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림프腫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림프腫

림프球에서 發生하는 血液 및 림프 腫瘍
( 淋巴腺癌 에서 넘어옴)

림프腫 림프球 ( 白血球 의 一種)에서 發生하는 血液 및 림프 腫瘍 을 말한다. [7] 이 이름은 一般的으로 모든 腫瘍이 아닌 惡性 腫瘍만을 나타낸다. [7] 徵候와 症狀으로는 림프節 肥大 , 發熱 , 흠뻑 젖은 , 意圖하지 않은 體重 減少, 가려움 增, 持續的인 疲勞 감 等이 있다. [1] [2] 이러한 惡性 림프節 肥大에는 大槪 痛症이 없다. [1] 以上 發汗은 밤에 가장 흔하게 發生한다. [1] [2]

림프腫
림프節에 發生한 小包림프腫
診療科 血液學 , 腫瘍學
症狀 림프節 肥大, 發熱, 發汗, 意圖하지 않은 體重 減少, 가려움症, 疲勞感 [1] [2]
危險 因子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 自家免疫疾患 , AIDS , 吸煙 [2] [3]
診斷 方式 림프節 生檢 [1] [2]
治療 化學 療法 , 放射線 治療 , 陽性子 治療 , 標的 治療 , 手術 [1] [2]
豫後 平均 5年 生存率 85% (美國) [4]
頻度 490萬 名 (2015) [5]
死亡 204,700 (2015) [6]

림프腫의 많은 阿兄이 알려져 있다. [8] 림프腫의 두 가지 主要 範疇는 非호지킨 림프腫 (NHL, 事例의 90%) [9] [10] 호지킨 림프腫 (HL, 10%)이다. [9] 림프腫, 白血病 및 骨髓腫은 造血 및 림프 組織의 더 넓은 腫瘍 을 包含한다. [11]

호지킨 림프腫 의 危險 要因으로는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感染과 家族歷이 있다. [12] 一般的인 類型의 非호지킨 림프腫에 對한 危險 要因으로는 自家 免疫 疾患 , HIV/AIDS , HTLV-1 感染, 免疫抑制劑 및 一部 殺蟲劑 가 있다. [13] [14] 2014年 國際 癌 硏究 機關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은 트리클로로에틸렌 分類를 그룹 1로 업데이트하여 트리클로로에틸렌이 人間에게 腎臟癌과 肝癌 및 非호지킨 림프腫에 對한 發癌性이 있음을 밝혔다. [15] 多量의 붉은 고기 攝取와 吸煙 도 危險을 增加시킬 수 있다. [3] [16] [17] 림프節 肥大가 存在하는 境遇 診斷은 一般的으로 림프節 生檢 을 통해 이루어진다. [12] [13] 血液 檢査 , 小便 檢査 , 骨髓 檢事 도 診斷에 有用할 수 있다. [13] 그런 다음 癌이 퍼졌는지, 어디에 퍼졌는지 確認하기 爲해 醫療 映像 을 確認할 수 있다. [12] [13] 림프腫은 主로 肺, 肝, 腦로 轉移된다. [12] [13]

治療에는 化學 療法 , 放射線 療法 , 陽性子 療法 , 標的 療法 , 手術 中 하나 以上이 包含될 수 있다. [18] [19] 一部 非호지킨 림프腫에서는 림프腫 細胞에서 生産되는 蛋白質의 量이 增加하여 血液의 粘性이 盡해지기 때문에, 蛋白質을 除去하기 위해 血漿交換術 을 施行하기도 한다. [19] 特定 類型에는 經過를 觀察하는 것이 適切할 수도 있다. [19] 結果는 亞型에 따라 달라지며, 一部는 關해 가 可能하고 大部分의 境遇 治療로 生存이 延長된다. [20] 美國에서 모든 호지킨 림프腫 亞型의 5年 生存率은 85%인 反面, [4] 非호지킨 림프腫의 境遇 69%이다. [21] 2012年 全 世界的으로 림프腫은 566,000名에게 發生했으며 305,000名이 死亡했다. [22] 이는 모든 癌의 3~4%를 차지하며, 그룹으로서는 7番째로 흔한 形態이다. [22] [23] 小兒에서는 세 番째로 흔한 癌이다. [24] 이러한 現象은 開發途上國 보다 先進國 에서 더 자주 發生한다. [22]

徵候 및 症狀

編輯
 
림프腫이 가장 흔하게 發生하는 림프節
 
림프腫과 림프계

림프腫은 非特異的으로 나타날 수 있다. 症狀이 持續되면 림프腫의 可能性을 包含해 原因을 把握하기 위한 檢査를 實施해야 한다.

口腔

編輯

口腔에서 潰瘍性/非潰瘍性 浮腫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主로 扁桃腺 , 볼 粘膜, 입天障, 잇몸, 침샘, 혀, 입 바닥 및 어금니 部位에서 나타난다.

診斷

編輯
 
疑心되는 림프腫의 初期 評價는 琉璃 슬라이드를 節制된 림프 組織에 가볍게 누르고 이어서 光學顯微鏡 으로 檢査하기 위해 染色(普通 H&E 染色 )한다.

림프腫은 림프節 生檢 으로 確實하게 診斷된다. 이는 顯微鏡으로 림프節 을 部分的으로 또는 全體的으로 節制하는 것을 意味한다. [28] 이 檢査를 통해 림프腫을 나타낼 수 있는 組織病理學 敵 特徵이 드러난다. 림프腫이 診斷된 後, 다양한 類型의 림프腫에 特徵的인 特定 特徵을 찾기 爲해 다양한 檢査가 實施될 수 있다.

여기에는 다음이 包含된다.

分類

編輯
 
外套細胞 림프腫 이 있는 림프節(低倍率, H&E)

世界保健機構(WHO)의 基準에 따르면, 림프腫 分類는 腫瘍이 發生한 림프球의 種類에 따라 分類한다. [29] 따라서 電球 림프 細胞에서 發生하는 림프腫은 成熟한 림프 細胞에서 發生하는 림프腫과 區別된다. [29] 大部分의 成熟한 림프腫은 非호지킨 림프腫으로 構成된다. [29] 歷史的으로 成熟한 組織球 樹枝狀 細胞 (HDC) 림프腫은 種種 림프 組織을 包含하기 때문에 成熟 림프腫으로 看做된다. [29]

림프腫은 또한 림프腫性 髓膜炎(LM)으로 알려진 腦脊髓膜 內의 腦 周邊의 中樞神經系 로 퍼질 수도 있다. [30]

호지킨 림프腫

編輯

호지킨 림프腫은 림프腫의 約 15%를 차지한다. [31] 호지킨 림프腫은 豫後 와 여러 病理學的 特徵에서 다른 形態의 림프腫과 다르게 特異한 境遇가 많아 別途로 分類한다. 호지킨 림프腫과 비호지킨 림프腫으로의 區分은 여러 分類 시스템에서 使用된다. 호지킨 림프腫은 리드-스턴버그 細胞 (Reed-Sternberg cell)라는 類型의 細胞가 存在하는 것이 特徵이다. [32] [33]

非호지킨 림프腫

編輯

호지킨 림프腫을 除外한 모든 림프腫으로 定義되는 非호지킨 림프腫은 호지킨 림프腫보다 더 흔하다. 이 分類에는 매우 다양한 림프腫이 있으며, 原因, 關聯 細胞 類型, 豫後는 類型에 따라 다르다. 非호지킨 림프腫의 年間 發病 件數는 나이가 들수록 增加한다. 또한 여러 下位 類型으로 나뉜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關聯 림프球 增殖性 疾患

編輯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關聯 림프增殖性 疾患은 림프球 細胞 의 陽性, 前惡性, 惡性 疾患이다. B細胞 , T細胞 , NK 細胞 組織球 樹枝狀 細胞 中 하나 以上이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EBV)에 感染되어 생긴다. 바이러스는 이러한 疾病의 發病 및 進行에 原因일 수 있다. EBV 陽性 호지킨 림프腫 外에도 世界保健機構(2016)는 EBV 感染과 關聯된 境遇 이 疾病軍에 다음과 같은 림프腫을 包含한다.

WHO 分類

編輯

2001年에 發表되고 2008年에 업데이트된 WHO 分類는 改正된 유럽-美國 림프腫 分類("revised European?American lymphoma classification", REAL)에 基盤을 두고 있다. 이 시스템은 림프腫을 細胞 類型(卽, 腫瘍과 가장 類似한 正常 細胞 類型)別로 分類하고 表現型 , 分子 敵 또는 細胞遺傳學的 特性을 통해 5個 그룹으로 定義한다. 호지킨 림프腫은 비록 顯著하게 非正常이기는 하지만 成熟한 B細胞 系統 림프球의 腫瘍으로 認識된다. 分類上으로는 WHO 및 移轉 分類 內에서 別途로 看做된다.

다양한 形態의 림프腫 中에서 一部는 治療 없이도 長壽할 수 있는 無活動性(예: 小림프球性 림프腫 )으로 分類되는 反面, 다른 形態는 攻擊的이다.(예: 버킷 림프腫 ), 急速한 惡化 및 死亡을 招來한다. 그러나 大部分의 攻擊性 림프腫은 治療에 잘 反應하고 治療가 可能하다. 따라서 豫後는 病理學 者(普通 血液病理學子)가 生檢을 檢査한 後 疾病의 正確한 診斷과 分類에 따라 決定한다. [35]

成熟 B細胞 新生物

編輯
 
遺傳子 發現 패턴의 差異를 보여주는 버킷 림프腫과 瀰漫性 巨大 B細胞 림프腫(DLBCL)의 DNA 마이크로語레이 分析. 色相은 發現 水準을 나타내며, 綠色은 正常 細胞에 비해 림프腫 細胞에서 저發現된 遺傳子를 나타내고, 빨간色은 림프腫 細胞에서 科發現된 遺傳子를 나타낸다.
  • B細胞 慢性 림프球性 白血病 /소細胞 림프腫
    • 成人 림프腫의 3~4%를 차지함
    • 多樣한 數의 큰 活性化 細胞와 混合된 작은 休止期 림프球, 림프節이 消失됨.
    • CD5 表面 免疫 글로불린 發現
    • 5年 生存率 50% [36]
    • 老人에서 發生하며 一般的으로 림프節, 骨髓 및 비장을 包含한다.
    • 大部分의 患者는 末梢 血液 侵犯이 있으며 痛症이 없다.
  • 림프節 便娟部 B細胞 림프腫
  • 小包림프腫
    • 成人 림프腫의 約 40%
    • 큰 活性化 細胞( 造血母細胞 )와 混合된 작은 쪼개진 細胞, 一般的으로 結節性(濾胞性) 成長 패턴을 보임.
    • CD10, BCL2, CD20 表面 Ig 發現
    • 5年 生存率 約 72-77% [37]
    • 老人에서 發生하며 一般的으로 림프節, 骨髓 및 비장을 包含하며, t (14; 18) 典座 科發現 Bcl-2와 關聯이 있다.
    • 無痛性이다.
  • 원발性 皮膚 T細胞 림프腫
  • 外套細胞 림프腫
    • 成人 림프腫의 約 3~4%
    • 擴散 패턴으로 成長하는 小型에서 中間 크기의 림프球 發見
    • CD5, Cyclin D1 發現
    • 5年 生存率 約 50~ 70% [38]
    • 主로 成人 男性에서 發生하며, 普通 림프節 , 骨髓 , 脾臟 胃腸管 에서 發生
    • 사이클린 D1을 科發現하는 t(11;14) 典座 와 關聯이 있으며, 中間 程度의 攻擊性을 보임.
  • 瀰漫性 巨大 B細胞 림프腫 , 달리 明示되지 않음(NOS)
    • 成人 림프腫의 約 40~50% 차지
    • 可變的이며, 大部分 큰 胚芽 中心部의 B細胞와 類似하며 擴散 成長 패턴
    • CD10 및 表面 Ig의 多樣한 發現
    • 5年 生存率 60% [39]
    • 모든 年齡帶에서 發生하지만 老人에서 가장 흔하게 發生한다.
    • 림프節 外部에서 發生할 수 있으며, 攻擊的이다.

成熟 T細胞 및 自然殺害(NK) 細胞 新生物

編輯

림프電球細胞 新生物

編輯
  • 달리 明示되지 않은 B 림프毛毬 白血病/림프腫
  • 再發性 遺傳的 以上을 同伴한 B-림프毛毬 白血病/림프腫
  • T-림프毛毬 白血病/림프腫
    • 小兒 急性 림프毛毬 白血病 의 15%, 림프毛毬 림프腫의 90%
    • 不規則한 核 輪廓, 凝縮된 染色質 , 작은 核小體 및 顆粒이 없는 少量의 細胞質을 가진다.
    • TdT, CD2, CD7 發現
    • 胸腺의 侵犯으로 인해 種激動 腫塊로 나타나는 境遇가 많다.
    • NOTCH1 突然變異와 關聯이 높으며 靑少年期 男性에서 가장 흔하다.
  • 古典的 호지킨 림프腫
    • 結節性 硬化症 形態의 호지킨 림프腫
      • 가장 흔한 類型의 호지킨 림프腫
      • 리드-스턴버그 細胞 (Reed-Sternberg cell) 變異 및 炎症
      • 콜라겐으로 構成된 廣範圍한 傾化性 밴드 形成
      • CD15, CD30 發現
      • 젊은 成人에게 가장 흔하며 種激動 또는 頸部 림프節 에서 發生하는 境遇가 많다.
    • 混合 細胞性 호지킨 림프腫
      • 두 番째로 흔한 形態의 호지킨 림프腫
      • 많은 古典的인 리드-스턴버그 細胞 및 炎症
      • CD15, CD30
      • 男性에게 흔하다.
      • 結節性 硬化症 形態의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가 包含된 境遇 進行 段階에서 診斷될 可能性이 높으며, 70%의 事例에 關與한다.
    • 림프球가 많은 形態
    • 림프球 枯渴型 또는 備考갈型
  • 結節性 림프球 優勢 호지킨 림프腫

免疫 缺乏 關聯 림프 增殖性 障礙

編輯

以前 分類

編輯

以前에는 라派포트 1956, 레너트/킬 1974, BNLI, 워킹 抛뮬레이션(1982), REAL(1994) 等 여러 分類가 使用되었다.

1982年의 워킹 抛뮬레이션 方式은 非호지킨 림프腫을 分類한 것이다. 호지킨 림프腫을 除外하고 나머지 림프腫을 豫後와 關聯된 4가지 等級(저, 中, 高, 기타)으로 나누고, 影響을 받은 細胞의 크기와 模樣에 따라 몇 가지를 더 細分化하였다. 이 組織學 敵人 分類에는 細胞 表面 마커나 遺傳學에 對한 情報가 包含되지 않았으며, T細胞 림프腫과 B細胞 림프腫을 區分하지 않았다. 이 分類는 發表 當時에는 널리 使用되었으나, 2004年 以後 더 以上 使用되지 않는다. [42]

1994年에 改正된 유럽-美國 림프腫(REAL) 分類는 호지킨 림프腫을 除外한 모든 림프腫에서 뚜렷한 臨床 病理學的 實體를 識別하는 데 免疫 表現型 및 遺傳的 特徵을 適用했다. [43] 코딩 目的으로 ICD-O(코드 9590-9999) [44] ICD-10 (코드 C81-C96) [45] 을 使用할 수 있다.

倂記

編輯
 
림프腫이 퍼지는 一般的인 部位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診斷 後 治療 前에 癌의 兵器를 決定한다. 이는 癌이 퍼졌는지, 퍼졌다면 局所的으로 퍼졌는지 아니면 먼 部位로 퍼졌는지를 判斷하는 것을 말한다. 병기는 I(局限性)과 IV(轉移性) 사이의 等級으로 報告된다. 림프腫의 병기는 患者의 豫後를 豫測하는 데 도움이 되며 適切한 治療法을 選擇하는 데 使用된다. [46]

앤 아버 倂記 體系( Ann Arbor staging system )는 호지킨 림프腫과 비호지킨 림프腫의 倂記 決定에 日常的으로 使用된다. 이 兵器 體系에서 1期는 局所的 림프節 內에 局限된 疾病을, 2期는 두 個 以上의 림프節에 림프腫이 있는 것을, 3期는 橫膈膜 兩쪽의 림프節들로 림프腫이 퍼진 것을, 4期는 림프계 外部의 組織으로 퍼진 것을 나타낸다. 다른 接尾辭는 다른 臟器의 侵犯을 의미한다(예: 脾臟 은 S, 은 H). 림프 外 侵犯은 文字 E로 表示되며, B 症狀 (지난 6個月 동안 意圖하지 않은 體重 10% 減少, 식은땀, 38?°C 以上의 持續的인 發熱 中 하나 以上)이 있을 境遇 B, 없을 境遇 A로 表記한다. [47]

癌의 倂記 判定에는 CT 스캔 또는 PET 스캔 方式이 使用된다. 호지킨 림프腫과 같은 플루오로데옥시글루코스 缺乏 림프腫의 境遇 骨髓 生檢 을 代替할 수 있는 兵器 決定 道具로 PET 스캔이 勸奬된다. 다른 림프腫의 境遇, 倂記 決定에는 CT 스캔이 勸奬된다. [46]

나이와 健康 狀態가 좋지 않은 것도 豫後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다른 要因이다 [48] . 卽, 老人이거나 基底疾患이 있어 스스로를 돌볼 수 없는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 림프腫으로 死亡할 可能性이 더 높다.

鑑別診斷

編輯

特定 림프腫(림프節 外 NK/T細胞 鼻腔型 림프腫 및 II型 腸 疾病 關聯 T細胞 림프腫)은 胃腸管 內 非惡性 NK 細胞 의 過度한 增殖과 關聯된 두 가지 陽性 疾患으로 誤認될 수 있다. 腸, 結腸, 위 또는 食道에 NK細胞 浸潤性 病變이 發生하는 疾患인 自然殺害細胞 장병증 과 이러한 細胞의 浸潤性 病變이 僞裝에만 局限되는 疾患인 림프腫性 位病症 이다. 이러한 疾患은 癌으로 進行되지 않고 自然的으로 사라질 수 있으며 化學 療法이나 其他 림프腫 治療에 反應하지 않으며 治療가 必要하지도 않다. [49]

治療

編輯

豫後와 治療法은 호지킨 림프腫과 모든 다른 形態의 非호지킨 림프腫에 따라 다르며, 癌이 얼마나 빨리 複製되는지를 나타내는 腫瘍의 等級에도 따라 달라진다. [50] 逆說的이게도 高等級 림프腫은 더 쉽게 治療할 수 있고 豫後가 더 좋다. 例를 들어, 버킷 림프腫 은 며칠 內에 두 倍로 增加하는 것으로 알려진 高等級 腫瘍으로, 治療에 對한 反應이 매우 높다.

저等級 림프腫

編輯

많은 저等級 림프腫은 數年 동안, 때로는 患者의 남은 生涯 동안 非活性 狀態(천천히 자라거나 全혀 자라지 않음)를 維持한다. 小包림프腫 과 같은 非活動性 림프腫의 境遇, 早期 治療보다 追跡 觀察이 덜 危險하고 해롭지 않기 때문에 初期 措置로 經過 觀察을 하는 境遇가 많다. [51]

저等級 림프腫에 症狀이 나타나면 放射線 療法 또는 化學 療法이 主로 選擇되는 治療法이다. 이러한 治療法은 림프腫을 永久的으로 治療하지는 못하지만 症狀, 特히 苦痛스러운 림프節 病症을 緩和할 수 있다. 이러한 類型의 림프腫 患者는 技術的으로 完治가 不可能하더라도 거의 頂上에 가까운 壽命을 살 수 있다.

一部 센터에서는 濾胞性 림프腫 治療에 觀望的 接近法 代身 리툭시맙 單一 製劑를 使用할 것을 勸奬한다. 經過 觀察만을 維持하는 것은 一部 사람들에게 深刻한 苦痛과 不安을 誘發하기 때문에, 모든 사람에게 바람직한 戰略은 아니다. 이를 "監視와 걱정"이라고 한다. [52]

高等級 림프腫

編輯

攻擊的인 形態의 림프腫은 完治되는 境遇도 있지만, 治療에 對한 反應이 좋지 않은 사람의 境遇 豫後가 나쁘다. [53] 이러한 類型의 림프腫 治療는 一般的으로 CHOP 또는 R-CHOP 療法을 包含한 攻擊的인 化學 療法으로 이루어진다. 많은 사람들이 1次 化學 療法으로 完治된다. 大部分의 再發은 처음 2年 以內에 發生하며 그 以後에는 再發 危險이 크게 減少한다. [54] 再發한 患者에게는 高容量 化學 療法 後 自家 줄기 細胞 移植이 立證된 接近法이다. [55]

抗癌化學療法 이나 줄기細胞 移植 으로 인해 副作用이 發生할 수 있으므로 副作用에 對한 治療도 重要하다. 中間葉 줄기細胞 移植編隊宿主疾患 의 治療 및 豫防에 使用될 수 있는지 評價되었다. 肝葉줄기細胞가 移植編隊宿主疾患의 모든 原因에 依한 死亡率과 慢性 및 急性 移植編隊宿主疾患의 完全 消滅에 미치는 治療 效果에 對한 證據는 매우 不確實했다. [56] 中間葉 間葉細胞를 豫防的 目的으로 使用할 境遇 모든 原因에 依한 死亡率, 惡性 疾患의 再發, 急性 및 慢性 移植編隊宿主疾患의 發生率에 差異가 거의 없었다. 또한 出血 豫防을 위해 化學療法이나 造血母細胞 移植을 받은 患者에게 血小板을 輸血할 境遇 血小板 使用 方式(治療的, 閾値, 容量 스케줄 또는 豫防的)에 따라 出血이 發生한 患者 數, 出血 發生 日數, 出血로 인한 2次 死亡率 및 血小板 輸血 回數에 미치는 影響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57] [58]

리소캅他겐 마라루셀( lisocabtagene maraleucel , 前身 治療에 두 番 失敗한 再發性 또는 不應性 巨大 B細胞 림프腫), 液視캅他겐 實로루셀( axicabtagene ciloleucel ), 티社겐레클루셀( tisagenlecleucel , 巨大 B細胞 림프腫), 브렉수캅타겐 오토루셀( brexucabtagene autoleucel , 外套細胞 림프腫 ) 等 4個의 키메라 抗原 受容體 CAR-T 細胞 療法 이 非호지킨 림프腫에 對해 FDA 承認을 받았다. 이러한 治療法에는 認證 및 其他 制限 事項이 있다. [59]

호지킨 림프腫

編輯

호지킨 림프腫은 局所 림프腫人 境遇 一般的으로 放射線 治療만으로 治療할 수 있다. [60]

進行性 호지킨 림프腫은 前身 化學 療法이 必要하며 때로는 放射線 療法과 竝行하기도 한다. [61] 使用되는 化學 療法에는 美國에서 一般的으로 使用되는 ABVD 療法이 包含된다. 호지킨 림프腫 管理에 使用되는 다른 療法으로는 BEACOPP Stanford V 가 있다. 두 療法 모두 效果的이지만 BEACOPP는 더 많은 毒性과 關聯이 있다는 것에서 ABVD 또는 BEACOPP의 使用과 關聯하여 相當한 論難이 存在한다. 鼓舞的인 것은 ABVD 後 再發한 患者 中 相當數가 줄기細胞 移植을 통해 回復할 수 있다는 것이다. [62]

科學者들은 化學 療法 週期 사이의 陽電子 放出 斷層 撮影 을 使用하여 生存에 對한 家庭을 할 수 있는지 評價했다. 中間 PET 스캔 結果의 陰性(=좋은 豫後) 또는 陽性(=나쁜 豫後)李 無進行 生存率에 미치는 影響에 對한 證據는 매우 不明確했다. 中間 PET 스캔 結果가 陰性이면 調整된 結果를 測定했을 때와 比較하여 無進行 生存期間이 늘어날 수 있고, 中間 PET 스캔 結果가 陽性일 때보다 全體 生存期間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 [63]

現在 니볼루맙을 호지킨 림프腫 治療에 使用할 수 있는지 與否를 評價하는 硏究가 進行中이다. 그러나 호지킨 림프腫 患者의 全體 生存率, 삶의 質, 無進行 生存率, 反應率(=完全 消失), 3~4等級의 深刻한 異常 反應에 對한 니볼루맙의 效果는 아직 不確實하다.

緩和 治療

編輯

緩和 治療 는 深刻한 疾病의 症狀, 痛症 및 스트레스에 焦點을 맞춘 專門 醫療 서비스로, 여러 國家 癌 治療 가이드라인에서 림프腫 患者의 治療 治療와 竝行할 것을 勸奬하고 있다. [64] [65] 緩和 治療는 림프腫의 直接的인 症狀과 治療로 인해 發生하는 여러 가지 願치 않는 副作用을 모두 解決하는 데 使用된다. [66] [67] 緩和 治療는 림프腫에 걸린 어린이에게 特히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어린이와 家族 모두가 疾病의 身體的, 情緖的 症狀에 對處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66] [68] [69] [70] 이러한 理由로 緩和 治療는 骨髓 移植이 必要한 患者에게 特히 重要하다. [71] [72]

支持 治療

編輯

림프腫과 같은 血液癌 成人 患者의 標準 治療에 身體 運動을 追加하는 것은 死亡率, 삶의 質, 身體 機能에 거의 差異가 없었다. 다만 이러한 運動은 憂鬱症을 若干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有酸素 運動은 疲勞를 줄일 수도 있다. 不安과 深刻한 副作用에 미치는 影響에 對한 證據는 매우 不確實하다. [73]


豫後

編輯
診斷 時 倂記別 5年 相對 生存率 [74]
診斷 時 倂記 5年 相對 生存率(%) 事例 數 百分率(%)
局所(原發 部位에 局限) 82.3 26
部位(局所 림프節로 퍼짐) 78.3 19
遠隔(癌이 轉移됨) 62.7 47
未詳(兵器 未定) 68.6 8

力學

編輯
 
2012年 人口 百萬 名 黨 림프腫 및 多發性 骨髓腫으로 因한 死亡者 數 ?
 ?0-13
 ?14-18
 ?19-22
 ?23-28
 ?29-34
 ?35-42
 ?43-57
 ?58-88
 ?89-121
 ?122-184

림프腫은 先進國에서 가장 흔한 形態의 血液 惡性 腫瘍 또는 血液癌 이다.림프종은 美國 全體 癌(單純 基底細胞癌 및 扁平細胞 皮膚癌 除外)의 5.3%, 全體 血液癌의 55.6%를 차지한다. [75]

美國 國立 保健院 에 따르면 림프腫은 美國 全體 癌 事例의 約 5%를 차지하며 特히 호지킨 림프腫은 1% 假量을 차지한다.

全體 림프계는 身體 免疫 體系의 一部이기 때문에 HIV 感染이나 特定 藥물 또는 藥물로 인해 免疫 體系가 弱化 된 사람들의 境遇 림프腫 事例가 더 많다. [76]

韓國에서의 림프腫

編輯

韓國에서의 림프腫은 非호지킨 림프腫이 호지킨 림프腫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非호지킨 림프腫 患者의 境遇 中等級 以上의 分類를 보임으로, 積極的인 抗癌治療가 必要하다. 非호지킨 림프腫 中 組織檢査上 저等級 所見은 드물다(5% 未滿). 皮膚나 코 等을 侵犯하거나, 不明熱로 처음 診斷되는 境遇가 많다. 韓國에서는 小包림프腫 이 美國(30%)에 비해 드물며(4%), 림프節 外(60%)에 發生하는 境遇가 림프節 내(40%)보다 많다. 西洋에 비해 T細胞 림프腫이 흔하다.(35%) [77]

韓國에서의 非호지킨 림프腫의 發生率은 瀰漫性 巨大 B細胞 림프腫 이 42.7%로 가장 많았으며, 림프節 外 便娟部 B細胞 림프腫 ( MALT 림프腫 )이 19.0%로 두番째로 많았다. 以後 림프節 外 T/NK細胞 림프腫(鼻腔型) 및 末梢 T細胞 림프腫이 그 다음을 이었으며, 形質細胞 骨髓腫 , 逆形成 大勢抛 림프腫 , 小包림프腫 , T細胞 急性 림프毛毬 白血病/림프腫 , 外套細胞 림프腫 , 버킷림프종 順序로 發生하였다. [77]

歷史

編輯
 
토마스 호지킨

토마스 호지킨은 1832年 自身의 이름을 딴 림프腫에 對한 最初의 說明을 發表했다. [78] 그 以後로 다른 많은 形態의 림프腫이 밝혀졌다.

"림프腫"(lymphoma)이라는 用語는 라틴語 lympha ("물")와 그리스어 -oma("病的 成長, 腫瘍")에서 由來했다. [79]

硏究

編輯

림프腫 硏究에는 臨床 또는 仲介 硏究와 基礎 硏究의 두 가지 類型이 있다. 臨床/仲介 硏究는 사람을 對象으로 新藥을 試驗하는 것으로, 一般的으로 卽時 適用 可能한 方式으로 疾病을 硏究하는 데 重點을 둔다. 硏究는 效果的인 治療 方法, 더 나은 疾病 治療 方法, 사람들의 삶의 質 改善, 關해 中 또는 完治 後 適切한 管理 等에 焦點을 맞출 수 있다. 現在 數百 件의 臨床試驗 이 計劃 또는 進行 中이다. [80]

基礎 科學 硏究는 發癌 物質로 疑心되는 物質이 實驗室에서 正常 細胞를 림프腫 細胞로 만들 수 있는지, 또는 疾病이 進行됨에 따라 림프腫 細胞 內部의 DNA가 어떻게 變하는지를 確認하는 等의 疾病 過程을 硏究한다. 基礎 硏究 結果는 一般的으로 림프腫 患者에게 卽刻的으로 流用하지는 않지만, 科學者들의 림프腫에 對한 理解를 높이고 未來의 더 效果的인 治療法을 위한 土臺를 形成할 수 있다. [81]

各州

編輯
  1. “General Information About Adult Hodgkin Lymphoma” .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4年 4月 23日. 2014年 7月 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6月 20日에 確認함 .  
  2. “General Information About Adult Non-Hodgkin Lymphoma” .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4年 4月 25日. 2014年 7月 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6月 20日에 確認함 .  
  3. “Cigarette smoking and risk of Hodgkin lymphoma and its subtypes: a pooled analysis from the International Lymphoma Epidemiology Consortium (InterLymph)” . 《Annals of Oncology》 24 (9): 2245?2255. September 2013. doi : 10.1093/annonc/mdt218 . PMC  3755332 . PMID  23788758 .  
  4. “Hodgkin Lymphoma?SEER Stat Fact Sheets” . Seer.cancer.gov. 2012年 10月 17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8月 26日에 確認함 .  
  5. Allen C, Arora M, Barber RM, Bhutta ZA, Brown A, Carter A, 外. (GBD 2015 Disease and Injury Incidence and Prevalence Collaborators) (October 2016).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 《Lancet》 388 (10053): 1545?1602. doi : 10.1016/S0140-6736(16)31678-6 . PMC  5055577 . PMID  27733282 .  
  6. Wang, Haidong; 外. (October 2016).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 《Lancet》 388 (10053): 1459?1544. doi : 10.1016/s0140-6736(16)31012-1 . PMC  5388903 . PMID  27733281 .  
  7. Taylor, Elizabeth J. (2000).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29板. Philadelphia: Saunders. 1038 쪽. ISBN  0721662544 .  
  8. Aditya Bardia (2010). 《Johns Hopkins Patients' Guide to Lymphoma》 . Jones & Bartlett Learning. 6쪽. ISBN  9781449631413 . 2017年 9月 1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9. 《The Lymphoma Guide Information for Patients and Caregivers》 (PDF) . 2013. 2014年 7月 14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6月 20日에 確認함 .  
  10. “Lymphoma” . 《NCI》. 2011年 2月 2日. 2014年 7月 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6月 13日에 確認함 .  
  11. “The 2008 revi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lassification of myeloid neoplasms and acute leukemia: rationale and important changes”. 《Blood》 114 (5): 937?951. July 2009. doi : 10.1182/blood-2009-03-209262 . PMID  19357394 .  
  12. “General Information About Adult Hodgkin Lymphoma” .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4年 4月 23日. 2014年 7月 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6月 20日에 確認함 .  
  13. “General Information About Adult Non-Hodgkin Lymphoma” .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4年 4月 25日. 2014年 7月 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6月 20日에 確認함 .  
  14. “The association between non-Hodgkin lymphoma and organophosphate pesticides exposure: A meta-analysis”. 《Environmental Pollution》 231 (Pt 1): 319?328. December 2017. doi : 10.1016/j.envpol.2017.08.028 . PMID  28810201 .  
  15. 《Trichloroethylene (IARC Summary & Evaluation, Volume 106, 2014)》 (PDF) . iarc.fr . 2016年 3月 8日에 確認함 .  
  16. “Red and Processed Meat Consumption Increases Risk for Non-Hodgkin Lymphoma: A PRISMA-Compliant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 《Medicine》 94 (45): e1729. November 2015. doi : 10.1097/MD.0000000000001729 . PMC  4912242 . PMID  26559248 .  
  17. “Meat intake and non-Hodgkin lymphoma: a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Cancer Causes & Control》 27 (5): 595?606. May 2016. doi : 10.1007/s10552-016-0745-2 . PMID  27076059 .  
  18. “General Information About Adult Hodgkin Lymphoma” .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4年 4月 23日. 2014年 7月 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6月 20日에 確認함 .  
  19. “General Information About Adult Non-Hodgkin Lymphoma” .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4年 4月 25日. 2014年 7月 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6月 20日에 確認함 .  
  20. 《The Lymphoma Guide Information for Patients and Caregivers》 (PDF) . 2013. 2014年 7月 14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6月 20日에 確認함 .  
  21. “SEER Stat Fact Sheets: Non-Hodgkin Lymphoma” . 《NCI》. 2014年 7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6月 18日에 確認함 .  
  22.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hapter 5.13쪽. ISBN  978-9283204299 .  
  23. Marcus, Robert (2013). 《Lymphoma?: path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Seco版. Cambridge University Press. 1쪽. ISBN  9781107010598 . 2015年 9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24. John E. Niederhuber; James O. Armitage; James H. Doroshow; Michael B. Kastan; Joel E. (2014). 〈Childhood lymphoma〉. 《Abeloff's clinical oncology》 Fif版. Chapter 97쪽. ISBN  978-1455728657 .  
  25. “About Lymphoma” . Lymphoma Research Foundation. 2012年 12月 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12月 22日에 確認함 .  
  26. “Warning Signs of Lymphoma ? First Signs of Lymphoma” . verywellhealth.  
  27. “Primary CNS Lymphoma: Overview, Etiology, Epidemiology” . 2019年 11月 9日.  
  28. Mallick, Indranil. “How Is Lymphoma Diagnosed?” . verywellhealth.  
  29. Manli Jiang, N. Nora Bennani, and Andrew L. Feldman. Lymphoma classification update: T-cell lymphomas, Hodgkin lymphoma, and histiocytic/dendritic cell neoplasms. Expert Rev Hematol. 2017 Mar; 10(3): 239?249. Author Manuscript.
  30. “Intrathecal chemotherapy in lymphomatous meningitis”. 《Critical Reviews in Oncology/Hematology》 79 (2): 127?134. August 2011. doi : 10.1016/j.critrevonc.2010.07.005 . PMID  20696592 .  
  31. “Hodgkins Lymphoma Incidence” . 2015年 5月 14日 . 2017年 10月 2日에 確認함 .  
  32. National Cancer Institute, "Hodgkin Lymphoma", “Lymphoma?Patient Version” . 2013年 8月 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8月 5日에 確認함 .  , accessed on 2013-08-05
  33. National Cancer Institute. "What You Need To Know About Hodgkin Lymphoma". U.S. Dep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nline at “Archived copy” (PDF) . 2014年 1月 24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8月 5日에 確認함 .  ), pg 4.
  34. “Epstein-Barr virus (EBV)-associated lymphoid proliferations, a 2018 update”. 《Human Pathology》 79 : 18?41. September 2018. doi : 10.1016/j.humpath.2018.05.020 . PMID  29885408 .  
  35. Wagman LD. (2008). 〈Principles of Surgical Oncology〉. 《Cancer Management: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11板. CMPMedica. ISBN  9781891483622 . 2013年 10月 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36. “Chronic Leukemias” . 《The Merck Manual of Geriatrics》. 2010年 7月 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37. Lymphoma, Follicular - eMedicine
  38. :::: 50% for limited stage: Leitch HA, Gascoyne RD, Chhanabhai M, Voss NJ, Klasa R, Connors JM (October 2003). “Limited-stage mantle-cell lymphoma”. 《Annals of Oncology》 14 (10): 1555?1561. doi : 10.1093/annonc/mdg414 . PMID  14504058 .  
    70% for advanced stage: Herrmann A, Hoster E, Zwingers T, Brittinger G, Engelhard M, Meusers P, 外. (February 2009). “Improvement of overall survival in advanced stage mantle cell lymphoma”.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7 (4): 511?518. doi : 10.1200/JCO.2008.16.8435 . PMID  19075279 . S2CID  32350562 .  
  39. Turgeon, Mary Louise (2005). 《Clinical Hematology: Theory and Procedures》 936 4板.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85?6쪽. ISBN  978-0-7817-5007-3 . 2015年 9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40. Divine M, Casassus P, Koscielny S, Bosq J, Sebban C, Le Maignan C, 外. (December 2005). “Burkitt lymphoma in adults: a prospective study of 72 patients treated with an adapted pediatric LMB protocol”. 《Annals of Oncology》 16 (12): 1928?1935. doi : 10.1093/annonc/mdi403 . PMID  16284057 .  
  41. Kirova YM, Piedbois Y, Haddad E, Levy E, Calitchi E, Marinello G, Le Bourgeois JP (May 1999). “Radiotherapy in the management of mycosis fungoides: indications, results, prognosis. Twenty years experience”. 《Radiotherapy and Oncology》 51 (2): 147?151. doi : 10.1016/S0167-8140(99)00050-X . PMID  10435806 .  
  42. Clarke CA, Glaser SL, Dorfman RF, Bracci PM, Eberle E, Holly EA (January 2004). “Expert review of non-Hodgkin's lymphomas in a population-based cancer registry: reliability of diagnosis and subtype classifications”.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 13 (1): 138?143. doi : 10.1158/1055-9965.EPI-03-0250 . PMID  14744745 .  
  43. Non-Hodgkin Lymphoma - eMedicine
  44. “Archived copy” . 2004年 6月 27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5年 11月 7日에 確認함 .  
  45. “2022 ICD-10-CM Codes C81-C96: Malignant neoplasms of lymphoid, hematopoietic and related tissue” . 《www.icd10data.com》 . 2022年 2月 2日에 確認함 .  
  46. Cheson BD, Fisher RI, Barrington SF, Cavalli F, Schwartz LH, Zucca E, Lister TA (September 2014). “Recommendations for initial evaluation, staging, and response assessment of Hodgkin and non-Hodgkin lymphoma: the Lugano classification” .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32 (27): 3059?3068. doi : 10.1200/JCO.2013.54.8800 . PMC  4979083 . PMID  25113753 .  
  47. Carbone PP, Kaplan HS, Musshoff K, Smithers DW, Tubiana M (November 1971). “Report of the Committee on Hodgkin's Disease Staging Classification”. 《Cancer Research》 31 (11): 1860?1861. PMID  5121694 .  
  48. International Non-Hodgkin's Lymphoma Prognostic Factors Project (September 1993). “A predictive model for aggressive non-Hodgkin's lymphoma”.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29 (14): 987?994. doi : 10.1056/NEJM199309303291402 . PMID  8141877 .  
  49. Xia D, Morgan EA, Berger D, Pinkus GS , Ferry JA, Zukerberg LR (January 2019). “NK-Cell Enteropathy and Similar Indolent Lymphoproliferative Disorders: A Case Series With Literature Review”.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 151 (1): 75?85. doi : 10.1093/ajcp/aqy108 . PMID  30212873 . S2CID  52272766 .  
  50. Sweetenham JW (November 2009). “Treatment of lymphoblastic lymphoma in adults”. 《Oncology》 23 (12): 1015?1020. PMID  20017283 .  
  51. Elphee EE (May 2008).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uncertainty in patients with indolent lymphoma”. 《Oncology Nursing Forum》 35 (3): 449?454. doi : 10.1188/08.ONF.449-454 . PMID  18467294 . S2CID  25207677 .  
  52. Ansell SM (April 2014). “Follicular lymphoma: watch and wait is watch and worry”. 《The Lancet. Oncology》 15 (4): 368?369. doi : 10.1016/S1470-2045(14)70066-X . PMID  24602759 .  
  53. Bernstein SH, Burack WR (2009). “The incidence, natural history, biology, and treatment of transformed lymphomas”. 《Hematology.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Education Program》 2009 : 532?541. doi : 10.1182/asheducation-2009.1.532 . PMID  20008238 . S2CID  12185761 .  
  54. Jenkins EC (January 1972). “Wire-loop application of liquid emulsion to slides for autoradiography in light microscopy”. 《Stain Technology》 47 (1): 23?26. doi : 10.3109/10520297209116530 . PMID  4550425 .  
  55. Philip T, Guglielmi C, Hagenbeek A, Somers R, Van der Lelie H, Bron D, 外. (December 1995). “Autologous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s compared with salvage chemotherapy in relapses of chemotherapy-sensitive non-Hodgkin's lymphoma”.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3 (23): 1540?1545. doi : 10.1056/nejm199512073332305 . PMID  7477169 .  
  56. Fisher SA, Cutler A, Doree C, Brunskill SJ, Stanworth SJ, Navarrete C, Girdlestone J (January 2019). Cochrane Haematological Malignancies Group, 編輯. “Mesenchymal stromal cells as treatment or prophylaxis for acute or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in ha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HSCT) recipients with a haematological condition” .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1): CD009768. doi : 10.1002/14651858.CD009768.pub2 . PMC  6353308 . PMID  30697701 .  
  57. Estcourt L, Stanworth S, Doree C, Hopewell S, Murphy MF, Tinmouth A, Heddle N (May 2012). Cochrane Haematological Malignancies Group, 編輯. “Prophylactic platelet transfusion for prevention of bleeding in patients with haematological disorders after chemotherapy and stem cell transplantation”.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5): CD004269. doi : 10.1002/14651858.CD004269.pub3 . PMID  22592695 .  
  58. Estcourt LJ, Stanworth SJ, Doree C, Hopewell S, Trivella M, Murphy MF (November 2015). Cochrane Haematological Malignancies Group, 編輯. “Comparison of different platelet count thresholds to guide administration of prophylactic platelet transfusion for preventing bleeding in people with haematological disorders after myelosuppressive chemotherapy or stem cell transplantation” .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5 (11): CD010983. doi : 10.1002/14651858.CD010983.pub2 . PMC  4717525 . PMID  26576687 .  
  59. Ingram, Ian (2021年 2月 5日). “New CAR-T for Aggressive B-Cell Lymphoma Wins FDA Nod” . 《www.medpagetoday.com》 (英語) . 2021年 2月 9日에 確認함 .  
  60. Martin NE, Ng AK (November 2009). “Good things come in small packages: low-dose radiation as palliation for indolent non-Hodgkin lymphomas”. 《Leukemia & Lymphoma》 50 (11): 1765?1772. doi : 10.3109/10428190903186510 . PMID  19883306 . S2CID  11004437 .  
  61. Kuruvilla J (2009). “Standard therapy of advanced Hodgkin lymphoma”. 《Hematology.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Education Program》 2009 : 497?506. doi : 10.1182/asheducation-2009.1.497 . PMID  20008235 .  
  62. Viviani S, Zinzani PL, Rambaldi A, Brusamolino E, Levis A, Bonfante V, 外. (July 2011). “ABVD versus BEACOPP for Hodgkin's lymphoma when high-dose salvage is planned”.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5 (3): 203?212. doi : 10.1056/NEJMoa1100340 . PMID  21774708 . S2CID  10038896 .  
  63. Aldin A, Umlauff L, Estcourt LJ, Collins G, Moons KG, Engert A, 外. (January 2020). Cochrane Haematology Group, 編輯. “Interim PET-results for prognosis in adults with Hodgkin lympho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ognostic factor studies” .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8): CD012643. doi : 10.1002/14651858.CD012643.pub3 . PMC  6984446 . PMID  31930780 .  
  64. Ferrell B, Connor SR, Cordes A, Dahlin CM, Fine PG, Hutton N, 外. (June 2007). “The national agenda for quality palliative care: the National Consensus Project and the National Quality Forum”.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33 (6): 737?744. doi : 10.1016/j.jpainsymman.2007.02.024 . PMID  17531914 .  
  65. * The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made this recommendation based on various cancers. See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 “Five Thing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Question” (PDF) , 《Choosing Wisely: an initiative of the ABIM Foundation 》 (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 2012年 7月 31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8月 14日에 確認함  
  66. Higginson IJ, Evans CJ (2010). “What is the evidence that palliative care teams improve outcomes for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Cancer Journal》 16 (5): 423?435. doi : 10.1097/PPO.0b013e3181f684e5 . PMID  20890138 . S2CID  39881122 .  
  67. “Palliative Care: It's for Caregivers Too, Says Study” . 2014年 6月 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8月 21日에 確認함 .  
  68. Heath JA, Clarke NE, Donath SM, McCarthy M, Anderson VA, Wolfe J (January 2010). “Symptoms and suffering at the end of life in children with cancer: an Australian perspective”. 《Th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192 (2): 71?75. doi : 10.5694/j.1326-5377.2010.tb03420.x . PMID  20078405 . S2CID  8355159 .  
  69. Schmidt P, Otto M, Hechler T, Metzing S, Wolfe J, Zernikow B (September 2013). “Did increased availability of pediatric palliative care lead to improved palliative care outcomes in children with cancer?”.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16 (9): 1034?1039. doi : 10.1089/jpm.2013.0014 . PMID  23901834 .  
  70. Tang ST, Chang WC, Chen JS, Wang HM, Shen WC, Li CY, Liao YC (June 2013). “Course and predictor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until their death”. 《Psycho-Oncology》 22 (6): 1312?1318. doi : 10.1002/pon.3141 . PMID  22836818 . S2CID  31552330 .  
  71. Chung HM, Lyckholm LJ, Smith TJ (February 2009). “Palliative care in BMT”. 《Bone Marrow Transplantation》 43 (4): 265?273. doi : 10.1038/bmt.2008.436 . PMID  19151797 .  
  72. “Providing Palliative Care to Family Caregivers Throughout the Bone Marrow Transplantation Trajectory” . 2013年 8月 1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8月 21日에 確認함 .  
  73. Knips L, Bergenthal N, Streckmann F, Monsef I, Elter T, Skoetz N (January 2019). Cochrane Haematological Malignancies Group, 編輯. “Aerobic physical exercise for adult patients with haematological malignancies” .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1): CD009075. doi : 10.1002/14651858.CD009075.pub3 . PMC  6354325 . PMID  30702150 .  
  74. “SEER Stat Fact Sheets: Lymphoma” . 2013年 10月 1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75. Horner MJ, Ries LG, Krapcho M, Neyman N. “SEER Cancer Statistics Review, 1975?2006” .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SEER)》. Bethesda, MD: National Cancer Institute . 2009年 9月 2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9年 11月 3日에 確認함 . Table 1.4: Age-Adjusted SEER Incidence and U.S. Death Rates and 5-Year Relative Survival Rates By Primary Cancer Site, Sex and Time Period  
  76. Tran H, Nourse J, Hall S, Green M, Griffiths L, Gandhi MK (September 2008). “Immunodeficiency-associated lymphomas”. 《Blood Reviews》 22 (5): 261?281. doi : 10.1016/j.blre.2008.03.009 . PMID  18456377 .  
  77. Jin-Man Kim; 外. (2011年 4月 2日). “Relative frequencies of the histologic subtypes of non-Hodgkin lymphoma. MALT,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NK, natural killer; CLL/SLL, chronic lymphocytic leukemia/small lymphocytic lymphoma.” (PDF) . 《The Korean Journal of Pathology》.  
  78. Hellman, Samuel; Mauch, P.M. Ed. (1999). 〈Chapter 1〉. 《Hodgkin's Diseas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쪽. ISBN  0-7817-1502-4 .  
  79. “-oma” . 《Online Etymology Dictionary》.  
  80. “Search of: Lymphoma - List Results - ClinicalTrials.gov” . 2013年 1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10月 30日에 確認함 .  
  81. “Understanding Clinical Trials for Blood Cancers” (PDF) . 《The Leukemia & Lymphoma Society》. Leukemia and Lymphoma Society. 2011年 1月 5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5月 19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