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우간다-탄자니아 戰爭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우간다-탄자니아 戰爭

1978~79年 戰爭

우간다-탄자니아 戰爭 1978年 부터 1979年 까지 우간다 탄자니아 가 벌인 戰爭이다.

우간다-탄자니아 戰爭
날짜 1978年 10月 30日 - 1979年 4月 11日
場所
結果

탄자니아 의 勝利

交戰國

우간다 우간다
리비아 리비아

팔레스타인 PLO

탄자니아 탄자니아

모잠비크 모잠비크
指揮官

우간다 이디 아민
리비아 무아마르 카다피

팔레스타인 야세르 아라파트

탄자니아 줄리어스 니에레레

모잠비크 사모라 마셸

우간다와 탄자니아의 位置

展開

編輯
 
當時 탄자니아의 大統領이던 줄리어스 니에레레.

우간다와 탄자니아는 戰爭 前부터 緊張關係였는데, 이디 아민이 1971年에 우간다 革命을 일으켜 權力을 잡자, 탄자니아의 指導者였던 줄리어스 니에레레는 추방당한 우간다의 前 大統領인 밀턴 오보테의 保護를 提案했다. 오보테는 이디 아민의 敵對勢力 殲滅計劃으로 因해 避難한 2萬名의 避難民과 合流했다. 1年 後, 탄자니아의 우간다 避難民은 우간다에 侵攻해 이디 아민을 몰아내려고 했지만 失敗했다. 이디 아민은 니에레레가 뒤에서 이를 操縱했다며 그와 탄자니아를 非難했다. 1978年 10月 上旬에 叛亂軍이 아민을 캄팔라의 大統領 別莊에서 기다렸지만 그는 家族들과 함께 헬리콥터로 脫出했다.

이것은 아민派의 急激한 衰退를 불러와, 우간다 內部에서 內紛이 增加하기 始作했다. 아민의 副統領이던 무스타파 아드리市價 殊常한 交通事故로 負傷을 當했을 때, 아드리詩에게 忠誠을 盟誓했던 兵士(그 外 다른 理由로 不滿을 가진 兵士)가 暴動을 일으켰다. 이디 아민은 暴動을 鎭壓하기 위해 심바 精銳部隊를 包含한 兵士를 보내 一部가 탄자니아 國境을 넘었다. 叛亂軍이 탄자니아로 넘어가자 탄자니아에 있던 반아민 避難民들은 叛亂軍에 參與하여 이디 아민軍과의 戰鬪에 參加했다. 우간다는 탄자니아에 宣傳을 布告했는데 이디 아민은 탄자니아의 카게라 脂肪이 元來 우간다 땅이라며 合倂을 위해 彈子니아를침공했다. 그러나 니에레레 大統領은 탄자니아 國民防禦君을 動員하여 反擊에 나섰다. 탄자니아軍은 몇 週만에 警察과 從軍赦免罪囚, 國民病, 軍人을 包含해 10萬名으로 增加했다. 우간다 避難民들로 構成된 半 아민團體도 탄자니아에 加勢했다. 이들은 모시 會議에 所屬하여 모시 會議는 우간다 國民解放軍(UNLA)을 形成했다. 티토 吳켈로와 데이빗 오이테 오조크가 이끄는 키코視 말름(Kikosi Maalum), 요웨레 무세베니가 이끄는 FRONASA, 아케나 跑足과 윌리엄 오마리아, 아테켈 에잘루가 이끄는 <우간다 救援運動>도 UNLA에 參加했다. 탄자니아軍은 蘇聯의 카튜샤와 로켓砲를 獲得해 우간다君을 標的으로 砲擊을 開始했다.

우간다軍은 바로 退却을 開始했는데, 같은 獨裁者였던 이디 아민을 위해 리비아의 카다피는 T-54 戰車와 T-55 戰車, BTR 兵力輸送車, BM-21 로켓推進車, MiG-21, Tu-22 爆擊機 等으로 武裝한 2,500名의 軍隊를 우간다側에 派兵했다. 그러나 리비아軍이 戰線에 다다랐을 때 우간다軍은 掠奪한 物件을 채운 트럭과 함께 反對側으로 退却해버렸다. 리비아軍은 리비아 陸軍部隊와 人民 民兵隊, 이슬람 軍團 等 사하라 沙漠 以南의 아프리칸 이슬람 勢力을 糾合한 混合軍이었다. 이들은 탄자니아와 UNLA에 反對하는 人士들과 함께 캄팔라로 向했는데, 루카야의 늪地帶에서 進軍이 停滯되었다. 이에 탄자니아 精銳軍이었던 제 208餘團은 늪 西쪽 가장자리의 둑길을 통해 제 201 旅團을 于先 보냈다.

T-55 戰車 5基와 裝甲車, BM-21로 武裝한 旅團 規模의 리비아軍은 루카野에서 제 201旅團과 衝突했는데, 제 201餘團은 後退하는듯 리비아君을 誘引하여 南北으로 第 208旅團과 함께 夜間에 逆襲으로 돌아서 1979年 3月 11日부터 12日까지의 夜間戰鬪에서 리비아와 우간다軍에게 200名 以上의 戰死者를 내게 한 後 迅速히 後退하는 成功的인 成果를 거두었다. 탄자니아와 UNLA는 루카野 戰鬪 後 小小한 抵抗에 對抗하면서 1979年 4月 10日에 首都인 캄팔라를 接受하고 엔테베 飛行場을 占領했다. 탄자니아軍과 UNLA는 팔레스타인 및 여러 아랍部族으로 이루어진 리비아君의 團結되지 않은 攻擊을 손쉽게 물리치고 우간다의 掌握에 成功했다. 그러자 이디 아민은 사우디아라비아로 달아났다. 이디 아민의 逃亡으로 指揮部를 잃은 우간다軍은 降伏했는데, 結局 리비아軍도 더 以上 싸울 理由가 없어서 케냐와 에티오피아를 거쳐 退却했다. UNLF(UNLA의 政治的 團體)는 아민 政權의 殘滓를 淸算하고 軍部가 아닌 民間政府의 總選을 準備했는데 이 때 탄자니아軍이 平和維持를 위해 우간다에 駐屯했다.

우간다는 탄자니아의 支援下에 밀턴 오보테가 1980年에 大統領으로 就任했다. 그러나 오보테는 이디 아민처럼 恐怖政治와 獨裁政治를 폈기에 이에 反對한 UNLA의 指揮官이던 요웨레 무세베니가 武裝叛亂을 일으켜 다시 內戰狀況에 빠졌다. 그 後 1986年에 무세베니가 勝利하면서 現在까지 大統領으로 執權하면서 우간다는 다시 安定化를 되찾았다. 탄자니아는 1977年에 셰이셀의 쿠데타視 이를 틈타 侵攻한 前歷때문에 國家主權 侵害라는 非難을 받아 아프리카 統一機構의 國家들로부터 아무런 도움도 받지 못했었다. 그 結果 다르에스살람에서 탄자니아 政府는 財源마련과 侵攻 後 平和協定, 貧困救濟 法案 等을 마련했는데 2007年에 우간다가 戰爭 差金을 返還할 때까지 탄자니아는 戰爭의 負債에서 回復하지 못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