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파헬벨의 카논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파헬벨의 카논

세 臺의 바이올린과 繼續低音을 위한 카논과 지그 라 莊祖 》( 獨逸語 : Kanon und Gigue in D-Dur fur drei Violinen und Basso Continuo )는 요한 파헬벨 의 作品 中 가장 널리 알려진 曲이며, 前半部의 카논은 흔히 ‘ 파헬벨의 카논 ’으로 알려져 있다.

救助 編輯

4分의 4拍子 의 카논이며, 베이스의 오스티나토 와 이에 基盤한 反復되는 火星을 基礎로 하고 있다.

  • D - A - Bm - F#m - G - D - Em(또는 G) - A7 또는
  • I - V - vi - iii - IV - I - ii(또는 IV) - V7

이 코드 進行은 현대 만들어지는 哭에도 널리 쓰이고 있다. 例를 들어 이민섭의 當身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 (D), 自轉車 탄 風景의 '너에게 난 나에게 넌'(G), 서영은의 '혼자가 아닌 나'(Bb), 백지영의 '사랑 안 해'(G) 等이 있다.

 
.

大衆 音樂에서 쓰임 編輯

파헬벨의 카논을 編曲한 作品이 많다. 元來는 세 臺의 바이올린 通奏低音 을 위한 曲이며 元來는 카논 지그 가 따라 붙지만 現在는 다른 樂器로 編曲이 많고 只今은 거의 연주하지 않는다.

大韓民國 에서는 조지 윈스턴 의 앨범 《December》에 收錄된 《요한 파헬벨의 카논 主題에 依한 變奏曲(Variations on the Kanon by Johann Pachelbel)》李 有名하다. 曲의 雰圍氣는 조용하고 차분하며 같은음이 反復되는 特徵이 있다. 映畫 獵奇的인 그女 의 主題曲인 김형석 의 編曲도 有名하다.

같이 보기 編輯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