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차치구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차치구 (車致九, 1851年 ~ 1894年 12月 29日 ( 陰曆 3月 30日 ))는 朝鮮 末期의 東學 指導者였다. 1894年 東學 農民 運動 當時 전봉준 과 함께 輔國安民(輔國安民)의 名分을 내걸고 農民軍을 이끌었다. 全羅北道 정읍시 입암면 대흥리에서 出生하였으며, 本貫은 沿岸(延安), 本名은 중필(重弼), 者(字)는 치구(致九)이다. 興德(只今의 高敞)의 東學 接主였던 차치구는 氣骨이 7隻 巨軀 [1] 로, 1隻은 30cm이니까 키가 約 180cm程度로 컸다. 그는 가난한 農夫의 아들로 태어나 平素에 不義를 보면 참지 못했다. 農民들이 苛酷한 고리대로 힘들어하면 이를 整理해 주고, 抑鬱한 訟事를 풀어 주거나 地方 官吏가 强制로 빼앗은 葬地(葬地)를 되돌려 주는 일도 마다하지 않았다. [2] 대흥리에 살 때 千石꾼 富者인 林 監役 [3] 이 一部 兩班들에게 小作을 주었으나 小作料를 내지 않자, 차치구에게 그들에게서 못 받은 小作料를 받아서 모두 쓰라고 했다. 이에 차치구는 그들을 모아 놓고 호통을 쳐서 小作料를 받아 다른 小作人들에게 술과 고기를 待接하고, 나머지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렇게 住民들의 어려운 일을 도맡아 解決해 주면서 信望을 얻었던 차치구는 全琫準의 끈질긴 勸誘로 全琫準과 함께 고부 官衙 襲擊을 事前 謀議했던 20人坊 中의 한 名 [4] 이 되었고, 1894年 綠豆將軍 全琫準이 井邑 고부에서 1車路 蜂起하자 함께했다. 이때 차치구는 當時 井邑에서 農民軍 1,200餘 名을 이끌고 東學軍의 頭領으로 參戰 [1] 하였다. 손여옥과 함께 井邑 頭領을 맡았으며, 東學軍에서 井邑 頭領은 ‘綠豆將軍 直轄部隊’였다. 全州和約(全州和約)으로 全羅道에 自治的 行政組織인 執綱所가 設置되자 고영숙이 高敞 흥덕에 執綱所를 設置하려 하였다. 그러나 縣監인 윤석진이 頑强하게 이를 拒否하면서 고영숙을 잡아 가두었다. 井邑에서 이 消息을 들은 차치구는 興德으로 쳐들어가 윤석진을 生捕하고 고영숙을 석방시킨 後 윤석진을 處刑하려 했다. 그러나 고영숙이 말리는 바람에 살려 주었다. [5] 以後 東學農民軍은 2次 蜂起 때는 함께 頭領을 맡아 出戰했던 손여옥과 井邑에서 農民軍 5,000名을 이끌고 參戰했으며, 公主와 원평, 태인에서 全琫準과 官軍과 日本軍에 맞서 싸웠다. 全琫準과 農民軍은 1894年에 明成皇后 弑害에 積極 加擔했던 親日派 이두황 이 이끄는 官軍과 日本軍에 밀려 公州 우금치 戰鬪에서 敗하고, 그 後 다시 態인 戰鬪에서 크게 敗하자 主力 部隊가 解散했다. 차치구는 全琫準이 態인 戰鬪를 끝으로 部下 10餘 名을 데리고 將星의 입암산성과 白羊寺를 거쳐 淳昌 피노리에서 숨어 지낼 때 아들 차경석과 함께했다. 차치구는 全琫準을 그의 집으로 모신 뒤 그의 곁을 지켰다. 全琫準은 다시 全力을 가다듬고 再起하기 위해 淳昌으로 向하여 김개남 과 만나기로 했으나 金開男이 잡히고, 다음 날 自身도 붙잡혔다. 차치구는 井邑의 국사봉에서 避身해 있었는데, 親舊의 密告로 붙잡혀 自身이 살려준 윤석진에 붙잡혔으며 死刑 命令에 따라 분살型을 當했다. [6] [1] 차치구의 나이 44歲였다. 차치구의 아들 차경석 은 當時 15歲의 나이였는데, 분살당한 아버지의 屍身을 收拾해 井邑 대흥리로 모시고 와 葬事지냈다. [7] 그의 位牌는 황토현戰鬪에 함께 參戰했던 農民軍과 함께 舊民事에 모셔져 있다. 차경석은 後날 강증산 을 만나 道通을 이어 받아 普天敎 의 敎主가 되며, 上海臨時政府의 金九 에게 獨立運動 資金과 김좌진 將軍의 北路군정서에 많은 軍資金을 調達하였고 物産奬勵運動의 先驅라 할 수 있는 自給自足運動, 民族大學設立 等 民族의 敎育에도 힘썼다. 後날 金九는 普天敎에 큰 빚을 졌다고 말했으며, 金佐鎭 將軍은 靑山里戰鬪로 日帝의 監視가 甚해 軍資金을 募集하기 힘들었으나, 普天敎의 資金으로 軍隊를 再整備할 수 있었다. [8] 日帝는 法令上 佛敎, 基督敎, 信徒 以外의 宗敎를 모두 類似宗敎라는 굴레를 씌워 普天敎를 彈壓했다. [9] 普天敎가 우리나라의 獨立運動과 民族性 鼓吹, 반일성에 큰 寄與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普天敎의 獨立運動과 民族運動은 日帝의 離間질과 術策으로 歷史 속에 한낱 似而非宗敎로 置簿하도록 만들었으며, 이러한 視角은 21世紀인 只今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차치구
車致九
出生地 朝鮮 全羅道 井邑郡 입암면 대흥리
死亡地 朝鮮 高敞 에서 死刑(분살型) 執行됨.
配偶者 密陽(密陽) 朴氏(朴氏)
子女 膝下 4男
차경석
(倫洪아들), 윤경(倫京), 尹漆(倫七), 윤덕(倫德)

차일혁 차길진

宗敎 天道敎 ( 東學 )
服務 1893年 ~ 1895年
服務期間 朝鮮 東學軍
最終階級 井邑 頭領
天道敎
主要 人物
최제우  · 최시형  · 손병희  · 박인호
전봉준
經典
東經大全  · 龍潭遺詞
海月神社 法說
義菴成事 法說
敎理
侍天主  · 事人如天  · 人乃天  · 後天開闢
歷史
東學  · 東學 農民 革命
關聯 團體
天道敎 中央摠部
天道敎 淵源會
天道敎維持財團
天道敎청우당
文化遺産
天道敎 中央大敎堂  · 天道敎 任實敎堂

v  ?  d  ?  e  ?  h
舊民事 - 황토현戰鬪에 參與한 차치구와 손화중을 비롯해 여러 사람의 農民軍의 位牌가 모셔져 있다.

各州 編輯

  1. 김화성 《全羅道 千年》(김화성 저, 2018.2, 맥스敎育) 186~187쪽.
  2. 박종렬 《차천자의 꿈》(박종렬 저, 1996.2, 長文山) 24~25쪽.
  3. 監役은 벼슬 이름이다.이이화 《파랑새는 山을 넘고》(이이화 저, 2008.10, 김영사) 179쪽.
  4. 안원전 《증산도》(안원전 저, 1991, 隊員出版社) 274쪽.
  5. 김화성 《全羅道 千年》(김화성 저, 2018.2, 맥스敎育) 187쪽.
  6. 박종렬 《차천자의 꿈》(박종렬 저, 1996.2, 長文山) 25~27쪽.
  7. 박종렬 《차천자의 꿈》(박종렬 저, 1996.2, 長文山) 27쪽.
  8. 金哲秀 《一齊記錄으로 본 普天敎의 民族主義的 性格》(김철수 저, 2016.8, 東學農民革命 以後 近代 民族運動 學術大會 資料集) 145쪽.
  9. 金哲秀 《읽어버린 歷史 普天敎》(김철수 저, 2017,5, 相生出版) 81쪽.

關聯 書籍 編輯

  • 이이화, 《파랑새는 山을 넘고》 (김영사, 2008)
  • 金哲秀, 《잃어버린 歷史, 普天敎》 (相生出版, 2017)
  • 김재영, 《日帝强占期 普天敎(普天敎)의 民族運動》
  • 김화성, 《오매! 징허고 오지게 살았네 全羅道 千年》, 186-187쪽.
  • 박종렬, 《차천자의 꿈, 時局》 (長文山, 2001)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