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魚族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魚族

共通된 造語에서 派生된 것으로 推定되는 여러 言語들의 通稱

魚族 (語族, 英語 : Language family )은 言語學 에서 하나의 共通된 造語 에서 갈라나왔다고 推定되는 여러 言語 들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現存하는 自然語 魚族들의 分布를 나타내는 地圖.

語族의 構成과 分類 編輯

自然語 編輯

大部分의 自然語는 여러 語族에 各其 屬해 있다. 嚴密한 意味에서 語族은 系統的, 發生的으로 하나의 單位를 이루는 言語 集團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該當 語族의 모든 言語는 하나의 共通된 祖上에서 갈라져 나왔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語族의 槪念은 한 言語의 歷史的이고 系統的인 祖上이 있다는 槪念을 包含하고 있으며, 한 言語에서 다른 言語로 오랜 時間에 걸쳐 漸進的인 變化가 일어남을 含蓄하고 있다. 이러한 槪念은 言語가 急激하게 變化했거나 交替되었다는 見解를 否定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言語學的인 祖上의 槪念은 生物學的인 祖上의 槪念보다 不分明한데, 混成語와 같은 몇몇 極端的인 歷史的 言語接觸이 있기 때문이다. 特히 다른 語族의 言語 間의 混成語의 境遇 여러 語族의 特徵이 同時에 나타나는 境遇가 많아 어느 語族에 屬하는지 不分明하거나 잘못 推測할 수 있는 可能性이 있다. 그러나 이런 混成語와 같은 境遇는 實際로 相對的으로 相當히 드물며, 大部分의 言語의 境遇에는 그다지 不分明하지 않게 個個의 魚族들에 分類해 넣을 수 있다.

語族에 屬한 言語들의 共通 祖上은 共通祖語 (祖語: protolanguage)라고 한다. 이러한 造語들 中에서 代表的인 例가 가장 잘 알려진 語族 가운데 하나인 인도유럽어족 의 造語인 印度유럽祖語 (人口造語, 印歐祖語, Proto-Indo-European: 普通 PIE로 줄여 쓴다.)이다. 印度유럽造語는 文字가 發明되기 以前 時期의 言語이므로 具體的인 記錄이 남아 있지는 않다. 그러나 때로는 一連의 言語들의 造語가 歷史上의 實際하는 言語로 判別되기도 한다. 라틴語 (或 통속라틴어)의 各 地方의 方言들이 오늘날 로망스語群 의 여러 言語들로 發達했기 때문에, 告傳旗 作家들의 文魚 라틴語, 古典 라틴語와 正確하게 一致하지는 않더라도 로망스造語는 라틴語와 거의 一致한다. 이와 비슷한 例가 古代 노르드어 의 境遇로, 多少 記錄으로 남아있는 古代 노르드어 는 各地로 퍼져서 여러 곳의 方言들이 各其 오늘날의 노르웨이語 , 스웨덴語 , 덴마크語 , 페로어 , 아이슬란드語 等의 祖上이 되었다.

한 語族의 共通 祖上으로 直接的으로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그 理由는 몇몇 苦戰語들을 除外하고는 大部分의 言語들이 相對的으로 最近의 짧은 期間 동안 集中的으로 記錄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比較言語學的 方法들을 適用함으로써 造語 의 많은 特徵들을 復元하는 것이 可能하다. 이러한 復元 過程은 主로 여러 言語들의 낱말들 사이에 나타나는 말소리의 規則的인 對應關係를 土臺로 이루어지며, 이와 關聯된 硏究方法論은 比較 재구 (比較再構:comparative reconstruction)라고 불린다. 比較재구는 19世紀 初期부터 오랜 時間에 걸쳐 라스크(Rasmus Christian Rask), 야콥 그림 (Jakob Grimm), 아우구스트 슐라이허 (August Schleicher), 젊은이 文法學派 (독: Junggrammatiker/英: neo-grammarians) 等等의 一群의 比較言語學者들에 依해 精巧하게 發展해 왔다. 그리고 이러한 比較言語學的 方法은 아래에 提示된 수많은 魚族들의 正當性을 立證한다.

語族은 더 작은 系統的, 發生的 單位로 나뉠 수 있는데 慣習的으로 語族의 下位 部類는 ‘語派’라고 불린다. 하지만, ‘魚族’이라는 用語가 系統樹 에서 어떤 특정한 段階를 指稱하는 데 制限된 것은 아니다. 例를 들어, 게르만語族 인도유럽어족 의 下位 部類이다. 一部 學者들은 ‘魚族’이라는 用語를 特定 段階에만 使用하려고 하지만 이러한 用語 使用에 對해서는 어떤 合意나 同意가 存在하지 않는다. 이들은 ‘語派’의 下位部類를 ‘魚群’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魚族’보다 큰 單位를 ‘대어족’이라는 用語로 指稱하기도 한다.

孤立된 言語 編輯

言語들 中에서 確實히 어느 語群으로 分類할 수 없는 言語를 孤立된 言語 (language isolate)라 한다. 語族 內에서도 다른 語族 內의 言語들과 親族關係가 밝혀지지 않아 別個의 語派로 分類해야 하는 孤立된 言語가 있다. 인도유럽어족 의 境遇에는 그리스어 가 여기에 該當하며, 인도유럽어족 內에서 孤立된 言語 로 分類할 수 있다. 이 보다 좀 더 極端的인 孤立된 言語로 바스크語 를 例로 들 수 있는데, 바스크語는 오늘날까지도 쓰이고 있는 完全한 形態의 孤立된 言語 이다. 바스크語 의 境遇, 語彙, 陰性, 統辭構造의 歷史가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을뿐더러, (비록 周圍地域의 스페인語 , 프랑스語 等의 로망스語 의 影響을 받긴 하였지만) 現存하는 어떤 다른言語와도 親族語 關係를 設定할 수 없다. 以外에도 韓國語 , 수메르語 等이 孤立된 言語에 包含된다. 이러한 孤立된 言語들은 各各 하나의 작은 語族을 形成한다고 보는 見解도 있다. 一例로, 바스크語를 바스크語·나바로라부르댕 바스크語·술탱 바스크語로 나누어 이들이 바스크語族 을 形成한다고 보거나 韓國語 祭主語 를 別個로 보아 韓國語族 으로 分類하는 等 言語를 나누는 基準에 따라 孤立된 言語가 될 수도 있고 작은 語族이 될 수도 있다.

크리올어 · 피진 · 通常어 編輯

이들 言語는 各其 다른 言語를 使用하는 集團끼리 意思疏通을 하기 위해 생겨난 혼합어로 어떤 言語를 土臺로 했는지에 따라 分類할 수 있다. 또 이들이 分化되어 생겨진 言語들의 親族 關係도 살필 수 있는데 例를 들어 英語를 基礎로 한 크리올語인 비슬라馬契 言語, 卽 비슬라麻魚 · 톡 避身어 · 솔로몬 諸島 披陳어 等은 서로의 類似性이 確然하며 어느 程度 相互 意思 疏通도 可能하다. 그러나 이 세 言語는 멜라네시아 라는 한 地域에서 自生的으로 發生한 피진이기 때문에 멜라네시아 外 地域에서 發生한 英語 피진, 卽 하와이 크레올 英語 , 자메이카 크레올 英語 等과는 相互 理解度가 아주 낮아 土臺 言語가 같다고 해서 한 갈래로 나누기에는 問題가 提起된다는 意見도 있다.

綏化 編輯

手話는 손짓을 中心으로 몸의 움직임을 통해 意思를 傳達하는 言語이며 다른 自然語와는 獨立된 發達을 하였다. 聾啞者들을 위한 手話가 大部分이지만 沈默의 誓約을 지키기 위해 修道者들이 쓰는 修道院 手話 , 서로 言語가 다른 不足끼리의 意思疏通 等 여러 理由로 쓰이는 평원인디언 手話 等도 있다. 이들도 다른 自然語와 같이 變化·分化하기 때문에 系統 硏究가 可能하다. 例를 들어 韓國 手話 日本 手話 臺灣 手話 와 關係가 있다. 美國 手話는 프랑스 手話에서 發達한 것으로, 英國의 手話와는 다른 形態를 지닌다.

人工語 編輯

에스페란토 等의 人工語度 理論上 自然語와 같이 變化·分化할 수 있다. 다만 大部分의 人工語는 歷史가 짧기도 하고 性格上 言語 形態가 定立되어 있어 分化가 事實上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만 에스페란토에 기초하여 이도 가 만들어진 例와 같은 境遇에는 一般的인 自然語의 分化와는 다르지만 人工語幹의 親族 關係를 擧論할 수도 있다.

대어족 編輯

여러 魚族들에 對해 여러 學者들 間에 그 當爲性을 놓고 意見이 紛紛하지만 더 나아가서 여러 魚族들을 묶어 대어족을 提案하기도 한다. 一部 大魚族은 假說로 여겨지는 程度가 아니라 相當水準 재구되어 있기도 하지만, 이러한 대어족에 對해 大部分의 學者나 學派는 그 存在를 否定하거나, 保留하고 있는 狀態이다.

主要 語族 編輯

다음은 只今까지 알려진 主要 語族의 目錄이다. 여기서 이러한 魚族들을 地理的 分布에 따라 整理한 것은 但只 便宜를 위해서이지 地域別로 '대어족'이 있었음을 假定하는 것은 아니다.

유럽 編輯

여러 地域에 걸쳐 있는 인도유럽어족 , 우랄語族 , 튀르크語族 이 分布해 있음

아시아 編輯

北아시아 編輯

여러 地域에 걸쳐 있는 인도유럽어족 이 分布해 있음

南아시아 編輯

여러 地域에 걸쳐 있는 인도유럽어족 이 分布해 있음

西아시아 編輯

西南아시아 地域을 包含
여러 地域에 걸쳐 있는 인도유럽어족 , 아프리카아시아語族 이 分布해 있음

東南아시아 編輯

여러 地域에 걸쳐 있는 오스트로네시아語族 이 分布해 있음

東北아시아 編輯

아프리카 編輯

여러 地域에 걸쳐 있는 아프리카아시아語族 이 分布해 있음
 

太平洋 編輯

여러 地域에 걸쳐 있는 오스트로네시아語族 이 分布해 있음

파푸아 制御 編輯

오스트레일리아 原住民 言語 編輯

오스트레일리아 原住民 들의 여러 言語들

아메리카 編輯

北아메리카 編輯

 
北아메리카 中央아메리카 에 걸쳐서 分布한 語族

中央아메리카 編輯

中央아메리카 南아메리카 에 걸쳐서 分布한 語族

南아메리카 編輯

여러 地域에 걸친 語族 編輯

綏化 語族 編輯

같이 보기 編輯

參考 資料 編輯

  • Boas, Franz. (1911). Handbook of American Indian languages (Vol. 1). Bureau of American Ethnology, Bulletin 40. Washington: Government Print Office (Smithsonian Institution, Bureau of American Ethnology).
  • Boas, Franz. (1922). Handbook of American Indian languages (Vol. 2). Bureau of American Ethnology, Bulletin 40. Washington: Government Print Office (Smithsonian Institution, Bureau of American Ethnology).
  • Boas, Franz. (1933). Handbook of American Indian languages (Vol. 3). Native American legal materials collection, title 1227. Gluckstadt: J.J. Augustin.
  • Campbell, Lyle. (1997). American Indian languages: The historical linguistics of Native America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09427-1 .
  • Campbell, Lyle; & Mithun, Marianne (Eds.). (1979). The languages of native America: Historical and comparative assessment .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 Goddard, Ives (Ed.). (1996). Languages . Handbook of North American Indians (W. C. Sturtevant, General Ed.) (Vol. 17). Washington, D. C.: Smithsonian Institution. ISBN  0-16-048774-9 .
  • Goddard, Ives. (1999). Native languages and language families of North America (rev. and enlarged ed. with additions and corrections). [Map]. Lincoln, N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Smithsonian Institute). (Updated version of the map in Goddard 1996). ISBN  0-8032-9271-6 .
  • Gordon, Raymond G., Jr. (Ed.). (2005).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15th ed.). Dallas, TX: SIL International. ISBN  1-55671-159-X . (Online version: http://www.ethnologue.com ).
  • Greenberg, Joseph H. (1966). The Languages of Africa (2nd ed.).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 Mithun, Marianne. (1999). The languages of Native North America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3228-7 (hbk); ISBN  0-521-29875-X .
  • Ross, Malcom. (2005). Pronouns as a preliminary diagnostic for grouping Papuan languages. In: Andrew Pawley, Robert Attenborough, Robin Hide and Jack Golson, eds, Papuan pasts: cultural, linguistic and biological histories of Papuan-speaking peoples [1] Archived 2004年 6月 8日 - 웨이백 머신
  • Ruhlen, Merritt. (1987). A guide to the world's languages .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 Sturtevant, William C. (Ed.). (1978-present). Handbook of North American Indians (Vol. 1-20). Washington, D. C.: Smithsonian Institution. (Vols. 1-3, 16, 18-20 not yet published).
  • Voegelin, C. F.; & Voegelin, F. M. (1977). Classification and index of the world's languages . New York: Elsevier.

外部 링크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