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이지 (1527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이탁오 (李卓吾: 1527年 11月 19日 陰曆 10月 26日 ]~ 1602年 5月 7日 陰曆 3月 16日 ])는 中國 明나라 양명左派 思想家이다. “잘나신 나”라는 뜻의 “탁오”는 이고, 이지 (李贄)다. 號는 溫陵(溫陵)이었다. [1] 初名은 임재지 (林載贄)였으나 以後에 宗家의 姓(姓)을 따라 이지로 改名했다. 福建省 (福建省) 千主婦 (泉州府) 鎭江縣 (晋江縣)(오늘날 푸젠성 취안저우 ) 出身이다. 儒學者 이면서 이슬람敎 度였으며, 當代 性理學 者들로부터 紀行을 한다고 非難을 받았다.

이지 肖像畫

生涯 編輯

이탁오의 官職 生活은 河南省 · 北京 · 南京 의 下級 官吏 및 男莖形部員外랑(南京刑部員外郞)을 거쳐, 51歲 때 雲南省 要眼部(姚安府)의 支部(知府)가 되었다가 쉰네 살 때 그만둔 것이 全部이다.

<自讚(自贊>에서 이탁오는 自身의 性質은 偏狹하고, 性急하며, 얼굴 表情은 倨慢하고, 마음은 미치광이라고 스스로 評했다. 사람들과 交際 範圍는 아주 좁고, 만나면 매우 親密해지지만, 相對를 미워하면 그와 絶交하고 나아가 平生 그 사람을 고통스럽게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實際로는 따뜻한 옷, 豐盛한 飮食을 바라지만 節槪를 지키기 위해 굶어 죽은 伯夷와 宿題를 담고자 한다는 等, 理想과 實狀, 말과 行動, 卽 입과 뱃속이 몹시 다르다고 했다. 이러한 自己 評價를 말 그대로 받아들여선 안 된다. 여기엔 反語的 雰圍氣가 넘쳐난다. <高潔설>에서 그는 高潔함을 좋아하기에 傲慢하고 性急하며 마음이 좁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그는 權勢나 父 等 外的인 것에는 一切 神經 쓰지 않고, 어떤 사람이 가지고 있는 內的인 것(착하고 좋은 點)만을 바라보려 애썼다. [1]

이탁오의 性格은 至極히 獨善的인 데다가 외骨髓였다. 그는 사람들과 是非를 즐겼으며, 每事에 挑戰的이고 戰鬪的으로 對했다. 게다가 奇行을 좋아하고, 反儒敎的이고 破壞的 言辭를 자주 써서 當代 社會에서 큰 注目을 끌었다. 結局, 그는 當代 明나라 思想界에서 異端으로 몰리게 되었다. 1602年( 萬曆 30年) 腐敗한 官僚層의 彈壓을 받아 '도를 混亂케 하고 世上을 迷惑하게 했다'라는 罪目을 받아 思想犯으로 逮捕되었고, 獄中에서 목을 베어 自決했다. 享年 76歲였다. [1]

이탁오는 陽明學 의 創始者인 王陽明 (王陽明)과 王氣(王畿)를 道를 얻은 眞人(眞人)의 不死者(不死者)라면서 尊崇했다. 그의 思想에서 〈童心설(童心說)〉, 歷史 批判에서 善惡과 眩仆(賢否)의 相對化 等은 陽明學의 發展이면서 同時에 佛敎 나 노장 思想의 影響도 받았다.

史上 編輯

童心설(童心說) 編輯

이탁오 思想의 核心에 놓여 있는 學說이다. 《焚書》 第3卷에 실린 글에서 由來한다. 이 글에서 이탁오는 먼저 童心(童心)을 眞心(眞心, 참다운 마음)이라고 말한다. 이때의 童心은 "거짓이 全혀 없고 純眞無垢한 最初 一念(一念)의 本心"을 뜻한다. 이 마음을 잃으면 참다운 人間(眞人)이 아니게 된다. 어떻게 해서 그 마음을 잃어버리게 되는 것일까? [1]

사람은 童心을 갖고 태어난다. 하지만 자라면서 귀와 눈을 통해 外部로부터 듣고 보는 것 여러 가지가 들어가 世上에 對한 智慧도 發達한다. 그 때문에 童心이 妨害를 받고 거짓 行動(假事)이나 거짓말(假言)을 일삼게 되고, 結局 童心을 喪失한다. 참다운 人間의 마음을 喪失하고, 假짜 人間(假人)李 되는 것이다. [1]

이러한 論理를 바탕으로 이탁오는 天下에서 最高로 치는 文章은 當時 (唐詩, 唐나라 詩), 원곡(元曲, 元나라 演劇), 明나라 小說 《 水滸傳 》 等과 같이 童心에서 出發한 作品들이라고 主張한다. 이에 비해 六卿(六經)이나 《 論語 》, 《 孟子 》 같은 經書들에는 童心이 담겨 있지 않다. 六卿, 《 論語 》, 《 孟子 》는 工夫 못 하는 弟子들이 스승의 說明을 조금씩 알아들은 걸 모아 놓은 冊이거나 權威에 弱한 史觀들이 함부로 成人을 추어올리면서 쓴 冊이기 때문이다. 이런 冊들은 聖人의 마음을 直接 傳한 것이 아니고, 道學者들이 핑계나 辨明 거리로 삼기 위한 것에 不過하다. [1]

이탁오가 말하는 童心은 欲望도 包含하여, 살아 있는 人間의 赤裸裸한 마음에 가깝다. 그 反對便에 있는 거짓 마음은 童心을 壓搾하여 그것을 어떤 鑄型에 넣으려는 旣成 秩序나 道德官, 權威를 뜻한다. 具體的으로는 옛 經典의 權威를 口實 삼아 强要되는 旣成 道德의 가르침이다. 이탁오는 이를 道理의 見聞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見聞이 사람 內部에 注入되면 眞實한 마음인 赤裸裸한 童心은 사라진다. 그 탓에 사람은 假짜 人間이 되고, 거짓 行動을 일삼으며, 스스로를 疑心하지 않게 된다. 한마디로, 이탁오가 거짓으로 否定하는 件은 社會의 旣成觀念, 現在의 거짓 社會關係다. 具體的으로는 當代 流行했던 朱子學的 都統 觀念, 또는 그 觀念에 사로잡혀 自身의, 人間의 眞實한 希望이나 欲求를 忘却하는 일이다. [1]

이탁오에 따르면, 사람은 거짓을 끊고 純粹하게 참다운 最初의 一念인 本心, 卽 하지 않으려 해도 어찌할 수 없는, 赤裸裸한 童心에 바탕을 두고 眞實에 忠實한 삶을 살아야 한다. 그것이 참다운 삶이고, 그러한 삶에 依해 構築된 眞實을 따라 바람직한 社會關係나 理念을 實現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참다움은 旣存 社會 通念에 對해서는 破壞的이다. 反面 바람직한 未來의 社會相에 對해서는 創造的으로 作用한다. [1]

著書 編輯

《焚書》(焚書) 編輯

이탁오의 著作으로 전6권이며 《속墳서》(續焚書) 5卷이 附加됐다. 이 著書는 이탁오가 官職을 그만두고, 湖北省 黃안현 (黃安縣)에 살던 警定向(耿定向) 의 집에서 居하다가 思想的 對立으로 絶交한 後 마聖賢 (麻城縣) 용호(龍湖)의 지선원(芝仙院)에 居住하던 時節(59歲 以後) 十餘 年 동안 써 놓은 書簡, 隨筆, 詩 等을 모은 文集이다. 이 著書에서 代表的 論文은 제3권에 收錄된 〈童心설(童心說)〉이다. 어린아이의 마음을 잃어버리는 것은 보고 들은 知識이 밖으로부터 들어와 안의 主人이 되고, 道理가 들어와 안의 主人이 되기 때문이라면서, 特히 道理를 否定的으로 看做했다. 그의 主張에 따르면, 淫亂을 가르치는 《 徐相箕 》, 도둑을 가르치는 《 水滸傳 》 等과 같은 俗文學(俗文學)李 古今의 至極한 文章[至文]이고, 6景(六經)·《 論語 》·《 孟子 》는 道學者들의 핑계로 삼는 冊으로 僞善者를 만드는 源泉이다. 이 外에 《焚書》에는 “사람이 各各 생지(生知)를 所有하고, 모든 사람이 다 부처가 된다”는 것을 說明하고 (卷1 答周西嚴), “衣服을 입고 밥을 먹는 것. 이것이 人倫의 物理(物理)이다”(권2 答鄧石陽) 等 獨自的이면서 自由로운 見解가 많이 提示되어 있다.

《藏書》(藏書) 編輯

이탁오의 代表的 著作으로 전68권이다. 《속藏書》(續藏書) 27卷이 附加되어 있다. 《焚書》가 그의 文集으로 雜多한 것을 蒐集한 冊이라면, 이 冊은 戰國 時代 에서 원臺 (元代)까지를 記錄한 紀傳體(紀傳體) 歷史書다. 이 冊은 이탁오가 지선원에 滯留하던 十數 年 동안 著述한 것이다. 書頭의 〈藏書 世紀列傳 銃목典論〉(藏書世紀列傳總目前論)에서 是非와 善惡에는 正體(定體)가 없고, 全部 相對的, 竝存的이라고 主張했다. 이는 長子 의 思想과 많이 비슷하다. 〈世紀總論〉(世紀總論), 〈덕業有神論〉(德業儒臣論), 〈後론〉(後論) 等 이 冊의 全般的 論調는 武威(無爲), 無事(無私)에 對한 反論, 공리의 主張, 傳統的 價値觀 및 規範 意識에 對한 反撥, 송유도通論(宋儒道通論)의 不正 等 從來 사서(史書)인 《 詐欺 》, 《 資治通鑑 》, 《 通鑑綱目 》(通鑑綱目)의 春秋筆法 을 無視하고, 自由奔放하고 獨創的인 見解와 豐富한 內容을 담고 있다.

電氣 資料 編輯

  • 원中道, 《假說宰執》 卷17, 이溫陵展

같이 보기 編輯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
  1. 미조구치, 유조 (2022). 《이탁오 評傳》. 글항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