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織物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織物

날실과 씨실이 直角을 이루면서 짜인 피륙

織物 (織物, 英語 : woven fabric )은 날실과 씨실을 織機에 걸어서 直角으로 交叉시켜 짠 物件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1] 피륙의 한 種類이며 옷감으로 使用되는 千, 原緞 等이 代表的인 織物이다. 그밖에도 室內裝飾用, 醫療用, 運送用, 産業資材龍 等 그 用途가 다양하다. [2] 실의 交叉 方法에 따라 平織 · 綾織 · 繻子織 等으로 分類된다. 織物의 짜임새는 옷감의 强度·觸感·耐皺性·保溫性·通氣性 等과 關聯이 있다. 原料에 따라 絹織物 , 毛織物 , 麻織物 , 織物 等으로 나뉜다.

날실 銀 세로 方向으로 놓이며, 씨실 은 가로 건너 짠다. 피륙을 짜는 일은 세로로 놓인 날실에 씨실을 가로로 건너 엮는 過程이다. 실로 짠, 옷이나 이부자리 따위의 감이 되는 物件은 이라고 부르고, 그 彫刻은 헝겊 理라 한다. 織物이나 천은 실이나 가닥으로 일컫는 自然的이거나 人工的인 纖維의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柔軟한 짜임새이다. 실은 기다란 가닥을 만들기 爲해 蔚(羊털) , 리넨 , 面 等을 꼬면서 만들어진다. 織物은 손으로짜機, 뜨개질하기, 코바늘꿰기, 매듭매기, 織物에 힘 加하기 等으로 이루어진다.

染織의 成立

編輯

染織을 그 製作技術과, 그것을 醫療(衣料)로 하거나 室內裝飾의 材料로서 使用한 點, 그리고 藝術的 觀點에서 본다면 染織의 歷史는 古代 中國·印度·페르시아를 통하여 유럽에 傳해진 所謂 실크로드의 交易時代人 2000年 前으로 거슬러 올라가지 않으면 안 된다. 中國·페르시아에서 發達한 紋織(紋織)·금직(錦織)은 비잔틴을 통하여 이탈리아에 퍼졌고, 이윽고 르네상스를 거쳐서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各國에 傳해졌으며 오늘날의 織物工業의 骨格을 이루고 있다. 더욱이 옷감을 짜는 데도 물들이는 데도 그 技術은 各 民族·各 地域이 저마다 固有한 技術을 스스로 發見하고 발달시키고 있으므로 반드시 技術의 發生을 一元的으로 限定할 수 없다. 織物은 씨줄과 날줄을 原則으로 하고 上下直角으로 交叉시켜 構成한 것으로서, 날줄을 가지런히 整列하여 세워논 幅과, 씨줄을 짜 넣어서 얻어진 길이를 갖는 平面的인 이른바 包紙(布地)라고 할 수 있다. 織物·메리야스·레이스·網紗(網絲) 펠트(felt) 等도 모두 纖維製品이다.

古代의 織物

編輯

가장 오랜 織物로서 스위스의 護喪(湖上) 生活人의 麻織物이 現存하고 있다. 新石器時代 것으로, 數千, 數萬年 前으로 推定되고 있다. 이집트의 미이라를 싸고 있는 麻織物은 紀元前 數千年 前으로 推定된다. 中國의 絹織物은 銀時代에 綾織(綾織)을 짰다고 하며 後에 금직度 짜냈으며 실크로드의 蕃盛으로 繼續되었다. 毛織物은 中央아시아에서 祈願하였고, 主要한 醫療(衣料)가 되어 왔다. 금직은 印度에서 紀元前 8世紀의 記錄을 가지고 있다.

콥트(copt)直

編輯

이집트는 일찍부터 麻織物을 만들고 있었는데, 麻浦(麻布)를 바탕으로 하여 이것에 模寫를 使用하여 撤職(綴織)으로 하였고, 1世紀∼9世紀에 걸쳐서 華麗한 織物을 만들었다. 이를 콥트직이라 부르고 있다. 콥트직에는 初期 그리스·로마式의 人物·花紋을 모티프로 한 黑白으로 表現된 것, 페르시아 사산조(朝)式의 섬세하고 多色的인 表現으로 된 것, 비잔틴식의 多色的이고 호화로운 것으로 나뉜다.

페르시아의 織物

編輯

페르시아로 대표되는 이슬람 帝國 의 織物은 精巧하기로 有名한데 금직의 硬直물·비로드(羽緞)·絨緞 等도 만들었다. 그 政治(精緻)韓 디자인은 後世까지 各地의 織物의 規範이 되었고, 더욱이 絨緞은 오늘날에도 世界 各國에서 最高品으로 評價받는다

이탈리아의 織物

編輯

이탈리아의 織物은 15世紀를 頂點으로 發達하고 무늬 비로드의 技術이 높은 水準을 보이고 있다. 이것이 프랑스로 進展된다.

프랑스의 織物

編輯

르네상스 以後 17世紀에는 高級織物의 中心이 프랑스로 옮겨져 루이14世 時代의 바로크兆, 루이16歲 時代의 로코코條를 비롯하여 앙피르樣式, 近代 디자인의 各 樣式을 次例로 선보임으로써 파리는 오늘날까지도 世界 디자인界의 中心地 役割을 하고 있다.

고블랭(gobelins)直

編輯

이집트의 콥트와 마찬가지로 撤職에 屬하는 것이다. 루이14世 時代를 最盛期로 하고 前後에 많은 태피스트리 (壁揮帳)를 남기고 있으며, 現在도 뤄르사(Leau Lurca) 같은 作家가 存在한다. 壁揮帳이나 椅子에 붙이는 천·쿠션 等은 高級織物의 王座를 차지하고 있다.

英國의 織物

編輯

18世紀 以後 毛織物이 發達하였고 이윽고 産業革命으로 紡績織布(紡績織布)의 大量 生産體制가 갖추어졌다. 더 나아가 파킨스의 人造染料, 살돈네의 人造絹絲가 나와 近代 織物工業時代로 접어들었다.

아메리카 大陸의 織物

編輯

페루, 멕시코 等에는 잉카, 摩耶의 古代文明 時期에 面·라마털을 使用한 織物이 있었다. 이집트의 콥트에 버금가는 撤職으로서 獨特한 무늬와 함께 높이 評價되고 있다.

中國의 織物

編輯

일찍부터 絹織物이 發達했으며, 州時代에는 이미 금직을 짤 程度로 技術發展이 이루어졌다. 觸江금직(蜀江錦織)은 三國時代의 蜀나라(四川省)에서 짜인 것으로서 금직의 代表格으로 실크로드를 통해 유럽에 輸出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黨·宋代를 거쳐 荀子(純子:緞子라고도 한다)가 醫療(衣料)로서 發達하여, 다른 織物技術과 함께 우리나라에 傳來되었다. 願時代에는 페르시아, 印度의 織物技術이 輸入되어 毛骨(mogol)直(金銀絲를 使用한 것)을 瀉出하고 사라사度 만들어졌다. 이어서 明示臺로 들어서면 천이 얇은 走者(朱子-潤澤이 많은 織物, 儒子라고도 한다)가 짜여지고 여기에 自首(刺繡)를 하는 것도 蕃盛하게 되었다. 自首와 아울러 撤職(綴織)이 있는데, 各社(刻絲)로 불리며 실이 가늘고 짜임새가 섬세하다.

印度의 織物

編輯

印度에는 옛날부터 金織物이 있었고 金銀紗(金銀絲)를 使用한 얇은 천의 織物을 毛骨職이라 하는데 毛骨王國의 이름에서 나온 말이다. 사라사는 印度를 中心으로 東南아시아 各地에서 産出된다. 염볍(染法)에는 各國이 저마다 다른 것이 있는데, 샴 사라사, 자바 사라사(蠟染) 等이 있다. 印度 사라사가 유럽 各地에서 大好評을 받은 것은 東印度會社에 關한 記錄에 잘 나타나 있다. 사라사는 印度 特有의 무늬 -페즈레(生命의 나무)-가 있는데, 오늘날에도 페즈레는 이따금 世界的으로 流行을 反復하는 染織의 織物무늬의 하나이다. 北部카시미아 地方에서 産出되는 카시미아 山羊 털을 使用한 카시미아직은 사라사와 銅臭(同趣)의 페즈레 무늬를 짜내고 있다.

染織 무늬의 形式

編輯

무늬는 본디 裝飾的인 것이었으나 그 發生에는 信仰으로 통하는 것, 特定 部族이나 階級 等을 表現하는 象徵的인 意味를 가진 것이었다. 前者는 길사(吉事)를 願하는 七福神(七福神), 松竹梅(松竹梅), 學區(鶴龜) 따위와 같은 것이고, 後者에는 임금의 直門(織紋)으로서 동죽(桐竹) 鳳凰 이 있으며 色彩에 依하여 階級의 權威를 表示하는 것도 짜여져서 有職門(有織紋), 金色(禁色)이라고 하는 制度도 案出되어 있었다. 스코틀랜드의 오센틱 他턴 따위가 그 例로 되어 있다. 이처럼 發生이나 過程에 特有한 意味가 있었던 것도 오늘날에는 오로지 美的인 對象으로 생각되는 것이 많다. 一般的으로 紋樣과 무늬를 區別하여 文樣 쪽은 喚問(環紋)·火門(花紋)·動物紋(動物紋)이라는 方式을 쓰고, 直門(織紋)이나 門所(紋所)로 만들기 위하여 어느 程度 幾何學的인 構成에 便宜化·單純化를 加하고 있다. 무늬 便은 全體的인 무늬, 옷단의 무늬라고 하듯이 化學的인 構成이나 表現을 內包하고 있어서, 裝飾을 한다는 意味를 갖게 하고 있다. 도안이란 말은 舊韓國 末期에 생긴 말인데, 이는 文樣·무늬를 붙이기 以前의 過程이라 생각된다. 目的·對象이 되는 議長(衣裝)이나 다른 工藝品에 對하여, 그림무늬의 選定·色彩·素材 等에 對하여 美的인 設計를 하는 意味로 使用되고 있다. 廣義로는 이것들을 一括하여 무늬라 하고 있으나 그 形象과 使用目的의 區別에 띠라서 저마다 나뉘어 쓰이고 있다. 오늘날의 議長(意匠:design)이라 부르고 있는 것은 美的인 그리고 實用的인 效果를 考慮하여 生産技術이나 使用 目的에 알맞은 製作設計를 한다는 뜻으로 使用되고 있다.

染織의 名作

編輯

콥트(copts)

編輯

簡單한 터치와 色調로 裸像(裸像)을 짜내고 있다. 이와 같이 이야기가 담긴 人物을 자유롭게 表現할 수 있게 된 것은 果然 헬레니즘의 影響을 받은 그리스 로마時代의 콥트직이 가지는 特徵이고 훌륭한 點이다. 이 作品은 25×20cm 程度로 當時 튜니크(東方衣服으로 그리스·로마에 影響을 준 筒袖로 키가 큰 寬衣)의 어깨와 가슴 部分에 달았던 장식열(裝飾裂)이다. 그리스 로마時代의 콥트직(織)은 單色이 많고 聾者一色(濃紫一色)이라고 하여도 좋을 만큼 極히 적은 部分에 빨강이나 黃茶(黃茶)를 점찍고 있다. 이 聾者가 養母를 有名한 敗者(貝紫-조가비에서 取한 貴重한 紫染料로서 古代人이 자주빛을 黃色으로 여긴 緣由가 있는 것)로 물들인 것이라고 한다. 무늬를 構成하는 씨줄은 餘의 짜임새에 比較하여 가늘지 않으므로 눈, 코, 입술, 가슴 等에 흰 마사(麻絲)로 나중에 繡를 놓고 있는 것이 보인다. 細部는 直出夏至 않고 이와 같이 補充한다.

프레 잉카(Pre Inca)

編輯

프레 잉카 및 잉카帝國時代에 걸쳐서 古代文明은 木綿과 라마 · 알파카 그 밖의 動物 털을 使用하여 많은 아름다운 織物을 만들었다. 페루 , 볼리비아 , 에콰도르 를 包含한 地域을 차지하고 있는 프레 人카 文化의 特徵은 建築에서 巨石을 巧妙하게 使用하였다는 것, 그릇으로는 彩色되지 않은 土器 가 많다는 것, 이것들보다 優秀할지언정 떨어지지 않는 織物이 있다는 것 等이라고 할 수 있다. 撤職이 많은데 그 밖에 染織과 自首가 있다. 실이 섬세하고 다양한 技巧를 驅使하고 있다는 것, 例를 들면 깃털을 짜넣거나 金屬 또는 조가비를 붙이거나 하는 따위를 들 수 있다. 染色의 빛깔의 範圍는 대단히 넓다. 페루 特有의 基下火 무늬인데, 單純化되어 마치 애當初부터 記號 따위였던 것처럼 變했으나 人카 디자인의 特異性이 보인다.

絨緞

編輯

페르시아는 世界 織物의 本보기이고 報告라고 할 수 있다. 古代에 있어서 中國이나 印度와 交流가 있었고, 中國의 금직(錦織)李 페르시아와의 交流에 依하여 높아졌음은 분명하고 印度의 사라사나 카시미아직도 페르시아의 影響 없이는 생각할 수 없다. 현대의 유럽人 및 美國人들에게도 페르시아 絨緞에 對한 이미지가 剛하게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페르시아 絨緞 中에는 이 形式 外에 메타리온(裝身具인 목걸이 펜던트의 形)이나 프레이어 絨緞(街道用意 壁걸이式) 따위 回敎風의 것·마름모꼴을 組合시킨 듯한 直線的으로 硬化된 무늬 構成인 터키式의 것이 있다.

고블랭(Gobelins)

編輯
 
11世紀의 태피스트리

고블랭은 유럽 石造建築과 分離시켜 생각할 수 없다. 차갑고 딱딱한 石壁에 걸은 태피스트리 로 發達된 것으로서 中世의 城郭이나 寺院 內部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物件이었을 것이다. 태피스트리는 社員을 위하여 宗敎畫를 밑그림으로 한 것, 封建領主의 專攻을 題材로 한 것, 地理나 風俗을 그린 것, 近代 藝術作家의 作品에 依한 것 따위로 이러한 發達溪路를 나타내고 있다.

織物 輸出國

編輯
10代 織物 輸出國 (2008年)
(單位: 10億 달러)
  유럽 聯合 80.2
  中華人民共和國 65.3
  美國 12.5
  大韓民國 10.4
  印度 10.3
  튀르키예 9.4
  中華民國 9.2
  日本 7.3
  파키스탄 7.2
  아랍에미리트 5.8
  인도네시아 3.7
出處: [3]

各州

編輯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
  1. [네이버 國語辭典] 織物 (織物)
  2. [네이버 知識百科] 織物 [woven fabrics, 織物] (두산百科 頭皮디아, 두산百科, 서울大學校 아시아硏究所(SNUAC))
  3. “Leading exporters and importers of textiles, 2008” (PDF) . 2011年 12月 4日에 確認함 .  

같이 보기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