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粘土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粘土

흙의 類型

粘土 (粘土) 또는 찰흙 粒子 크기가 작고 무른 이다. 國際土壤學會나 美國농무성 規定에 依하면 入京이 0.002mm 以下인 흙이다. 比較的 粘土粒子를 많이 含有한 粘性이 많은 세립토로서 가늘고 긴 形象을 가진 흙을 말하며, 特히 0.001mm 以下는 콜로이드(colloid)라 부른다.

馬社의 葡萄밭에 있는 게이헤드 絶壁은 거의 全部 粘土로 이루어져 있다.
에스토니아에 있는 粘土

鐵分 의 多少에 따라 灰色이나 褐色 等의 빛깔이 생긴다. 차진 것을 陶土 (陶土) 또는 아질 (argil)이라 하여, 甓돌, 기와, 시멘트 , 陶瓷器 等의 原料로 쓰인다.

構成

編輯

巖石이 風化·分解되면서 主로 硅素 (硅素,實利키움)· 알루미늄 과 물이 結合하여 粘土鑛物이 이루어진다. 粘土鑛物은 雲母와 같은 構造를 가졌는데, 2層構造 또는 3層構造人 것도 있다. 前者는 카올린類, 後者는 몬모릴로나이트·日라이트 等이며, 層 사이에 물·칼륨·철·마그네슘 等이 들어가 여러 가지 粘土鑛物을 이룬다. 石英 SiO2 以外의 造巖鑛物은 모두 分解하여 粘土鑛物이 된다.

粘土 鑛物 粘土 活性度(A) 工學的 安定性 膨脹, 收縮性
Kaolinite 非活性 粘土 < 0.75 安定 작다
Illite 普通 粘土   普通 普通
Montmorillonite 活性 粘土 > 1.25 不安定 크다

카올리나이트는 單位質量當 表面的이 작고 工學的으로 安定的이다. 反面 몬모릴로나이트는 물을 많이 吸收할 수 있고 그에 따라 體積 變化가 많이 생긴다. 建設現場에서 몬모릴로나이트가 包含된 粘土가 많다는 것은 흙이 물을 吸收하거나 輩出함에 따라 膨脹하거나 收縮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좋지 않다. 이런 地盤을 軟弱地盤으로 보며 別途의 工法을 통해 安定化를 해야 한다.

粘土로 因한 軟弱地盤

編輯

粘土는 投手計數 가 작고 空隙비가 커서 壓密 에 걸리는 時間이 길고, 壓密沈下輛 도 크기 때문에 煉藥 地盤 의 原因이 된다. 따라서 粘土로 된 軟弱地盤 위에 構造物을 지을 때는 特別히 注意를 기울여야 한다. [1]

유토

編輯

街素材로서 使用하는 것 中에 찰흙人 유토 (油土)가 있다. 人組 찰흙 이라고도 한다. 酸化亞鉛(酸化亞鉛)을 主成分으로 하고 거기에 硫黃(硫黃)·납(蠟), 올리브油(油) 等을 混合하여 製造한 것이다. 빛깔은 암록색(暗綠色), 黃土色(黃土色), 暗赤色(暗赤色) 等이 있다. 이탈리아製(製)의 유토는 歷史도 오래고 잘 硏究되어 있다. 質(質)은 稠密하고 漢書(寒暑)에 對하여 競演(硬軟)의 差異가 적어서 가장 優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토의 特質은 乾燥, 龜裂, 凝固 等이 적고 彈力性, 粘着力이 있어서 天然의 찱흙보다 조금 가볍다. 恒常 一定한 부드러움을 維持하고 있으므로 일부러 반죽할 必要가 없다. 유토의 또 한가지 特徵은 卽興的으로 氣分이 내키는 대로 만들 수가 있다. 不完全한 軸(心)이라도 充分히 兄(型)을 維持할 수 있다. 大作의 試圖나 小品 製作 따위에 가장 적합하다. [2]

異素

編輯

이소(泥塑)는 찱흙 原形을 完成品으로 하는 乾燥法에 依하여 祖上(造像)하는 것으로서, 이 祖上法은 옛 印度에서 만들어져서 西域(西域), 中國의 當代(唐代)에서 성하게 祖上된 手法이다. 이 祖上法은 形式的으로 木造, 石造의 素材 따위에서 생기는 制約을 破棄하였다고도 할 수 있다. 技術的인 特徵은 움직임이 있는 姿態를 자유로이 만들 수 있다. 그리고 作者 스스로의 손으로 最後까지 자유롭게 意思대로 만들 수 있는 利點도 있다. 大陸에서 이 手法이 考案되어 성하게 流行한 原因은 傳述한 理由와 大陸的인 氣候(乾燥한 空氣)가 祖上을 오랫동안 保存할 수가 있고, 또한 事實的으로 表現하기가 容易하다는 事實도 이 祖上技法을 旺盛하게 한 하나의 理由이다.

製作

編輯

于先 木材로 뼈대를 만들고 거친 밧줄 따위로 뼈대를 감은 後 찰흙이 잘 密着되도록 軸을 만들어 논다. 그 軸이 움직이지 않도록 臺座(台座) 部分에 꼭 붙여둔다. 미리 準備된 흙을 眞사(辰砂 cinnabar) 또는 쌀겨(粉糖)를 곁들여서 잘 다져낸 찰흙으로 軸에 붙이면서 대충 兄을 만들어 나간다. 大體的인 型이 생기면 全體를 잘 건조시킨 다음 종이 注射(朱砂)나 雲母(雲母)를 섞어서 잘 반죽한 定量(精良)韓 찰흙으로 上(像)을 完成하여 간다. 天意(天衣)의 部分이나 손가락끝 따위 細部(細部)가 弱한 곳은 銅板이나 動線 等을 補强材(補强材)로서 軸으로 使用할 수도 있다. 한便 木造로 上의 大體的인 兄을 황조(慌彫)하고, 그것을 軸으로 하여 上記(上記)韓 찰흙을 붙여서 完成시키는 木心祖上(木心造像)의 手法도 採用되었다. [3]

各州

編輯
  1. 장병욱; 전우정; 송창섭; 유찬; 임성훈; 김용성 (2010). 《土質力學》. 구미서館. 129쪽. ISBN  978-89-8225-697-4 .  
  2.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 〈유토〉
  3.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 〈이소상〉

參考 文獻

編輯
  • 이인모. 《土質力學의 原理》. 씨아이알.  

같이 보기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