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仁川眼目 勸相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仁川眼目 勸相

仁川眼目 勸相 (人天眼目 卷上)은 서울特別市 鍾路區 서울歷史博物館 에 있는 朝鮮時代 의 冊이다. 2011年 9月 8日 서울特別市의 有形文化財 第317號로 指定 [1] 되었다.

仁川眼目 勸相
(人天眼目 卷上)
대한민국 서울特別市 有形文化財
種目 有形文化財 第317號
( 2011年 9月 8日 指定)
數量 1冊
時代 朝鮮時代
住所 서울特別市 鍾路區 새문안로 55
(신문로2街, 서울歷史博物館 )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指定事由 編輯

仁川眼目이란 “人間과 天上의 一切가 모두 衆生의 眼目이 된다.”는 뜻으로 이 冊은 宋나라의 高僧 人 支所(智昭)가 當時의 中國 先文 5街(五家), 卽 臨濟宗·雲門宗·曹洞宗·潙仰宗·法眼宗 等 5種의 强要(綱要)와 이 宗派 調査(祖師)의 有故·盞게(殘偈)·칭제(稱提)·수시(垂示) 等을 모아 그 特徵을 밝힌 것이다. [1]

元나라에서 刊行된 版本을 바탕으로 朝鮮 太祖 4年(1395)에 無學大師가 檜巖寺에서 거듭 刊行한 版本으로, 비록 缺本이나 寶物로 指定된 完帙本과 東日本으로 朝鮮時代 刊本의 形式을 잘 갖추고 있다. [1]

調査報告書 編輯

仁川眼目이란 “人間과 天上의 一切가 모두 衆生의 眼目이 된다.”는 뜻이다. 이 冊은 宋나라의 高僧인 支所(智昭)가 當時의 中國 先文 5街(五家), 卽 臨濟宗·雲門宗·曹洞宗·潙仰宗·法眼宗 等 5種의 强要(綱要)와 이 宗派 調査(祖師)의 有故·盞게(殘偈)·칭제(稱提)·수시(垂示) 等을 모아 그 特徵을 밝힌 것이다. [1]

서울歷史博物館 所長의 商圈 1冊은 基 寶物로 指定된 賞?中?하 3卷으로 된 完帙本의 상권과 比較해 보면 同一한 版本임을 알 수 있으며, 現在 完帙本 3種은 寶物 第640號(아단文庫 所長), 寶物 第1015號(丹陽 救仁寺 所長), 寶物 第1094號(三星出版博物館 所藏)로 指定되어 있다. [1]

商權의 卷尾에는 “자덕대부자정사강공금강졸중중판유/警査高麗大성수경船社/지정십칠년정유삼일송월한인옥전지(資德大夫資正使姜公金剛卒衆重板留/京師高麗大聖壽慶禪寺/至正十七年丁酉三日松月閑人玉田誌)” 라는 記錄이 있는데 “강금강이 죽자 1357年(恭愍王 6)에 重刊하고, 木版은 元나라에 있던 高麗의 水景船社에 두었다. 송월韓人 玉田은 적는다.”라는 意味이다. 그런데 寶物로 指定된 完帙本 下卷의 卷尾에는 이 記錄과 함께 紅무 乙亥(太祖4,1395)年 10月에 敵은 목은 異色(1328~1396)의 지(誌)와 王師였던 妙嚴尊者 舞鶴(無學)의 官職 等이 있고, 마지막 行에 “檜巖寺流派(檜?寺留板)”이라고 되어 있다. [1]

이러한 記錄들을 綜合 해보면 이 冊은 元나라에서 刊行된 版本을 바탕으로 朝鮮 太祖 4年(1395)에 無學大師가 檜巖寺에서 거듭 刊行한 版本으로 보인다. 版式은 四周쌍변, 유계, 內向黑어미로 되어 있으며 行字數는 10行 20字이며 朝鮮時代 刊本의 形式을 잘 갖추고 있다. [1]

이 冊은 元나라에서 刊行된 版本을 바탕으로 朝鮮 太祖 4年(1395)에 無學大師가 檜巖寺에서 거듭 刊行한 版本으로 비록 上卷만 傳하는 缺本이나, 寶物로 指定된 完帙本과 東日本이고 保存狀態도 좋으며 朝鮮時代 刊本의 形式을 잘 갖추고 있다. [1]

各州 編輯

  1. 서울特別市告示 第2011-253號, 《서울特別市 有形文化財 및 文化財資料 指定告示》, 서울時報 第3066號, 15쪽, 2011-09-08

參考 資料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