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태산군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태산군 (泰山郡)은 中國 의 옛 이다.

傳한

編輯

元來는 前漢의 諸侯國 齊나라의 領土로, 제 度혜왕 에게 齊나라를 封할 當時에는 第南軍 第北軍 의 一部였다. 漢書 地理誌 註釋에서는 告祭가 設置했다 하나 王國維는 《詐欺》 〈봉선서〉에서 제북王(當時의 제북王은 式王 유호 )이 天子에게 봉선을 위해 自己 領內( 第北國 )의 泰山 과 그 周邊을 바쳤다는 句節 [1] 을 들어 이때에 비로소 設置됐다고 했다. 주진학度 같은 根據로 怨讐 元年(紀元前 122年)에 봉선 을 위해 제북왕에게서 받은 泰山 周邊 땅과 第南軍 의 南部를 合쳐 태산군을 新設했다고 했다. [2] 以後 紀元前 87年에 제북王 有關 이 亂行 때문에 自決을 命받고 제북나라가 廢해지면서 남은 제북나라의 屬縣을 吸收했다. [3]

演奏者師父 에 屬했다. 遠視 2年(2年)의 人口調査에 따르면 17萬 2816號, 72萬 6604名이 있었다. 아래의 續絃 目錄은 漢書 地理誌를 따른 것으로 元年 · 綏化 지간(紀元前 8年)의 現況으로 여겨진다. 치소는 봉고縣으로 漢書 〈地理誌〉의 一般的 敍述 傾向과 《강수주》로 立證된다. 오늘날의 타이안 時 中部·東部 一帶를 中心으로 하며 지난시 西南, 라이우 時 , 쯔보 時 이위안 縣 近處, 린이 時 멍人 現 近處 一帶도 包含한다.

賢明 漢字 大略的 位置 備考
봉고縣 奉高縣 타이안視 다이웨구 범진(范鎭) 無題 圓峯 2年(紀元前 109年)에 造成한 名當(明堂)이 있다. 公館(工官)이 있다.
박현 博縣 타이안視 타이산區 具現村(舊縣村) 一帶 泰山墓(泰山廟)가 있고, 西北에 대산 (岱山)이 있다.
치현 ?縣 지난시 窓칭구 南洞 장하진(張夏鎭) 應召 에 따르면 治産(?山)李 東北에 있다.
露見 盧縣 지난시 窓칭구 南西 광리村(廣里村) 一帶 徒尉가 다스린다. 제북王의 都邑이었다.
非聖賢 肥成縣 타이안視 페이淸市 應召에 따르면 非 自作國이었다.
이구현 ? [4] 丘縣 타이안視 다이웨구 고현店村(古縣店村) 首鄕(隧鄕)이 있는데 옛 數(隧)나라다.
姜鋧 剛縣 타이안視 닝양현 강성진(?城鎭) 옛 千(闡)이다.
時侯國 柴侯國 타이안視 신타이視 時成村(柴城村) 一帶
갑현 蓋縣 쯔보시 蛜蝛안현 個야촌(盖冶村) 임惡山(臨樂山)에서 收受(洙水)가 發源해 指數(池水 - 死守泗水의 誤記로 보임)로 흘러들어간다.

또 期數(沂水)가 南쪽에서 하비에 이르러 射手로 들어가는데, 네 군(태산· 낭야 · 成樣 · 東海 )을 지나 6百 里를 다니며 淸州를 적신다.

양보현 梁父縣 타이안視 신타이視 棟梁腸(東良庄)
동평양縣 東平陽縣 신타이視
男巫養賢 南武陽縣 린이視 핑이縣 管石山(冠石山)이 있어 治水(治水)가 흘러나와 南으로 하비에 이르러 射手로 들어가는데, 두 軍을 지나 940里를 다닌다.
內務縣 萊蕪縣 쯔보시 쯔촨구 南 惡名村(岳明村) 一帶 元山(原山)에서 治水(?水)가 나와서 東으로 박창(博昌)에 이르러 祭需(?水)로 들어가 柳州를 적신다.
거평縣 鉅平縣 타이안視 닝양현 大門丘疹(大汶口鎭) 北 정정산社(亭亭山祠)가 있다.
영현 ?縣 라이우시 성자현村(城子縣村) 鐵棺이 있다.
慕賢 牟縣 라이우시 강청구 신장진(新庄鎭) 一帶 옛 附庸國이다.
몽음현 蒙陰縣 린이視 멍仁賢 大成者村(大城子村) 《우공》(禹貢)의 몽산(蒙山)李 西南쪽에 있고, 祠堂이 있다.

專有國(?臾國)李 몽산 아래에 있다.

化現 華縣 린이視 페이縣 고성리村(古城里村)
營養侯國 寧陽侯國 타이안視 닝양현
勝具現 [5] 丘縣 지닝視 옌저우구
扶養侯國 富陽侯國 타이안視 둥핑현
倒産後國 桃山侯國 타이안視 닝양현 北東
塗香侯國 桃鄕侯國 지닝視 원상현
食後國 式侯國 ?

[6]

다음 玄의 이름을 고쳤다.

傳한
江(剛) 有(柔)
남無恙(南武陽) 紈扇(桓宣)
몽音(蒙陰) 蒙恩(蒙恩)
禍(華) 익음(翼陰)
營養(寧陽) 영순(寧順)
倒産(桃山) 砲로(?魯)
塗香(桃鄕) 章程(?亭)

後漢

編輯

140年 ( 後漢 順帝 映畫 5年)當時 태산군은 12星 8,929號 437,317名을 거느렸다. [7]

賢明 漢字 大略的 位置 備考
봉고縣 奉高縣 타이안視 다이웨구 범진(范鎭) 現 境內에 名當(明堂)이 있었다.
박현 博縣 타이안視 타이산區 具現村(舊縣村) 一帶 現 境內에 泰山墓(泰山廟), 구산(?山), 龍向性(龍鄕城), 現 西北쪽에 대산(岱山)이 있었다.
讓步後國 梁甫候國 타이안視 신타이視 棟梁腸(東良庄) 前漢의 양부현(梁父縣)이다. 現 境內에 度口臭(??聚)가 있었다.
거평侯國 鉅平候國 타이안視 닝양현 大門丘疹(大汶口鎭) 北 現 境內에 정선산(亭禪山), 量管井(陽關亭)이 있었다.
영현 ?縣 라이우시 성자현村(城子縣村) 鐵鑛石이 生産되었다.
山치侯國 山?候國 지난시 窓칭구 南洞 장하진(張夏鎭) 前漢의 치현(?縣)이다.
內務縣 萊蕪縣 쯔보시 쯔촨구 南 惡名村(岳明村) 一帶 現 境內에 元山(原山)이 있는데, 半修(潘水)가 여기서 나온다.
갑현 蓋縣 쯔보시 蛜蝛안현 個야촌(盖冶村) 期數(沂水)가 흘러나온다.
男巫양후國 南武陽候國 린이視 핑이縣 現 境內에 전유성(?臾城)이 있었다.
남성현 南城縣 린이視 핑이縣 東古현촌(東故縣村) 一帶 本來 東海群 의 屬縣이었다. 現 境內에 東洋姓(東陽城)이 있었다.

西進

編輯

서진대 태산군은 11絃 9,300號를 거느렸다. 靈駕의 난 以後 後趙 석륵 이 占領했다. [8]

賢明 漢字 大略的 位置 備考
봉고縣 奉高縣 타이안視 다이웨구 범진(范鎭) 縣 西南쪽에 名當(明堂)이 있었다.
박현 博縣 타이안視 타이산區 具現村(舊縣村) 一帶 現 境內에 歸山(龜山)이 있었다.
영현 ?縣 라이우시 성자현村(城子縣村) 鐵鑛石이 生産되었다.
남성현 南城縣 린이視 핑이縣 東古현촌(東故縣村) 一帶
讓步後國 梁父候國 타이안視 신타이視 棟梁腸(東良庄)
山치현 山?縣 지난시 窓칭구 南洞 장하진(張夏鎭) 治産(?山)李 現 東北쪽에 있었다.
신태현 新泰縣 신타이視 本來 평양현(平陽縣)이었다.
男巫養賢 南武陽縣 린이視 핑이縣 現 境內에 전유성(?臾城)이 있었다.
內務縣 萊蕪縣 쯔보시 쯔촨구 南 惡名村(岳明村) 一帶 現 境內에 元山(原山)이 있었다.
慕賢 牟縣 라이우시 강청구 신장진(新庄鎭) 一帶 옛 某나라(牟國)이다.
거평縣 鉅平縣 타이안視 닝양현 大門丘疹(大汶口鎭) 一帶 現 境內에 羊管井(陽關亭)이 있었다.

유유 後燕 을 攻擊하여 回收 以北地方의 醴酒, 連奏, 序奏를 收復하며 秦나라는 태산군을 收復했다. 以後 태산군은 演奏의 속軍으로 編制되었다. 命題 時期 回收 以北地方이 北緯 로 넘어가면서 宋나라는 태산군을 喪失했다. 그 以前까지 태산군은 8絃 8,177號 45,581名을 거느렸다. [9]

賢明 漢字 大略的 位置 民政 備考
봉고縣 奉高縣 타이안視 다이웨구 범진(范鎭) 令(令)
거평縣 鉅平縣 타이안視 닝양현 大門丘疹(大汶口鎭) 一帶
영현 ?縣 라이우시 성자현村(城子縣村)
慕賢 牟縣 라이우시 강청구 신장진(新庄鎭) 一帶
남성현 南城縣 린이視 핑이縣 東古현촌(東故縣村) 一帶
무養賢 武陽縣 린이視 핑이縣
양보현 梁父縣 타이안視 신타이視 棟梁腸(東良庄)
박현 博縣 타이안視 타이산區 具現村(舊縣村) 一帶

北緯

編輯

469年 ( 北緯 헌問題 黃興 3年) 남성현, 신태현, 무養賢의 3個 縣이 桐태산군 으로 分離되었다. 태산군은 桐泰山軍과 함께 連奏 의 속軍으로 編制되었다가 529年 ( 北緯 驍將第 영안 2年) 凍太山君이 北西週 로 分離되자 태산군만이 演奏의 속軍으로 編制되었다. 以後 태산군은 6絃 26,800號 91,873名을 거느렸다. 隋나라 郡縣制 가 廢止되고 주현제 가 實施됨에 따라 演奏에 統廢合되면서 사라졌다. [10] [11] [12]

賢明 漢字 大略的 位置 備考
거평縣 鉅平縣 타이안視 닝양현 者要津(磁窯鎭) 469年 ( 北緯 헌問題 黃興 3年) 치소가 者要津 一帶에 있던 거평性에서 坪落成(平樂城)으로 옮겨졌다. 現 境內에 訂正山寺(亭亭山祠), 곽성(?城), 양관성(陽關城), 거평性(鉅平城), 蹴球(祝丘), 方城(防城), 용산사(龍山祠)가 있었다. 556年 ( 北齊 문선제 千步 7年) 廢止되었다.
봉고縣 奉高縣 타이안視 다이웨구 범진(范鎭) 現 境內에 讓步山(梁父山), 大樂司(岱岳祠), 王釜山(玉符山), 高明堂기(故明堂基)가 있었다. 586年 ( 수 問題 개황 6年) 대산현(岱山縣)으로 改名되었다.
박평현 博平縣 타이안視 타이산區 具現村(舊縣村) 一帶 本來 박현(博縣)이었는데 469年 只今의 이름으로 改名되었다. 現 境內에 박평성(博平城), 方城(防城), 용산사(龍山祠), 野獸山(野首山), 某山寺(牟山祠), 伍子胥 의 祠堂(伍子胥廟)이 있었다.
영현 ?縣 라이우시 묘산眞(苗山鎭) 一帶 469年 치소가 只今의 位置로 옮겨졌다. 現 境內에 馬耳山社(馬耳山祠)가 있는데 文殊(汶水)가 그 一帶에서 나온다. 또한 當付(唐阜), 靈性(?城), 童穉山(銅治山)이 있었다.
慕賢 牟縣 라이우시 강청구 신장진(新庄鎭) 一帶 現 境內에 內務省(萊蕪城), 平柱性(平州城), 母性(牟城), 網石山(望石山)이 있었다. 556年 박평현에 統廢合되었다.
양보현 梁父縣 타이안視 신타이視 千步채(天寶寨) 469年 치소가 옛 養父姓에서 只今의 位置로 옮겨졌다. 現 境內에 度口澤(??澤), 養父姓(梁父城), 歸山(龜山), 良俗非(羊續碑), 貞女山寺(貞女山祠), 雲母山(雲母山)이 있었다.

태수

編輯

傳한

編輯

後漢

編輯

曺偉

編輯
  • 諸葛서 (255年 當時)
  • 常時(常時,?? ~ 258年)

各州

編輯
  1. 司馬遷: 《詐欺》 卷28 봉선서?: 於是濟北王以?天子且封禪,乃上書獻太山及其旁邑,天子以他縣償之。
  2. 周振?. 《 西?政?地理 》 [서한정구지리]. 人民出版社.  
  3. 班固: 《漢書》 卷44 淮南型山祭北王專制14
  4. 蛇로도 쓸 수 있다.
  5. 寒暑의 원 表記는 ?으로 乘의 移替者다.
  6. 班固: 《漢書》 卷28 上 地理誌第8 上
  7. 《後漢書》 111卷 지 제21 군국지 3 連奏 태산군 [1]
  8. 《陳書》 14卷 지 第4 地理誌 上 連奏 태산군 [2]
  9. 《宋書》 35卷 지 제25 主君地 1 連奏 泰山태수 [3]
  10. 《魏書》 106卷 中 志 第2 中 紙型紙 中 連奏 태산군 [4]
  11. 《魏書》 106卷 中 志 第2 中 紙型紙 中 北西週 桐태산군 [5]
  12. 《水西》 31卷 지 제26 地理誌 下 西周 櫓軍 [6]
  13. 班固: 《漢書》 卷78 量濠洲매運轉
  14. 班固: 《漢書》 卷77 갑제갈유정손무장하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