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요한 코케이우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요한 코케이우스

요한 코케이우스 (Johannes Cocceius,?  Coccejus , 1603年 8月 9日-1669年 11月 4日)는? 브레멘 에서 태어난 네덜란드  神學者 였다. 함부르크 大學校 프란네케 大學校 에서 工夫하였다. 言約神學 의 완성자이다.?1636년 레이든 大學 에서 神學敎授를 했다. 히브리어 와 註釋을 가르쳤고 言約神學의 創設者로서 舊約 여러곳에서 그리스도를 發見할 수 있다고 主張했다. 人間이 墮落煎이나 墮落後나 하나님과 人間의 關係는 言約이라고 한다. 그 첫 番째 言約은 行爲言約 이라고 한다. 墮落後 이 言約은 예수께서 誤審으로 完成된 恩惠言約으로 代置되었다고 한다. 그는 윌리엄 에임스 로부터 影響을 받았다. 프란시스쿠스 有니우스 의 影響을 받아 神學的 區分法을 使用하였다. [1]

요하네스 코케이우스

神學

編輯

그는 新藥의 實體인 그리스도 以前의 모든 것은 그림자로 지나가는 過程에 不過한 것으로 舊約을 보았다. 이로 因해 舊約과 新約이 모두 하나님의 말씀이지만, 時間의 흐름 속에서 그림자인 舊約은 實體인 新藥에 依해 代替되고 말씀으로서의 實體的인 效力을 喪失하게 된다고 主張하였다.

그는 舊約은 初期 未洽한 言約의 모습이기에 干戈의 形式으로 容恕가 되고, 新約은 더욱 發展된 言約의 時代이기에 罪의 完全한 除去, 容恕로 稱意義 質的 水準의 差異가 난다고 主張하였다. [2]

또한 그는 聖經解釋의 第一原理로 하나님 나라 百姓 全體의 救援을 위한 하나님의 約束과 成就라는 救援歷史로 삼았다. [3]

安息日의 神學

編輯

레이든 安息日 論爭(1655-1659)에서 코케이우스는 基스베르투스 푸티우스 와 意見의 差異를 보이는 데, 코케이우스는 舊約의 安息日은 新藥의 週日과 다르므로 聯關性이 없다고 主張한 反面, 푸티우스는 同一한 意味라고 主張하였다. [4]

言約 神學

編輯

새 言約의 歷史를 세 部分, 或은 세 經綸으로 區分하였다. [5]

  1. 律法以前의 時代로 族長들의 家庭을 中心으로 하나님의 나라가 나타난 時代
  2. 律法의 時代로 良心을 通해서 律法을 遵守하도록 한 時代로 先知者들과 祭祀들을 통해서 하나님의 恩惠가 나타나며 하나님의 나라는 國家로 나타난다.
  3. 律法以後의 時代로 그 안에서 그리스도가 나타났으며 하나님의 나라는 宇宙的으로 擴張되었다.


 
?요하네스 코케이우스 木版

作品

編輯
  • Lexicon et commentarius sermonis hebraici et chaldaici(Leiden,1669)
  • Summa Doctrinae de Foedere et Testamento Dei(1648)
  1. Fesko, J. V., 1970-. 〈3〉. 《The theology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historical context and theological insights》 . Wheaton, Illinois. 82쪽. ISBN  978-1-4335-3311-2 .  
  2. 眞實 (2018年 3月 20日). “新舊約의 稱議論은 同一한가? [웨스트민스터 信仰告白11張6項” . 2020年 6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20年 6月 6日에 確認함 .  
  3. 17世紀 네덜란드 改革敎會 神學者 基스베르투스 푸티우스의 生涯와 神學(황대우)
  4. Carmichael, Casey B. 《A continental view?: Johannes Cocceius's federal theology of the sabbath》 . ISBN  3-525-55278-5 .  
  5. “言約神學의 歷史” . 2014年 12月 1日. 2020年 6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20年 6月 6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