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연남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연남건 (淵男建, 635年 ~ 638年 [1] ~??)은 연개소문 의 2남이며, 高句麗-黨 戰爭 大莫離支 로 高句麗軍을 總指揮를 하였으며, 正確한 生沒年代는 未詳이다. [2]

연남건
淵男建
高句麗 大莫離支
臺數 3
前任 연남생
君主 高句麗 寶藏王
身上情報
出生日 635年~638年
出生地 未詳
死亡日 未詳
死亡地 未詳
國籍 高句麗
家門 延氏
父親 연개소문
兄弟姊妹 연남생 , 연남산
親姻戚 연정토
軍事 經歷
指揮 高句麗軍
主要 參戰 高句麗-黨 戰爭

生涯 編輯

665年 淵蓋蘇文이 죽고 그의 맏아들 연남생이 父親을 代身하여 莫離支가 되었다.연남생은 아버지 淵蓋蘇文의 代를 이어 大權을 掌握한 뒤, 地方의 여러 城을 巡視하였다. 이 틈을 타 동생 연남산(男産)과 연남건(男建)李 政變을 일으켜 首都를 掌握하였다. 以後 연남생의 아들이었던 조카 年獻忠(獻忠)을 죽이고 王命을 빌려 연남생을 召喚하자, 연남생은 國內城 (國內城)으로 달아났다. 연남생이 黨에 投降하자, 666年 8月, 寶藏王은 연남건을 大莫離支(大莫離支)에 임명하였다.

666年 12月, 唐나라 가 擧國的으로 다시 高句麗를 侵攻하자 大莫離支 연남건은 軍隊를 總 指揮하여 唐나라에 맞서 싸웠다. 667年 9月, 이세적이 이끄는 唐軍에게 神聖이 陷落되자 高句麗 15萬 救援軍을 보내었고, 그가 보낸 高句麗軍은 錦山戰鬪에서 唐軍과 크게 싸웠으나 敗하였다. 또한 唐나라 곽대봉은 水軍을 이끌고 바다를 건너 高句麗로 侵攻하였다. 行軍官妓通事舍人 원萬頃이 便紙를 써서 말하기를 “鴨綠江은 要衝地인데 高句麗는 지킬 줄 모르는가?”라고 비웃었다. 하지만 이 書信을 보낸 使者가 高句麗軍에게 잡혔고, 이를 보고 연남건은 回報하기를 “삼가 命令을 듣겠다”라고 하고, 卽時 軍士를 옮겨 鴨綠江 나루에 陣을 쳐서 唐軍이 鴨綠江 以下로 南進할 수 없게 防禦線을 構築하였다.

668年 初, 이세적·薛仁貴가 이끄는 唐軍에 依해 北쪽의 扶餘性이 陷落되자 다시 高句麗 救援軍 5萬을 보냈으나, 中途에 설하수에서 이세적이 이끄는 唐軍을 만나 交戰하였고 크게 敗하였다.

668年 여름, 마침내 高句麗 首都 平壤城이 包圍되었고 한 달이 넘도록 交戰하였다. 寶藏王이 연남산으로 하여금 樹齡 98名을 거느리고 白旗를 들고 이세적에게 降伏하게 하였다. 이세적은 例를 갖추어 接待하였다. 그러나 연남건은 오히려 城門을 닫고 守備하며 對抗하였다. 연남건은 자주 軍士를 출동시켜 싸웠으나 그때마다 敗北하였다. 연남건은 僧侶 神聖 (信誠)에게 軍事에 關한 일을 맡겼다. 神聖 (信誠)은 所長 五司 · 고요墓 等과 함께 이 敵에게 祕密裏에 사람을 보내 內應하겠다는 뜻을 傳했다. 5日 뒤에 神聖이 城門을 열었다. 이세적은 軍士를 풀어 盛位에 올라가 북을 치고 喊聲을 지르며 불을 지르게 하였다.

668年 9月, 마침내 平壤城이 陷落하면서 自決하려고 했으나 失敗하여 保障王 , 연남산 과 함께 唐나라 로 끌려갔다. 그리고 只今의 쓰촨省 첸藷芋 (黔州)로 끌려가서 流配되었고, 거기서 죽었다.

評價 編輯

淵蓋蘇文이 死亡했던 665年에는 이미 高句麗는 唐나라의 잦은 侵入으로 많이 疲弊해져 있었다. 645年 1次 高句麗-黨 戰爭 以後, 唐나라는 持續的인 消耗戰을 통해 高句麗를 괴롭혔고, 646年 薛延陀, 660年 백제가 次例로 滅亡하여 對外的으로 孤立되었다. 그리고 예전 高句麗-水 戰爭 때와는 달리 第2次 高句麗-黨 戰爭 때 이미 平壤城이 오랫동안 包圍되었고 鴨綠江 以南이 主 戰爭터가 되었으며, 平壤城 以南도 신라군의 攻擊으로 戰爭터가 되어 全國土가 크게 疲弊해진 狀態였다.

연개소문 事後 內部的인 分裂이 없다 하더라도 이미 高句麗는 絶對的으로 어려운 狀況에 逢着하였지만, 이러한 때 雪上加霜으로 연남생과의 骨肉相爭으로 國內城 以北의 친 연남생派가 唐나라로 投降하면서 內部的으로도 分裂이 일어나, 黨의 大大的인 侵攻을 以前처럼 막아내 수 없었다. 大莫離支에 오른 연남건은 數次例 救援軍을 보내어 唐軍을 막으려 하였지만 거의 모두 敗하였고 民心이 離叛되어, 黨에 投降하는 城들이 많아 結局 首都 平壤城이 陷落되고 高句麗는 滅亡하고 말았다.

家計 編輯

연남건이 登場한 作品 編輯

映畫 編輯

各州 編輯

  1. 淵蓋蘇文의 맏아들인 연남생이 634年에 誕生했고 막내아들인 연남산이 639年 出生했으므로 적어도 1年 以上 差異가 난다.
  2. 韓國歷史情報統合시스템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3. 淵蓋蘇文의 맏아들인 연남생이 634年에 誕生했고 막내아들인 연남산이 639年 出生했으므로 적어도 1年 以上 差異가 난다.
전 林
연남생
第3代 高句麗의 大莫離支
後 林
연남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