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浦項 盆地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浦項 盆地

( 連日層軍 에서 넘어옴)

浦項 盆地 (浦項 盆地, Pohang Basin)는 韓半島 大韓民國 慶尙北道 浦項市 一帶에 分布하는 新生代 마이오세 의 堆積 盆地로, 堆積巖 地層 連日層軍으로 構成되어 있다.

浦項 盆地

槪要

編輯

新生代 마이오세 東海 가 擴張되면서 韓半島의 東海岸을 따라 知覺變形이 發生하였고 그 結果로 韓半島 南東部에는 浦項 盆地, 長期 盆地, 와읍 盆地 , 어일 盆地, 河西 盆地, 亭子 盆地, 蔚山 盆地와 같이 新生代 마이오세 의 堆積巖 地層으로 채워진 마이오세 堆積盆地들이 存在한다. 이들 마이오세 堆積盆地들은 地理的으로는 隣接해 있으나 大部分 斷層들에 依해 隔離되어 孤立的으로 分布하고 盆地擴張에 隨伴된 活潑한 火山活動으로 암상의 變化가 甚하다. 이들 마이오세 堆積盆地에 分布하는 地層은 長期層群, 범곡리層群, 連日層軍으로 構成되는데 이들은 層序的 論難이 甚하다. [1] [2]

浦項 盆地의 境界와 單層

編輯
 
梁山 單層 , 蔚山 單層 連日救助船

浦項 盆地는 梁山 單層 에 依해 輕傷 盆地 로부터 隔離되어 있다. 旣存의 浦項(1964) 및 淸夏(1968) 地質圖幅에서는 梁山 單層 의 存在가 報告되지 않았다. 大部分의 旣存 硏究들에서는 浦項 盆地 西便이 梁山 單層 에 依해 警戒되며, 이 斷層이 主 變位臺(Principal Displacement Zone)로써 우수향 走向移動 運動을 하여 擴張된 隣里型 盆地 로 解釋되어 왔다. [3] [4] 그러나 以後의 野外 調査를 통해 浦項 盆地의 西便은 梁山 斷層과 接하지 않으며, 梁山 單層 東便에 位置하는 北北西 方向의 이음單層(transfer fault)과 北北東~北東 方向의 正斷層들의 分節로 이어지는 지그재그 形態의 斷層帶로 警戒된다는 것이 報告되었다. 浦項 盆地 西便 警戒斷層은 南쪽으로 連日 構造船과 約 50°角度로 社交하며 北쪽 末端에서 梁山 斷層과 連結된다. 盆地의 西便 警戒 斷層은 確然한 지그재그 形態로 梁山 單層으로부터 約 2~3 km 東便에 位置하며, 北北東과 北北西의 分節 單層으로 構成된다. 또한, 旣存의 硏究들은 梁山 單層 의 우수향 走向移動이 浦項-慶州 一帶에 分布하는 第3期 마이오세 堆積盆地들의 擴張을 主導한 것으로 解釋하였으나 [5] [6] [7] 最近의 硏究들은 마이오세 堆積盆地들의 擴張이 梁山 單層 과는 關聯 없고 梁山 單層 東쪽의 連日救助船 에 依해 規制되는 것으로 報告되었다. [8] 조성권 外(1998)는 浦項 盆地 境界部에 發達하는 4個의 扇狀地-三角洲 내 驛들의 供給地를 分析하여 扇狀地-三角洲系가 堆積되는 동안 盆地 西便 境界를 따라 梁山 單層의 走向移動 運動이 없었다고 結論 지었다. (그러나, 이 論文에서는 浦項 盆地의 西側 境界가 梁山 單層인 것으로 보았다.) [9] 천영범 外(2012)와 孫文 外(2013)는 浦項 盆地를 連日救助船 과 海底에 發達하는 北北西 方向의 動한 斷層이 主 變位대로써 짝을 이루고 두 斷層의 이陰部에 西北西-東南東 方向의 引張力이 作動하여 만들어진 隣里型 盆地 로 解釋하였다. [10] [11]

連日救助船 (延日構造線, Yeonil Tectonic Line, YTL)은 新生代 마이오세 에 韓半島 南東部에서 發生한 地殼 變形을 規制한 西쪽 限界線으로 定義되는 單層 이다. 連日救助船 에 依해 浦項 盆地를 包含 韓半島 南東部에 分布하는 第3期 마이오세 堆積 盆地들은 連日構造線의 東쪽에만 分布한다. [12] 梁山 單層 蔚山 單層 東便에 存在하는 連日救助船 의 最北端은 北서 30°方向으로 梁山 單層 系와 連結되며 浦項 盆地의 西側 境界를 形成하며 慶州市 양남면 효동리에서 南-北 方向으로 分節되다가 最南端인 蔚山廣域市 北區 호계동에서 北北東 方向으로 우수향 屈曲되어 蔚山 單層 과 連結되어 約 30 km의 연장을 가진다. [13] [14]

천영범 外(2012)는 浦項 盆地가 連日救助船 과 動한 單層 2個의 株 變位臺(Principal Displacement Zone, PDZ) 사이에서 擴張된 隣里型 盆地 인 것으로 解釋했다. 浦項 盆地의 沈降은 連日救助船 의 우수향 走向移動 運動에 依해 誘導되었으며 五千 斷層은 時計 方向으로 回轉했고 連日救助船 과 連結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10]

五千 單層

編輯

五千 單層 (Ocheon Fault)은 浦項 盆地의 南東쪽 境界를 形成하는 北東 走向의 單層이다. 浦項市 南區 烏川邑 에서 이름이 由來된 五千 斷層은 민경덕 外(1990)의 電氣比抵抗 硏究에 依해 처음 그 存在가 報告되었다. 浦項市 烏川邑 에서 電氣 比抵抗 探査를 實施한 結果 斷層의 存在를 指示하는, 周圍보다 電氣比抵抗이 낮은 저比抵抗代가 地下 400 m까지 거의 垂直으로 나타났으며 比抵抗 探査의 結果로 斷層帶의 幅은 地表에서 200 m, 深部에서 400 m이며 浦項 盆地와 長期 盆地가 單層으로 接觸하고 있다는 事實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15] 윤혜수 外(1991)은 斷層 兩쪽 地塊의 化石의 差異에 依해 斷層의 存在를 밝혔다. [16] 민경덕(1992)는 重力 探査에 依해 斷層의 存在를 報告하고 單層의 走向이 北東 30°이며 거의 垂直으로 敬事한고 長期層群이 이 斷層을 따라 約 300 m 上昇하였다고 報告하였다. [17]

五千 單層系 中 가장 規模가 큰 五千 斷層은 浦項 盆地와 長期 盆地를 直接 境界 짓는데, 천영범 外(2012)에 依하면 이 斷層은 南西쪽으로 갈수록 垂直 變位가 줄어드는 가위單層의 形態를 보인다. 浦項市 南區 烏川邑 一帶에는 北東 走向의 五千 斷層과 正斷層 및 座首鄕-正斷層들이 多數 發達하여 北東 方向의 單層系를 形成하며, 천영범 외는 이를 五千 單層系 (Ocheon Fault System, OFS)로 명명하였다. 北西쪽으로 기울어 있고 큰 垂直 變位를 가진 五千 單層 自體는 沖積層 밑에 숨어 있다. 五千 單層系는 東海 擴張과 關聯하여 最初에 長期 盆地의 北西側 境界를 形成하는 正斷層으로 活動하였으나, 約 17 Ma에 西側으로 傳播하는 剪斷力과 連日救助船 의 우수향 活動, 浦項 盆地의 沈降과 함께 堆積 中心이 갑작스럽게 北西쪽으로 移動하며 五千 斷層은 時計 方向으로 回轉하여 浦項盆地의 東南쪽 警戒單層으로 再活性된 것으로 解釋되었다. 또한 이 斷層은 電氣 마이오세 동안에 作動된 北北西 方向의 우수향 剪斷力에 依해 時計方向으로 漸進的으로 回傳되면서 運動感覺이 정이동에서 座首鄕 社交移動으로 變化된 것으로 報告되었다. [10] 鼓字旗學的 硏究에 따 르面 浦項盆地 西쪽 境界單層의 西便 盆地 基盤巖의 殘留磁氣는 偏向되지 않은 反面, 五千 單層系 東便의 長期半島 巖石들의 殘留磁氣는 時計 方向으로 平均 約 25° 回戰되어 있어 이러한 解釋을 支持한다.

곡강 單層

編輯

浦項 盆地의 南部는 남-北 走向의 곡강 斷層에 依해 東部와 西部 地塊로 나누어지며 堆積巖의 두께는 單層 東部에서 600~700 m, 西部에서 300~500 m이다. 이 斷層의 存在는 포항시의 石油探査試錐孔에서 認知되었다. [18] 곡강 斷層은 衡山 斷層에 依해 300 m 變位된다. [19]

刑事 單層

編輯

刑事 斷層은 兄山江을 따라 東北東-西南西 方向으로 發達하는 正斷層이다. 刑事 正斷層의 南側 地塊가 北側에 비해 上昇했다. [16] 刑事 單層의 變位量은 200 m로 推定되었다.

浦項 盆地의 東側 警戒

編輯

윤혜수와 김봉균(1983)은 흥해읍 오도리 一帶에 分布하는 旣存의 두互層 輕傷 累層軍 으로, 오도리-신흥리 溪谷에 分布하는 地層을 천북 礫巖層으로 看做하고 이 一帶에 浦項 盆地의 東側 境界가 있음을 主張하였다. 이들에 依하면 오도리의 五峯山(177.8 m) 一帶에 分布하는 黑色 셰일은 두互層 의 典型的인 巖相(軟褐色, 軟灰色의 李嵒)과 다르고 오도리-신흥리 溪谷의 地層은 암상과 産出되는 延滯動物 化石으로 보아 두互層 으로 看做될 수 없다. [20]

浦項 盆地 基盤巖

編輯

홍국영(1991)은 浦項盆地 內 基盤巖인 白堊紀 유천層群의 凝灰質癌을 貫入한 巖脈의 試錐 코어를 利用해 K-Ar 角閃石 前癌連帶를 117±2.62 Ma로 報告하였으며 [21] Shin and Nishimura (1994)는 同一한 試錐孔의 心府코어에서 獲得한 저어콘과 스핀을 利用해 各各 45 Ma와 58 Ma의 피션트랙 年齡을 計算하였다. [22] 이승구 外(2007)는 浦項盆地에서 試錐된 2300 m 心府 花崗閃綠巖 試錐코어의 저어콘 U-Th 連帶를 273±4 Ma로 報告하였고 [23] 이승구 外(2008)에 依하면 浦項 盆地에서 試錐를 實施한 結果 上部는 第3期 堆積巖과 白堊紀 凝灰巖類로, -1300~1900 m까지는 閃綠巖 , -1900~2300 m는 화강섬錄, -2300~3000 m 部分은 花崗巖으로 構成되며 이 花崗巖類들은 同一 祈願의 마그마로부터 分化된 것이다. 花崗巖의 Rb-Sr 等時線 連帶는 60±12 Ma, 花崗閃綠巖의 오시선 連帶는 64.2±8.5 및 166±230 Ma이다. [24] 안해성 外(2015)는 試錐 資料와 三次元 地質 모델링을 통해 深成巖 -1100~1500 m, 火山巖 -400~800 m, 審도 -600 m의 學林層 밑에 있는 育成癌이 -680~700 m의 深度를 가진다고 報告하였다. [25]

連日層軍

編輯

新生代 第3期 에 形成된 連日層軍 (Yeonil Group, 延日層群)은 浦項 盆地를 構成하며 浦項市 市街地와 그 周邊 地域에 넓게 分布한다. 新生代 第3期層 內에는 植物 化石 이 많이 産出된다. 連日層群은 천북 礫巖層을 基底로 하여 學林層, 흥해層, 移動層, 두互層, 여남層으로 構成된다. 連日層君의 堆積環境은 一般的으로 溫暖한 環境으로 解釋되지만 地層의 位置에 따른 硏究者들의 解釋은 多少 다른 結果를 보인다. 微古生物學硏究는 連日層君의 下部는 亂流의 影響이 優勢한 反面 上部로 갈수록 韓流의 影響이 强해지는 環境으로 解釋하였으나 植物化石과 花盆胞子化石 硏究는 連日層君의 植物化石을 溫暖한 氣候에 棲息하는 植物群으로 解釋하였다. [26] [27] 閨藻化石 硏究에 依하면 難樹種은 下部에서 한수종은 上部에서 優勢하게 産出되어 連日層軍 堆積 當時 初期에는 寒流와 暖流의 影響을 同時에 받았으나 盆地가 沈降하면서 차츰 韓流의 影響을 더 剛하게 받은 것으로 解釋된다. [28]

두께 1,000 m 以下의 連日層群은 一般的으로 北東 10~20°의 走向과 東쪽으로 10°未滿의 傾斜를 보이나 곳에 따라 變하며 大體로 남-北 方向의 軸을 가진 緩慢한 褶曲 을 보이고 있다. [29] 連日層軍에 對한 古地磁氣 硏究 結果 東海 의 擴張이나 日本 列島 의 分離가 連日層軍에 構造的으로 別로 影響을 주지 않았을 것으로 解釋되었다. [30]

윤선(1976)은 連日層軍에서 31種의 쌍각류(雙殼類), 1種의 굴族類(掘足類), 9種의 蹼足類(腹足類) 化石을 記載하였다. [31] [32] 윤선과 이상훈(1982)은 천곡四層에서 Anadara (Hataiarca) kakehataensis (Hatai abd Nisiyama), Vicarya (Shoshiroia) callosa japonica 等의 化石을 發見하고 이를 어일 盆地의 送電層, 蔚山 盆地의 신현層에 對備하였으며 그 地質時代 마이오세 重初期이다. [33] 최덕근 外(1984)는 移動層과 浦項層에서 新種 Tasmanites crassipunctatus 그리고 Crassosphaera ariakense 2種의 타스摩尼티드(Tasmanitids) 化石을 記載하였다. [34] 윤선(1984)은 천곡四層에서 産出된 乃灣性의 Vicarya-Anadara Vicaryella-Anadara 화석군집 그리고 沿岸-淺海性 Dosinia-Felaniella 화석군집에 기초하여 中期 마이오세 에서의 浦項 盆地의 高(古)海岸線을 設定하였다. [35]

連日層君의 地質時代 는 軟體動物, 閨藻, 有孔蟲, 花盆을 비롯한 大型 植物化石에 依하면 大體로 中期~後記 마이오세 로 解釋되지만 後記 올리고세 乃至 電氣 마이오세의 意見도 있다. 한便, 有孔蟲 및 有機質 微化石의 硏究에 依한 電氣에서 中期 마이오세 또는 閨藻를 비롯한 微化石에 依한 中企 마이오세 等의 見解도 있다. 火山巖의 絶對年代 測定에 依한 連日層君의 連帶는 15 Ma로 報告되기도 했다. [36] 김원형은 浦項 盆地에서의 試錐 資料를 통해 浦項 盆地 堆積巖의 堆積率을 1,000年에 6.3 cm인 것으로 計算하였다. [37] 浦項 盆地 地域에서의 試錐 및 三次元 地質 모델링 結果 -400~800 m 깊이에 基盤巖인 火山巖이 있고 그 위에 連日層軍이 次例로 쌓여 있으며 그 大略的인 깊이는 學林層 -600 m, 흥해層 -440 m, 移動層 -270 m, 두互層 -50 m이다. 試錐孔 分析 結果 沙巖(3.6%)에 비해 李嵒(96.4%)이 壓倒的으로 많다. [25]

石油 賦存 可能性

編輯

송요헌 外(1987)는 連日層軍이 石油 根源癌이 될 可能性을 알아보기 위해 試錐孔에서 連日層君의 試料를 採取하였다. 連日層軍에서 나온 有機物은 主로 海洋 플랑크톤 起源이며 陸上의 植物에서 祈願한 것도 若干 있다. 有機物의 質은 石油 生成에 적합하나 열에 醫핸 成熟度가 높지 않아 石油가 産出될 可能性은 別로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38]

浦項 盆地의 層서

編輯

他테이와 이와오(1924)는 倭館에서 大邱, 永川, 慶州, 浦項에 이르는 地域의 地質을 調査하고, 只今의 浦項 盆地 南部와 長期盆地 地域의 地層을 처음으로 新生代 올리고세 의 長期通過 플라이오세 下部 或은 마이오세 의 連日通으로 區分하였다. 浦項 盆地 全域에 分布하는 連日桶은 飛火酸性의 해성起源 堆積物로 構成되어 있으며 천북礫巖과 連日셰일로 區分되었다. 浦項 地質圖幅(1964) [39] 은 밑에서부터 천북 礫巖層, 學林層, 흥해層, 移動層, 두互層 , 여남層 6個 地層으로 區分하였다. 그러나 그 以後 提案된 連日層君의 層序는 硏究者마다 모두 다르며 現在까지도 包括的 支持를 받는 統一된 層서 體系는 없다. 윤선(1975)은 浦項 盆地의 第3期 堆積巖을 最下部의 陸成層 단구리 礫巖과 그 위의 海成層 義昌層群(義昌層群)으로 나누었으며 義昌層群을 밑에서부터 천곡四層, 學田層, 흥해層, 移動層, 두互層으로 區分하였다. 그리고 이들 地層은 初期~中期 마이오세 에 該當한다. [31] 윤혜수(1986)는 그前까지 使用되었던 6個 地層을 再調査하여 천북礫巖, 學田層, 두互層 3個層만 認定하고 나머지 3個 層은 但只 다른 두 地層의 褶曲 으로 인한 反復 露出이거나 野外에서 識別이 어렵다는 理由로 그 存在를 認定하지 않았다. [40]

連日層軍 層序表
他테이와 (1924) 浦項圖幅(1964) Kim (1965) Yoon (1975) Yun (1986) [40] Chough et al. (1989) 노진환 (1994) [41]
連日셰일 여남層 오목동層 龍한層 두互層 두互層 浦項層
두互層 浦項層 두互層
移動層 移動層 移動層 學田層 흥해層
흥해層 대곡層 흥해層 천북層
學林層 송학동層 學田層 學林層
천북礫巖 천북礫巖 서암礫巖 淸曲社層
단구리礫巖
천북礫巖 천북層

천북 礫巖層 (1924-現在)

編輯

천북 礫巖層 (Tcc; Tertiary Cheonbuk conglomerate formation, 川北 礫巖層)은 連日層君의 基底 礫巖層이며 거의 남-北 乃至 北東 10°의 走向으로 연일읍 달전리, 흥해읍 대련리와 慶州市 강동면 단구리, 흥해읍과 新疆麵의 境界 地域, 흥해읍 덕성리 西部, 請하면 고현리와 서정리 西部, 송라면 상송리, 대전리 東部를 지나 盈德郡 남정면 양성리까지 길게 이어진다. [42]

  • 浦項圖幅에 依하면 主로 礫巖 으로 構成되며 간간히 沙巖 셰일 을 협재한다. 본 地層 下部의 逆(礫)들은 大體로 원마되지 않은 角礫들이 많으며 驛의 種類는 火山巖類가 적고 堆積巖類가 大多數이며 이는 膾(百)色 沙巖, 紫色 셰일, 黑色 셰일과 硅巖 , 硅長巖의 役들이다. 驛의 크기는 1 m 가 되는 것도 있으며 普通 10~30 cm인 것이 大部分이다. 본 層 下部의 約 100 m 上位부터 約 50 m 까지는 役의 種類는 大同小異하나 훨씬 원마된 것들이 많고 紫色 셰일의 驛은 顯著히 減少하고 沙巖의 驛이 大部分이다. 驛의 크기도 10 cm 內外인 것이 많다. 여기서 다시 20 m 上位까지는 最下部의 境遇와 마찬가지로 원魔都家 낮은 角礫들이 나타나며 役의 크기는 20 cm 內外의 것이 많다. 그리고 본 層 최上部에는 다시 잘 원마된 驛들이 많이 있다. 본 地層은 石英 斑巖과 黑雲母 花崗巖 및 硅長巖을 不整合 으로 被覆하며 地層의 두께는 代替러 200~350 m이다. 地層의 警査는 大體로 東쪽으로 15~20°內外이나 때로 50°程度로 急하게 기울기도 한다. [39]
  • 淸夏圖幅에 依하면 街竦動層 上部 도계리층원을 不整合 으로 덮으나 請하면 고현리에서는 街竦動層 下部 청계리층원을 不整合으로 덮는다. 본 地層은 主로 礫巖 으로 構成되며 沙巖 李嵒 이 협재된다. 礫巖은 輕傷 累層軍 堆積巖類(街竦動層)의 驛(礫)이 많으며 主로 灰色의 沙巖, 泥巖, 紫色 셰일, 石英粗面巖의 逆으로 構成된다. 驛의 크기는 直徑 10~20 cm가 普通이나 1 m 內外의 거力(巨礫)도 있어 分給이 不充分하고 원馬島도 얕다. 본 層의 下部는 원魔都家 높은 逆으로 構成되며 그 上部에 원魔都家 不良한 層이 互層을 이루다가 最上部는 比較的 원魔都家 높은 驛이 分布하다. 地層의 두께는 100 m 程度이나 송라면 상송리에서는 150 m로 대단히 두꺼워진다. 地層의 走向은 北東 20~30°이며 警査는 南洞 20°이다. 請하면 금정리 附近 礫巖層 中에 협재된 黑色 社質셰일 層에서 不良한 貝類(貝類)의 化石이 算出된다. [43]
  • 허민과 백광호(1992)는 浦項 盆地 서정리 地域에 分布하는 마이오세 천북 礫巖의 上部層準 細粒質 사암에서 總 21屬 28種의 開形衝 化石을 보고하였다. 이 地域은 堆積 當時 冷-온海流의 影響을 받은 千水攻해 環境으로 推定되었다. [44]
  • 허민과 백광호(1993)는 慶州市 강동면 단구리와 浦項市 南區 연일읍 학전리에 分布하는 천북 礫巖層과 學林層의 牌蟲類(ostracods)化石을 통해 28種 21束의 化石을 認知하고 水溫이 내려갔으며 堆積 環境이 開放된 海岸, 以後 開放된 얕은 바다였던 것으로 解釋하였다. [45]
  • 허민 外(1994)는 慶州市 천북면 물천리의 龍骨 斷面에 두께 33 m로 드러난 천북 礫巖에서 Urocythereis cf. gorokuensis (Ishizaki, 1966, 24個體), Cythere (19個體), Callistocythere sp., Baffinicythere sp. (10個體), Ambostracon ikeyai (Yajima, 1978, 8個體) 等의 開形衝 化石을 總 114個體 發見하였다. [46]
  • 백광호 外(1995)는 慶州市 강동면 단구리의 田穀貯水池 東側 溪谷과 浦項市 請하면 서정리의 천북礫巖에서 有孔蟲 化石을 發見하였다. 堆積 環境은 水深 50 m 以內의 淺海의 環境이었던 것으로 分析되었다. [47]
  • 경주시 천북면 물천리 地域 천북 礫巖層에는 아래 寫眞과 같이 蔚山 單層 代의 逆斷層 노두가 드러나 있으며 천북 礫巖層이 高閣으로 경사져 있다.

學林層

編輯

學林層 (Ta; Tertiary Hakrim formation, 鶴林層) 연일읍 달전리에서 浦項料金所, 대련리 北西部, 학천리, 초곡리 西部, 덕성리 中部, 請하면 서정리 東部와 필화리, 송라면 하송리를 지나 광천리와 화진리까지 이어진다. [42]

  • 浦項圖幅에 依하면 천북 礫巖層 上位에 整合 敵으로 놓인 地層으로 主로 沙巖 , 礫巖 셰일 로 構成되며 백褐色 乃至 灰白色을 띠고 셰일은 沙質人 境遇도 있다. 본 地層 下部와 上部에 礫巖 이 많이 협재되며 中部에는 沙巖과 셰일의 互層(互層)을 이루고 있다. 천북 礫巖層에 비해 본 地層 內의 礫巖 의 두께는 얇으며 2 m를 넘지 않는다. 地層의 警査는 東쪽으로 10°程度로 緩慢하다. 흥해읍 매산리에서 多少 탄질물을 협재하는 곳도 있으나 連續性은 없다. 地層의 두께는 100 m 內外이며 흥해읍 학천리-대련리 地域에서 分布誌의 幅이 가장 넓고 그 南北으로 갈수록 地層 分布誌의 幅이 좁아지는데 이는 地層의 緩慢한 褶曲 에 起因한다. [39]
  • 淸夏圖幅에 依하면 천북 礫巖層 上位에 整合 敵으로 놓인 地層으로 灰白色, 黃白色의 礫巖, 沙巖 및 셰일로 構成되며 請하면 미남리, 송라면 조사리, 방석리 等에서 지경동 火山巖類를 덮으며 請하면 河代理에서는 흥해層에 依해 整合的으로 덮인다. 본 地層의 一般的인 走向은 北東 10° 警査는 南洞 5~10°이나 走向은 北西 5°에 西쪽으로 10°剄死하는 部分도 있다. 본 地層에서는 化石이 發見되지 않았으며 地層의 두께는 約 80 m 程度이다. [43]
  • 허민 外(1994)는 慶州市 천북면 물천리에 17 m 두께로 드러난 學林層에서 Acanthocythereis mutsuensis (Ishizaki, 1971, 31個體), Kotoracythere sp. (42個體), Spinileberis (16個體), Trachyleberis niitsumai (Ishizaki, 1971, 9個體), 總 104個體의 化石을 算出하였다. [46]

흥해層

編輯

흥해層 (Th; Tertiary Heunhae formation, 興海層)은 연일읍 학전리 東部에서 대련리 中部, 학천리 東部, 초곡리 東部, 덕장리, 請하면 고현리 東部에 이르기까지 分布한다. [42]

  • 浦項圖幅에 依하면 學林層 上位에 整合 敵으로 놓인 地層으로 主로 沙巖 李嵒 및 狹小한 礫巖 셰일 로 構成되며 代替로 學林層보다 더 白色을 띤다. 學林層보다 셰일 礫巖 이 急激히 減少하는 代身 茸巖의 出現이 顯著하다. 본 地層 下部에는 李嵒과 셰일이 많으며 中部에는 沙巖이 그리고 上部에는 李嵒과 셰일이 많다. 본 地層의 두께는 120 m 程度이며 地層의 警査는 大體로 東쪽으로 10°程度이다. 흥해 西南方 約 2 km 地域에서는 有孔蟲 의 化石이 算出된다. [39]
  • 淸夏圖幅에 依하면 主로 李嵒 및 沙巖으로 構成되며 學林層의 것보다 더 白色에 가까운 黃白色을 띤다. 間或 두께 10 cm 內外의 礫巖層이 沙巖 및 이暗層 中에 협재되기도 한다. 그 암상으로 보아 學林層과 區分이 어렵다. 본 地層의 走向은 北東 5~8°, 警査는 南洞 10°內外의 緩慢한 地層이며 두께는 40~50 m 程度이다. [43]

移動層

編輯
 
이가리港 西쪽 海岸가 露頭
連日層軍 移動層(Te)에 該當하는 地層이다. (淸夏圖幅)
慶尙北道 浦項市 請하면 이가리 산 22-4

移動層 (Te; Tertiary Edong formation, 梨洞層)은 移動 (포항시) 에서 그 이름이 由來되었으며, 지곡동과 移動에서 대련리 東部, 흥해읍 남송리와 곡강리, 請하면 이가리 地域에서 大略 北北東 方向으로 分布한다. [42]

  • 浦項圖幅에 依하면 흥해層 上位에 分布하는 이 地層은 褐色~백褐色을 띠고 學林層과 비슷한 色깔을 나타낸다. 礫巖 은 거의 없고 李嵒 이 壓倒的이며 본 層 下部에는 셰일 沙巖 의 互層을 이루고 있으나 中部에서는 이암이 80 m나 團束(斷續)되며 上部에서는 主로 李嵒과 셰일의 互層을 이루고 있다. 본 層의 두께는 150 m 程度로 移動, 지곡동 地域에서 넓고 北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地層의 勁士는 緩慢하여 (남)東쪽으로 10°程度이다. 有孔蟲 化石과 植物 化石이 算出된다. 본 層 最上部 斗護層과의 境界 附近에서는 直徑 1~30 cm의 驛을 가진 礫巖 이 나타난다. [39]
  • 淸夏圖幅에 依하면 흥해層 上部에 整合的으로 놓이며 泥巖 및 礫巖으로 構成된다. 巖石의 色은 흥해層과 別 差異 없으며 礫巖이 흥해層보다 優勢해진다. 大體로 北東 走向과 南洞 傾斜를 보이며 地層의 두께는 40 m 程度이다. [43]
  • 이영길(1975)은 浦項市 청하면에 分布하는 移動層에서 閨藻類 化石을 發見하였다. [48]

學田層 (1986-現在)

編輯

學田層 (Hagjeon Formation)은 천북礫巖을 整合으로 덮으며 흥해層, 移動層 및 천곡四層 等 旣存의 地層들을 統合한 地層으로 두께는 約 280~400 m이다. 主로 (癌)灰色의 沙巖과 李嵒으로 構成되며 上部에는 間或 分給이 不良한 礫巖層들이 렌즈上으로 협재된다. 全般的으로 沙巖 및 李嵒의 層理는 매우 不良하며 全體的인 암상의 水平的, 垂直的 變化가 甚하여 地層의 連續性을 確認하기가 쉽지 않다. [27]

  • 윤선(1976)은 學田層에서 Acesta sp., Saxidomus cf. nuttalli (Conrad, 1897)의 化石을 發見하였다. [49]
  • 정규귀(1993)는 學田層에서 算出하는 有孔蟲 群集化席을 分析하고, 學田層 堆積 當時의 水深은 反深海帶(-500~1500 m)이며 兄山江 以南 地域의 水深이 大體로 깊었고 有孔蟲 化石이 暖流種과 韓流種이 共存하는 特性을 보여 浦項 盆地 堆積 當時 暖流와 寒流가 만나는 混合水域에 있었다고 推定했다. [50]
  • 윤선 外(2014)는 學田層 內 22個 支店에서 슬럼프(slump) 構造를 發見하고 이를 褶曲型, 單層型, 破片型으로 區分하였다. 이로부터 學田層은 海底斜面에 堆積된 것으로 解釋하였다. [51]
  • 고영구(2006)는 浦項 盆地 北部의 청하면과 송라면 一帶의 連日層軍 學田層과 두互層 에서 2屬 5種의 아케오모나드, 이들 外에 3가지 類型의 스토魔토시스트로 생각되는 包囊類 化石, 3屬 5種의 內骨格 瓦片模造類 및 11屬 18種의 에브리디안 化石들을 算出하였다. 學田層에서는 Archaeomonas mamilloosa 83個體, Archaeomonas cf. A. cratera 4個體, Archaeomonas areolata 3個體, Archaeosphaeridium tasmanae 8個體, Archaeosphaeridium pachyceros 89個體, Actiniscus elongatus 3個體, Actiniscus pentasterias 194個體, Actiniscus tetrasterias 1改彩, Carduifolia gracilis 12個體 等이 發見되었다. [52]
  • 性味나 外(2009)는 連日層君의 두互層 (8個體)과 學田層(32個體)으로부터 總 40點의 거미불가사리 化石을 採集하였다. 化石은 學田層에서 더 많이 나왔지만 保存 狀態는 두互層 의 것이 더 좋은데 그 理由는 學田層이 相對的으로 不安定한 高에너지의 堆積環境이었으며 個體數가 더 많은 理由는 學田層의 거미불가사리들이 相對的으로 얕은 水深에 많이 모여 살았기 때문인 것으로 推定된다. 全體的으로 保存 狀態가 不良하여 種의 鑑定은 못하였다. [27]
  • 김덕환과 이성주(2011)는 浦項 第4 産業團地의 學田層과 丈量地球 및 용한리의 두互層 에서 約 500個體의 가리비 化石을 算出하였다. 學田層의 가리비 化石은 主로 暗灰色 沙巖과 李嵒에서 産出되며 小型 210個體, 重刑 4個體, 大型 28個體 [53]
  • 性味나(2012)는 浦項市 南區 大松面에 位置한 第4 産業團地 地域 內의 學田層과 浦項 北部 흥해읍 우목리 地域의 斗護層에서 約 50餘 點의 거미불가사리 化石을 採集하였다. 學田層의 거미불가사리 化石은 大部分 中心판으로부터 分離된 팔의 조각들이 大部分이며, 팔이 中心판에 붙어 있는 完全한 形態의 거미불가사리 化石은 2個體 뿐이다. [54]
  • 공달용과 이성주(2012)는 浦項 第4 産業團地의 學田層에서 121個體, 北部海水浴場 附近의 두互層 에서 5個體 總 126個體의 굴族類 化石을 算出하였다. 學田層의 沙巖層에서는 Fissidentalium yokoyamai (Makiyama, 1931, 51個體), Fissidentalium sp. A (31個體), Rhabdus sp. A (38個體), Rhabdus sp. B (2個體)가 發見되었다. [55]
  • 李鳳柱(2015)는 두互層 과 學田層에서 穩全한 形態의 거미불가사리 化石群集과 성게 化石群集을 發見하였다. 學田層에서 152個體의 성게化石이 나왔다. [56]
  • 고영구와 오강호(2021)는 連日層軍 學田層과 두互層 이 分布하는 흥해읍 덕장리와 請하면 청진리의 3個 支店에서 高海洋環境 硏究를 위해 硅藻土와 李嵒 試料를 採取하였다. 海面砧骨과 植物硅素體 兄들의 算出에서 이 地域의 連日層群은 周邊 陸地에 다양한 植生이 分布하고 海水에 依한 移送이 活潑했던 沿近海 環境에서 堆積되었던 것으로 推定된다. [57]

두互層 (1964-現在)

編輯

두互層 (Td; Tertiary Duho formation, 斗湖層)은 두호동 에서 그 이름이 由來되었으며 용흥동과 우현동, 학산동, 창포동, 장성동 中西部, 두호동, 양덕동 東部, 흥해읍 용한리 西部에 分布한다. 移動層을 整合으로 덮으며 李嵒, 셰일 沙巖 의 互層으로 構成되며 巖石의 色은 흥해層과 비슷하게 全般的으로 白色을 더 띠는 백褐色이다. 본 層 上部에는 때때로 淡褐色을 띠는 이암도 보인다. 地層의 두께는 150~200 m이며 前述한 連日層軍의 다른 地層들과 거의 같은 走向과 傾斜를 보이나 部分的으로 향사 褶曲 構造를 보이는 곳도 있다. 본 地層 中部에 두께 1 m 內外의 礫巖 이 不連續的으로 협재되기도 한다. [42]

여남層 (1964-1986)

編輯
 
포항시 여남동 浦項海上스카이워크 附近 바닷길에 드러난 여남層 露頭. 浦項 盆地의 地層에서는 新生代 마이오세 의 化石들이 많이 産出된다.

여남層 (Ty; Tertiary Yeonam formation, 汝南層)은 여남동 에서 그 이름이 由來되었으며 여남동 흥해읍 용한리 東部와 우목리에 小規模 分布한다. 李嵒 셰일 , 沙巖 으로 構成되며 셰일은 板狀(板狀)이고 沙質人 境遇도 있다. 大體로 본 層의 上下部에서는 多少 綠色을 띤 셰일이 發達하며 中部는 이암이 支配的이다. 타 地層에 비하여 淡綠色을 띠는 것이 많고 貝類(貝類) 化石이 有孔蟲, 植物 化石과 같이 算出된다. 또한 層理 面이 比較的 잘 發達되어 있다. 地層은 大體로 南東쪽으로 10°程度 警査한다. [39]

  • 포항시 여남동의 浦項海上스카이워크 東쪽 海岸길에는 寫眞과 같이 여남層의 노두가 大規模로 드러나 있으며 女男層의 黃白色 李嵒과 셰일 等의 全席(轉石)李 大量으로 있다.

중흥동層 (2012-)

編輯
  • 중흥동層 (Tjh; Tertiary Jungheungdong formation)은 동해면 흥환리와 호미곶面 구만리의 迎日灣 海岸을 따라 흩어져 分布하며, 連日 玄武巖 或은 눌대리 凝灰巖을 不整合으로 被覆한다. 軟綠色 乃至 黃綠色을 띠는 본 地層은 主로 礫巖, 沙巖과 茸巖의 互層으로 構成되고 層理 를 발달시킨다. 驛들은 大部分 暗灰色 玄武巖 驛이고 드물게 凝灰巖, 安山巖, 沙巖 等을 包含한다. [58]

新生代 달前 玄武巖

編輯

달前 玄武巖 (Qba; Daljeon basalt)은 연일읍 학전리와 달전리 一部 地域에 分布하는 玄武巖 이며 浦項 달전리 柱狀節理 가 바로 이 巖石 中에 發達한다. 달前貯水池 南西쪽과 南쪽에서는 巖脈上 分布를 보이는데 板狀 節理와 構想(球狀) 節理가 發達되어 있으며 間或 表面이 多孔質(多孔質)인 것도 볼 수 있다. 巖石은 (癌)黑色을 띠며 微晶質(微晶質)이고 매우 緻密하다. 顯微鏡 下에서 班常 構造(porphyritic texture)를 보인다. [39] 이 巖石은 浦項圖幅(1964)에서 新生代 第4基의 巖石으로 分類되었으나 40 Ar/ 39 Ar 同位年少 連帶測定 結果, 玄武巖의 貫入 連帶는 等時線 連帶에 根據하여 新生代 마이오세 人 13.82 Ma으로 判斷된다. [59]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땅_地盤을 알게 하는 地質學(Geology) - 南韓은 어떤 巖石으로 構成되어 있나 Ⅱ - (全羅道, 慶尙道 地域)” . 《한국지반공학회》 36 (3): 22-31. 2020年 5月.  
  2. 孫文; 송철우; 김민철; 천영범; 整數環; 造形性; 김홍균; 김종선; 손영관 (2013年 2月). “Miocene Crustal Deformation, Basin Development, and Tectonic Implication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Top (韓半島 南東部 마이오세 地殼變形, 盆地發達 그리고 地球照的 意味)” . 《 大寒地質學會 49 (1): 93-118. doi : 10.14770/jgsk.2013.49.1.93 .  
  3. 김인수 (1992年 2月). “Origin and Tectonic Evolution of the East Sea(Sea of Japan) and the Yangsan Fault System: A New Synthetic Interpretation (새로운 東海의 成因모델과 量産單層系의 走向移動運動)” . 《 大寒地質學會 28 (1): 84-109.  
  4. Choi, Pom-yong (2006年 6月). ' Singwang strike-slip duplex' around the Pohang Basin, SE Korea: its structural evolution and role in opening and fill of the Miocene basin” . 《Geosciences Journal》 10 (2): 145-157. doi : 10.1007/BF02910359 .  
  5. Han, J. K.; Kwak, Y. H.; Son, J. D.; Son, B. K. (1987年). “Tectonic evolution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Tertiary sedimentary basin, southeastern part of Korea”.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6. Yoon, S. H.; Chough, S. K. (1995年). “Regional strike slip in the eastern continental margin of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107 (1): 83-97. doi : 10.1130/0016-7606(1995)107<0083:RSSITE>2.3.CO;2 .  
  7. Fabbri, Olivier; Charvet, Jacques; Fournier, Marc (1996年 6月). “Alternate senses of displacement along the Tsushima fault system during the Neogene based on fracture analyses near the western margin of the Japan Sea” . 《Tectonophysics》 257 (2-4): 275-295. doi : 10.1016/0040-1951(95)00151-4 .  
  8. Song, C.W.; Son, Moon; Sohn, Y.K. (2012年). “Geometry and kinematics of the western marginal faults of the Miocene Pohang basin, SE Korea,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s”: 241.  
  9. Hong, S. W.; Chough, S. K.; Hwang, I. G. (1998年 3月). “Provenance of coarse-grained detritus in fan-delta systems, Miocene Pohang Basin, SE Korea: implications for boundary fault movements” . 《Geosciences Journal》 2 (1): 46-58. doi : 10.1007/BF02910203 .  
  10. Cheon, Young Beom; Son, Moon; Song, Cheol Woo; Kim, Jong Sun; Sohn, Young Kwan (2012年 9月). “Geometry and kinematics of the Ocheon Fault System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Miocene Pohang and Janggi basins, SE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 《Geosciences Journal》 16 (3): 253-273. doi : 10.1007/s12303-012-0029-0 .  
  11. 孫文; 송철우; 김민철; 천영범; 整數環; 造形性; 김홍균; 김종선; 손영관 (2013年 2月). “Miocene Crustal Deformation, Basin Development, and Tectonic Implication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韓半島 南東部 마이오세 地殼變形, 盆地發達 그리고 地球照的 意味)” . 《 大寒地質學會 49 (1): 93-118. doi : 10.14770/jgsk.2013.49.1.93 .  
  12. 孫文; 정혜윤; 김인수 (2002年 6月). “Geology and Geological Structures in the Vicinities of the Southern Part of the Yonil Tectonic Line, SE Korea (韓半島 南東部 連日救助船 南部 一圓의 地質과 地質構造)” . 《 大寒地質學會 38 (2): 175-197.  
  13. 孫文; 정혜윤; 金昇淵; 김인수; 문태현; 장태우 (1999年 4月). “韓半島 東南部 新生代 連日構造線의 野外記載學的 特性” . 《 大寒資源環境地質學會 1999年度 春季 共同學術發表會》: 202.  
  14. 孫文; 정혜윤; 김승현; 김인수; 문태현; 장태우 (1999年 11月). “韓半島 東南部 新生代 地殼變形과 連日救助船” . 《 大寒地質學會 1999年度 第54次 推計共同學術發表會 초록집》: 50.  
  15. 민경덕; 윤혜수; 문희수; 이현구; 이대하 (1990年 4月). “電氣比抵抗 探査에 依한 浦項盆地와 長?盆地의 境界糾明 (Investigation of boundary between Pohang and Janggi basins by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 《 大寒資源環境地質學會 自願環境地質》 23 (2): 215-219.  
  16. Yun, Hyesu; Min, Kyung Duck; Moon, Hi Soo; Lee, Hyun Koo; Yi, Song Suk (1991年 6月). “Biostratigraphic, Chemostratigraphic, Paleomagne tostratigraphic, and Tephrochronological study for the Correlation of Tertiary formations in Southern part of Korea?: Regional Tectonics and its stratigraphical implication in the Pohang Basin” . 《韓國高生物學會》 7 (1): 1-12.  
  17. 민경덕; 방성수; 현용호 (1992年 4月). “韓半島 東南部에 分布하는 第3期 堆積盆地에 對한 重力探査 (Gravity survey of the tertiary basin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 《 大寒資源環境地質學會 自願環境地質》 25 (2): 167-177.  
  18. Yi, Song Suk; Yun, Hye Su (1992年). “Miocene Calcareous Nannoplankton from the Pohang Basin , Korea” . 《韓國高生物學會》: 36.  
  19. Yun, Hyesu (1994年 6月). “Emended Statigraphy of the Miocene Formations in the Pohang Basin, Part II?: South of the Hyongasan Fault (浦項 第3基層의 層序 檢討 및 修正 II?: 衡山 單層 南部)” . 《韓國高生物學會》 10 (1): 99-116.  
  20. 윤혜수; 김봉균 (1983年 12月). “Stratigraphy of East Margin of the Pohang Tertiary Basin near Chilpo (新制3期 浦項盆地 東部 延邊(칠포附近)의 層서)” . 《 大寒地質學會 19 (4): 252-257.  
  21. Hong, Young Kook (1991年 2月). “Petrogenetic Modelling of the Vertically Zoned Cretaceous Pohang Epizonal Intrusive Rocks, SE Korea 韓國 東南部에 分布하는 垂直的 累帶狀 白堊紀 浦項 淺處貫入岩에 對한 成因모델링 ?究” . 《 大寒地質學會 27 (1): 64-86.  
  22. Shin, S-C. and Nishimura, S. (1994) Thermotectonic and sedementation history of the Pohang Basin, Korea assessed by fission track thermochronolgy of a deep vorehole granite. Korean Journal of Petroleum Geology, 2, pp. 9-17.
  23. 이승구; 조등룡; 이창범; 李太鍾; 김통권; 송윤호; 이진수 (2007年 10月). “포항시 흥해읍 地下 2300m 花崗閃綠巖 試錐코아내 저어콘의 U-Th 連帶?: 浦項盆地 基底癌의 生成時期에 對한 考察” . 《 大寒地質學會 2007 推計地質科學聯合學術大會》: 110.  
  24. 이승구; 李太鍾; 신홍자 (2008年 8月). “Rb-Sr age and its geochemical implication of granitoid cores from deep borehole at Pohang area, Korea (浦項地區 心府 花崗巖類 코아로부터의 Rb-Sr 年代 및 地球化學的 意義)” . 《 大寒地質學會 44 (4): 409-423.  
  25. 안해성; 박재용; 김준모; 김정찬 (2015年 2月). “Three-dimensional geologic modeling of the Pohang Basin distributed in Haedo-Dong, Nam-Gu, Pohang-Si (韓國 浦項市 南區 해도동 一帶에 分布하는 浦項盆地의 三次元 地質 모델링)” . 《 大寒地質學會 51 (1): 21-36. doi : 10.14770/jgsk.2015.51.1.21 .  
  26. 정철환; 최덕근 (1993年 12月). “浦項地域 連日層軍(마이오세)에서 産出된 胞子花盆 화석군의 고기후적 意味 (Paleoclimatic Implications of Palynoflora from the Yeonil Group (Miocene), Pohang Area, Korea)” . 《韓國高生物學會》 9 (2): 143-154.  
  27. 性味나; 공달용; 이봉진; 이성주 (2009年 8月). “第 3期 浦項盆地의 學田層과 斗護層에서 産出된 거미불가사리 化石 (Cenozoic Brittle Stars (Ophiuroidea) from the Hagjeon Formation and the Duho Formation, Pohang Basin, Korea)” . 《 大寒資源環境地質學會 自願環境地質》 42 (4): 367-376.  
  28. 이유대; 이재영; 이영길 (1988年 3月). “韓國 浦項盆地 新第三紀層의 硏究 - 堆積岩石學的, 古生物學的 및 鑛物學的 硏究를 中心으로 (A Study on the Neogene Deposits in the Pohang Basin, Korea: With Emphasis on Sedimentological, Paleontological and Mineralogical Studies)” . 《 大寒地質學會 24 (1): 16-30.  
  29. Kim, Bong Kyun; Cheong, Chang Hi; Koh, In Seok; Paik, Kwang Ho; Koh, Yeong Koo (1982年 3月). “Micropaleontological and Sedimentological Studies of the Neogene Tertiary in Korea (우리나라의 新第3紀層의 微古生物學的 및 堆積岩石學的 ?究)” . 《 大寒地質學會 18 (1): 19-36.  
  30. 김광호; 도성재; 황창수; 임동성 (1993年 8月). “浦港盆地에 分布하는 延日層群의 古地磁氣 硏究 (Paleomagnetic study of the Yeonil group in Pohang basin)” . 《 大寒資源環境地質學會 自願環境地質》 26 (4): 507-518.  
  31. 윤선 (1976年 3月).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Tertiary Pohang Basin, Pohang District, Korea?: Part 2, Paleontology (Mollusca) No. 1, Systematic Description of Bivalvia (韓國 浦項地域 第三紀 浦項盆地의 地質과 古生物 第2部 古生物(軟體動物) 第1編 雙殼類의 記載)” . 《 大寒地質學會 12 (1): 1-21.  
  32. Yoon, Sun (1976年 6月).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Tertiary Pohang Basin, Pohang District, Korea?: Part 2, Paleontology(Mollusca), No. 2, Systematic Description of Scaphopoda and Gastropoda, with descriptions of fossil localities (韓國 浦項地域 第三紀 浦項盆地의 地質과 古生物 第2部 古生物 (軟體動物), 第2編 掘足類 및 腹足類의 記載와 化石?地의 記載)” . 《 大寒地質學會 12 (2): 63-78.  
  33. 윤선; 이상훈 (1982年 3月). “Discovery of Vicarya from the Tertiary Pohang Basin, Korea (韓國 第三紀 浦項盆地에서의 Vicarya의 發見)” . 《 大寒地質學會 18 (1): 49-52.  
  34. 최덕근; 봉필윤; 김봉균 (1984年 9月). “Tasmanitids from Idong and Pohang (Miocene) Formations of Korea (韓國 梨洞 및 浦項層(마이오世)? 타스摩尼티드))” . 《 大寒地質學會 20 (3): 215-221.  
  35. 윤선 (1984年 9月). “Paleoenvironments of the Tertiary Pohang Basin, Korea?: No. 1. The paleocoastal line (韓國 第三紀 浦項盆地의 古環境 - 1. 古海岸線)” . 《 大寒地質學會 20 (3): 252-255.  
  36. 이현수; 문희수; 민경덕; 김인수; 윤혜수; Tetsumaru Itaya (板谷徹丸) (1992年 6月). “浦項 및 長期盆地에 對한 古地磁氣, 層序 및 構造硏究 火山岩類의 K-Ar 年代” . 《 大寒資源環境地質學會 自願環境地質》 25 (3): 337-349.  
  37. Kim, Won Hyung (1990年 12月). “Significance of Early to Middle Miocene Planktonic Foraminiferal Biostratigraphy of the E-core in the Pohang Basin, Korea (浦項盆地 E-共에서 産出된 初期-中企 마이오세 浮遊性 有孔蟲 生層性의 意味)” . 《韓國高生物學會》 6 (2): 144-164.  
  38. 송요헌; 장호완; 곽영훈 (1987年 9月). “Organic Geochemical Study of the Neogene Yeonil Group in Pohang Area, Korea (浦項地域에 分布하는 新第三紀 延日層群의 有機地球化學的 硏究)” . 《 大寒地質學會 23 (3): 227-284.  
  39. “浦項 地質圖幅說明書 (浦項 地質圖幅說明서)”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64年.  
  40. Yun, Hyesu (1986年 6月). “Emended Stratigraphy of the Miocene Formations in the Pohang Basin, Part I (浦項 第3基層의 충서檢討 및 修正)” . 《韓國高生物學會》 2 (1): 54-69.  
  41. 노진환 (1994年). “第 3期 連日層君의 層서, 巖相 및 屬性 鑛物相 (Stratigraphy, Lithology and Diagenetic Mineral Facies of the Tertiary Yeonil Group)” . 《韓國石油地質學會》 2 (2): 91-99.  
  42. “MGEO 脂質情報시스템 1:5萬 地質圖”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43. “淸河 地質圖幅說明書 (淸夏 地質圖幅 說明書)”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68年.  
  44. Huh, Min; Paik, Kwang Ho (1992年 6月). “Miocene Ostracoda from the Seojeongri Area, Pohang Basin, Korea (浦項盆地 서정리地域에서 産出된 마이오세 開形衝 化石)” . 《 大寒地質學會 28 (3): 273-283.  
  45. Huh, Min; Paik, Kwang Ho (1993年 12月). “浦項盆地 도음산 附近의 마이오세 천북礫巖層과 學林層의 開形衝 化石에 對한 古環境 硏究 A Paleoenvironmental Study on Ostracoda from the Miocene Chunbuk Conglomerate and Hakrim Formations in the Doumsan Area , Pohang Basin , Korea)” . 《韓國地區科學會》 14 (4): 500-509.  
  46. Huh, Min; Paik, Kwang Ho; Lee, Eui Hyeong (1994年 6月). “Miocene Ostracoda and Paleoenvironment of the lower Yeonil Group, Bomunji Area, Korea (浦項盆地 보문地 地域 連日層軍 下部에서 産出되는 마이오세 開形忠과 고환경)” . 《韓國高生物學會》 10 (1): 57-68.  
  47. 백광호; 정혜경; 백두성 (1995年 6月). “浦項盆地 천북礫巖에서 産出되는 有孔蟲 (Miocene Foraminifera from the Chunbuk Conglomerate in the Pohang Basin, Korea)” . 《韓國高生物學會》 11 (1): 47-60.  
  48. 이영길 (1975年 6月). “Neogene Diatoms of Pohang and Gampo areas, Kyongsangbug-Do, Korea (韓國 浦項ㆍ甘浦一帶 新第三紀層의 化石珪藻群)” . 《 大寒地質學會 11 (2): 99-113.  
  49. Yoon, Sun (1976年 3月).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Tertiary Pohang Basin, Pohang District, Korea?: Part 2, Paleontology (Mollusca) No. 1, Systematic Description of Bivalvia Part 2, Paleontology (Mollusca) No. 1, Systematic Description of Bivalvia (韓國 浦項地域 第三紀 浦項盆地의 地質과 古生物 第2部 古生物(軟體動物) 第1編 雙殼類의 記載)” . 《 大寒地質學會 12 (1): 1-21.  
  50. 정규귀 (1993年 10月). “Benthic Foraminiferal Assemblages and Paleoenvironmental Analysis of the Miocene in the Pohang Basin, Korea (浦項盆地 學田層의 著書性 有孔蟲 軍집分布 및 古環境 解釋” . 《 大寒地質學會 29 (5): 464-476.  
  51. 윤선; 김종열; 이연규; 정규귀 (1994年 2月). “Slump Structures in the Pohang Basin (I) - The Hagjeon Formation of Northwestern Area of the Pohang City (浦項盆地의 슬럼프救助 (I)?: 浦項市 北西部의 學田層)” . 《 大寒地質學會 30 (1): 15-26.  
  52. 고영구 (2006年). “慶北 浦項盆地 北部 地域의 連日層軍(第3期)에서 産出되는 包囊類 化石을 비롯한 少數 硅質 微化石軍에 對한 硏究 (Minor Siliceous Microfossil Group and Fossil Cysts from the Yeonil Group (Tertiary) in the Northern Area of the Pohang Basin, Kyeongbuk Province, Korea)” . 《韓國地球科學會誌》 27 (1): 95-117.  
  53. 김덕환; 이성주 (2011年 6月). “Fossil scallops from the Hagjeon Formation and the Duho Formation, Pohang Basin (浦項盆地 連日層君의 學田層과 斗護層에서 産出된 가리비 化石)” . 《 大寒地質學會 47 (3): 235-244.  
  54. “新生代 第3期 斗護層과 學田層에서 産出된 거미불가사리 化石의 分類 및 古生態” (PDF) . 경북대학교 大學院. 2012年 6月. 2023年 12月 27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23年 12月 27日에 確認함 .  
  55. Kong, Dal Yong; Lee, Seong Joo (2012年). “Fossil Scaphopods from the Hagjeon Formation and the Duho Formation, the Cenozoic Pohang Basin, Korea (新生代 第3期 浦項盆地의 學田層과 斗護層에서 産出된 굴族類 化石)” . 《 國立文化財硏究院 45 (1): 218-231. doi : 10.22755/kjchs.2012.45.1.218 . ISSN  1226-0800 .  
  56. Lee, Bong Jin (2015年). “Cenozoic echinoderms from the Pohang Basin, Korea” (PDF) . 경북대학교 大學院. 2023年 12月 28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23年 12月 28日에 確認함 .  
  57. Koh, Yeong Koo; Oh, Kang Ho (2021年 12月). “浦項 北部 連日層君의 學田層과 斗護層의 海面砧骨과 植物硅素體 算出에 依한 高海洋環境 古刹 (A Consideration of Paleo-oceanographic Environments by Sponge Spicules and Phytoliths from the Hakjeon and the Duho Formations in the Yeonil Group in the Northern Area of Pohang)” . 《韓國圖書(섬)學會》 33 (4): 89-107. doi : 10.26840/JKI.33.4.89 .  
  58. “臺報道幅 地質調査報告書”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2012年.  
  59. 송철우; 김현정; 김종선; 김민철; 孫文 (2015年). “韓半島 東南部 마이오세 浦項盆地 내 달前玄武巖의 層序的 意味 (Stratigraphic Implication of the Daljeon Basalt in the Miocene Pohang Basin, SE Korea)” (PDF) . 《巖石學會誌》 24 (4): 323-335. doi : 10.7854/JPSK.2015.24.4.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