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熊進 스타즈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熊進 스타즈

大韓民國의 解體된 프로 게임團

熊進 스타즈 (Woongjin Stars)는 大韓民國 의 前 프로게임團 이다. 現存 當時 워크래프트 3 , 스페셜포스 2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 II 種目을 運營하였다.

熊進 스타즈
Woongjin Stars
窓單一 2001年 5月
解體일 2013年 12月
스폰서 한빛소프트 (2001~2008年)
熊進그룹 (2008~2013年)
部門 워크래프트 3 , 스페셜포스 2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 II
外部 링크

2013年 12月 13日 某企業 熊進그룹 의 經營 惡化로 인해 解體되었다.

歷史 編輯

1999年 이재균이 組織했던 SM(Starcraft Mania)팀이 起源이다.

以後 한빛소프트 의 公式的인 支援으로 한빛 프로게임團(한빛 스타즈)李 2001年 5月 에 創團되었다. 當時 韓빛 스타즈는 강도경 , 金東秀 , 박용욱 , 박정석 , 나도현 , 朴慶洛 , 변길섭 과 같은 스타게이머들을 排出하며 名文 게임團으로 자리잡았었다. 그러나 以後 박정석과 변길섭의 KT 롤스터 로의 移籍, 金東秀의 隱退, 朴慶洛의 슬럼프 等으로 인해 個人展에서는 沈滯를 면치 못했으나, 프로리그 에서는 特出한 스타 選手가 없음에도 팀을 上位로 이끌고 優勝까지 하는 等 좋은 評價를 얻었다. SKY 프로리그 2004 1라운드 그랜드파이널 에서의 優勝, 2007 DAUM 스타리그 에서 김준영 選手가 優勝하고 김명운 이 꾸준히 8强, 大韓航空 스타리그 시즌 2 에서 윤용태가 로열로더 挑戰으로 4强까지 가는가 하는 等, 김명운 또한 MSL에서는 4强으로 進出하여 名家로서의 面貌를 꾸준히 보이다가 김명운 ABC마트 MSL 2011 決勝戰에 進出함으로써 熊進 스타즈 創團 最初 첫 決勝 進出者를 輩出한다.

그러나 김준영 選手를 CJ 엔투스 로 利敵시키는 等 한빛소프트 의 事情은 英좋지 못했다. 2008年 5月, 한빛소프트의 3年동안 繼續된 赤字로 인해 게임團을 抛棄, 5月 初 韓國e스포츠協會에 한빛 스타즈 프로게임段의 運營과 賣却 作業을 委託해줄 것을 要請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2008年 5月 21日, 한빛소프트를 引受한 티쓰리엔터테인먼트는 協會 委託 管理 없이 賣却된다고 밝혔다.

2008年 7月 31日, 아이템 去來 사이트 아이템매니아가 프로게임團 運營을 抛棄한 한빛소프트의 한빛 스타즈를 引受하였다. 하지만 네티즌들의 否定的인 評價로 因해 2008年 8月 5日, 韓國e스포츠協會는 한빛소프트에 프로게임團 運營을 抛棄한 한빛 스타즈의 아이템매니아 引受를 撤回하고 새로운 시즌이 始作되기 前인 오는 9月末까지 協會에서 委託 運營을 하겠다는 案을 提案했다. 하지만 한빛소프트는 이 提案에 對해 拒否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2008年 8月 7日, 한빛 소프트가 協會의 한빛 스타즈 委託 運營 案을 受容하기로 決定했다. 아이템매니아는 한빛 스타즈 球團 引受 본 契約을 解止하겠다고 밝혔다.

2008年 9月 19日, 熊進會社의 持株會社인 熊進홀딩스가 韓國e스포츠協會와 ‘한빛 스타즈’ 引受에 對한 協商을 進行 中이며, 引受에 對한 큰 틀에 合意했고 細部的인 事項 및 最終 協議만 남아있는 等 協商 妥結이 臨迫했다고 밝혔다.

2008年 9月 24日 熊進홀딩스가 한빛스타즈 引受를 確定했다 [1]

2010年 3月, 熊進 스타즈는 創團 約 1年 5個月 만에 첫 포스트시즌에 進出에 成功했다. 또한 準플레이오프에서 강팀 STX SouL 을 김민철이 4:1로 올킬에 成功하여 플레이오프에 進出하였다.

新韓銀行 프로리그 10-11 시즌에 들어서면서, 정종현 김승현 의 隱退以後 이스트로 박상우 신재욱 , MBC게임 이재호 를 迎入하면서 選手交替가 急速히 이루어졌다. 熊進 스타즈는 1R까지 2位를 달렸으나 2R에서의 連敗不振으로 綜合成績 7位로 내려앉았다. 에이스인 윤용태 의 不振이 팀이 不振하는 理由라고 判斷한 이재균 監督은 衝擊療法을 주기위해 윤용태를 1軍 로스터에서 抹消시켰다.

2군에서 돌아온 윤용태와 熊進 選手들의 위너스리그 活躍으로 포스트시즌 進出을 期待했지만, KT 戰에서 김대엽 에게 先鋒올킬을 當해 위너스리그 포스트시즌은 挫折됐다.

2011年 5月 26日, 김명운이 ABC마트 MSL 2011 4强에서 天敵 이제동 을 꺾고 決勝에 進出했으나 決勝에서 李泳鎬 에게 敗北했다. 김명운의 決勝 進出은 한빛 스타즈에서 熊進 스타즈로 再 創團 한 뒤의 첫 決勝 進出者 倍出이다.

2011年 6月 28日, 프로리그에서 STX가 勝利를 거둠에 따라, 남은 競技數와 關係없이 포스트시즌에 進出하게 되었다. 創團 以後 正規시즌 첫 番째 포스트시즌 進出이며 ( 新韓銀行 프로리그 09-10 3라운드 위너스리그에서 進出했다.) 한빛-熊進 全體 歷史에서는 2006年 後期以後 無慮 5年 만에 進出한 셈이다.

2011年 11月 7日, MBC게임 히어로의 解體로 因해 MBC게임 스페셜포스 팀이 危機에 處한 狀況에서 雄鎭이 MBC게임 스페셜포스 팀員을 모두 受容, 熊進 스타즈 스페셜포스 팀을 創團하게 된다.

熊進스타즈는 SK플래닛 프로리그에서 포스트시즌 進出의 希望을 안고 시즌 막바지까지 宣傳하였지만, 得失差에서 밀려 CJ에게 4位자리를 내주고, 5位로 밀려서 포스트시즌 進出에 失敗하였다.

熊進 스타즈는 KT 롤스터 와 親分이 매우 두터우며, 두 팀이 함께 選手들의 練習을 도와주기도 하며, 워크샵을 두 팀이 함께 奸賊이 있을 程度로 사이가 매우 敦篤하였다. CJ 엔투스 에는 한빛 스타즈 時節부터 弱했으나, 熊進 스타즈 創團 以後로는 조금씩 雄鎭이 앞서가는 모습이었다.

母企業의 經營 惡化로 인해 프로게임團 運營이 어려워진 熊進 스타즈는 2013年 10月 1日 所屬 選手들 折半 以上을 웨이버 公示하는 大規模 構造調整을 敢行했으며 팀에 남아있던 김민철 金裕珍 은 同年 12月 13日, 公開 포스팅을 통해 各各 SK텔레콤 T1 진에어 그린윙스 로 移籍했다. 같은 날, 이재균 監督이 e스포츠 커뮤니티 PGR21에 正式 解體글을 올리면서 熊進 스타즈는 歷史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게임團 沿革 編輯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編輯

프로리그 結果 編輯

年度 리그 順位 京畿 罰點 勝點 포스트시즌 主要選手 監督
2003 KTF EVER 1位 12 9 3 0 +25 準優勝 이재균
2003 Neowiz Pmang 1位 10 8 2 0 +19 플레이오프 이재균
2004 SKY 1라운드 1位 10 8 2 0 +10 優勝 강도경,김선기,나도현,朴慶洛,박영민,조형근 이재균
2004 SKY 2라운드 머큐리 1位 8 5 3 0 +2 플레이오프 이재균
2004 SKY 3라운드 머큐리 3位 8 3 5 0 -1 進出失敗 이재균
2005 SKY 電氣 3位 10 6 4 0 +3 準플레이오프 이재균
2005 SKY 後記 10位 18 3 15 0 -27 進出失敗 이재균
2006 SKY 電氣 7位 10 4 6 0 -4 進出失敗 이재균
2006 SKY 後記 3位 10 7 3 0 +3 準플레이오프 이재균
2007 新韓銀行 電氣 10位 22 8 14 2 -2 進出失敗 김준영, 윤용태, 金東周, 한승엽 이재균
2007 新韓銀行 後記 8位 22 10 12 0 -4 進出失敗 김준영, 윤용태, 신정민, 임진묵, 金東周, 문지훈 이재균
2008 新韓銀行 2008 10位 22 7 15 0 -17 進出失敗 윤용태, 김명운, 신정민, 金東周, 이동준 이재균
2008-2009 新韓銀行 위너스리그 08-09 5位 11 7 4 0 +2 進出失敗 윤용태, 김명운, 임진묵, 김승현, 김준영 이재균
2008-2009 新韓銀行 08-09 8位 55 27 28 0 -9 進出失敗 윤용태, 김명운, 임진묵, 김승현, 김준영 이재균
2009-2010 新韓銀行 위너스리그 09-10 4位 11 7 4 0 +5 플레이오프 김명운, 윤용태, 한상봉, 김승현, 김민철, 정종현 이재균
2009-2010 新韓銀行 09-10 7位 55 28 27 0 16 進出失敗 김명운, 윤용태, 한상봉, 김승현, 김민철, 정종현 이재균
2010-2011 新韓銀行 위너스리그 10-11 6位 18 9 9 0 -6 進出失敗 김명운, 이재호, 윤용태, 김민철, 박상우, 신재욱 이재균
2010-2011 新韓銀行 10-11 4位 36 17 19 0 -7 準플레이오프 김명운, 이재호, 윤용태, 김민철, 박상우, 신재욱 이재균
2011-2012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 5位 21 11 10 1 -5 進出失敗 김명운, 이재호, 김민철, 윤용태, 金裕珍, 신재욱, 노준규 이재균
2012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Ⅱ 프로리그 시즌 2 5位 21 11 10 0 +19 進出失敗 김명운, 이재호, 윤용태, 김민철, 金裕珍, 신재욱, 노준규, 宋光浩 이재균
2012-2013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Ⅱ 프로리그 12-13 1位 42 27 15 0 +41 準優勝 김명운, 이재호, 윤용태, 김민철, 金裕珍, 신재욱, 노준규, 宋光浩 이재균

팀리그 歷代成績 編輯

鳶島 스폰서 競技數 勝點 勝率 기타
2003 계몽사 6 1 5 -4 16.6% 4位
2003 라이프존 3 2 1 1 66.6% 準優勝
2003-2004 LG IBM 4 2 2 1 50% 4位
2004 투싼 4 2 2 2 50% 4位
2004-2005 MBC MOVIES 豫選 脫落 (3錢 3敗 - 個人展 4勝 9敗)
總 4시즌 17 7 10 0 41.1% 準優勝 1回
팀內 寄與度 成績 (個人展)
鳶島 스폰서 競技數 個人勝 個人牌 勝率 올킬수
2003 계몽사 30 13 17 43.3%
2003 라이프존 17 9 8 52.9%
2003-2004 LG IBM 27 14 13 51.8%
2004 투싼 24 13 11 54.1% 1
2004-2005 MBC MOVIES 豫選 脫落
通算成跡 98 49 49 50% 1

歷代 팀 名稱 編輯

  • SM(Starcraft Mania) - 한빛 스타즈 - 熊進 스타즈

歷代 팀 監督 編輯

熊進 스타즈 選手團 公開 포스팅 結果 編輯

選手 이름 種族 및 포지션 入團 팀
김민철 Zerg SK텔레콤 T1
金裕珍 Protoss 진에어 그린윙스

主要 種目 編輯

優勝記錄 編輯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한빛소프트, 게임團 '한빛스타즈' 抛棄-아프리카 게임TV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移轉
CJ 엔투스
第3代 프로리그 優勝 팀
SKY 프로리그 2004 1라운드
다음
 위메이드 폭스  
移轉
온게임넷 스파키즈
第6代 프로리그 優勝 팀
SKY 프로리그 2004 그랜드 파이널
다음
 SK텔레콤 T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