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節肢動物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節肢動物

動物의 部類
( 節肢動物文 에서 넘어옴)

節肢動物 (節肢動物, 文化語 : 마디다리動物, 英語 : arthropod )은 節肢動物文 (節肢動物門, Arthropoda)에 屬하는 動物 의 總稱으로 昆蟲 거미 , 甲殼類 等을 包含한다. 절족동물 (節足動物)이라고도 한다. 現存하는 動物의 80% 以上이 節肢動物文에 包含된다. 現在까지 알려진 節肢動物의 數는 約 100萬 種 以上이다. 또한 캄브리아기 初期부터 節肢動物의 化石 으로 發見된다.

節肢動物文
시계 방향으로: 삼엽충, 바다전갈, 게, 나비, 지네, 전갈.
時計 方向으로: 三葉蟲 , 바다全蠍 , , 나비 , 지네 , 全蠍 .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喪門: 脫皮動物喪門
文: 節肢動物文
(Arthropoda)
Latreille , 1829
衙門
다음은 汎節肢動物 의 下位分類이다.

生活

編輯

呼吸器·運動用 附屬肢·입틀·感覺器의 發達 程度에 따라 生活하는 方式에 많은 差異가 있다. 바다에서는 새우나 게로 大別되는 甲殼類가 主流를 이루며, 陸地에서는 거미類나 昆蟲類가, 하늘에서는 昆蟲類만이 살고 있다. 生殖 期間 外에는 單獨 生活을 하는 種類가 많다. 그러나 많은 個體들은 먹이를 얻기 위하여 一時的 또는 永續的으로 모이기도 하는데, 特히 개미나 벌 集團에서 이러한 것이 發達되어 完璧한 社會生活의 形態를 보여준다. 이들 集團은 먹이를 얻기 위해 먼 곳까지 移動하기도 하지만, 大部分 일정한 地域에서 먹이를 求하며, 그 中에는 分布 地域에 勢力圈을 形成하는 境遇도 있다.

먹이를 얻는 方法으로, 거미類에서는 그물과 같은 捕獲 裝置를 利用하고 또 돌아다니기도 한다. 매우 재미있는 例로 개미 等의 社會生活을 하는 昆蟲들은 버섯類를 栽培하거나 다른 動物을 기르기도 한다. 天敵이 많은 反面 防禦 方法도 發達하여, 分泌物로 棺을 만들어 그 속에 살거나 튼튼한 집 또는 고치를 만드는 種類도 있다. 또한 毒샘이나 毒針, 附屬肢가 變形된 집게발이나 발톱 等의 武器로 積極的인 攻擊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動植物·먼지·바위와 비슷한 形態나 色깔의 擬態 또는 몸을 保護하기 위한 保護色이 發達한 種類도 있다.

生殖과 保育

編輯

大部分 암수딴몸으로서 體內 修正을 한다. 昆蟲類나 甲殼類 中에는 養成 生殖과 單位 生殖을 交代하는 種類가 알려져 있는데, 이 밖에 수컷이 드물거나 없기 때문에 單位 生殖을 하는 種類도 있다.

한便, 개미나 벌 等 社會 生活을 하는 昆蟲에서는 繁殖 能力을 갖는 암수컷의 個體 外에도 生殖 能力이 없이 특정한 일만을 繼續하는 個體도 있다. 節肢動物은 生殖 習性이 매우 다양한데, 特히 獨立的으로 生活하는 種에서는 配偶者를 얻기 위해 競爭·誘引·潛伏 等 性의 本能的인 行動이 發達되어 있다. 大部分 난生이지만, 一部 卵胎生人 것도 있다. 特히 寄生性의 無理 에서는 儒生 生殖·流體 成熟, 多胚 現象과 같은 특수한 例도 알려져 있다. 알의 大部分은 中黃卵으로서, 表面의 細胞質 만이 卵割이 進行되는 表割을 한다.

이들은 各其 다른 保育 形態를 엿보인다. 卽, 알을 낳은 뒤 無責任하게 放置해 두는 原始型이 있는가 하면, 어미가 알을 품는 것, 幼蟲이 孵化하여 곧 먹이를 얻을 수 있도록 適當한 場所에 알을 낳는 것, 幼蟲이 먹을 수 있도록 精巧한 집을 지어 먹이를 貯藏하는 것, 또는 幼蟲에게 먹이를 供給해 주는 것 等 여러 모습을 보인다. 幼蟲의 發達 形式은 一般的으로 無變態·不完全 變態·完全 變態로 나뉘는데, 이 밖에 몸의 생김새가 조금씩 變化하는 開形 變態, 몸의 길이는 變化하나 몸의 생김새는 變化하지 않는 整形 變態 等으로 區別된다.

形態

編輯

體制는 環形動物에서 볼 수 있는 體節 構造가 基本을 이루나, 體表에 키틴질의 外骨格이 있다는 點이 다르다. 또 左右 對稱으로 大部分 머리·가슴·배의 세 部分, 또는 머리가슴과 배의 두 部分으로 나뉘어 있다. 附屬肢 는 各 體節마다 한 雙씩 存在하나 몸의 部分에 따라 模樣과 機能이 다르다. 모든 種에서 共通的으로 나타나는 體制는 몸 앞쪽 끝에 입, 뒤쪽 끝에 肛門, 배쪽에 附屬肢, 內部에서는 등쪽에 心臟, 中축에 消化管 等이 位置한다는 點이다. 附屬肢의 大部分은 2交叉型이 基本이다. 물 속에 사는 節肢動物은 아가미로 酸素를 받아들이는 反面, 陸地에 사는 것들은 숨管 또는 冊허파(書肺)라는 특수한 呼吸器가 發達되어 있어 그것으로 酸素를 얻는다. 아가미는 呼吸의 表面的을 넓히기 위해 실 模樣, 잎사귀 模樣, 나뭇가지 模樣으로 되어 있으며, 숨管은 各 機關 사이에 그물 模樣으로 分布되어 있다.

循環系는 開放血管系로서, 血液은 心臟에서 各 大動脈을 거쳐 機關 사이사이로 運搬된다. 그리하여 온몸을 循環한 靜脈피는 아가미를 가진 種類에서는 아가미 血管에 依하여 아가미로 보내져 動脈피가 된 뒤 心臟으로 들어간다. 그러나 숨管을 가진 種類에서는 靜脈피가 숨管 속의 空氣와 直接 가스交換을 일으켜 動脈으로 轉換된다.

下位 分類

編輯

다음은 汎節肢動物의 系統 分類이다. [1]

汎節肢動物

有爪動物

Tactopoda

緩步動物

眞節肢動物

협각類

臺各類

다지류

汎甲殼類

다음은 汎甲殼類의 系統 分類이다. [2] [3] [4]

汎甲殼類

六角類

鰓脚類

要支流

凹角類

兆甲類

낭흉류

彈툴라쿠스류

晩覺類

연갑류

빈甲類

牌蟲類

鬚髥새우類

오구동物流

새彌留

두판類

各州

編輯
  1. Regier; Shultz, J. W.; Zwick, A.; Hussey, A.; Ball, B.; Wetzer, R.; Martin, J. W.; Cunningham, C. W.; 外. (2010), “Arthropod relationships revealed by phylogenomic analysis of nuclear protein-coding sequences”, 《 네이처 463 (7284): 1079?1084, Bibcode : 2010Natur.463.1079R , doi : 10.1038/nature08742 , PMID  20147900  
  2. Omar Rota-Stabelli; Nicolas Lartillot; Nicolas Lartillot; Davide Pisani (2013年 1月 1日). “Serine Codon-Usage Bias in Deep Phylogenomics: Pancrustacean Relationships as case study”. 《Systematic Biology》 62 (1): 121?133. doi : 10.1093/sysbio/sys077 . PMID  22962005 .  
  3. Todd H. Oakley; Joanna M. Wolfe; Annie R. Lindgren; Alexander K. Zaharoff (January 2013). “Phylotranscriptomics to bring the understudied into the fold: monophyletic ostracoda, fossil placement, and pancrustacean phylogeny”.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30 (1): 215?233. doi : 10.1093/molbev/mss216 . PMID  22977117 .  
  4. Петрунина А.С., Колбасов Г.А. (2011). "Two species of Tantulocarida from the White Sea: what new could they tell us about morphology, anatomy and phylogeny of these minute parasitic crustaceans?"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pepoda.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