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전이한鐵筆 魚蟹圖病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전이한鐵筆 魚蟹圖病

( 전이한鐵筆魚蟹圖病 에서 넘어옴)

전이한鐵筆 魚蟹圖病 (傳李漢喆筆 魚蟹圖屛)은 서울特別市 鍾路區 서울歷史博物館 에 있는 朝鮮時代 의 屛風이다. 2005年 9月 5日 서울特別市의 有形文化財 第170號로 指定 [1] 되었다.

전이한鐵筆 魚蟹圖病
(傳李漢喆筆 魚蟹圖屛)
대한민국 서울特別市 有形文化財
種目 有形文化財 第170號
( 2005年 9月 5日 指定)
數量 屛風 한틀(10帖)
時代 朝鮮時代
住所 서울特別市 鍾路區 새문안로 55
(신문로2街, 서울歷史博物館 )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槪要

編輯

怪石(怪石)과 함께 잉어 , 쏘가리 , 붕어 , 메기 , 가자미 , , 새우 等의 어해류(魚蟹類)가 精巧한 筆致와 짙고 옅은 먹의 뛰어난 弄談效果에 依해 매우 事實的으로 描寫되어 있는 그림이다. 10帖 屛風 左右 1帖에 戰서(篆書)로 쓴 跋文(跋文)이 있고, 그림은 8帖에 連捷으로 그려져 있다. 段幅(單幅)에 그려진 魚蟹圖(魚蟹圖)는 많으나 이 그림처럼 8첩 平面 全體에 걸쳐 그린 魚蟹圖는 그리 흔치 않다. [1]

이 그림에서 畫家는 畫幅 全體를 앞에 두고 畵面의 윗쪽과 왼쪽 下端, 그리고 오른쪽 下段에 怪石을 配置하여 全體的으로 어해(魚蟹)를 감싸듯 하였지만 畵面의 오른쪽 위로는 空間을 열어놓음으로써 답답하지 않은 豪快한 構成의 妙를 보여준다. [1]

이러한 畵面 全體를 舞臺로 하여 잉어, 쏘가리, 붕어, 메기, 가자미, 게, 새우 等 여러 種類의 물고기들이 游泳하고 있는데, 어떤 것은 빙그르르 돌고 있고 어떤 것은 지느러미를 兩 쪽으로 쭉 편 채 아래로 내려꽂듯이 헤엄치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조그만 물고기가 큰 물고기를 따라 가고 있는 場面도 있고 서로 랑데부를 하고 있는 물고기의 모습도 그려 넣어 畵面이 生動感 있게 表現되었다. [1]

성재 김태석(惺齋 金台錫, 1875年~1953年)李 氣幼年(己酉年, 1909年 推定)에 쓴 跋文(跋文)에는 이한철(李漢喆, 1808年~1893年 以後)李 그린 魚蟹圖라고 적혀 있으나 畵面에는 作家의 關西(款署)나 道人(陶印)이 보이지 않는다. 跋文을 쓴 사람이 김태석人 것은 左側 跋文 末尾에 찍혀있는 ‘태석知人(台錫之印)’이란 百聞邦人(白文方印)과 ‘성재(惺齋)’란 注文房인(朱文方印)으로 알 수 있다. [1]

跋文을 쓴 金台錫은 舊韓末의 書畫家로 戰서(篆書)?예서(?書)?전각(篆刻)에 뛰어났고 舊韓末 文士들과도 넓게 交遊하고 中國에 갔을 때 袁世凱(袁世凱)의 玉璽를 새겼으며 그의 書藝顧問을 지냈을 程度로 著名했을 뿐 아니라 그가 20歲 무렵까지도 이한철은 生存해 있었기 때문 에 作家의 關西(款署)나 道人(圖印)은 없지만 이 作品을 이한철의 作品으로 看做해도 無理는 없을 것 같다. [1]

大略 19世紀末(1879年 警) 製作된 것으로 推定되는 이 그림은 짙은 먹과 옅은 먹의 弄談의 巧妙한 變化와 물고기들의 動作을 통해 畵面 全體에서 리듬감이 演出되어 있는 뛰어난 作品이다. [1]

朝鮮 末期 魚蟹圖(魚蟹圖)를 代表할 수 있는 大作으로 屛風의 크기도 제법 커서 展示效果가 좋으며 畫幅의 狀態도 良好하다. [1]

各州

編輯
  1. 서울特別市告示 第2003-255號, 《서울特別市有形文化財및文化財資料指定》, 서울特別市葬, 서울特別市 時報 第2505號, 14面, 2003-09-05

參考 資料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