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스티글러의 命名法則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스티글러의 命名法則

스티글러의 命名法則 시카고 大學校 統計學 敎授 스티븐 스티글러 [1] 1980年 發表한 〈스티글러의 命名法則(Stigler’s law of eponymy)〉 [1] 에서 提案한 科學上의 發見의 命名에 對한 法則이다. 스티글러의 1999年 著書 《卓子 위의 統計學: 統計學的 槪念과 方法의 歷史(Statistics on the Table: The History of Statistical Concepts and Methods)》에 紹介되면서 有名해졌다.

스티글러의 命名法則을 가장 單純하고 强力한 命題로 나타내면 ‘어느 科學上의 發見도 그 元來의 發見者의 이름을 따서 命名되지 않는다.’가 된다. 文獻學 에서는 ‘더 작은 쪽으로 공을 돌리기 法則(Rule of the Lesser Attribution)’으로 알려져 있다. 歷史的인 好評과 名聲은 고르지 않게 配分된다는 것이다. 科學上의 觀察과 結果는 흔히 눈에 잘 뜨이고 地位가 높은 이들과 聯關지어지기 十常이고 첫 發見이 있은 지 오랜 後에 命名되기 일쑤이다.

가우스 分布 , 핼리 彗星 , 플랑크 常數 의 境遇와 같이 特別히 重要性을 가지는 科學上의 發見은 사람의 이름을 딸 때가 많다. 그러나 科學史學者들은 이렇게 특정한 觀察, 理論, 結果 等에 聯關되는 사람은 원發見者가 아닌 境遇가 많다는 것을 特記한다. 스티븐 스티글러도 統計學의 歷史를 硏究하면서 스티글러의 命名法則을 提案하게 된 것이다.

스티글러는 스티글러의 命名法則을 發見한 것을 로버트 K. 머턴 의 功으로 돌린다. 마태 效果 도 參照하라.

各州 編輯

  1. “Stigler’s law of eponymy.” (Gieryn T F, ed.) Science and social structure: a festschrift for Robert K. Merton. New York: NY Academy of Sciences, 1980. p. 147-57