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王權神授說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王權神授說

絶對主義 時代에 王權의 絶對性을 主張한 理論

王權神授說 (王權神授說, Divine Right of Kings)은 絶對主義 (絶對主義)時代에 王權의 絶對性을 主張한 理論이다.

이에 따르면 國王 의 權力은 (神)으로부터 받은 것이며, 地上의 여하한 것으로부터도 주어진 것이 아니라고 하여, 國王 權力의 正當性의 根據를 直接 에게서 求하였다.

이에 따라 對外的으로는 로마 敎皇 神聖 로마 帝國 皇帝 國王 權力에 對한 干涉을 排除하고, 對內的으로는 封建諸侯(封建諸侯)의 國王 權力에 對한 干涉을 排除하고자 하였다.

王權神授說을 主張한 有名한 사람으로는 장 보댕 (Jean Bodin), 프랑스의 루이 14歲 ,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1歲 等이 있다. 보댕의 說은 프랑스 絶對王政 確立을 위해 有效 適切한 役割을 했을 뿐 아니라 其他 유럽 帝國(諸國), 特히 튜더 絶對 王政 의 擁護論으로서도 큰 役割을 하였다.

제임스 1世는 絶對主義 國家에서 王이 지나친 權力을 휘둘러 國民들의 抵抗이 높아지자 王權을 뒷받침 하기 위한 설은 當時 英國에 있어서 絶對主義의 基盤이 흔들려 國王의 權力 自體가 問題視되어 이를 補强할 目的에서 主張된 것이다.

君主制는 神이 命令하는 것이며 王은 神에게만 責任이 있다. 따라서 王이 邪惡(邪惡)할지라도 國民이 이것을 批判할 權利는 갖지 못한다. 卽 王의 法에 따라서 審判을 받게 되어 있는 國民은 王의 審判官이 될 수 없다.
 
? 잉글랜드의 제임스 1歲 , 『帝王도(帝王道)』

이러한 그의 政治哲學은 當然히 絶對主義의 政治理念을 典型的으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는 議會에 依한 王政 批判이 王의 大權(大權)을 侵害하는 것으로 看做하면서 議會의 權限을 無視하고 獨斷 前行(專行)의 政治를 强行한 것이다.

같이 보기

編輯

參考 資料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