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위키百科:外來語 表記法/그리스어 表記 原則 및 시안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위키百科 : 外來語 表記法/그리스어 表記 原則 및 시안

그리스어 表記 原則 編輯

다음은 外來語 表記法 用例集에 收錄된 外來語 表記 用例의 表記 原則 의 第9張에 따른, 그리스어 의 表記 一般 原則이다. 公式 外來語 表記法은 아니다. 위키百科:外來語 表記法/其他 言語의 表記 一般 原則 參考.

第1項 編輯

y는 ‘李’로 적는다.

第2項 編輯

ae, oe, ou는 各各 ‘아이’, ‘오이’, ‘郵’로 적는다.

第3項 編輯

c와 ch는 [k]의 表記 方法에 따라 적는다.

第4項 編輯

g, c, ch, h 앞의 n은 받침 ‘ㅇ’으로 적는다.

그리스어 表記 시안 編輯

다음은 國立國語院이 試案으로 만든 그리스어 表記法 으로, 아직 公式的으로 確定되지는 않았습니다.

票 20: 그리스어 字母와 한글 對照表 編輯

票 20-1: 古典 그리스어 字母와 한글 對照表(시안) [1]
姿貌 그리스어 字母 한글 보기 [2]
母音 앞 子音 앞 · 語末
子音 b β bema( βημα ) 베마, biblos [3] ( β?βλο? ) 비블로스, brotos( βροτ?? ) 브로토스
g γ gamos( γ?μο? ) 街모스, gignosko( γιγν?σκω ) 기그노스코 [4]
ng γγ ㅇㄱ ? angelos( ?γγελο? ) 앙겔로스, anangello [5] ( ?ναγγ?λλω ) 阿낭겔로
nk γκ ㅇㅋ ? ankyra( ?γκυρα ) 앙키라, enkaio( ?γκα?ω ) 엥카이오
nkh γχ ㅇㅋ ? ankhos( ?γχο? ) 앙코스
nx γξ ? ㅇ크스 Sphinx( Σφ?γζ ) 스핑크스, Syrinx( Σ?ριγζ ) 시링크스
d δ doron( δ?ρον ) 徒論, Ariadne( ?ρι?δνη ) 아리아드네, drao( δρ?ω ) 드라오
z ζ [6] ? Zeus( Ζε?? ) 제우스, enzymon( ?νζυμον ) 엔智謀
th θ Thessalia( Θεσσαλ?α ) 테살리아, Thrake( Θρ?κη ) 트라케, Kythnos( Κ?θνο? ) 키트노스
k κ ㄱ, 크 kopos( κ?πο? ) 코포스, ekthesis( ?κθεσι? ) 엑테시스, Perikles( Περικλ?? ) 페리클레스
l λ ㄹ, ㄹㄹ lathos( λ?θο? ) 라토스, Helene( ?λ?νη ) 헬레네, alpha( ?λφα ) 알파, telma( τ?λμα ) 텔마
m μ ㅁ, 므 momphe( μομφ? ) 몸페, Memnon( Μ?μνων ) 멤논, mneme( μν?νη ) 므네메
n ν Nonnos( Ν?ννο? ) 老노스, anthropos( ?νθρωπο? ) 안트로포스, Platon( Πλ?των ) 플라톤
x ξ ㄱㅅ [7] , 크ㅅ ㄱ스 exodos( ?ξοδο? ) 엑소도스, xenos [8] ( ξ?νο? ) 크세노스, Sextos( Σ?ξτο? ) 섹스토스, hex( [9] ) 헥스
p π ㅂ, 프 Pan( Π?ν ) 판, optikos( ?πτικ?? ) 옵티코스, hypnos( ?πνο? [10] ) 히프노스, Ptolemaios( Πτολεμα?ο? ) 프톨레마이오스, Sappho( Σαπφ? ) 사포
r ρ hora( ?ρα [11] ) 호라, kardia( καρδ?α ) 카르디아, pater( πατ?ρ ) 파테르, Pyrrha( Π?ρρα ) 피라
s σ soma( σ?μα ) 蘇摩, skhema( σχ?μα ) 스케마, Nestor( Ν?στωρ ) 네스토르
? ? Adonis( ?δωνι? ) 아도니스, Danaos( Δανα?? ) 다나오스
t τ tauros( τα?ρο? ) 타우로스, Atlas( ?τλα? ) 아틀라스
ph φ alpha( ?λφα ) 알파, Daphne( Δ?φνη ) 다프네
kh χ khi( χι ) 키, khronos( χρ?νο? ) 크로노스
ps ψ ㅂㅅ [12] , 프ㅅ ? hypsilon( ?ψιλον [13] ) 힙실론, Psykhe( Ψυχ? [14] ) 프시케, Kekrops( Κ?κροψ ) 케크롭스
h ?(거친 숨標) [15] ? hepta( ?πτ? [16] ) 헵타, hypnos( ?πνο? [17] ) 히프노스
母音 a α agora( ?γορ? ) 아고라, thallasa( θ?λλασα ) 탈라社, kharites( χ?ριτε? ) 카리테스
? lathra( λ?θρ? ) 라트라, praos( πρ?ο? ) 프라오스
e ε epsilon( ?ψιλον ) 엡실론, hen( [18] ) 헨
η helios( ?λιο? ) [19] 헬리오스, Hera( ?ρα [20] ) 헤라
? thnesko( θν?σκω [21] ) 트네스코, mimnesko( μιμν?σκω ) 밈네스코
o ο Odysseus( ?δυσσε?? ) 오디세우스
ω hora( ?ρα ) 호라, soma( σ?μα ) 蘇摩
? tragodia [22] ( τραγ?δ?α ) 트라고디아, komodia( κωμ?δ?α ) 코모디아
y υ [23] hypothesis( ?π?θεσι? [24] ) 히포테시스, physis( φ?σι? ) 피시스
i ι idea( ?δ?α [25] ) 이데아, time( τιμ? ) 티메
ai αι 아이 [26] aiskhos( α?σχο? ) 아이스코스, haima( α?μα ) 하이마
ei ει 에이 [27] heis( ε?? ) 헤이스, teikhos( τε?χο? ) 테이코스
oe οι 오이 [28] Moerai( Μο?ραι ) 모이라이, Delphoe( Δελφο? ) 델포이
au αυ 아우 [29] auxo( α?ξω ) 아욱소, autos( α?τ?? ) 아우토스
eu ευ 에右 [30] eudaimon( ε?δα?μων ) 에右다이몬, proseukhe( προσευχ ) 프로세우케, euangelion( ε?αγγ?λιον ) 에右앙겔리온 [31]
eu ηυ 에右 [32] heurethen( ??ρ?θην [33] ) 헤우레텐
ou ου [34] Ouranos( Ο?ραν?? ) 우라노스, kouphos( κο?φο? ) 쿠포스
票 20-2: 現代 그리스語 字母와 한글 對照表(시안) [35]
姿貌 그리스어 字母 한글 보기
母音 앞 子音 앞 · 語末
子音 v β vivlos( β?βλο? ) 비블로스, velos( β?λο? ) 벨로스, vrotos( βροτ?? ) 브로토스
gh γ ghamos( γ?μο? ) 街모스, ghrighora( γρ?γροα ) 그리고라
y ? yineka( γυνα?κα ) 이네카, Yannis( Γι?ννη? ) 야니스, yeros( γ?ρο? ) 例로스, yiorti( υιορτ? ) 요르티
ng γγ ㅇㄱ ㅇ그 angelos( ?γγελο? ) 앙겔로스, engis( εγγ?? ) 엥기스, anglika( αγγλικ? ) 앙글리카
g γκ gazi( γκ?ζι ) 가지, gremos( γκρεμ?? ) 그레모스
ng ㅇㄱ ㅇ그 angyra( ?γκυρα ) 앙기라, engenia( εγκα?νια ) 엥게니아, englima( ?γκλημα ) 엥글리마
ngh γχ ㅇㅎ ? anghos( ?γχο? ) 앙호스, melangholia( μελαγχολ?α ) 멜랑홀리아
nx γξ ? ㅇ크스 larynx( λ?ρυγξ ) 라링크스
dh δ dhoro( δ?ρο [36] ) 道路, dhino( δ?νω ) 디노, dhrao( δρ?ω ) 드라오, dhromos( δρ?μο? ) 드로모스
z ζ ? zori( ζ?ρι ) 條理, enzymo( ?νζυμο [37] ) 엔지모
th θ [38] theos( θε?? ) 테오스, lathos( λ?θο? ) 라토스, thrilos( θρ?λο? ) 트릴로스, isthmos( ισθμ?? ) 이스트모스
k κ ㄱ, 크 kalos( καλ?? ) 칼로스, ekthesi( ?κθεση ) 엑테시, klima( κλ?μα ) 클리마
l λ ㄹ, ㄹㄹ lavi( λαβ? ) 라비, elate( ελ?τε ) 엘라테, Karamanlis( Καραμανλ?? ) 카라萬리스, kolpo( κ?λπο ) 콜抛
m μ ㅁ, 므 Maria( Μαρ?α ) 마리아, Limnos( Λ?μνο? [39] ) 림노스, mnimi( μν?μη ) 므니美, Grammos( Γρ?μμο? ) 그螺毛스
b μπ bira( μπ?ρα ) 비라, bravo( μπρ?βο ) 브라보
mb ㅁㅂ ㅁ브 pembo( π?μπω ) 펨보, embros( εμπρ?? ) 엠브로스
n ν nomos( ν?μο? ) 노모스, anthos( ?νθο? ) 안토스, Parnon( Π?ρνων ) 파르論
d ντ dino( ντ?νω ) 디노, dropi( ντροπ? ) 드로피
nd ㄴㄷ ㄴ드 pende( π?ντε ) 펜데, kendro( κ?ντρο ) 켄드로
x ξ ㄱㅅ, 크ㅅ ㄱ스 Naxos( Ν?ξο? ) 낙소스, xilo( ξ?λο ) 크실로, pinax( π?ναξ ) 피낙스
p π ㅂ, 프 pateras( πατ?ρα? ) 派테라스, kopto( κ?πτω ) 콥土, opla( ?πλα ) 오플라
r ρ ㄹ, 르 rodhi( ρ?δι ) 로디, kardhia( καρδ?α ) 카르디아, Nestor( Ν?στωρ ) 네스토르, Serres( Σ?ρρε? ) 세레스
s σ soma( σ?μα ) 蘇摩, Kostis( Κωστ?? ) 코스티스
? ? telos( τ?λο? ) 텔로스, kirios( κ?ριο? ) 키리오스
t τ tipos( τ?πο? ) 티포스, Atlas( ?τλα? ) 아틀라스
dz τζ ? dzami( τζαμ? ) 자미, Kazandzakis( Καζαντζ?κη? ) 카잔자키스
ts τσ ? atsali( ατσ?λι ) 아찰리, tsuhteros( τσουχτερ?? ) 秋흐테로스
ph φ pharos( φ?ρο? ) 파로스, ekphrasi( ?κφραση ) 에프라시
h χ hioni( χι?νι ) 히오니, hara( χαρ? ) 하라, hronos( χρ?νο? ) 흐로노스, hthes( χθ?? ) 흐테스
hy [40] ? hyeri( χ?ρι ) 혜리 [41] , hyerete( χα?ρετε ) 慧레테
ps ψ ㅂㅅ, 프ㅅ ㅂ스 epsilon( ?ψιλον ) 엡실론, psalmos( ψαλμ?? ) 프살모스, miops( μ?ωψ ) 美옵스
母音 a α aghapi( αγ?π? ) 아가피, kala( καλ? ) 칼라
e ε ena( ?να ) 에나, mera( μ?ρα ) 메라
αι lemos( λαιμ?? ) 레모스, ema( α?μα ) 에마
i η pighi( πηγ? ) 피기, timi( τιμ? ) 티피, imi( ?μι ) 이미
ι iatros( ιατρο? ) 이아트로스, phili( φιλ? ) 필리
υ phisi( φ?ση ) 피시, ipnos( ?πνο? ) 이프노스
ει ine( ε?ναι ) 이네, pira( πε?ρα ) 피라
οι ikos( ο?κο? ) 이코스, piitis( ποιητ?? ) 피이티스
υι ios( υ?? ) 이오스
o ο odos( οδ?? ) 誤도스, logos( λ?γο? ) 로고스
ω orea( ωρα?α ) 오레아, soma( σ?μα ) 蘇摩
ou ου Merkouri( Μερκο?ρη ) 메르쿠리, Papandreou( Παπανδρ?ου ) 파판드레우
av αυ 아ㅂ 아브 pavo( πα?ω ) 派譜, avgho( αυγ? ) 아브高
af ? 아프 aftos( αυτ?? ) 亞프토스, naftis( ναυτ?? ) 나프티스
ev ευ 에ㅂ 에브 Evangelos( Ευ?γγελο? ) 에방겔로스, pnevma( πνε?μα ) 프네브마
ef ? 에프 dheftero( δε?τερο ) 데프테로, Lefkada( Λευκ?δα ) 레프카다

第22節: 그리스어의 表記(시안) 編輯

票 20-1, 20-2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特徵을 살려서 적는다. 다만, 古典 그리스어와 現代 그리스어의 境界는 紀元後 600年을 基準으로 한다. 紀元後 600年 前의 人命은 古典 그리스어 表記法을 適用하고, 紀元後 600年 後의 人命은 現代 그리스語 表記法을 適用한다. 地名은 原則的으로 現代 그리스語 表記法을 適用한다.
  • 第1項: κ(k), π(p)
κ(k), π(p)가 μ(m), ν(n), λ(l), ρ(r)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그 外의 子音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다만, 語頭에서 子音 앞에 올 때에는 '으'를 붙여 적는다.
<보기> Knosos(Κν?σο?) 크노소스 Pleiades(Πλει?δε?) 플레이아데스
Kekrops( Κ?κροψ ) 케크롭스 hypnos( ?πνο? ) 히프노스
Iktinos( ?κτ?νο? ) 익티노스 Aigyptos( Α?γυπτο? ) 아이깁토스
Ptolemaios( Πτολεμα?ο? ) 프톨레마이오스
  • 第2項: ξ(x), ψ(ps)
ξ(x), ψ(ps)는 母音 앞에 올 때에는 各各 'ㄱㅅ', 'ㅂㅅ'으로 적되, 語頭에서 母音 앞에 올 때에는 '크ㅅ', '프ㅅ'으로 적는다.
<보기> doxa( δ?ξα ) 毒蛇 epsilon( ?ψιλον ) 엡실론
xenos [42] (ξ?νο?) 크세노스 Psykhe( Ψυχ? ) 프시케
  • 第3項: μ(m)
μ(m)는 'ㅁ'으로 적되, 語頭에서 子音 ν(n) 앞에 올 때에는 '므'로 적는다.
<보기> Memnon( Μ?μνων ) 멤논 mneme( μν?νη ) 므네메
  • 第4項: γ(y)
現代 그리스어의 γ(y)는 ε(e), αι(e) 앞에 오면 합쳐서 '예'로 적는다. γ(y) 뒤에 η(i), ι(i), ει(i), οι(i), υι(i)李 오면 '李'로 적고 yi 뒤에 다른 母音이 오면 그 母音과 합쳐서 '야, 요' 等으로 적는다.
<보기> yephira( γ?φυρα ) 예피라 yeros( γ?ρο? ) 例로스
yineka( γυνα?κα ) 이네카 Yiorghia( Γιωργ?α ) 요르기아
  • 第5項: 같은 子音이 겹치는 境遇에는 겹치지 않은 境遇와 같이 적는다. -κχ(kkh)-, -πφ(pph)- 等 같은 系列의 子音이 겹쳐 나올 때에도 겹치지 않은 境遇와 같이 적는다. 다만, 現代 그리스어의 -αυπ(afp)-, -ευπ(efp)-는 各其 '-亞프ㅍ', '-에프ㅍ'로 적는다.
<보기> Trikkala( Τρ?κκαλα ) 트리칼라 Nonnos( Ν?ννο? ) 老노스
Sappho( Σαπφ? ) 사포 Bacchylides( Βακχυλ?δη? ) 바킬리데스
Nafplio( Να?πλιο ) 나프플理誤 Nafpaktos( Να?πακτο? ) 나프팍토스
  • 第6項: λ(l)
於中의 l이 母音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되, 비음 뒤에서는 'ㄹ'로 적는다.
<보기> Aiolos( Α?ολο? ) 아이올로스 Atlas( ?τλα? ) 아틀라스
Karamanlis( Καραμανλ?? ) 카라萬리스
  • 第7項: αυ(av, af), ευ(ev, ef)
現代 그리스어의 av와 ev는 [43] 母音 앞에서는 各各 '아ㅂ, 에ㅂ'로 적고, 유성 子音 앞에서는 '아브, 에브'로 無聲 子音 앞에서는 '아프, 에프'로 적는다.
<보기> pavo( πα?ω [44] ) 派譜 Evangelos( Ευαγγελο? ) 에방겔로스
avgho( αυγ? ) 아브高 pnevma( πνε?μα ) 프네브마
aftos( αυτ?? ) 亞프토스 Lefkada( Λευκ?δα ) 레프카다

各州 編輯

  1. 出處: '改訂版 바른 말글 事前'(한겨례出版, 2007, ISBN  9788984312388 )의 825~829쪽
  2. 古典 그리스어 表記 用例에 誤謬가 꽤 있는 것 같습니다. 誤謬는 直接 修正하거나 討論欄에 적어 주세요. (저는 元本(冊)의 表記를 그대로 따랐을 뿐입니다.) 原本의 ? θ 로, ? η 로 統一해서 옮겼습니다.
  3. 元本(冊)에는 biblois로 잘못 나와 있음.
  4. 古典 그리스어 發音에서는 비음 m ( μ ), n ( ν ) 앞의 g ( γ )는 비음 [ŋ]을 나타냈다.
  5. 原本에는 anangellos 로 잘못 나와 있음.
  6. 苦戰 아티카 方言에서는 [zd] 로 發音한 것으로 復元되며 [dz] 였다는 意見도 있다. 코이네 發音에서 [z~zz] 로 바뀌었다. 라틴語에서는 音價는 確實하지 않지만 그리스 文字를 빌려 z로 적었다.
  7. 古典 그리스어에서는 [k?s] 를 나타낸 것으로 보이며 코이네 發音에서 [xs] 로 變化했을 수 있으나 中世 以後에 [ks] 가 되었다. 라틴語에서는 [ks] 로 받아들였다.
  8. 原本에는 Xenos로 나와 있음.
  9. 原本에는 로 잘못 나와 있음.
  10. 原本에는 ?πνο? 로 잘못 나와 있음.
  11. 原本에는 ?ρα 로 잘못 나와 있음.
  12. 古典 그리스어에서는 [p?s] 를 나타낸 것으로 보이며 코이네 發音에서 [?s] , [fs] 로 變化했을 수 있으나 中世 以後에 [ps] 가 되었다. 라틴語에서는 [ps] 로 받아들였다.
  13. 原本에는 ?ψιλον으 로 잘못 나와 있음.
  14. 原本에는 ψυχ? 로 나와 있음.
  15. 古典 그리스어의 [h] 發音은 이미 古典 時代에 一部 方言에서 發音하지 않았으며 헬레니즘 時代에 코이네 發音에서 漸次 사라졌다.
  16. 原本에는 ?πτ? 로 잘못 나와 있음.
  17. 原本에는 ?πνο? 로 잘못 나와 있음.
  18. 原本에는 ?ν으 로 잘못 나와 있음.
  19. 原本에는 helios( ?λιο? )으로 잘못 나와 있음.
  20. 原本에는 ?ρα 로 잘못 나와 있음.
  21. 原本에는 ?ν?σκω 로 나와 있음.
  22. 原本에는 tyragodia 로 잘못 나와 있음.
  23. 元來의 發音은 [u(ː)] 였으나 古典 後記 아티카 方言에서 [y(ː)] 로 前舌母音化하였고, 後에 中世 그리스어에서 [i] 로 非원순화하였다. 卽 이 試案에서 쓰는 古典 그리스어의 區分 時點인 600年에는 아직 [y] 로 發音하였다. 그러나 라틴語에는 [y] 音素가 없었으므로 그리스어의 υ 를 라틴語의 i와 같이 [iː/?] 로 흔히 發音하였으며 '李'라는 表記는 이를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24. 原本에는 ?π??εσι? 로 잘못 나와 있음.
  25. 原本에는 ?δ?α 로 나와 있음.
  26. 古典 그리스어에서는 [ai?] 로 發音하였으며 코이네 發音에서 [?ː] 로 單純母音化하였고 結局 [e] 가 되었다. 라틴語에서는 ae [a??] 로 받아들였다.
  27. 古典 그리스어에서는 單純母音 [eː] 를 나타내는 表記이다. 元來는 初期 그리스어의 二重母音 [ei?] 의 發音이 [eː] 로 變했기 때문에 쓰게 된 表記이지만 二重母音으로 발음된 敵인 없는 [eː] 도 無條件 ει 로 적게 되었다. 코이네 發音에서는 ? 와 합쳐져 普通 [iː] 가 되었고 母音 앞에서는 普通 η [eː] 와 합쳐졌으며 라틴語에서도 大體로 母音 앞에서는 [eː] , 그 外의 境遇에는 [iː] 로 받아들였다.
  28. 古典 그리스어에서는 [oi?] 로 發音하였으며 코이네 發音에서 [yː] 로 單純母音化하였고 結局 [i] 가 되었다. 라틴語에서는 語根에 나타나는 境遇는 普通 oe [???] 로 받아들였다. 그리스어 語尾 -οι 는 라틴語에서 -i에 對應된다.
  29. 古典 그리스어에서 [au?] 로 發音하였다. 後에 [aw] , [aβ] 를 거쳐 [av] 가 되었으며 無聲 子音 앞에서는 [a?] , [a?] 를 거쳐 [af] 가 되었다.
  30. 古典 그리스어에서 [eu?] 로 發音하였다. 後에 [ew] , [eβ] 를 거쳐 [ev] 가 되었으며 無聲 子音 앞에서는 [e?] , [e?] 를 거쳐 [ef] 가 되었다.
  31. 라틴語에서는 evangelion 또는 語尾를 라틴語化韓 evangelium으로 받아들였으며 v는 元來 半母音 [w] 를 나타내었으나 後에 子音 [v] 로 變했다. 따라서 中世 以後 euangelion ( ε?αγγ?λιον 의 그리스어 發音과 라틴語 發音은 둘 다 [v] 를 쓴다.
  32. 古典 그리스어에서 [?ːu?] 로 發音하였다. 後에 αυ , ευ 와 비슷한 過程을 거쳐 [iv] 가 되었으며 無聲 子音 앞에서는 [if] 가 되었다.
  33. 原本에는 ??ρ??ην으 로 나와 있음.
  34. 古典 그리스어에서는 單純母音 [oː] 를 나타내는 表記이다. 元來는 初期 그리스어의 二重母音 [ou?] 의 發音이 [oː] 로 變했기 때문에 쓰게 된 表記이지만 二重母音으로 발음된 敵인 없는 [oː] 도 無條件 ου 로 적게 되었다. 코이네 發音에서는 [uː] 로 上昇하였으며 라틴語에서도 [uː] 로 받아들였다.
  35. 같은 冊, 855~856쪽
  36. 原本에는 δ?ρο 로 잘못 나와 있음.
  37. 原本에는 ?νζυμο 로 잘못 나와 있음.
  38. 現代 그리스語에서는 [θ] 로 發音한다. 이 音價로의 變化는 코이네 時代에 이미 始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39. 原本에는 Λημ?νο? 로 잘못 나와 있음.
  40. 뒤따르는 母音 ε (e), αι (e)와 結合할 때 합쳐서 '慧'로 적는다.
  41. 原本에는 '헤리'로 잘못 나와 있음.
  42. 原本에는 Xenos 로 나와 있음.
  43. 原本에는 'evㅣ는'으 로 잘못 나와 있음.
  44. 原本에는 πατ?? 로 잘못 나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