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경덕왕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경덕왕

新羅의 第35代 國王 (?~765)
( 新羅 景德王 에서 넘어옴)

경덕왕 (景德王, 723年 ~ 724年 ? [1] ~ 765年 陰曆 6月 , 在位: 742年 陰曆 5月 ~ 765年 陰曆 6月 )은 新羅 第35代 王 이다. 姓은 (金)이고, 휘는 헌영(憲英). 효성왕 의 親同生이며, 아버지는 제 33代 王 성덕왕 . 어머니는 伊飡 순원(順元)의 딸 소덕왕후(炤德王后)이며, 王妃는 鉏不感 김의충(金義忠)의 딸 만월부인(?月夫人, 경수王后 (景垂王后))이다. 효성왕에게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742年 5月에 효성王이 死亡하자 王位에 올랐다. 경덕왕 臺는 新羅가 極盛期에 達하던 時期였다.

新羅 景德王
新羅 景德王
경주 경덕왕릉
慶州 景德王陵
第35代 新羅 國王
在位 742年 陰曆 5月 ~ 765年 陰曆 6月
前任 효성왕 (孝成王)
後任 혜공왕 (惠恭王)
父王 성덕왕
新羅의 太子
在位 739年 5月 ~ 742年 5月 (陰曆)
前任 太子 勝景 (효성왕)
後任 太子 건운 (惠恭王)
이름
김헌영(金憲英)
廟號 없음
시호 경덕(景德)
身上情報
出生日 723年 ~ 724年 ?
死亡日 765年 陰曆 6月
父親 성덕왕
母親 소덕왕후(炤德王后)
兄弟姊妹 김중경, 김수충, 효성왕 , 사소부인
配偶者 삼모부인, 만월부인
子女 혜공왕
宗敎 佛敎
陵墓 景德王陵

生涯

編輯

효성왕(孝成王)의 親同生으로 효성王이 죽자 王位를 繼承하였다. 742年 10月 日本국 使臣이 이르렀으나 받아들이지 않았다. [2] 753年 8月에도 日本국 使臣이 이르렀는데, 傲慢하고 禮儀가 없었으므로 王이 그들을 接見하지 않자 마침내 돌아갔다. [3] 景德王 때는 新羅가 極盛期에 達한 때로 諸般 制度·官職을 黨(唐) 制度로 改編하는 한便, 景德王 16年(757年)에 全國의 行政體制 및 行政單位의 名稱을 大槪는 漢字式으로 改革하고, 行政區域을 9州 5소경으로 나누었다(→ 新羅의 行政 區域 參照). [4] [5]

景德王은 佛敎 中興에도 努力하여 皇龍寺 (皇龍寺)의 鐘을 鑄造하였으며, 掘佛寺(堀佛寺)를 비롯하여 永興(永興)·元年(元延)·佛國(佛國) 等의 절을 세웠다. 그는 聖德王의 冥福을 빌기 위해 봉덕사 種을 만들게 했는데, 完成을 보지 못하고 죽었으며 아들인 혜공왕 이 完成하였다. 이 鐘의 소리는 맑고, 멀리까지 들리는 것으로 有名하다. 元來 이름은 ' 성덕大王 新種 ' 또는 俗稱 에밀레鐘으로 韓國에서 가장 큰 種인 同時에 國寶 (29號)이며, 後에는 봉덕사 種으로 불렀다. 景德王은 過度 活潑히 交易하는 等 産業 發展에 힘써 新羅의 全盛 時代를 이루었다.

景德王 10年( 751年 )에는 佛國寺 가 完工되었으며, 757年 3月 에는 祿邑 이 다시 支給되었다. 그리고 國學을 太學監이라 고쳤다. 또한 執事部의 重視를 侍中으로 고쳤다.

家計

編輯
  • 父王?: 성덕왕 (聖德王)
  • 母后?: 소덕왕후 金氏(炤德王后 金氏)

기타

編輯

三國遺事 》 表訓大德 說話에 依하면 그의 性器 는 그 길이가 8寸(藥 24?cm) 程度가 되었다.

文化財

編輯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1. 景德王의 出生年度는 未詳이지만, 어머니인 소덕왕후가 성덕왕과 함께 산 期間과 同腹兄弟人 孝成王의 存在를 勘案하면 學界에서는 景德王이 聖德王 22年~23年(723年 ~ 724年) 사이에 出生한 것으로 본다.
  2. 김부식 (1145). 〈 本紀 卷9 경덕왕 〉. 《 三國史記 》. 元年 冬十月 日本國使至 不納 (元年(742) 겨울 10月에 日本국(日本國) 使臣이 이르렀으나 받아 들이지 않았다.)  
  3. 김부식 (1145). 〈 本紀 卷9 경덕왕 〉. 《 三國史記 》. 十二年 秋八月 日本國使至 慢而無禮 王不見之 乃廻 (12年(753) 가을 8月에 日本국 使臣이 이르렀는데, 傲慢하고 禮儀가 없었으므로 王이 그들을 接見하지 않자 마침내 돌아갔다.)  
  4. 김부식 (1145). 〈 本紀 卷9 경덕왕 〉. 《 三國史記 》. 十六年 冬十二月 改沙伐州爲?州 領州一 郡十 縣三十 ?良州爲良州 領州一 小京一 郡十二 縣三十四 菁州爲康州 領州一 郡十一 縣二十七 漢山州爲漢州 領州一 小京一 郡二十七 縣四十六 首若州爲朔州 領州一 小京一 郡十一 縣二十七 熊川州爲熊州 領州一 小京一 郡十三 縣二十九 河西州爲溟州 領州一 郡九 縣二十五 完山州爲全州 領州一 小京一 郡十 縣三十一 武珍州爲武州 領州一 郡十四 縣四十四 良州一作梁州 (16年(757) 겨울 12月에 沙伐州(沙伐州)를 尙州(尙州)로 고치고 1週, 10軍, 30縣을 거느리게 하였고, 揷良州(?良州)를 洋酒(良州)로 고치고 1週, 1小京, 12軍, 34縣을 거느리게 하였으며, 淸州(菁州)를 康州(康州)로 고치고 1週, 11軍, 27縣을 거느리게 하였다. 漢山州(漢山州)를 한週(漢州)로 고치고 1週, 1小京, 27軍, 46縣을 거느리게 하였고, 首若州(首若州)를 朔州(朔州)로 고치고 1週, 1小京, 11軍, 27縣을 거느리게 하였으며, 熊川州(熊川州)를 熊州(熊州)로 고치고 1週, 1小京, 13軍, 29縣을 거느리게 하였다. 河西州(河西州)를 名酒(溟州)로 고치고 1週, 9軍, 25縣을 거느리게 하였고, 完山州(完山州)를 全州(全州)로 고치고 1週, 1小京, 10軍, 31縣을 거느리게 하였으며, 武珍州(武珍州)를 茂朱(武州)로 고치고 1週, 14軍, 44縣을 거느리게 하였다.<양주(良州)를 또는 洋酒(梁州)로도 썼다.>  
  5. 一般的으로 이를 固有의 地名을 모두 中國式으로 고친 것으로 여겨지지만 꼭 그렇지만도 않다. 假令 熊川州의 한산군(韓山郡)은 백제時代의 대산群(大山郡)인데 이는 漢字語인 臺(大)를 오히려 固有語인 한(韓)으로 바꾼 것이다. 一般的으로 이때의 行政名의 改革은 大槪 單純히 表記法만 漢文으로 고치거나 簡素化한 것으로 漢字名이라도 當時에는 固有名으로 그대로 읽혔다. 이는 現在의 日本에서 地名을 읽는 것과 어느 程度 비슷하다. [ 出處 必要 ]
前 代
효성왕
第35代 新羅 國王
742年 - 765年
後 臺
혜공왕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統一 新羅의 政治" 項目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