없기 때문에 구름이 끼지 않은 한밤 中에 色相을 觀察하는 것과 같다. 또한 儒學의 政見은 無漏智를 獲得하였으나 煩惱가 아직 남아 있기 때문에 구름이 낀 한 낮에 色相을 觀察하는 것과 같고, 舞鶴의 政見은 더 以上 煩惱가 없기 때문에 구름이 끼지 않은 한낮에 色相을 觀察하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17. 世親 兆, 現場 漢譯 & T.1558 , 第22卷. p. T29n1558_p0116b29 - T29n1558_p0116c08 . 3慧(三慧)와 聖徒(聖道)
    "已辯諸諦。應說云何方便勤修趣見諦道。頌曰。
      將趣見諦道  應住戒勤修
      聞思修所成  謂名俱義境
    論曰。諸有發心將趣見諦。應先安住?淨尸羅然後勤修聞所成等。謂先攝受順見諦聞。聞已勤求所聞法義。聞法義已無倒思惟。思已方能依定修習。行者如是住戒勤修。依聞所成慧起思所成慧。"
  18.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K.955, T.1558 , 第22卷. p. 1014 / 1397 . 3慧(三慧)와 聖徒(聖道)
    "이제 마땅히 어떠한 方便을 부지런히 닦아야 犬徒弟(見道諦), 卽 眞理를 觀察하는 道路 나갈 수 있는지에 對해 論說해 보아야 할 것이다. 偈頌으로 말하겠다.
      張差 眞理를 觀察하는 道路 나아가려는 이는
      마땅히 界(戒)에 머물면서 門(聞)·사(思)·數(修)로써
      成就되는 바를 부지런히 닦아야 할 것이니
      이를테면 말과, 말과 뜻과, 뜻이 그것의 境界이다.
      將趣見諦道 應住戒勤修
      聞思修所成 謂名俱義境
    論하여 말하겠다. 온갖 유정으로서 發心하여 將次 眞理를 觀察하는 道路 나아가려는 者는 마땅히 먼저 淸淨한 詩라(尸羅, 卽 戒律)에 安住하고, 그런 然後에 門所성혜(聞所成慧) 等을 부지런히 닦아야 한다. 이를테면 먼저 眞理의 觀察에 隨順하는 聽聞(聽聞)을 攝受하고, 듣고 나서는 들은 法의 뜻[法義]을 부지런히 追求하며, 法의 뜻을 듣고 나서 顚倒됨이 없이 赦宥해야 하니, 思惟하고 나서야 비로소 능히 選定에 依支하여 收拾(修習)할 수 있는 것이다. 卽 修行者는 이와 같이 界(戒)에 머물면서 부지런히 닦아 門所성혜(聞所成慧)에 依해 些少성혜(思所成慧)를 일으키고, 些少性慧에 依해 水素성혜(修所成慧)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19. 實役人命(失譯人名) & T.1507 , 第2卷. p. T25n1507_p0036b23 - T25n1507_p0036b27 . 俗戒(俗戒: 世間의 선法)와 도계(道戒: 出世間의 선法)
    "夫戒有二。有俗戒有道戒。五戒十善?俗戒。三三昧?道戒。二百五十戒至五百戒。亦是俗戒。四諦妙慧?道戒也。但行安戒不出三界。以慧御戒。使成無漏乃合道戒。"
  20. 實役人命(失譯人名), 이태승 飜譯 & K.973, T.1507 , 第2卷. p. 32 / 114 . 俗戒(俗戒: 世間의 선法)와 도계(道戒: 出世間의 선法)
    "大體로 契에 두 가지가 있다. 俗戒(俗戒)와 도계(道戒)이다. 5係와 10線(善)은 俗戒를 이루며, 3三昧는 道界를 이룬다. 250係에서 500에 이르는 이것도 속系이며, 4題(諦)의 妙慧는 道界를 이룬다. 團地 契를 行하는 데 安住해서는 三界(三界)를 벗어나지 못한다. 慧로써 契를 制御하고 무루를 成就시켜야 곧 道界에 合致한다."
  21. 星雲 , " 三慧 ". 2012年 11月 13日에 確認"三慧:  梵語 tisrah prajn?h。指聞思修三慧。?簡擇事理之三種精神作用。?:(一)聞慧(梵 ?rutamay? prajn?),?由三藏十二分?或善知識處聞知,能生無漏聖慧,故稱聞所成慧。此?聲聞所成就。(二)思慧(梵 cint?may? prajn?),?由思惟所聞所見之道理而生之無漏聖慧,?緣覺所成就。(三)修慧(梵 bh?van?may? prajn?),乃依修習而生之無漏聖慧,?菩薩所成就。
     其中,聞慧?三慧之因,?生若受持轉讀,究竟流布諸經藏,則生慧;依此聞慧則生思慧;依思慧則有修慧。此乃斷煩惱、證得涅槃之過程,猶如依種生芽,依芽生莖,依莖轉生枝葉花果。故前二慧?散智,僅?發起修慧之助緣;修慧則?定智,具有斷惑證理之作用。若以大乘菩薩之階位而言,十住位得聞慧,十行位得思慧,十?向位得修慧。?就毘曇之界繫而言,欲界有聞、思二慧,因欲界?不定界,非修地,亦非離染地,若欲修時則墮思慧中,故此界無修所成慧。色界有聞、修二慧,無色界唯有修所成慧;因色、無色界是定界,是修地,亦是離染地,若欲思時已墮修中,故此二界無思所成慧。又無色界不用耳根聽聞佛法,故無聞所成慧。〔優婆塞戒經卷一、瑜伽師地論卷二十八、成實論卷十六、集異門足論卷五、大毘婆沙論卷四十二、俱舍論卷二十二、佛地經論卷一〕"
  22. " 實稔(失念) ", 《네이버 國語辭典》. 2012年 11月 3日에 確認.
  23. 황욱 1999 , 71. 實稔(失念)審所쪽
    "‘失念’은 오랜동안 지은 바와 말했던 바와 생각했던 法과 義에 對하여 染汚하거나 記憶하지 못하는 것으로써 體로 삼고, 不忘念을 障礙하는 것으로써 業을 삼는다. 卽, 모든 反衍하는[所緣] 것들을 능히 記憶하지 못함을 그 性用으로 삼고, 그것으로 인하여 正念을 障礙하여 散亂의 所依가 됨을 그 業用으로 삼는다. 254) 이 심소도 念·癡의 한 部分[一分]으로 따로 別體가 있는 것이 아니다. 한便 《大勝阿毘達磨집론》에서는 이를 ‘忘念’이라는 述語로 說明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모든 煩惱와 相應하는 생각을 體로 하고, 어지러움[散亂]에 意志가 되어주는 것을 業으로 한다고 說明하고 있다. 255)
    254) ‘失念’의 性用은 모든 所緣境에 對하여 記憶하지 못하는 作用을 말하고, 그 業用은 正念을 障礙하여 散亂을 일어나게 하는 作用을 말한다. 卽, 失念은 記憶力을 잃음으로 말미암아 集中力이 떨어지거나 集中力을 妨害하는 心理作用을 말한다.
    255) 《大乘阿毘達磨集論》 1(《大正藏》 31, p. 665中 ). “何等忘念。謂諸煩惱相應念?體。散亂所依?業。”"
  24. 호법 等 지음, 現場 漢譯 & T.1585 , 第7卷. p. T31n1585_p0034b22 - T31n1585_p0034b28 . 實稔(失念)心所
    "云何失念。於諸所緣不能明記?性。能障正念散亂所依?業。謂失念者心散亂故。有義失念念一分攝。說是煩惱相應念故。有義失念癡一分攝。瑜伽說此是癡分故。癡令念失故名失念。有義失念俱一分攝。由前二文影略說故。論復說此遍染心故。"
  25. 호법 等 지음, 現場 漢譯, 김묘주 飜譯 & K.614, T.1585 , 第7卷. p. 336 / 583 . 實稔(失念)心所
    "무엇이 ‘實稔(失念)心所’ 288) 認可? 모든 認識對象에 對해서 분명하게 記憶할 수 없음을 體性으로 삼는다. 능히 바른 記憶[正念]을 障礙하여 散亂의 依支處가 됨을 業으로 삼는다. 記憶하지 못하는 사람은 마음이 散亂하기 때문이다.
    다음과 같은 見解가 있다. 289) 實稔(失念)은 廉(念)心所의 一部分에 包含된다. 이것이 煩惱와 相應하는 廉(念)心所라고 말하기290) 때문이다.
    다음과 같은 見解가 있다. 291) 實稔(失念)은 치(癡)心所의 一部分에 包含된다. 『瑜伽師地論』에서 이것이 侈心所의 一部分이라고 말하기 292) 때문이다. 侈心소가 記憶하는 것을 잃게 하기 때문에 實稔이라고 이름한다.
    다음과 같은 見解가 있다. 293) 實稔은 두 가지[俱]의 294) 一部分에 包含된다. 앞에서 引用한 두 文章에 그림자처럼 省略해서 말한 것에 依하기 때문이고, 논서에서 다시 이것이 잡염심에 두루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288) 實稔(失念, mu?itas??tit?)心所는 記憶하지 못하는 心理作用으로서, 單純한 忘却이 아니라 氣分이 散漫하여 旋法을 持續的으로 想起하지 못한다. 이것은 廉(念)과 치(癡)心所의 一部分이다.
    289) 第1社(第一師)의 見解를 敍述한다.
    290) 『大勝阿毘達磨잡집론』 第1卷(『高麗大藏經』 16, p.287中:『臺正裝』 31, p. 699中 ).
    "忘念者。煩惱相應念?體。散亂所依?業。"
    291) 第2社(第二師)의 見解를 敍述한다.
    292) 『瑜伽師地論』 第55卷(『高麗大藏經』 15, p.938下:『臺正裝』 30, p. 604中 ).
    "忘念散亂惡慧是癡分故一切皆是世俗有。"
    293) 護法의 定義이다.
    294) 廉(念)? · 치(癡) 心所를 가리킨다."
  26. 星雲 , " 失念 ". 2012年 11月 3日에 確認. 實稔(失念)心所
    "失念: 梵語 musita-smrtit? 之意譯。又作忘念。乃心所(心之作用)之名。百法之一。?「念」之對稱。指對於所緣境及諸善法不能明白記憶之精神作用。唯識宗將其視?二十隨煩惱中八大隨煩惱之一。關於其體則有三說:(一)?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所說,以念?體,依此之故而?念之一分。(二)?瑜伽師地論卷五十八所說,以癡之等流?體,依此之故而?癡之一分。(三)?取前述之二種,以念與癡之一分?體。〔成唯識論卷六、顯揚聖?論卷一、大乘五蘊論〕"
  27. 無着 兆, 現場 漢譯 & T.1605 , 第1卷. p. T31n1605_p0665b03 - T31n1605_p0665b04 . 實稔(失念)心所
    "何等忘念。謂諸煩惱相應念?體。散亂所依?業。"
  28. 안혜 兆, 現場 漢譯 & T.1606 , 第1卷. p. T31n1606_p0699b09 - T31n1606_p0699b10 . 實稔(失念)心所
    "忘念者。煩惱相應念?體。散亂所依?業。"
  29. 世親 兆, 現場 漢譯 & T.1612 , p. T31n1612_p0849b22 - T31n1612_p0849b23 . 實稔(失念)心所
    "云何失念。謂染?念於諸善法不能明記?性。"
  30.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思想 > 初期 大乘佛敎의 思想 > 6波羅蜜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31. 안혜 兆, 지바하라 漢譯 & T.1613 , p. T31n1613_p0851c28 - T31n1613_p0852a02 . 三摩地(三摩地)
    "云何三摩地。謂於所觀事。心一境性。所觀事者。謂五蘊等。及無常苦空無我等。心一境者。是專注義。與智所依?業。由心定故。如實了知。"
  32. 안혜 지음, 지바하라 漢譯, 조환기 飜譯 & K.619, T.1613 , p. 6 / 24 . 三摩地(三摩地)
    "무엇을 三摩地(三摩地)라고 하는가?
    管(觀)하는 일에서 마음이 한 對象에 머무는 것[心一境性]을 말한다. 關하는 일이란 5溫 等과 無常함? · 괴로움? · 공? · 無我 等에 마음을 集中하여 觀하는 것이다. 마음이 한 對象에 머문다는 것은 여기에 오로지 注意를 기울인다는 것이다. 智慧가 나타나는 行動樣式이다. 마음이 情(定)에 있기 때문에 如實하게 要별하여 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