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일렉 其他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일렉트릭 기타 (電氣 guitar, electric guitar), 또는 電氣 기타 는 玄의 振動 픽업 에서 電氣 信號로 바꾸어 앰프 (amplifier) 소리를 내는 기타 이다. 한便 電子 기타 라고 表現하는 境遇도 種種 보이는데, 이는 틀린 用語다.

일렉 기타
1954년제 깁슨 레스폴 일렉트릭 기타
1954年制 깁슨 레스폴 일렉트릭 기타
1954年制 깁슨 레스폴 일렉트릭 기타
다른 이름 기타, 일렉 기타, 솔리드바디 기타
分類 기타
호른보스텔
작스 分類
321.322
(混成 絃울림樂器 )
發展 1930年代
音域
音樂家

特徵 編輯

앰프 를 連結하지 않아도 소리가 나기는 하지만, 울림筒이 있는 다른 其他에 비해 音量이 매우 작다. 可變抵抗의 一種인 볼륨 노브(volume knob)로 音量을 調節할 수 있으며, 이펙터 (effector)를 利用하여 다양한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다. 主로 피크 를 利用하여 演奏하며 間或 손가락이나 다른 道具로 연주하기도 한다. 電氣 信號를 利用하기 때문에 다른 기타 와 區別되는 獨特한 奏法이나 演奏 形態가 많다.

歷史 編輯

Rickenbacker(理켄베커) 其他의 誕生이 일렉트릭 기타의 最初라고 定義한다. 일렉트릭 기타의 最初를 規定 할 수 있는 것은 바로 픽업의 使用이다. 1931年 Adolph Rickenbaker (아돌프 理켄베커 1886~1976)와 George D. Beauchamp (조지 뷰캠프)가 'Rickenbacker Internatinal Corporation'이라는 會社를 設立한다. 會社設立과 함께 世界 最初의 일렉트릭 기타 'Frying Pan'(右側寫眞)이 登場하면서 일렉트릭 기타 樂器의 新歷史를 열게 된다. 以後, Fender에서 싱글코일 픽업을 開發하면서 1950年에 Telecaster를 發賣한다. 이 기타를 電氣기타의 大衆化 時代를 열은 처음 기타로 보고 있는데, 1950年에 發賣되어 現在까지 生産되고 있으며, 最初로 大量 生産된 製品이라 以前에 겨우 數十臺, 數百臺 生産된 製品들과는 次元이 다르다. 일렉其他의 大衆化에 成功한 첫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Gibson은 當時 Epiphone에 依賴하여 일렉트릭 기타를 開發하고 있던 有名 기타리스트 Les Paul 氏의 디자인을 라이센싱하여 Les Paul 기타를 1952年에 發賣한다. 이 其他는 Gibson에서 開發한 P90 픽업을 使用했다. Fender는 다시 1954年에 Stratocaster를 發賣하면서 一躍 世界 일렉트릭 기타 音樂의 時代를 열게 된다.

픽업 編輯

픽업 (pickup)은 絃의 振動을 電氣的 信號로 變換 發生시킨다. 一般的으로 일렉트릭 기타에는 1~3個의 픽업이 裝着되어 있다. 픽업의 種類로는 싱글코일과 그 개량형인 험버커가 代表的이다. 험버커는 싱글코일과 달리 電氣的 雜音이 적고 變換出力이 더 고른 것이 그 特徵이다. Positive와 negative 코일을 2個 使用하여 雜音을 相殺시키는 構造이다.

소리 發生의 原理 編輯

일렉트릭 기타에서 소리가 나는 方式은 픽업의 原理를 理解하면 알 수 있다.픽업은 絃의 振動을 電流의 흐름으로 바꿔서 이 信號를 앰프에 傳達해 주는 役割을 한다. 振動을 電流로 바꾼다는 點에서 마이크와 비슷하지만 重要한 差異點이 있다.마이크는 空氣의 振動을 感知하지만 픽업은 絃의 振動만을 感知해낸다는 것이다. 픽업의 原理는 簡單하다 "前線(코일) 周圍의 磁氣場이 變化하면 戰線에 電流가 흐른다."라는 自然現象을 利用한 것이다. 磁氣場을 變化시키는 簡單한 方法은 磁石을 運動시키거나 코일을 運動시키는 것이다. 마이크의 原理는 얇은 板에 코일을 固定시키고 이 판의 空氣의 振動에 依해 떨리면 코일도 같이 振動하면서 코일에 電流가 發生하는 것이다

. 그러나 픽업의 境遇에는 조금 다른데 옆의 그림처럼 磁石도 코일도 모두 固定되어 있다. 그 解答은 바로 기타줄에 있다.줄은 鋼鐵이나 니켈成分으로 되어있는데 이것이 自己場 안에서 振動하면서 픽업의 磁氣場을 변화시킨다. 그 結果 코일에 電流가 흐르게 되고 앰프에서는 이 電流의 變化를 增幅시키는 것이다. 기타줄은 반드시 鋼鐵, 니켈, 구리 等等의 導體로 되어 있어야만 픽업을 제대로 作動시킨다. 空氣의 振動이나 사람의 音聲, 쇠가 아닌 나일론 줄의 振動 等은 픽업을 통해서 增幅되지 않는다.

構造와 名稱 編輯

  • 바디(Body): 其他의 몸體를 이루고 있는 部分. 基本的으로 木材로 되어 있고 다양한 種類의 音響목이 쓰인다.
  • 넥(Neck): 스트링을 支撐하는 部分이고 實際 演奏가 이루어지는 部分이다.
  • 헤드(Head): 스트링을 固定하는 헤드머신이 달려 있는 部位로 其他의 種類에 따라 이 部分이 없는 境遇도 있다. 一般的으로 디자인的 觀點에서 其他의 이미지를 결정짓는 重要한 部分이다.
  • 브릿지(Bridge): 헤드머신과 함께 스트링을 支撐하는 重要한 部分으로 다양한 形態의 브리지가 있으며 브리지의 調整은 매우 重要한 機能이다.
  • 픽업(Pickup): 스트링의 振動을 捕捉하여 電氣的 信號로 變換, 앰프를 통하여 소리가 나도록 하는 파트이다.
  • 픽가드(Pickguard): 픽업과 파츠의 支持臺 役割을 하며, 바디를 기스로부터 保護한다.
  • 너트(Nut): 스트링을 一定間隔으로 維持될 수 있도록 받쳐주고 音이 始作되는 重要한 포인트이다.
  • 새들(Saddle): 브리지 위에 세워 줄의 텐션(張力)을 直接 받는 部分이다.
  • 프렛(Fret): 넥床에서 音의 間隔을 區分해주는 役割을 한다. 이 프렛이 없는 기타도 있다.(바이올린처럼)
  • 픽가드(Pickguard): 이 部分은 其他의 種類에 따라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피킹視 바디가 입을 수 있는 損傷을 防止해주고 美的인 效果가 있다.
  • 포지션마크(Position Mark): 字板의 音階를 쉽게 把握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標示이다.
  • 字板(Finger Board): 기타의 音을 연주하기 위한 플랫이 박혀있는 板. 플랫보드, 핑거보드, 字板 等으로 부른다.
  • 픽업 스위치(Pickup Select S/W): 픽업을 選擇하는 스위치로 聯珠詩 演奏者의 目的에 따라 演奏되는 픽업의 位置를 選擇한다.
  • 볼륨 노브(Volume Knob): 其他의 볼륨을 調節한다. 亦是 其他의 種類에 따라 1個짜리, 2個짜리 等等 여러 가지가 있다.
  • 톤 노브(Tone Knob): 기타音의 높은音歷代(treble)의 量을 調節한다. 줄일수록 뭉툭한 소리가 나고 높일수록 까랑한 소리가 난다.
  • 잭(Jack): 픽업에서 電氣信號가 나오는 곳. 케이블을 使用하여 앰프와 連結한다.
  • 스트랩 핀(Strap Pin): 樂器를 서서 연주하기 위한 스트랩을 걸 수 있는 고리이다.
  • 줄감개(Machine Head): 줄을 連結하여 감거나 풀면서 音의 높낮이를 調節할 수 있게 해준다.

바디(Body) 編輯

一般的으로 電氣기타의 몸통 部分인 바디(body)는 나무로 만들어지며, 속이 비었는가에 따라 한 덩어리의 나무로 만들어진 솔리드(solid), 一般的인 기타처럼 속이 비어 있는 黠虜(hollow), 속이 비어 있지만 中心部에만 나무로 막혀 있는 세미黠虜(semi-hollow)로 나뉜다.

種類 編輯

開館: 種類는 크게 펜더 系列의 기타와 깁슨 系列의 其他로 나눌 수 있다. 이 두會社에서 만들어 낸 기타는 일렉其他의 標準으로 자리 잡았으며, 大部分의 일렉其他會社는 이 두 會社의 기타를 카피해서 生産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다른 其他會社가 亞流라는 것은 아니다. 펜더와 깁슨을 除外한 다른 會社의 일렉其他 亦是 優秀한 品質의 製品이 相當히 많은 便이며, 日本의 ESP나 獨逸의 Framus의 境遇에는 스탠다드 라인이 펜더와 깁슨의 퀄리티를 아득히 뛰어넘는 境遇도 있다.

레스 폴 (Les Paul) 編輯

깁슨 社(社)의 看板 일렉트릭 기타 商標이다.명칭은 共同 開發에 參與한 기타리스트, 레스 폴의 이름에서 由來한다. 소리의 무게感과 그루브感이 뛰어난 일렉其他이다. 슬래쉬, 게리무어, 잭와일드 等 많은 有名 기타리스트들의 사랑을 받는 모델이다.

  1. 密度높은 木材(마호가니, 메이플 等)를 使用하여 긴 西스테인과 묵직한 低音
  2. 동그란 外觀과는 달리 무겁고 두터운 소리를 냄
  3. 어울리는 音樂: 재즈, 블루스, 메탈, 落, 펑크

Flying V 編輯

깁슨(Gibson)社에서 처음 만들었고 메탈에서도 많이 使用하지만 블루스에서도 使用한다. 기타 바디가 V自認 理由는 깁슨社에서 하늘을 나는 로켓을 보고 令監을 얻어서 만든 것이기 때문이다.처음에는 이런 模樣의 기타도 만들 수 있다는 깁슨의 技術力을 誇示하기 위해 製作되었으며, 깁슨이 固執하는 마호가니 木材가 아닌 코리나 木材를 使用하여 特有의 셋人넥 工法으로 製作되었다. 깁슨 익스플로러와 마찬가지로 이벤트性 모델이었고, 販賣量 自體도 몇十對度 안돼서 出市해에 바로 단종되었었다. 以後 색다른 模樣의 기타의 찾던 기타리스트들이 플라잉브이를 使用하기 始作했고, 다시 人氣를 끌게되어 58年 리이슈하게 되었다. 當時 바뀐 스펙이 以後 흔히 볼 수 있게 된 마호가니 플라잉브이이다. 흔히 그 現代的인 디자인 때문에 록音樂 專用으로 잘못 알려져 있으나, 事實은 元來 블루스用으로 生産된 것인만큼 汎用性이 뛰어나며, 剛한 드라이브를 건 사운드는 當然히 좋지만, 크런치톤이나 클린톤 亦是 매우 훌륭한 기타이다. 모델에 따라 다르긴해도 드라이브는 普通 가볍고 얕은 粒子感의 드라이브가 걸린다. 反面 클린톤은 모델을 가리지 않고 플라잉 브이 特有의 뭉글뭉글한 클린톤이 나오는데, 이 톤은 오직 플라잉 브이에서만 느낄 수 있다.

SG 編輯

깁슨 辭意 기타 모델이며 基本的으로 깁슨 特有의 重厚한 사운드를 가지고 있으나, 레스폴과는 差別되는 强한 出力에서 나오는 하드限 드라이브톤과 따뜻한 클린톤이 다른 其他들과 差別되는 特徵으로 많은 매니아層을 保有하고 있다. 反對로 이야기하면 너무도 個性的인 사운드를 가지고 있기에 好不好가 많이 가리는 便이다. 한 달도 못쓰고 파는 使用者가 있는가 하면 平生동안 SG만 使用하는 기타리스트들도 있을 程度이다. 누구는 레스폴을 使用하는 演奏者들은 그 먹먹한 톤과 非人體工學的 設計 때문에 不足함을 느끼고 다른 其他都 汎用해서 使用하지만, SG에 魅力을 느껴 SG만 쓰는 使用者는 SG만 使用할 만큼 마니아가 된다고 한다. 이 樂器를 愛用하는 代表的인 기타리스트는 앵거스 영(Angus Young) 과 토니 아이오미(Tony Iommi)가 있다. 넥이 얇고 하이플랫 演奏家 容易하며 무게가 가벼운 것이 主要한 特徵이다

스트라토캐스터 (Stratocaster) 編輯

펜더(Fender)社에서 開發한 모델로 가장 平凡하고 大衆的인 其他라고 할 만큼 汎用的인 장르 사운드를 낸다. 大體로 맑고 밝은 소리가 난다. 픽업은 一旦 싱글 픽업이 3個가 使用된다. 텔레캐스터와 마찬가지로 리어픽업은 비스듬하게 박혀있다. 스트랫의 아이덴티티는 바로 이 싱글픽업인데, 싱글픽업의 클린톤이 正말로 아름답다. 물방울이 떨어지는 듯한 맑고 淸雅한 클린톤은 스트라토캐스터만이 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프톤 셋팅을 利用해서 獨特한 소리를 낼수도 있으며, 블루스, 재즈, 펑크 等等에서 活躍하고 있다.특이사항으로는 펜더 기타를 使用하는 뮤지션 中 大衆的으로 가장 推仰 받는 기타리스트인 에릭 클랩튼이 있다.

  1. 미들톤, 하이톤이 鮮明하여 솔로 演奏 時 明快하게 들림
  2. 블루스, 재즈 장르에 特히 어울림

재규어 (Jaguar) 編輯

펜더社에서 62年 公開된 일렉트릭 기타이다. 스트라토캐스터를 비튼 느낌의 바디로 많이 알려져 있다. 代表的인 유저로는 너바나의 커트 코베인이 있다.57년 出市된 재즈마스터를 基盤으로 製作되었으며, 재즈마스터와 마찬가지로 發賣 當時에는 서프록 밴드들 사이에서 큰 人氣를 누렸다. 다만 떨어지는 汎用性等의 問題로, 1975年부터 美國 生産品은 단종되었다. 재즈마스터, 머스탱과 더불어 펜더 기타 中 3大 非人氣 기타로 有名하지만[2] 인디音樂 愛好家들 사이에서는 MUST HAVE ITEM으로 꼽히는 獨特한 樂器이다. 旣存의 1볼륨 2톤 5픽업 셀렉터만 가지고도 이펙터를 活用하여 幅 넓은 소리를 만들 수 있는게 일렉트릭 기타인데 재규어는 그것을 매우 폭넓게 利用할 수 있게 해보자는 趣旨에서 만들어진 其他였다. 發賣 當時에는 高級 自動車 재규어의 느낌 그대로 펜더 製品 中 가장 高級仕樣/高架 라인으로 分類되어 販賣했으나 壯烈히 戰死한 悲運의 其他가 되었다. 하지만 金屬性이 짙게 묻어있는 톤과 多樣한 픽업 組合으로 얻을 수 있었던 사운드와 하이게인 사운드에 묻어나오는 짙은 노이즈까지 인디록 뮤지션들에게 큰 反響을 일으켰다. 픽업의 On/OFF나 줄 間隔까지 調節할 수 있었다. 또한 싱글 픽업의 雜音을 잡아주기 위해 픽업 周邊을 쇠붙이로 둘러싼 것이 特徵으로, 一般的인 스트라토캐스터龍 싱글 픽업과는 다르며 소리도 스트랫이나 텔레캐스터에 비해서 多少 溫乾한 便이다. 60年代 서프록의 黃金期 以後에는 80年代를 즈음하여서는 인디록 뮤지션들 사이에서 流行하기 始作하였다. 代表的 밴드로는 스미스,픽시즈,소닉 유스,마이 블러디 발렌타인,다이노서 주니어等이 있다.

재즈마스터 (Jazzmaster) 編輯

펜더社에서 1958年 最初 公開한 일렉트릭 기타이다.펜더사 最初의 左右 非對稱 일렉트릭 기타이다. 이름처럼 最初에는 재즈기타리스트들을 위하여 設計되었다. 재즈의 境遇 조금 朦朧한 사운드를 잡는 傾向이 있어 많은 재즈 뮤지션들이 깁슨이나 그레치의 사운드를 選好하였다. 이에 재즈 기타리스트들에게도 어필하기 위한 모델로써 導入되었으나 큰 反響을 얻지는 못하였다. 元來의 製作 意圖와는 다르게 캘리포니아 基盤의 서프록의 사운드에 絶妙하게 어울려 60年代에 널리 利用되었으며, 70年代에는 텔레비전이나 엘비스 코스텔로等의 뮤지션들이 主로 使用하였다. 그러나 스트라토캐스터나 텔레캐스터에 비하여 汎用性이 매우 떨어졌으므로 1980年度에 製作이 中斷되었고, 日帝 펜더를 통하여서만 1984年부터 販賣되었다. 以後 2007年 빈티지 리이슈 시리즈로 27年만에 美國 펜더에서 재즈마스터를 製作하게 되었다.현재는 멕시코産 Classic Players 라인에서도 재즈마스터가 出市되었다. 사운드는 스트라토캐스트와 比較하였을 때 徐스테인이 짧으며, 또한 줄의 壯力이 弱해 金屬性의 소리가 살짝 묻어난다. 이러한 사운드가 시원하고 淸凉한 느낌을 주었기 때문에, 60年代 서프록 밴드들 사이에서 크게 流行하였다.

텔레캐스터 (Telecaster) 編輯

스트라토캐스터와 함께 펜더(Fender) 社에서 開發한 모델이다. 스트라토캐스터보다 먼저 開發된 最初의 솔리드型 기타이며 스트라토캐스터처럼 맑은 소리를 내지만 좀 더 個性이 强한 소리가 난다.

  1. 솔리드 바디와 메이플 넥을 많이 使用하며 픽업이 銳敏하게 反應해서 블루스나 락앤롤에 어울림.
  2. 絢爛한 屬州 솔로剩보다는 신나는 리듬과 느낌있는 블루스 솔로잉 等에 어울림.

지미페이지와 함께 3代 기타리스트에 屬하는 제프 白이 텔레캐스터를 使用한 것으로 알려진다.

할로우바디 (Hollow body) 編輯

할로우바디는 일렉 기타를 論할 때 잘 끼지 못하고 그렇다고 筒기타人 것도 아닌 曖昧한 部分이 있다. 그러나 只今도 수많은 기타리스트들이 愛用하고 있고, 그 固有의 울림으로 가장 자연스러운 소리가 나는 일렉其他라고 評價받고 있다. 그렇기에 재즈나 블루스 等에 主로 쓰이고 퓨전이나 모던落, 모델에 따라서 하드락까지도 두루 쓰인다. 또한 F홀, 둥글고 曲線이 두드러지는 바디, 곱상한 色相 等으로 外觀上 고급스러운 느낌이 들기도 한다. 할로우바디는 두가지 種類로 나뉜다. 세미할로우바디와 풀할로우바디. 세미할로우는 어느 程度 旣存 솔리드바디 일렉其他의 特性을 갖고 있다. 바디 中間이 센터블럭으로 박혀있고 덩치도 그리 크지 않다. 特有의 담백咸告 부드러운 소리가 特徵이다. 反面에 풀할로우바디는 完全 비어있는 소리가 난다. 主로 正統 재즈나 正統 블루스에서만 쓰이며, 以外 장르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세미할로우를 使用하는 有名 기타르스트로는 오아시스의 노엘 갤러거가 있으며 에피폰 社의 시그네쳐를 使用했다.

같이 보기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