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이봉룡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이봉룡 (李鳳龍, 1914年 8月 3日 ~ 1987年 1月 9日 )은 日帝强占期 大韓民國 歌手 大衆音樂 作曲家 이다. 어릴 때 이름은 이봉용 (李鳳用)이다.

이봉룡
李鳳龍
基本 情報
本名 兒名 (兒名): 이봉용 (李鳳用)
出生 1914年 8月 3日 ( 1914-08-03 )
일제강점기 日帝 强占期 全羅南道 木浦
死亡 1987年 1月 9日 ( 1987-01-09 ) (74歲)
대한민국 大韓民國 서울特別市
性別 男性
職業 歌手 , 作曲家
장르 트로트
活動 時期 1934年 ~ 1969年
樂器 기타 , 피아노
家族 子女는 膝下 3男 2女
막내딸 移民者 (歌手)
동생 이난영 ( 歌手 )
妹弟 김해송 (歌手 兼 作曲家 )
宗敎 天主敎 (洗禮名: 毛細)
代表作
木浦는 港口다 1942年
落花流水 1942年
인생선 1942年
男兒一生 1943年
달도 하나 해도 하나 1949年

生涯 編輯

全羅南道 木浦 出生이다. 〈 木浦의 눈물 〉을 부른 歌手 이난영 의 오빠였다. 아버지가 家庭을 돌보지 않고 어머니는 生計를 위해 外地에 나간 어려운 家庭 環境에서 成長했다. [1] 普通學校를 卒業하고 音盤 商店을 運營하였고, 두 살 아래의 女同生 이난영을 歌手로 데뷔시켰다.

이봉룡은 最高의 人氣를 누리던 歌手인 남인수 의 〈落花流水〉와 〈男兒一生〉 等 널리 불리는 노래를 繼續 만들었다. 太平洋 戰爭 時期에는 軍國家요 作曲에 參與한 일이 있다. [2] [3] 新民謠의 女王으로 불리던 妓生 出身 歌手 이화자 의 〈마지막 筆跡〉(1942)과 같은 해 發表된 腸洗淨 의 〈아가씨 慰問〉 等이 있다. 2008年 民族問題硏究所 가 選定한 친일인명사전 收錄豫定者 名單 音樂 部門에 包含되었다.

南北 分斷을 描寫한 〈달도 하나 해도 하나〉로 光復 後에도 名聲을 維持하던 中, 1950年 韓國 戰爭 이 勃發하면서 김해송 이 行方不明되는 事件이 發生했다. 이봉룡은 김해송 失踪 以後 동생 이난영을 데리고 釜山 으로 避難했으며, 이난영은 7男妹를 혼자 키우며 어렵게 生活해야 했다.

戰爭이 끝나도 김해송 朝鮮人民軍 에게 射殺되었다는 所聞만 남긴 채 돌아오지 않았고, 越北했을 可能性도 있는 김해송의 曲들은 大韓民國에서 자유롭게 부를 수가 없었다. 이 가운데 이봉룡이 作曲한 것으로 作曲者 이름을 바꾸어 살아남은 曲도 있었다. 腸洗淨의 〈連絡船은 떠난다〉, 고운봉 의 〈 船艙 〉, 백년설 의 〈고향설〉, 이화자의 新民謠 〈花柳春夢〉 等 그 數는 적지 않다.

後에 이난영 김해송 의 딸들이 結成한 音樂 그룹 金시스터즈 의 멤버 中에는 이들과 外四寸 사이인 이봉룡의 딸도 包含되어 있다. 이봉룡은 1956年에 大韓레코드作家協會 副會長으로 選出되었고, 1958年에는 센츄리(Century)레코드 專屬作曲家로 있었으며, 以後 音盤 企業을 運營하다가 1960年代 後半에 딸의 招請으로 美國 에 移民하여 生活했다.

末年까지 作曲 活動을 繼續했으며, 1961年부터는 直接 엘케엘(LKL)레코드를 運營하기도 했다. 1969年 에 子女들이 있는 美國으로 移民을 가면서 音樂 活動을 中斷했다. 1986年 에 暫時 歸國하여 旅館에서 起居하다가 1987年 1月 9日 死亡했다. [4] [5]

家族 關係 編輯

本名이 이옥례(李玉禮)였던 누이同生 이난영이 人氣 歌手가 되자, 女同生 이난영은 樂劇團에서 만난 作曲家 김해송 과 結婚하였다. 天才的인 才能을 가진 作曲家였던 김해송은 妻男이 된 이봉룡에게 作曲을 가르쳐주었다.

하지만 1950年 6·25南侵 때 김해송은 拉北됐고 홀로있던 이난영에게 當代 最高의 人氣 歌手 남인수 가 憐憫의 情을 표하며 다가왔다. 2살 아래의 年下였지만 友情을 넘어 聯政이 싹튼 두 사람은 世間의 입방아를 無視하고 同居生活을 하였다. 남인수 또한 1962年에 45歲 나이로 夭折했다. 이난영은 1965年 4月 50歲 나이로 회현동 빈집에서 죽었다.

生前에 오빠 이봉룡은 1934年 歌手 로 먼저 데뷔하였고 1930年代 後半에 作曲家 로 데뷔하여 동생 이난영이 부른 〈木浦는 港口다〉(1942)가 크게 히트하는 等 人氣 作曲家로 活動했다. 이 노래는 〈木浦의 눈물〉과 함께 只今까지도 木浦를 象徵하는 曲으로 남았다. [4] [5]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최성환 (2006年 3月 30日). “港口의 딸로 木浦에서 태어나다 - “木浦의 눈물”의 歌手 이난영 評傳②” . 오마이뉴스 . 2008年 5月 17日에 確認함 .  
  2. 이준희 (2003年 12月 8日). “이화자의 '決死隊의 아내'를 아십니까 - 日帝 侵略戰爭에 動員된 流行歌, ‘軍國家요’ 다시 보기 (26)” . 오마이뉴스 . 2008年 5月 20日에 確認함 .  
  3. 이준희 (2003年 8月 25日). “日帝 侵略戰爭에 動員된 流行歌, ‘軍國家요’ 다시 보기 (12)” . 오마이뉴스 . 2008年 5月 20日에 確認함 .  
  4. 《文化原形百科》, 오케레코드와 朝鮮樂劇團(이봉룡, 李鳳龍), 韓國콘텐츠振興院(文化콘텐츠닷컴, 2009年)
  5. 「韓國 作曲家 事典」, 이봉룡(李鳳龍),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저, 時空社(1999年, 342~518p)

參考資料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