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太子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太子 (太子)는 帝國과 獨立 王國의 帝位繼承 이나 王位 繼承 의 第1順位에 있는 皇子 王子 를 가리키는 稱號이다. 敬稱은 殿下 (殿下)이다.

歷史

編輯

西洋에서는 皇太子 또는 王太子와 王世子 의 敬稱을 區分하지 않는다.

또한 皇太子 또는 王太子의 夫人은 皇太子妃 (皇太子妃), 王太子妃 (王太子妃)라고 한다. 名稱의 由來는 中國에 있는데, 中國에서는 次期 王位 繼承者 太子 , 王太子 라고 불렀다. 그런데 이것이 眞意 統一 以後 君主의 稱號가 皇帝가 되면서 次期 祭位 繼承者의 稱號도 自然스럽게 皇太子로 바뀌었다. 元來, 皇后 小生의 嫡長子를 太子로 冊封하는 것이 慣例였으나 이를 제대로 지킨 境遇는 많지 않으며, 漢나라 以後에는 諸侯王의 後繼者를 太子가 아닌 世子로 낮춰 불렀기에 諸侯王의 後繼者를 '王世子'라고 불렀다. 그리고 一般的으로 太子가 世子보다 높은 意味를 갖기에 王國이라도 獨立 王國이나 황제국에 버금가는 王國은 王世子 代身 王太子를 使用했다. 그러므로 現在 英國의 王位繼承者는 王世子가 아닌 '王太子'로 飜譯하고 부르는 것이 맞다. 그러나 韓國의 朝鮮王朝 같은 境遇는, '王太子'를 使用한 高麗 初, 中期랑은 다르게 中國의 諸侯國이었기에 '王世子'라고 낮춰 불렀다.

韓國 의 境遇 衛滿朝鮮부터 高麗 中期까지 太子라는 稱號를 使用하였다. 또한 高麗 初期에는 祭位 繼承權과는 距離가 먼 一般 王子에게도 太子의 稱號가 주어지는 境遇가 種種 있었고 (예: 원장태자 , 효은태자 , 曉星太子 , 원녕太子 等), 甚至於 王子의 아들에게도 太子의 稱號가 주어지는 事例가 있었다(예: 원녕太子 의 아들 孝當太子 等). 高麗 時代 元나라 干涉期 때부터 太子 代身 王世子라는 稱號를 使用하였다. 1894年 (高宗 31年)부터 다시 王太子라는 稱號를 復權시켰다. [1] . 처음에는 大조선국 대군주 陛下와 王太子 傳하였다가, 後에 大韓帝國이 成立되면서 皇帝 陛下와 皇太子 電荷로 바뀐다. 韓國史 에서 마지막으로 正式 冊封을 받은 皇太子는 順從의 異腹同生 醫민태자 이은 이다.

皇太弟, 皇太孫, 黃太女

編輯

여러 가지 事情으로 인해 皇帝의 동생을 皇位 繼承者로 삼는 境遇도 있는데, 이때는 皇太弟 (皇太弟)라고 부른다. 또한 皇帝의 孫子 또는 孫女가 皇位 繼承者가 된 사람은 皇太孫 (皇太孫)이라 부른다. 古代 漢字文化圈 皇室에서 皇帝의 딸이 帝位를 繼承할 수 있는 權利를 가지면서 祭位 繼承 序列 1位의 女性들이 黃太女(皇太女)라는 稱號를 쓰는데, 이는 中國의 安樂公州 , 日本의 고켄 天皇 , 베트남 리 王朝의 리 소黃 에게 使用되었다.

現在 皇太子

編輯
國家 作爲 名稱 作爲 所有者 出生年度 備考
  日本 黃沙(皇嗣) 아키侍奴노미야 後尾히吐 親王 1965年 皇室典範 에는 皇太弟라는 呼稱을 使用할 수 없기 때문에 黃沙(皇嗣)라는 呼稱을 使用한다.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