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遺稿슬라브人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遺稿슬라브人

舊유고슬라비아의 統合된 남슬라브족과 市民

遺稿슬라브人 ( 세르보크로아트語 : Jugosloveni / ?угословени 遺稿슬로베니 [ * ] , 마케도니아어 : ?угословени 遺稿슬로베니 , 슬로베니아語 : Jugoslovani 遺稿슬로바니 )은 유고슬라비아 의 民族 範疇의 하나이다.

遺稿슬라브人
세르보크로아트語 : Jugosloveni / ?угословени
마케도니아어 : ?угословени
슬로베니아語 : Jugoslovani
유고슬라비아 國紀
總人口
40萬餘 名
人口分布
미국 美國 291,045 (2013) [1]
캐나다 캐나다 38,480 (2016) [2]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26,883 (2011) [3]
세르비아 세르비아 23,303 (2011) [4]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507 (2013)
몬테네그로 몬테네그로 1,154 (2011) [5]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 527 (2002) [6]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331 (2011) [7]
言語
세르보크로아트語 , 마케도니아어 , 슬로베니아語
宗敎
民族系統
남슬라브족
起源·發想 슬라브족
近緣民族 마케도니아人 , 몬테네그로人 , 보슈냐크인 , 세르브인 , 슬로벤인 , 알바니아人 , 크로아트人 , 기타 슬라브족

遺稿슬라브人의 民族 構成은 매우 複雜하여, 마케도니아人 , 몬테네그로人 , 보슈냐크인 , 세르브인 , 슬로벤인 , 알바니아人 , 크로아트人 等으로 갈라져 있다. 民族 集團을 가르는 가장 큰 區分은 宗敎( 正敎會 , 가톨릭 , 이슬람敎 ) 와 言語 이며, 유고슬라비아의 解體 以後 聯邦을 構成하던 共和國들은 民族 單位로 分列 , 分離獨立 을 위해 戰爭 을 겪어야 했다.

遺稿슬라브人이라는 民族 範圍는 一種의 國家 正體性으로서, 例를 들어 " 美國人 "이라는 槪念과 類似하다. 서로 다른 民族( 세르브인 + 크로아트人 )사이에 태어난 사람이나 無神論 者, 民族主義 에 反對하는 사람들이 遺稿슬라브人을 自稱하였다. 代表的인 人物로 前 유고슬라비아 大統領인 요시프 티토 를 들 수 있다. 유고슬라비아의 解體 以後, 많은 遺稿슬라브人들이 그들의 民族 正體性으로 復歸하였지만, 아직도 遺稿슬라브人을 自稱하는 사람들이 남아 있다.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2013 American Community Survey 1-Year Estimates” . 《American Community Survey 2013》. 美國 人口調査局 . 2019年 1月 1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6年 6月 16日에 確認함 .  
  2. “Immigration and Ethnocultural Diversity Highlight Tables” . statcan.gc.ca. 2017年 10月 25日.  
  3. Fact sheets?: Ancestry ? Serbian (last updated 16 August 2012, retrieved
  4. 《Population?: ethnicity?: data by municipalities and cities》 (PDF) .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Belgrad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2. 14, 20쪽. ISBN  978-86-6161-023-3 . 2012年 12月 2日에 確認함 .  
  5.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Montenegro 2011 Monstat ? Statistical Office of Montenegro
  6. “Statisti?ni urad RS - Popis 2002” . 《stat.si》. 2011年 8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22年 3月 5日에 確認함 .  
  7. Croatian 2011 Census, detailed classification by na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