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牙山郡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牙山郡 (牙山郡)은 元來 牙山市 北部의 염치읍 · 음봉면 · 둔포면 · 영인면 · 인주면 地域을 管轄했던 이다. 오늘날의 아산시의 領域은 1914年 에 이 地域과 溫陽軍 , 신창군 과 合倂해 갖추어졌다.

由來

編輯

牙山이라는 이름은 백제時代의 이름인 아술(牙述)에서 비롯되었다.

  • 음봉(陰峯)면, 인주(仁州)면, 英人(寧仁)面은 牙山의 고호(古號)에서 由來했다. 그外에도 牙山은 音잠(陰岑), 아주(牙州)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영인면이 옛 牙山郡의 치소이다.
  • 둔포면(屯浦面)은 소금배가 드나드는 浦口에서 由來했다.

歷史

編輯

1914年 移轉

編輯
  • 馬韓時代에 冉路國 이 있던 地域이다. 9年 ( 온조왕 27年)에 馬韓이 백제에 合倂되면서 백제의 領域이 되었다.
  • 百濟의 行政體制가 整備되면서 아술縣 (牙述縣)이 設置되었다.
  • 羅唐 戰爭 中인 671年 ( 문무왕 11年)에 탕정週에 屬했다가 나중에 681年 全國의 行政體制를 9州 5소경으로 第便하면서 탕정株價 熊川州 에 合倂되면서 週치가 탕정軍으로 還元되자 아술玄은 그 管轄縣으로 들어갔다.
  • 757年 ( 경덕왕 16年) 行政體制 改編으로 음봉縣 (陰峯縣)으로 改名했다.
  • 高麗 初期에 인주 (仁州)가 되었다.
  • 1005年 (高麗 穆宗 8年) 株價 廢止되었다.
  • 1018年 (高麗 顯宗 9年) 아주현 (牙州縣)으로 改稱하고 監務를 두었다.
  • 1413年 (朝鮮 太宗 13年) 牙山縣 (牙山縣)이 됨으로써 只今의 牙山이라는 이름이 되었다.
  • 1895年 23部 府제로 行政區域이 再編되면서 洪主婦 管轄 牙山軍이 되었다가 이듬해 13徒弟로 還元되면서 忠淸南道 에 編入되었다.

1914年 以後

編輯
朝鮮總督府令 第111號
朝鮮總督府令 第111號
舊 行政區域 神 行政區域
牙山郡 일동면(一東面) 덕지리, 신대리/동암리/중리, 청계동/한숙리/송오리, 신촌리/手動, 신리/대정리/장곡리, 장수리/신성리/용평리/월랑리 음봉면 덕지리, 동암리, 송촌리, 신수리, 신정리, 월랑리
李東勉(二東面) 송암리/발산리/중리/洞里, 마근리/신휴桐/舊休桐, 상룡리/下龍里 一部, 상암리/하암리/下龍里 一部, 원남리/신청리/要로리, 意識桐/두微動 소동리, 신휴리, 쌍룡리, 쌍암리, 원남리, 의식리
日北面(一北面) 후천리/시곡리/店村里, 산소리/사기리/社整理, 강정리/三거리/응암리, 금성리/도곡리/내동 동천리, 山整理, 三거리
영인면 성내리
以北面(二北面) 신성리/신언리/구산리/(신흥면) 신성리, 백석포, 신동리/鐵棒리/白癡리, 여우동/신대리/안화리, 逆動, 와우리, 창정리/용동리/용서리 구성리, 백석포리, 신봉리, 신화리, 逆洞里, 와우리, 창룡리
현내면(縣內面) 宮代理/上不利/성대리/원우리, 신중리/운정리/松蟲리, 新川里/車현리, 통산리/商利/하리, 月見利/선교리, 모원리/동강리 一部 상성리, 신운리, 신현리, 영산리(靈山里), 월선리
인주면 모원리
신흥면(新興面) 걸매리, 下신원리/서강리 一部/(현내면) 동강리 一部, 新밀두리/(일書面) 밀두리, 신성리/(일書面) 신성리 걸매리, 공세리, 밀두리, 신성리
일書面(一西面) 아현리/官廳桐/암사동, 냉정리/(현내면) 점리 관암리, 냉정리
이서면(二西面) 동음리, 문지리/방축리/(돈의面) 응현리 대음리, 문방리
삼서면(三西面) 금곡리/城東, 신흥리/도정리, 신성리/해암리/(돈의面) 대사동, 강청동상리/강청동하리, 兄弟동/生양동/남산리, 와천리/(溫陽軍 日北面) 서원동, 신포리/중방리 금성리, 도흥리, 해암리
廉치면 강청리, 산양리, 서원리, 중방리
근남면(近南面) 곡교리, 동정리, 방현리, 석두리, 석정리, 송곡리, 쌍죽리, 염성리
원남면(遠南面) 대동리, 백암리
三北面(三北面) 둔포면 염작리, 둔포리, 석곡리, 시포리, 신남리, 신왕리, 신포리, 운교리, 운용리
某産面(毛山面) 관대리, 봉재리, 산전리, 송용리, 신양리, 신항리
덕흥면(德興面) 超正面 대정리, 돈포리, 신덕리, 장곳리
신창군 北面(北面) 가산리, 대흥리, 채신언리, 홍곳리
대서면(大西面) 군덕리, 궁평리, 선창리, 신동리, 新聞里, 죽산리
도고면 신성리, 신언리
남상면(南上面) 音山整理/금곡리/갈치리 一部/量産整理 一部, 자은리/下佐郞리/(남하면) 熱名利/농산리, 노산리/店村/情村/도촌 一部/판方里 一部, 抛農里/量産整理 一部/봉암리 一部/(대서면) 신덕리 一部/(禮山郡 金平面) 장곳리 一部, 신리/流動/도촌 一部, 시전리/갈치리 一部, 화동/당현리/대천리/판方里 一部, 孝子洞/금사리/臺초정리 一部 금산리, 농은리, 도산리, 봉농리, 신유리, 시전리, 화천리, 효자리
남하면(南下面) 上기곡리/下기곡리/신촌 一部, 內덕암리/外덕암리, 석우리/원당리/六同, 신상리/통산리, 오곡리/龜岩里/원암리, 봉산리/渦動 一部/(牙山郡 신흥면) 밀두리, 家鄕里/흑암리/용산리/渦動 一部 기곡리, 덕암리, 석당리, 신통리, 오암리, 와산리, 향산리
군내면(郡內面) 남산리/북동리/홍문리/金盤刑吏/郊村/遺棄村/신대리/(대동면) 넙동 一部 鶴聲面 읍내리
대동면(大東面) 마산리/熊山리/넙동桐득得剝 一部, 장구포리/수여리 一部/수남리 一部/구평리 一部, 得剝離 一部/步玉洞/(騷動面) 수여리 一部/(溫陽軍 서면) 步玉洞 一部, 商店良吏/重點良吏/下點良吏/(溫陽軍 대동면) 방축리 一部, 不거산리/창덕리/명암리/오산리 一部, 칠목리/杏村/넙동 一部, 內黃銅/外黃銅/오산리 一部 得山里, 수장리, 실獄吏, 點良吏, 창암리, 행목리, 황산리
騷動面(小東面) 가리/원내리/兆원리/신기리 一部/용곡리 一部, 덕동/가야리/거산리/화산리 一部/궁동 一部/(小書面) 화달리 一部/(牙山郡 삼서면) 兄弟동 一部, 조화동/신당리/화산리 一部/궁동 一部, 남방리/방축리/신성리/(대동면) 수여리 一部/수남리 一部/구평리 一部, 北面신리/기곡리 一部/(대서면) 원내리 一部/(牙山郡 삼서면) 신리 一部, 신촌리/화달리 一部/(대동면) 구평리 一部/(牙山郡 삼서면) 화달리 一部, 時木洞/誤삼리/신교리/정안리/화산리 一部 가내리, 가덕리, 궁화리, 남성리, 신곡리, 신달리, 오목리
溫陽軍 읍내면(邑內面) 동변리/성내리/經典리/송정리/商利/중리/하리/遺棄村, 법곡리/歌舞里 一部, 長存리/歌舞里 一部, 신리/左부리/대교리/槐花리 溫兩面 읍내리, 법곡리, 長存리, 左부리
書面(西面) 기산리/성산리/지라리/신평리, 문산리/新人리/입암리, 시안리/장재리/(신창군 대동면) 방축리 一部, 신기리/步玉洞/(신창군 대동면) 得剝離, 온천리/하화리 一部, 용정리/판교리/상화리/하화리 一部, 初사리/흥기리/個興利, 靑堂里/풍기리/(군내면) 靑堂里/(以北面) 先文理 기산리, 新人리, 방축리, 실獄吏(實玉里), 온천리, 용화리, 初사리, 풍기리
군내면(郡內面) 남리/(以北面) 판교리, 신대리/매곡리/日헌리/상촌리/曲村里/동평리/名幕里/수철리, 감濁里/신흥리/은곡리/송현리, 중리/하리/서원리/흑암리 배방면 남리, 수철리, 신흥리, 중리
동상면(東上面) 갈매리/者우리, 褐銅/공수리/오산리/(以北面) 모산리/오류동 一部, 창대리/월천리/二千里/서수리/북수리, 초산리/의식리/세출리 一部/무학리 一部, 탑동/오리/회룡리/세출리 一部/무학리 一部 갈매리, 공수리, 북수리, 세출리, 회룡리
動하면(東下面) 商利/세교리/운성리/송성리/四五개리, 장재리/송곡리/聯動/小聯動/(天安郡 군서면) 송곡리 一部, 정산리/휴대리 세교리, 장재리, 휴대리
日北面(一北面) 갈산리/內金利/여우리, 입석리/동산리/덕지리, 신풍리/하소리/매곡리/산직리/가곡리, 行勝利/外金利/명암리/(牙山郡 원남면) 定座/窓複利, 내호리/외호리/성북리/신대리 탕정면 갈산리, 동산리, 매곡리, 명암리, 호산리
以北面(二北面) 구령리/수청리/오류동 一部, 卷曲리 一部/모種리 一部, 신흥리/모種리 一部/卷曲리 一部, 所信리/신리/(日北面) 구미동 一部, 산현리/용두리/(牙山郡 원남면) 산곡리/대중리 一部 구령리, 卷曲리, 모種리, 신리, 용두리
남상면(南上面) 강장리/지라리/人아리, 구만리/거산리/城東, 約棒利/장재리/백학리/동화리/상서리/중서리, 송학리/갈곤리, 금계리/명곡리/水穀痢/(신창군 남하면) 비지/外덕암리, 사기리/신성리/침곡리/유곡리, 종곡리/이목동 송악면 강장리, 거산리, 동화리, 송학리, 水穀痢, 유곡리, 종곡리
남하면(南下面) 鶴洞/신평리/강당리/석우리/곽谷里/사곡리, 궁평리/방산리, 침곡리/마곡리, 역촌리/오미리, 외암리/구산리, 復舊리/평촌리/회화리/월굴리/月라리 강당리, 궁평리, 마곡리, 역촌리, 외암리, 평촌리
12面 - 영인면, 음봉면, 인주면, 廉치면, 둔포면, 배방면, 溫兩面, 송악면, 탕정면, 鶴聲面, 超正面, 도고면
大統領令 第11027號
大統領令 第11027號
舊 行政區域 神 行政區域
신창면 點良吏·得山里·실獄吏 온양읍 一部
배방면 남리
탕정면 신리

主要人物

編輯

各州

編輯
  1. 朝鮮總督府令 第111號 (1913年 12月 29日)
  2. 도령 第8號 ( 1917年 9月 25日 )
  3. 都賈視 第43號 ( 1917年 9月 20日 )
  4. 朝鮮總督府令 第253號 읍면및읍면장에관한규정 (1941年 9月 29日)
  5. 大統領令 第11027號 時·郡·區·邑·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 1983年 1月 10日 ) 제4조
  6. 法律 第3798號 구리시等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 1985年 12月 28日 )
  7. 法律 第4774號 京畿道남양주시等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 1994年 8月 3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