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忠州 劉氏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忠州 劉氏 (忠州 劉氏)는 忠淸北道 忠州市 를 本館으로 하는 韓國의 姓氏 이다. 時調 유긍달 (劉兢達)은 新羅 末期 忠州 의 豪族으로 딸이 高麗 太祖 의 셋째 婦人인 신명순성왕태후 (神明順成王太后)가 되자 太史內史令(太師內史令)에 追贈되었다.

忠州 劉氏
忠州 劉氏
나라 韓國
貫鄕 忠淸北道 忠州市
時調 유긍달 (劉兢達)
集姓村 忠淸北道 忠州市
主要 人物 申命淳性王后 , 유권열, 유신성, 有進 , 유징필, 劉邦의 , 幼蟲期, 기화 , 劉震龍 , 신명순성왕태후 , 헌의왕후 , 문덕왕후 , 선정왕후
人口(2015年) 2,544名

歷史

編輯

忠州 劉氏(忠州 劉氏) 時調 유긍달 (劉兢達)은 新羅 末 忠州 地方의 有力한 豪族이었다. 900年(孝恭王 4) 弓裔 (弓裔)의 部長으로서 只今의 忠州, 淸州, 槐山 等地를 攻擊하여 請길(淸吉), 新훤(莘萱)의 勢力을 平定할 때 王建 과 因緣을 맺었다. 高麗 建國 後에 딸이 王建의 셋째 夫人 신명순성왕태후 (神明順成王太后)가 되어 太子 王太(王泰), 後날의 正宗(定宗)과 光宗(光宗), 문원대왕(文元大王) 王政(王貞), 憎痛局社(證通國師) 等의 다섯 王子와 樂浪(樂浪)과 興邦(興芳) 두 公主를 낳음으로써 유긍달의 家門은 强力한 外戚으로 떠올랐으며 警鐘 [975~981] 臺까지 王室과 緊密한 關係를 維持하였다. 유긍달 은 事後 太史內史令(太師內史令)에 追贈되었다. [1]

人物

編輯
  • 유권열(劉權說)?: 高麗 太祖의 第3王後 신명순성왕태후 의 親가인 忠州 柳氏 집안 出身으로 太祖 卽位 初 廣評侍郞(廣評侍郞)李 되었다
  • 유신성(劉新城)?: 994年(成宗 13) 光宗의 卯正(廟廷)에 配享되었다. 1033年(德宗 2) 太傅(太傅)에 追贈되었고, 諡號는 狂位(匡衛)이다. 忠州 정토사지 法經大士塔碑의 陰氣(陰記)에 ‘신성아贊(新城阿?)’이라고 記錄되어 있는데, ‘阿飡’은 新羅의 職銜이다. 高麗 光宗의 外家인 忠州柳氏 家門 出身의 人物로서, 光宗의 信任을 얻어 朝廷의 重責을 맡아 活躍하고 最高委 棺위에 올랐던 名臣(名臣)이다.
  • 有進 (劉瑨, ? ∼ 1019年)?: 本貫은 忠州(忠州)이며, 忠州 出身이다. 戚族(戚族)家門에서 태어나 光宗 때 벼슬길에 나와 내承旨(內承旨)가 되었다. 穆宗 때 吏部尙書 參知政事(吏部尙書參知政事)가 되고, 顯宗이 卽位한 뒤 尙書左僕射(尙書左僕射)에 올랐으며, 1011年(玄宗 2)에는 內史侍郞平章事(內史侍?平章事), 이듬해에는 門下侍郞을 지냈다. 1014年 檢校太史 數門下侍中(檢校太師守門下侍中)에 이르렀다. 1018年에 百姓들에게 傳染病이 流行하고 節候가 어긋나는 것은 刑政(刑政)의 時機가 맞지 않기 때문이라고 임금에게 아뢰어 자못 宰相의 輿望이 있다는 評을 들었다. 여러 王에 걸쳐 恒常 謹直(近職)에 있으면서 王을 輔弼하고, 外職에 補任된 적은 없었다. 內史令(內史令)에 追贈되었다. [2]
  • 유징필(劉徵弼, ? ∼ 1042年)?: 高麗 前期의 宰相. 本貫은 忠州(忠州)이다. 1013年(玄宗 4) 禮部豺狼(禮部侍?)으로서 거란에 使臣으로 다녀왔으며, 뒤에 國子祭酒(國子祭酒)가 되어 1020年의 覆試(覆試)를 主管하였다. 1022年 翰林學士 祕書監에 祭需되고, 다음해에 또다시 거란에 蛇行(使行)하였다. 1024年에 禮部尙書(禮部尙書)가 되었으며, 같은 해에 知貢擧(知貢擧)로서 이자연(李子淵)을 壯元으로 뽑았다. 1030年 太子賓客(太子賓客)에 補任되었으며, 1032年(德宗 1) 尙書左僕射(尙書左僕射), 그리고 尙書右僕射를 거쳐 1036年(正宗 2)에는 參知政事 兼 書經有數社(參知政事兼西京留守使)가 되어 宰相의 班列에 올랐다. 다음해에 內史侍郞 桐내사문하평장사(內史侍?同內史門下平章事)·書經有數社로 昇進하였다. 1040年 文翰(文翰)으로서 顯宗·德宗·正宗 3臺를 補佐한 功勞가 認定되어 아들 作(綽)에게 工夫書令史(工部書令史)를 除授하는 跫音(功蔭)李 베풀어졌다.
  • 劉邦의 (劉邦儀, 1092年 ∼ 1149年)?: 高麗 中期의 文臣. 本貫은 忠州, 字는 안석(安石)이다. 아버지는 太子太師 行闔門至厚(太子太師行閤門祗候) 管(冠)이며, 어머니는 通事舍人否認(通事舍人夫人) 吳氏(吳氏)이다. 어려서부터 學問을 좋아하였으며, 進士에 及第한 뒤에 考功郎中(考功?中) 이중연(李仲衍)의 딸과 結婚하였다. 1148年(毅宗 2) 삼화현令(三和縣令)에 任命되었으며 재관(在官)中 病死하였다.
  • 幼蟲期(劉沖墓)?: 1190年(明宗 20)에 文科에 及第하여 左諫議大夫(左諫議大夫)를 거쳐 國子監 大司成(國字監大司成)을 지냈다.
  • 劉震龍 (劉震龍)?: 韓國의 政治人. 文化體育觀光部 長官(文化體育觀光部 長官)을 지냈다.

高麗 王室과의 姻戚 關係

編輯

科擧 及第者

編輯

忠州 柳氏는 朝鮮 時代 文科 及第者 3名, 武科 及第者 20名을 輩出하였다. [3]

高麗 文科

劉邦의 (劉邦儀) 幼蟲期(劉?基) 遊戱(劉羲)

文科

유기룡(劉起龍) 유사평(劉師?) 遊戱(劉?)

武科

유계종(劉繼宗) 유귀창(劉貴昌) 遺棄립(劉起立) 유기태(劉基泰) 유명언(劉命彦) 有無性(劉武成) 幽門(劉文) 유상량(劉相良) 유상헌(劉相憲) 유억구(劉億九) 유용수(劉龍水) 유의남(劉義男) 유의인(劉儀仁) 유종례(劉宗禮) 유중립(劉中立) 有처진(劉處珍) 유택진(劉澤珍) 유필한(劉弼漢) 유현복(劉顯複) 유홍택(劉弘澤)

生員試

類似공(劉師珙) 유상현(劉尙鉉) 幽玄(劉俔)

進士試

유곤(劉琨) 유응관(劉應寬) 遺骸징(劉海徵)

人口

編輯
  • 1985年 274家口, 1,125名
  • 2000年 497家口, 1,597名
  • 2015年 2,544名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