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쿠도아 티르視테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쿠도아 티르視테스

寄生性 粘液胞子蟲

쿠도아 티르視테스 ( 學名 :? Kudoa thyrsites )는 海水魚 에 寄生하는 寄生性 粘液胞子蟲 이다. 全世界的으로 分布하고 있으며 넓은 範圍의 宿主에 寄生한다. 感染語의 死後 筋肉 組織 融解 시켜 商品價値를 떨어뜨리고 漁業 이나 養殖業 에 있어서 經濟的으로 큰 被害를 惹起한다. 人間에게 感染되지 않는다.

쿠도아 티르視테스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刺胞動物文
(未分類): 粘液胞子蟲類
江: 粘液胞子蟲綱
목: 多角木
과: 쿠도亞科
속: 쿠도亞屬
種: 쿠도아 티르視테스
學名
Kudoa thyrsites
Gilchrist, 1924

特徵

編輯

쿠도아 티르視테스의 胞子 는 4個의 極囊을 가지고 있는 放射狀 模樣을 띈다. 放禪胞子 段階에서 感染되면 胞子 原形質 이 感染語의 筋肉 組織의 纖維狀 細胞로 浸透하여 有事時스트를 形成한다. 形成된 有事時스트는 胞子 段階로 發達한다.

쿠도亞屬의 18S rDNA 鹽基序列을 다른 粘液胞子蟲類에 屬한 종들과 比較 分析했을 때 쿠도亞屬의 종들은 믹시디움( Myxidium sp.), 믹小볼루스( Myxobolus sp.), 헤네구야 츠쇼케이 等의 다른 粘液胞子蟲類들과 確然한 差異를 보인다. [1] 쿠도아 시르視테스는 廣範圍한 宿主 特異性을 가지고 있어 많은 魚種에 感染될 수 있다.

쿠도아 티르視테스에 感染된 大西洋고등어에 對한 硏究에서는 쿠도아 티르視테스가 宿主의 筋肉 組織에 不均一하게 分布되어 있으며 腹部 附近이 가장 感染이 甚한 것으로 밝혀졌다. [2]

生活史

編輯

쿠도아 티르視테스의 生活史에 對해서는 硏究된 바가 거의 없다. 一般的으로 粘液胞子蟲類는 하나 以上의 宿主를 가지며 複雜한 生活史를 이루고 있으며 宿主들로는 魚類나 빈모류 , 다모류 , 苔形動物 이 있다. 海水에 사는 無脊椎動物이 中間宿主 로써 쿠도아 티르視테스의 生活史에 間接的으로 關與한다는 假說이 提起된 바 있다. 한 硏究에서는 魚類에 쿠도아 티르視테스를 먹이로 줬을 때 直接的인 感染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確認했다. [3]

病理

編輯

쿠도亞屬의 종들은 主로 海水魚類의 筋肉 組織에 寄生하여 수많은 胞子를 가진 決折 또는 有事時스트를 形成한다. 輕微한 感染에서는 魚類의 免疫 體系에 依해 이러한 有事時스트들이 筋纖維에서 分離된다. 重症 感染에서는 感染語의 筋纖維를 둘러싸고 深刻한 炎症 反應을 일으킨다. [4] 重症 感染을 除外하면 感染御駕 살아있을 때 症狀이 나타나지 않으나 모든 程度의 感染에서 感染語의 死後에 筋肉 組織의 融解(近液化( 英語 : myoliquefaction ))를 일으킨다. 筋液化는 쿠도아 티르視테스의 感染 程度에 따라 程度에 差異가 있다는 相關 關係가 觀察된 바 있다. [2] [5] 筋液化는 쿠도蚜蟲에서 分泌되는 蛋白質分解酵素 때문일 可能性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商業的 側面에서 筋液化는 直接的으로 商品의 價値를 下落시키거나 間接的으로 消費者들로 하여금 特定 地域의 水産物이 品質이 낮다는 認識을 가지게 하는 等 海上 가두리를 利用한 水産養殖이나 漁業에서 經濟的 損失을 惹起한다.

豫防 및 治療

編輯

쿠도아 티르視테스의 알려진 豫防 및 治療 對策은 없다. 水産養殖에서 魚類를 收穫한 뒤 急速으로 冷凍 및 加工을 하는 方法으로 近液化를 對處하는 方案이 提示된 바 있다. [7]

各州

編輯
  1. Hervio, D.M.L., Kent, M.L., Khattra, J., Sakanari, J., Yokoyama, H., Devlin, R.H. (1997). “Taxonomy of Kudoa species (Myxosporea), using a small-subunit ribosomal DNA”. 《Canadian Journal of Zoology》 75 (12): 2112?2119. doi : 10.1139/z97-846 .  
  2. Giulietti, Lucilla; Nedberg, Heidi Johansen; Karlsbakk, Egil; Marathe, Nachiket P.; Storesund, Julia E.; Mæhle, Stig; Fiksdal, Ingrid Uglenes; Ghebretnsae, Dawit Berhe; Levsen, Arne (2022年 8月). “Distribution of Kudoa thyrsites (Cnidaria, Myxozoa) myoliquefactive stages in Northeast Atlantic mackerel (Scomber scombrus) inferred from qPCR and histology” . 《Parasitology Research》 (英語) 121 (8): 2325?2336. doi : 10.1007/s00436-022-07575-8 . ISSN  0932-0113 . PMC  9279243 . PMID  35716177 .  
  3. Moran, J.D.W., Whitaker, D.J., Kent, M.L. (1999). “Natural and laboratory transmission of the marine myxosporean parasite Kudoa thyrsites (Gilchrist, 1924) to Atlantic salmon ( Salmo salar )”. 《Journal of Aquatic Animal Health》 11 (2): 110?115. doi : 10.1577/1548-8667(1999)011<0110:NALTOT>2.0.CO;2 . ISSN  1548-8667 .  
  4. Kent, M.L.; T.T. Poppe (1988). “Diseases of netpen-reared salmonid fishes”. 《Pacific Biological Station, Nanaimo, BC.》: 293pp.  
  5. St-Hilaire, S; Hill, M; Kent, Ml; Whitaker, Dj; Ribble, C (1997). “A comparative study of muscle texture and intensity of Kudoa thyrsites infection in farm-reared Atlantic salmon Salmo salar on the Pacific coast of Canada” . 《Diseases of Aquatic Organisms》 (英語) 31 : 221?225. doi : 10.3354/dao031221 . ISSN  0177-5103 .  
  6. Tsuyuki, H., Williscroft, S.N., Kabata, Z., Whitaker, D.J. (1982). “The relationship between acid and neutral protease activities and the incidence of soft cooked texture in the muscle tissue of Pacific hake ( Merluccius productus ) infected with Kudoa paniformis and/or K. thyrsitis , held for varying times under different prefreeze chilled storage conditions”. 《Canadian Technical Report on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1130 : 39 pp.  
  7. Bruno, David E.; Ellis, Anthony E. (1996年 1月 1日). Pennell, William; Barton, Bruce A., 編輯. 《Chapter 13 - Salmonid Disease Management》 . Principles of Salmonid Culture (英語) 29 . Elsevier. 759?832쪽. doi : 10.1016/s0167-9309(96)8001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